KR900008504Y1 - 다이나믹 포커스 회로 - Google Patents

다이나믹 포커스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8504Y1
KR900008504Y1 KR2019860017490U KR860017490U KR900008504Y1 KR 900008504 Y1 KR900008504 Y1 KR 900008504Y1 KR 2019860017490 U KR2019860017490 U KR 2019860017490U KR 860017490 U KR860017490 U KR 860017490U KR 900008504 Y1 KR900008504 Y1 KR 9000085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output
voltage
horizontal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174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0954U (ko
Inventor
최한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한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한형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600174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8504Y1/ko
Publication of KR8800109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095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85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850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04N3/26Modifications of scanning arrangements to improve focu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04Synchronising
    • H04N5/08Separation of synchronising signals from picture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다이나믹 포커스 회로
제 1 도는 종래의 회로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각부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동기분리회로 2,3 : 정현파 발진회로
4,5 : 파형정형회로 6 : 가산회로
7 : 레벨증폭회로 8 : 전압보강회로
10 : 전류-전압변환기 Q1-Q3: 트랜지스터
OP1,OP2: 오피앰프 R1-R11: 저항
C1,C2: 콘덴서
본 고안은 음극선관을 사용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음극선관의 각부 포커스(FOCUS)전압을 보정해 주어 화면 전체의 포커스가 균일하도록한 다이나믹포커스(DYNAMIC FOCUS)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극선관(CRT)을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음극선관의 각 부위와 전자총간의 거리가 등간격(음극선관의 중앙은 가깝고 주변으로 갈수록 멀어짐)이 아니므로 기존의 정적인(Static)포커스 방식으로는 음극선관 형광막의 코너 및 주변 부위에서 포커스 에러(error)가 발생하게 되었다.
이러한 포커스 에러를 줄이기 위하여 종래에는 제 1 도에서와 같이 수평 축상의 포커스 에러를 보정해 주는 포커스 보정회로가 고안되었으나 이러한 방식으로는 수평 축상의 포커스 에러는 보정해 줄수 있으나 수직 축상의 포커스 에러는 없애줄수 없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수평 출력의 파라볼라(Parabola) 전류를 전류-전압변환기(10)에서 전류-전압 변환시켜 사용하므로 빔(Bean) 전류에 따라 촛점이 달라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수직 및 수평동기 펄스에 의해 구동되는 동기식 정현파 발진회로의 출력을 파형 정형 및 가산 증폭하여 얻은 값으로 포커스 전압을 보정해 주므로써 화면 전체에 걸쳐 고른 화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다이나믹 포커스 회로로써 이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는 종래의 회로도로써 수평 동기 신호를 전류-전압변환기(10)를 통하여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인가시킴으로써,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 전압으로 포커스 전압(FV)을 변환시켜 주도록 구성한 것이다.
제 2 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로써, 본 고안은 입력된 복합 영상 신호중의 수평, 수직동기 신호를 분리하는 동기 분리회로(1)와, 상기 동기분리회로(1)에서 분리시킨 수평 및 수직 동기 신호를 리셋트 단자에 입력시켜 수평 및 수직 주파수에 동기된 정현파를 발생시키는 정현파 발진회로(2)(3)와, 상기 정현파 발진회로(2)(4)의 출력을 파라볼라 파형으로 정형시키는 파형정형회로(4)(5)와, 상기 파형정형회로(4)(5)의 수평 및 수직 주기 파랄볼라 파형을 가산시켜 수직주기 파라볼라에 수평 주기 파라볼라가 중첩된 전압을 출력시키는 가산회로(6)와, 상기 가산회로(6)의 출력을 레벨 증폭시키는 레벨증폭회로(7)와, 상기 레벨증폭회로(7)의 출력으로 포커스 전압(FV)을 보정하는 전압보정회로(8)로 구성된다.
이같은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히 살펴본다.
입력되는 복합 영상신호를 동기분리회로(1)에서 수직동기신호(VS)와 수평동기신호(HS)로 분리시켜 동기식 정현파 발진회로(2)(3)의 리셋트단자에 인가되게 구성하고 그의 출력단자에는 파형정형회로(4)(5)를 연결구성한다.
파형정형회로(4)는 정현파 발진회로(2)의 출력이 전원(Vcc)이 인가되는 저항(R1-R3)과 콘덴서(C1)를 통하여 수직주기의 파라볼라 파형으로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인가되게 구성하고 파형정형회로(5)는 정현파 발진회로(3)의 출력을 전원(Vcc)이 인가되는 저항(R6-R8)과 콘덴서(C2)를 통한후 수평주기의 파라볼라 파형으로 저항(R9)을 거쳐 오피앰프(OP1)의 타측단자(-)에 인가되게 구성한다.
그리고 에미터가 접지된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측에는 저항(R4)을 통하여 전원(Vcc)을 인가시킴과 동시에 저항(R5)을 통하여 오피앰프(OP1)의 일측 단자(+)를 연결하여 수직주기 파라볼라에 수평주기 파라볼라가 중첩되게 가산회로(6)를 구성한다.
오피앰프(OP1)의 출력은 타측단자(+)가 전원(E)에 연결된 오피앰프(OP2)의 일측단자(-)에 인가되어 레벨증폭되게 레벨증폭회로(7)을 구성하고 오피앰프(OP2)의 출력측은 에미터가 저항(R11)을 통하여 접지된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를 연결하고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에는 저항(R10)을 통하여 포커스전압(FV)을 고정시켜 출력되도록 전압보정회로(8)를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서 제 1 도는 종래 회로도로써 입력되는 수평동기신호를 전류-전압변환기(10)를 통하여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인가시킴으로써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에서 포커스전압(FV)을 보정시켜 주도록 되어 있으나 이는 수직 축상의 포커스 에러는 보정시켜 주지 못하는 단점과 수평 출력의 파라볼라 전류를 전류-전압변환시켜 사용하므로 빔 전류에 따라 촛점이 달라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이를 해결하고자 제 2 도에서와 같은 회로를 고안하였으며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입력되는 복합 영상신호를 동기분리회로(1)에서 수직동기신호(VS)와 수평동기신호( HS)로 분리시켜 각각 동기식 정현파 발진회로(2)(3)의 리셋트 단자에 인가시킴으로써 정현파 발진회로(2)(3)의 출력단자에서는 각각 수직 및 수평 동기신호에 동기된 정현파 출력이 나오게 된다.
이 같이 수직동기 신호(VS)에 동기된 정현파 발진회로(2)의 정현파 출력은 저항(R1-R3)과 콘덴서(C1)로 구성된 파형정형회로(4)를 통하여 제 3 도의 (가)에서와 같은 수직주기의 파라볼라 파형으로 정형되어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인가되게 된다.
그리고 수평동기신호(HS)에 동기된 정현판 발진회로(3)의 출력은 저항(R6-R8)과 콘덴서(C2)로 구성된 파형정형회로(4)를 통하여 제 3 도의 (나)에서와 같은 수평주기의 파라볼라 파형으로 정형된후 저항(R9)을 통하여 오피앰프(OP1)의 타측단자(-)에 인가된다.
한편 파형정형회로(4)에서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인가된 제 3 도의 (가)에서와 같은 파라볼라 파형은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측으로 반전되어 출력되게 되며, 이때의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 출력은 저항(R5)을 통한후 오피앰프(OP1)의 일측단자(+)에 인가되므로써 오프앰프(OP1)에서는 인가되는 두 파라볼라 신호를 가산하여 제 3 도의 (다)에서와 같이 수직 주기 파라볼라 파형에 수평 주기 파라볼라 파형이 중첩된 전압 파형을 출력시키게 된다.
이같이 오피앰프(OP1)에서 출력되는 제 3 도의 (다)에서와 같은 파형은 타측단자(+)에 전원(E)에 의한 기준 전압이 인가되는 오피앰프(OP2)의 일측단자(-)에 인가시킴으로써 오피앰프(OP2)의 출력측으로는 레벨 증폭된 파형이 출력되어 전압보정회로(8)의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인가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측으로 나타나는 전압을 정적인 포커스전압(FVS)에 인가시켜 주므로 최종적으로 출력되는 포커스전압(FV)은 제 3 도의 (라)에서와 같은 파형이 되어 음극선관의 화면 전체에 걸쳐 고른 화질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복합 영상신호를 수직 동기신호(VS)와 수평동기신호(HS)로 분리시켜 정현파 발진회로(2)(3)에서 각 동기신호에 동기된 정현파를 출력시키고 상기 정현파 발진회로(2)(3)의 출력을 파형정형회로(4)(5)에서 파라볼라 파형으로 정형화시킨후 가산회로(6)에 인가시켜 주어 주식 주기 파라볼라에 수평 주기 파라볼라가 중첩된 전압을 얻어내고 상기 가산회로(6)의 출력을 레벨증폭회로(7)에서 레벨 증폭시킨후 포커스 전압보정회로(8)에 인가시켜 포커스전압(FV)을 보정시키도록한 것으로써 화면 전체에 걸쳐 고른 화질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음극선관을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복합 영상신호입력을 수직 및 수평동기신호로 분리하는 동기분리회로(1)와, 상기 동기분리회로(1)에서 분리시킨 수직 및 수평 주파수에 동기된 정현파를 출력시키는 정현파 발진회로(2)(3)와, 상기 정현파 발진회로(2)(3)의 정현파 출력을 파라볼라 파형으로 정형시키는, 파형 정형회로(4)(5)와, 상기 파형정형회로(4)의 수직 주기 파라볼라를 트랜지스터(Q1)에서 반전시킨후 파형정형회로(5)의 수평주기 파라볼라가 인가되는 오피앰프(OP1)에 인가시켜 주어 수직 주기 파라볼라에 수평주기 파라볼라가 중첩된 전압을 출력시키는 가산회로(6)와, 상기 가산회로(6)의 출력을 오피앰프(OP2)에서 레벨 증폭시키는 레벨증폭회로(7)와, 상기 레벨증폭회로(7)의 출력을 트랜지스터(Q2)에 인가시켜주어 포커스 전압(FV)을 보정하는 전압 보정회로(8)로 구성된 다이나믹 포커스 회로.
KR2019860017490U 1986-11-08 1986-11-08 다이나믹 포커스 회로 KR9000085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7490U KR900008504Y1 (ko) 1986-11-08 1986-11-08 다이나믹 포커스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7490U KR900008504Y1 (ko) 1986-11-08 1986-11-08 다이나믹 포커스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0954U KR880010954U (ko) 1988-07-29
KR900008504Y1 true KR900008504Y1 (ko) 1990-09-22

Family

ID=19256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17490U KR900008504Y1 (ko) 1986-11-08 1986-11-08 다이나믹 포커스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850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0954U (ko) 1988-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83405A (en) Parabolic voltage generating apparatus for television
US4810939A (en) Top and bottom pincushion distortions correcting circuits to be used for picture tube having aspherical face plate
US3988638A (en) Circuit arrangement for generating a field deflection current
JP2572794B2 (ja) 三角形状の曲線経過を有する電圧の生成方法及び回路装置
KR900008504Y1 (ko) 다이나믹 포커스 회로
KR860000088B1 (ko) 핀쿳션 보정 회로
US3968403A (en) Circuit for correcting deflection distortion
US4692670A (en) Vertical deflection circuit
US4536682A (en) Circuit for generating a deflection current through the field deflection coil of a picture display device
GB2154084A (en) Phase correction arrangement for deflection circuit
US4485335A (en) Dynamic focusing circuit for a cathode ray tube
US4318033A (en) Dynamic focusing circuit for a cathode ray tube
JP2999201B2 (ja) 三角波電圧の形成方法
KR920000923Y1 (ko) 브라운관 좌 · 우측면의 실패형 일그러짐(Side Pincushion distortion)보정회로
KR950011307B1 (ko) 모니터의 포커스 자동보정회로
JP3549225B2 (ja) ダイナミックフォーカス回路
US6072414A (en) Dynamic focus circuit
KR100241426B1 (ko) 프로젝션 티브이의 다이나믹 포커스 보정회로
KR800000900Y1 (ko) 편향 찌그러짐 보정회로
JPH0686088A (ja) Crtディスプレイ装置
KR820001210Y1 (ko) 텔레비죤 수상기의 궁형왜곡(弓形歪曲) 보정회로
KR960004977Y1 (ko) 다이나믹 포커스(Dynamic Focus)출력회로
JPH03294891A (ja) ディスプレイ装置
JPH0134454Y2 (ko)
JPS6331211A (ja) 鋸歯状波発生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