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0923Y1 - 브라운관 좌 · 우측면의 실패형 일그러짐(Side Pincushion distortion)보정회로 - Google Patents

브라운관 좌 · 우측면의 실패형 일그러짐(Side Pincushion distortion)보정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0923Y1
KR920000923Y1 KR2019880019449U KR880019449U KR920000923Y1 KR 920000923 Y1 KR920000923 Y1 KR 920000923Y1 KR 2019880019449 U KR2019880019449 U KR 2019880019449U KR 880019449 U KR880019449 U KR 880019449U KR 920000923 Y1 KR920000923 Y1 KR 9200009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stor
resistor
resistance
vertical
col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194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1074U (ko
Inventor
신성식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 주식회사
김용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 주식회사, 김용원 filed Critical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800194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0923Y1/ko
Publication of KR9000110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107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09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092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04N3/22Circuits for controlling dimensions, shape or centering of picture on screen
    • H04N3/23Distortion correction, e.g. for pincushion distortion correction, S-correction
    • H04N3/233Distortion correction, e.g. for pincushion distortion correction, S-correction using activ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브라운관 좌·우측면의 실패형 일그러짐(Side Pincushion distortion)보정회로
제1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
제2도는 각 단의 출력 파형.
제3도는 부정 전, 후를 나타낸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보정회로 Q1-Q3: 트랜지스터
R1-Rn: 저항 VR1-VR2: 가변저항
C1-C4: 콘덴서 L1: 수직편향코일
L2: 직선성 코일 L3: 수평편향코일
TS : 트랜스 a, b : 입력파형
C : 출력파형 B+: 회로공급 전압
본 고안은 텔레비젼 및 모니터 등 영상회로에서 화면 좌,우측의 실패형 일그러짐 (Side Pincushion distortion)보정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수평동기 신호에서 별도의 화면 진폭 조정코일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화면의 크기 조정의 가능하도록 한 브라운관 좌,우측 실패형 일그러짐 보정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영상회로의 편향은 음극선과의 편향각 즉 편향코일의 왜곡으로 인해 화면의 좌, 우 및 상, 하는 동일한 직선적인 화면을 갖도록 동작시키는 것이 어렵다.
이때 화면 좌,우측의 경우는 수평주파수가 수직 주파수의 1주기를 주사할때 수평 주파수의 왜곡만큼 수직주파수를 보상하여 주는 것이 측면 일그러짐 조정회로이다.
따라서 종래에는 수평 주파수에 수직 주파수를 보정하여 줄때 수직보정주파수인 파라볼라(paravola)파 등을 콘덴서로 보정케 함으로서 화면의 상, 하부는 왜곡이 있는 보정을 갖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것은 완전한 정형이 되지 않는 상태에서 수평 주파수측을 보상케 함으로서 발생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에 착안하여 완전한 수직 주파수의 정형과 수평주파수측에 적절한 DC중첩으로 영상 화면의 좌,우측에 일그러짐 현상을 보정 및 화면 크기 조정을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안정된 화면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서와 같이 수직 주파수(a)가 인가되는 수직편향코일(L1)에 저항 (R2)(R3)과 수직 삼각파(b)가 입력되는 저항(R1)을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와 에미터에 각각 연결하며,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콤렉터에는 저항(R4)과 콘덴서(C1)를 통하여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접속되도록 함과 동시에, 저항(R5)(R6)에 의해 트랜지스터(Q2)이 바이어스 전압이 결정되도록 하고, 트랜지스터(Q2) 콜렉터에는 저항 (R7)을 에미터에는 저항(R8)과 가변저항(VR1)을 직렬 연결되도록 한다.
또한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측에는 콘덴서(C2)(C3)를 거쳐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접속하여 저항(R9)(R10)에 의해 트랜지스터(Q3)의 바이어스 전압이 결정되도록 하되, 저항(R10)에는 가변저항(VR2)을 직렬 연결하여 상기 트랜지스터(Q3)에미터측에는 저항(R11)을 접속하고 콜렉터에 트랜스(TS)를 연결한 실패형 일그러짐 보정회로(1)를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수직주파수(a)가 수직편향코일(L1)을 통과하게되면 제2도와 같은 비정형된 파형(W1)이 저항(R2)(R3)을 통해서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와 에미너테 각각 인가되고 수직 삼각파(b)는 저항(R1)을 거쳐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동시에 입력되며, 따라서 저항(R2)(R3)을 통과한 수직 주파수(a)는 저항(R1)을 거친 수직 삼각파(b)로 인해 트랜지스터(Q1)에서 정형된다.
트랜지스터(Q1)를 거쳐 정형된 완전한 파라볼라(Parvola)파형은 (도면제2도의 (W2)결합 콘덴서(C1)를 경유하여 트랜지스터(WQ2)의 베이스에 인가된다.
여기에서 저항(R5)(R6)은 트랜지스터(Q2)의 바이어스 전압을 결정하며 저항(R7-R8)로 인해 파형을 증폭한다.
즉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인가된 정형 수직 주파수(W2)는 트랜지스터 (Q2)에 의해 반전 및 증폭되며(제2도의 W3)이때 가변저항(VR1)의 조정으로 화면 좌, 우 보상의 정도를 결정할수 있다.
따라서 트랜지스터(Q2)에 의해 반전 및 증폭된 파형은 콘덴서(C2)에서 교류분을 제거한 후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인가되면 저항(R9)(R10)에 의해 바이어스 전압이 결정되어 트랜지스터(Q3)는 턴온 상태가 됨으로서 파형을 원활하게 전송할수 있는 버퍼(Euffer)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트랜지스터(Q3)를 거친 정형된 주파수는 트랜스(TS)의 2차측에 유기되어 제2도(W4)와 같은 수직성분 수평 성분을 함께 하는 파형으로 출력되는데 이는 수직 성분의 주파수가 트랜스(TS)를 통해 수평 편향코일(L3)에 영향을 주어 안정된 수직 주파수(C)가 수평 주파수를 보정하는 파형으로 출력되는 것이다.
즉 트랜지스터(Q3)를 통과한 정형된 수직 주파수는 AC성분으로 수평 주파수의 매 주기에 있어서 수직 주파수를 보상하며 수직 주파수의 1주기 성분이 화면 위에서 아래까지의 수직 정형 주파수 만큼 정형을 하게 된다.
이때 가변저항(VR2)의 변환은 트랜지스터(Q3)에 흐르는 전류의 변형으로 트랜스(TS)의 DC중첩을 변형시킬 수 있으므로 트랜스(TS)내에 흐르는 수평 성분의 DC적 전류량을 조정하여 화면의 사이즈(Size)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작용으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은 텔레비젼 및 모니터 등에서 화면 좌, 우측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실패형 일그러짐 현상을 별도의 화면 진폭 조정 코일을 사용하지 않고 보정회로(1)에 의해 수직 주파수(a)(b)의 완전한 정형과 트랜스(TS)에 기인하여 적절한 DC중첩으로 영상 좌, 우측의 일그러짐을 보정할수 있을뿐만 아니라 가변저항(VR1)의 조정으로 화면 좌, 우측 보상의 정도를 결정할수 있고 또 다른 가변저항 (VR2)을 조정하여 트랜스(TS)내에 흐르는 수평성분의 DC적 전류량을 조정할 수 있어 화면의 크기를 조절하여 일그러짐없는 선명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브라운관의 실패형 일그러짐 보정회로에 있어서, 수직 주파수(a)가 인가되는 수직편향코일(L1)에 저항(R2)(R3)과 수직 삼각파(b)가 입력되는 저항(R1)을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와 에미터에 각각 연결하며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에는 저항(R4)과 콘덴서(C1)를 통하여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접속하도록 함과 동시에 저항(R5)(R6)에 의해 트랜지스터(Q2)의 바이어스 전압이 결정되도록 하고, 트랜지스터(Q2)콜렉터에는 저항(R7)을 에미터에는 저항(R8)과 가변저항(VR1)을 직렬 연결하며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측에는 콘덴서(C2)(C3)를 거쳐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접속하여 저항(R9)(R10)에 의해 트랜지스터(Q3)의 바이어스 전압이 결정되도록 하되, 저항(R10)에는 가변저항(VR2)을 직렬 연결하며 상기 트랜지스터(Q3)에미터측에는 저항(R11)을 접속하고 콜렉터에 트랜스(TS)를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 좌, 우측면의 실패형 일그러짐(Side Pincushion distortion)보정회로.
KR2019880019449U 1988-11-30 1988-11-30 브라운관 좌 · 우측면의 실패형 일그러짐(Side Pincushion distortion)보정회로 KR9200009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9449U KR920000923Y1 (ko) 1988-11-30 1988-11-30 브라운관 좌 · 우측면의 실패형 일그러짐(Side Pincushion distortion)보정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9449U KR920000923Y1 (ko) 1988-11-30 1988-11-30 브라운관 좌 · 우측면의 실패형 일그러짐(Side Pincushion distortion)보정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1074U KR900011074U (ko) 1990-06-04
KR920000923Y1 true KR920000923Y1 (ko) 1992-01-31

Family

ID=19281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19449U KR920000923Y1 (ko) 1988-11-30 1988-11-30 브라운관 좌 · 우측면의 실패형 일그러짐(Side Pincushion distortion)보정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092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1074U (ko) 1990-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10186B1 (ko) 편향 파형 보정 신호 발생기
KR100236508B1 (ko) 걸윙 보상 및 핀쿠션 교정 회로
US4423358A (en) Horizontal deflection circuit with linearity correction
KR920000923Y1 (ko) 브라운관 좌 · 우측면의 실패형 일그러짐(Side Pincushion distortion)보정회로
KR860000088B1 (ko) 핀쿳션 보정 회로
JPH09247490A (ja) 遅延補償ダイナミックフォーカス増幅器
US3968403A (en) Circuit for correcting deflection distortion
US4739228A (en) Electric circuit for S correction of the vertical scanning ramp in a television apparatus
US4318033A (en) Dynamic focusing circuit for a cathode ray tube
US4485335A (en) Dynamic focusing circuit for a cathode ray tube
JPH07283959A (ja) 水平振幅補正回路
KR960006105Y1 (ko) 음극선관의 실패형 일그러짐 보정회로
JPH0822020B2 (ja) 長方形−平坦映像管用ガルウイング歪修正偏向回路
JP2999201B2 (ja) 三角波電圧の形成方法
KR930003571Y1 (ko) Tv 수상기용 실패형 라스터 보정 장치
KR910005876Y1 (ko) 자동 수평진폭 조정회로
JPH01316071A (ja) 偏向回路
KR0120268B1 (ko) 텔레비젼의 자동 포커스 보상 회로
KR920008906B1 (ko) 포커스 보정 회로
JP2000165698A (ja) ビデオ・イメ―ジング装置
KR800000900Y1 (ko) 편향 찌그러짐 보정회로
JPH0134454Y2 (ko)
KR950009512Y1 (ko) 영상기기의 트랩 보정회로
JPH0215420Y2 (ko)
KR900009576Y1 (ko) Tv의 고압 정격 안정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2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