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8495B1 - 자기기록 재생장치 - Google Patents

자기기록 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8495B1
KR900008495B1 KR1019870006340A KR870006340A KR900008495B1 KR 900008495 B1 KR900008495 B1 KR 900008495B1 KR 1019870006340 A KR1019870006340 A KR 1019870006340A KR 870006340 A KR870006340 A KR 870006340A KR 900008495 B1 KR900008495 B1 KR 9000084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sette
side rail
cam plate
gear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6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1046A (ko
Inventor
다가시 야마나까
Original Assignee
다나싱 뎅기 가부시기가이샤
다나가 신사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나싱 뎅기 가부시기가이샤, 다나가 신사꾸 filed Critical 다나싱 뎅기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to KR1019870006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8495B1/ko
Publication of KR8900010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10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8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84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 G11B15/66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 G11B15/665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Landscapes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기기록 재생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II-II선 화살표시도.
제3도는 제1도의 III-III선 화살표시도.
제4도는 동 장치의 카세트 로딩기구의 일측 동력전달기구 부분의 일부 절결 평면도.
제5도는 동 장치의 카세트 로딩기구를 제거한 상태의 평면도.
제6도는 동 저면도.
제7도는 동 장치의 캠판 부분의 일부를 절결한 분해사시도.
제8도는 캠판의 평면도.
제9도는 동 저면도.
제10도는 동 장치의 배선판의 평면도.
제11도는 동 장치의 캠판의 도전전접점과 배선판의 접점과의 접리상태와 모드상태와의 관계를 나타낸 설명도.
제12도는 동 장치의 회전력 전달 절환기구의 작동 설명도.
제13도는 제12도의 XIII-XIII선 단면도.
제14도는 동 장치의 테이프 로딩기구의 작동 설명도.
제15도는 동 장치의 핀치롤러 구동기구의 작동 설명도.
제16도 및 제17도는 동 장치의 회전속도 절환기구의 작동 설명도.
제18도는 제16도의 XVIII-XVIII선 단면도.
제19도는 동 XIX-XIX선 단면도.
제20도는 제17도의 XX-XX선 단면도.
제21도는 동 장치의 제동기구의 재생 및 기록 모드시의 작동 설명도.
제22도는 동 빨리보냄 및 되돌려 감음 모드시의 작동 설명도.
제23도는 동 장치의 해제기구 부분의 작동 설명도.
제24도는 동 장치의 공급측 백텐션기구의 작동 설명도.
제25도는 권취측 백텐션기구의 작동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자기기록 재생장치 3 : 캠모터
7 : 캠판 15 : 제1캠부
16 : 도전접점 17 : 제2캠부
18 : 제3캠부 19 : 배선판
19c-19d : 접점 20 : 카세트 로딩기구
21 : 회전력 전달 절환기구 22 : 테이프 로딩기구
23 : 핀치롤러 구동기구 24 : 회전속도 절환기구
25 : 제동기구 26 : 백텐션 기구
28 : 캡스턴 30 : 공급측 리일대
30c : 리일축 31 : 권취측 리일대
31c : 리일축 70 : 카세트 하우징
71 : 카세트 71d : 자기테이프
106 : 가이드 실린더 120 : 핀치롤러
본 발명은 VTR 등의 자기기록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카세트를 카세트 하우징 내에 소정상태로 장입하므로서 이 카세트를 공급측 리일대 및 권취측 리일대의 리일축에 감합시켜서 장착위치로 하며, 또 이젝트 모드 설정용 조작체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장착위치에 있는 카세트를 상기 카세트 하우징 외방에 배출하여 비장착위치로 하는 카세트 로딩기구에 대하여 구동용 회전력을 전달상태 및 비전달상태로 택일적으로 절환하는 회전력 전달 절환기구와, 상기 장착위치에 있는 카세트 내에서 자기테이프를 인출하여 헤드를 갖는 가이드 실린더의 외주면에 소정각도 범위에 걸쳐서 접점되는 테이프 로딩기구와, 상기 공급측 리일대 및 권취측 리일대에 제동력을 부여하는 제동기구와, 핀치롤러를 캡스턴에 대하여 접리시킬 핀치롤러 구동기구와, 상기 자기테이프의 이완을 방지할 상기 공급측 리일대 및 권취측 리일대에 대항력을 부여하는 백텐션기구와, 기어비를 바꿈으로써 상기 공급측 리일대 및 권취측 리일대의 회전속도를 절환하는 회전속도 절환기구등을 구비한 자기기록 재생장치는 공지이다.
이러한 종래의 자기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는, 그 각 기구마다에 혹은 복수의 기구를 1단위로 하여 각 단위마다에 구동용 모터, 혹은 전자 솔레노이드 등을 복수 형성하고 있어, 각 기구의 동작 타이밍을 고정도로 설정하는 것이 곤란함과 동시에 구성이 복잡하고 부품수 및 조립공수가 많아져, 단가의 상승요인이 되었다. 또 종래의 자기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는, 각 기구 부분에 그 조작모드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기구를 각각 형성하여, 이들 각 검출기구로 검출하고, 이 검출신호를 각 기구의 조작모드 위치정보로서 전자 제어기구에 입력함에 따라 모드 설정부로 설정한 모드가 되도록 제어했었다. 따라서 각 기구의 조작모드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구성이 복잡하고 대형이 됨은 물론, 부품수 조립공수등이 많아져 생산단가의 상승요인이 되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한 것으로서, 그 제1목적은, 각 기구의 동작 타이밍을 고정도로 설정할 수 있음과 동시에, 각 기구를 구동하기 위한 구성이 간단하며, 부품수와 조립공수를 줄일 수 있어서 제조단가의 감소를 도모하는 것을 제공하고져 하는 것이고, 제2목적은, 상술한 제1의 목적에 첨가하여, 각 기구의 조작모드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구성이 간단하여 소형화할 수 있는 것을 얻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1발명의 자기기록 재생장치는, 카세트를 카세트 하우징 내에 소정상태로 장입하므로써 이 카세트를 공급측 리일대 및 권취측 리일대의 리일축에 감합시켜서 장착위치로 하고, 또 이젝트 모드 설정용 조작체를 조작하므로써 상기 장착위치에 있는 카세트를 상기 카세트 하우징 외측에 배출하여 비장착위치로 하는 카세트 로딩기구에 대하여 구동용 회전력을 전달상태 및 비전달상태로 택일적으로 절환하는 회전력 전달 절환기구와, 상기 장착위치에 있는 카세트 내에서 자기테이프를 인출하여 헤드를 갖는 가이드 실린더의 외주면에 소정각도 범위에 걸쳐서 첨접(添接)되는 테이프 로딩기구와, 상기 공급측 리일대 및 권취측 리일대에 제동력을 부여하는 제동기구와, 핀치롤러를 캡스턴에 대하여 접리시키는 핀치롤러 구동기구와, 상기 자기테이프의 이완을 방지할 상기 공급측 리일대 및 권취측 리일대에 대항력을 부여하는 백텐션기구와, 기어비를 바꿈으로써 상기 공급측 리일대 및 권취측 리일대의 회전속도를 절환하는 회전속도 절환기구등을 구비한 자기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기구에 모두 관계되는 캠부를 갖는 회전자재한 1장의 캠판과, 이 캠판을 회전구동하는 모터등을 형성하고, 이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캠판을 통하여 상기 각 기구의 모두에 구동력으로써 전달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고, 또 본 발명의 제2발명의 자기기록 재생장치는, 카세트를 카세트 하우징 내에 소정상태로 장입하므로서 이 카세트를 공급측 리일대 및 권취측 리일대의 리일축에 감합시켜서 장착위치로 하고, 또 이젝트 모드 설정용 조작체를 조작하므로써 상기 장착위치에 있는 카세트를 상기 카세트 하우징 외측에 배출하여 비장착위치로 하는 카세트 로딩기구에 대하여 구동용 회전력을 전달상태 및 비전달상태로 선택적으로 절환하는 회전력 전달 절환기구와, 상기 장착위치에 있는 카세트 내에서 자기테이프를 인출하여 헤드를 갖는 가이드 실린더의 외주면에 소정각도 범위에 걸쳐서 첨접되는 테이프 로딩기구와, 상기 공급측 리일대 및 권취측 리일대에 제동력을 부여하는 제동기구와, 핀치롤러를 캡스턴에 대하여 접리시키는 핀치롤러 구동기구와, 상기 자기테이프의 이완을 방지하도록 상기 공급측 리일대 및 권취측 리일대에 저항력을 부여하는 백텐션기구와, 기어비를 바꿈으로써 상기 공급측 리일대 및 권취측 리일대의 회전속도를 절환하는 회전속도 절환기구등을 구비한 자기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기구 모두에 관계되는 캠 및 도전접점을 갖는 회전자재한 1매의 캠판과, 이 캠판을 회전 구동하는 모터와, 상기 도전접점에 접리하는 접점을 갖는 배선판과, 각종 조작모드를 선택하여 설정하는 모드 선정부와, 상기 도전접점과 상기 배선판의 접점과의 접촉 및 비접촉으로 얻어지는 상기 캠판의 당해 위치정보에 의거하여 이 캠판을 상기 모드 설정부에 의하여 설정된 모드에 대응한 위치에 제어하는 제어부등을 구비하고,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캠판을 통하여 상기 각 기구의 모두에 구동력으로서 전달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한 것이다. 모터의 회전력이 1매의 캠판을 통하여, 회전력 전달 절환기구, 테이프 로딩기구, 제동기구 핀치롤러 구동기구, 백텐션기구 및 회전속도 절환기구에 구동력으로서 전달된다.
또 캠판의 도전접점과 배선판의 접점과의 접촉상태가 이 캠판의 회전에 따라서 변화하여, 이 캠판의 조작모드 위치정보를 얻고, 이 위치정보에 의거하여 이 캠판이 모드 설정부에 의하여 설정된 모드에 대응한 위치로 설정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서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일실시예의 평면도이며, 제2도는 제1도의 II-II선 화살표시도, 제3도는 제1도의 III-III선 화살표시도, 제4도는 동 장치의 카세트 로딩기구를 제거한 평면도, 제5도는 동 저면도이다. 제1도 내지 제3도중 (1)은 자기기록 재생장치로서 그 섀시(2)에는 캠모터(3), 캡스턴 모터(4) 및 가이드 실린더 모터(5)가 각각 취부되어 있다.
상기 캠모터(3)는 재생 모드 또는 기록 모드시 정회전하고 또 빨리보냄 또는 되돌려 감음 모드시 역회전 하는 것으로, 그 회전력은 제1동력전달기구(6)를 통하여 캠판(7)에 전달된다 :
상기 동력전달기구(6)는 제6도에서와 같이 상기 섀시(2)의 하면(이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캠모터(3)의 회전축(3a)에 고착된 V홈이 달린 소정의 제1풀리(8)와, 상기 섀시(2)의 하면에 회전자재로 축착된 V홈이 달린 대경의 제2풀리(9)와, 이들 제1 및 제2풀리(8, 9)사이에 권장된 고무등으로 된 단면 정방형상의 각 벨트로 된 앤드리스 벨트(10)와, 상기 제2풀리(9)의 상면 중앙 동심상으로 하여 일체로 형성된 소경의 제1기어(11)와, 이 제1기어(11)와 치합함과 동시에 상기 섀시(2)의 하면에 회전자재로 축착된 대경의 제2기어(12)와, 이 제2기어(12)의 상면 중앙에 동심상으로 하여 일체로 형성된 소경의 제3기어(13)로 되어 있다.
상기 캠판(7)은, 제6도 및 제7도에서와 같이, 상기 섀시(2)의 하면에 정, 역 회전자재로 축착되어 있다. 이 캠판(7)은 그 외주연부에 기어(1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그 상면(표면)에는 제8도에서와 같이 제1캠부(15)와 복수개(예를 들면 4개)의 접편(16a, 16b, 16c, 16d)을 구비한 도전접점(16)을 가지며, 또 그 하면(이면)에는 제9도에서와 같이 제2 및 제3캠부(17 및 18)를 가지며, 상기 기어(14)가 상기 동력전달기구(6)의 제3기어(13)와 치합하고 있다. 상기 도전접점(16)의 제1접편(16a)은 제11도에서와 같이 배선판(19)에 형성된 공통접점(19a)과 상시 섭동자재로 접촉한다. 또 상기 도전접점(16)의 제2-제4접편(16b-16d)는 상기 배선판(19)에 형성된 제1, 제2, 제3 및 제4접점(19b, 19c, 19d, 19e)과 각각 섭동자재로 접리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배선판(19)은, 제10도에서와 같이, 소위 프린트 기판으로서, 제7도에서와 같이 상기 섀시(2)의 하면에 고착되고, 그 각 접점(19a-19e)은 상기 캠판(7)의 도전접점(16)과 같이 제어부(도시생략)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캠판(7)의 도전접점(16)과 배선판(19)의 접점(19b-19e)과의 접촉 및 비접촉으로 얻어진 위치정보에 의거, 상기 제어부는 이 캠판(7)을 모드 설정부(도시생략)에 의하여 설정된 여러가지 모드(정지, 기록, 재생, 빨리보냄, 되돌려 감음, 일시정지, 레뷰등)에 대응한 위치로 제어한다.
상기 캠판(7)의 도전접점(16)과 상기 배선판(19)의 제1-제4접점(19b-19e)과의 접촉, 비접촉상태와 캠판(7)의 위치와의 관계를 제11도에 나타낸다.
상기 캠모터(3)의 회전력은 상기 동력전달기구(6) 및 캠판(7)을 통하여 모두 후술하는 카세트 로딩기구(20)에 대한 회전력 전달 절환기구(21), 테이프 로딩기구(22), 핀치롤러 구동기구(23), 회전속도 절환기구(24), 제동기구(25) 및 백텐션기구(26)모두에 구동력으로 전달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캡스턴 모터(4)의 회전력은, 제6도에서와 같이 제2동력전달기구(27)를 통하여 캡스턴(28)에, 또는 제3동력전달기구(29) 및 회전속도 절환기구(24)를 통하여 공급측 리일대(30)와 권취측 리일대(31)등에 각각 전달하도록 되어 있다. 이들 양 리일대(30, 31)는 상기 섀시(2)의 상면에 서로 사이를 두고, 회전자재로 장착되어 있다. 이들 리얼대(30, 31)는 대경둘레측면(30a, 31a)과, 소경둘레측면(30b, 31b)과 리일축(30c, 31c)과 기어(30d, 31d)등을 갖고 있다.
상기 제2동력전달기구(27)는 상기 섀시(2)하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캡스턴 모터(4)의 회전축(4a)에 고착된 홈이 달린 소경한 제1풀리(33)와, 상기 캡스턴(28)의 하단에 일체로 회전자재로 고착된 홈이 없는 대경 제2풀리(플라이 휠)(34)와, 이들 양 풀리(33, 34)사이에 권장된 고무등으로 된 단면 편평 4각 형상의 평벨트로 된 앤드리스 벨트(35)등으로 된다. 상기 캡스턴(28)은 상기 섀시(2)의 상면에 회전자재로 형성되고, 이 캡스턴(28)에 후술하는 핀치롤러(120)가 접리된다.
상기 제3동력전달기구(29)는 상기 캡스턴 모터(4)의 회전축(4a)에 상기 제2동력전달기구(27)의 제1풀리(33)의 하측에 위치하여 고착된 V홈이 달린 소경의 제1풀리(36)와, 상기 섀시(2)의 상면에 공급측 리일대(30)와 권취측 리일대(31)와의 사이에 위치하여 취부된 보조섀시(37)에 상단이 고정 착설된 축(38)에 회전자재로 형성된 V홈이 달린 대경의 제2풀리(39)와, 이들 양 풀리(36, 39)사이에 장치되고 고무등으로 된 단면 정방형상의 각 벨트로된 앤드리스 벨트(40)와, 상기 제2풀리(39)의 상면 중앙부에 동심상으로 하여 일체로 형성된 소경의 기어(41)등으로 된다.
상기 회전속도 절환기구(24)는 상기 공급측 리일대(30)와 권취측 리일대(31)의 회전속도를, 기어비를 바꿈으로서 절환하는 것으로, 제5도 및 제6도, 제16도 내지 제20도에서와 같이 기어기구(42)와 링크기구(43)등을 갖추고 있다. 상기 기어기구(42)는 상기 축(38)에 회전자재로, 감착된 제1기어(44)와, 이 제1기어(44)의 하면에 일체로 형성된 제2기어(45)와 상기 축(38)에 회전자재로, 감착된 제1기어(44)와, 이 제1기어(44)의 하면에 일체로 형성된 제2기어(45)와 상기 축(38)에 회전자재로 감착된 제3기어(클러치기어)(46)와, 상기 축(38)에 정, 역 회동자재로 착설된 회동판(47)과, 이 회동판(47)의 양측부에 회전자재로 축착된 제4, 제5기어(48, 49)와, 제1, 제2회동레버(50, 51)와, 이들 제1, 제2회동레버(50, 51)의 일단에 회전자재로 축착된 제6(저속측) 제7(고속측)기어(52, 53)와, 이들 제6, 제7기어(52, 53)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된 제8, 제9기어(54, 55)로 된다. 상기 제1, 제2회동레버(50, 51)는 그 대체로 중간부가 상기 섀시(2)의 상면과 상기 보조섀시(37)의 하면등에 정, 역 회동자재로 축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3동력전달기구(29)의 제2풀리(39)는 제6도중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회동판(47)도 동 도면중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상기 제4기어(48)는 상기 공급축 리일대(30)의 기어(30d)와 떨어져 치합하지 않음과 동시에, 상기 제5기어(49)는 상기 권취측 리일대(31)의 기어(31d)와 치합한다. 또 상기 제2풀리(39)가 제6도중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회동판(47)도 동 도면중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상기 제4기어(48)와 상기 공급 측 리일대(30)의 기어(30d)와 치합함과 동시에, 상기 제5기어(49)는 상기 권취측 리일대(31)의 기어(31d)와 떨어져 치합하지 않는다.
상기 제1, 제2회동레버(50, 51)가 축(50a, 51a)을 중심으로 제4도중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 상기 제6, 제8기어(52, 54)는 어느 기어에도 치합하지 않고, 상기 제7기어(53)는 상기 제3동력전달기구(29)의 제2풀리(39)의 기어(41)와 치합함과 동시에, 제9기어(55)는 제2기어(45)와 치합하고, 제16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고속회전 전달상태로 된다. 또 상기 제1, 제2회동레버(50, 51)가 제5도중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 상기 제6기어(52)는 상기 제3동력전달기구(29)의 제2풀리(39)의 기어(41)와 치합함과 동시에, 제8기어(54)는 제3기어(46)와 치합하고, 제7, 제9기어(53, 55)는 어떤 기어와도 치합하지 않고, 제17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저속회전 전달상태로 된다. 상기 제8기어(54)의 지름은 제9기어(55)의 지름보다 작고, 또 상기 제2기어(45)의 지름은 제3기어(46)의 지름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상기 링크기구(43)는 상기 섀시(2)의 상면에 소정범위 슬라이드 자재로 장착된 제1가동부재(56)와, 이 제1가동부재(56)의 상면에 소정범위 슬라이드 자재로 장착된 제2가동부재(57)와, 대체로 중간부가 상기 섀시(2)의 하면에 소정각도 범위, 정, 역 회동자재로 축착된 회동레버(58)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제1, 제2가동부재(56, 67)의 일단측 상면에 돌설된 계합돌기(56a, 57a)에 상기 제1, 제2회동레버(50, 51)의 타단계합공(50b, 51b)이 회동가능하게 계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제2가동부재(56, 57)가 제4도중 우측에 슬라이드 함으로써, 상기 제1, 제2회동레버(50, 51)가 동 도면중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고속회전 전달상태로 된다. 또 상기 제1, 제2가동부재(56, 57)는 제5도중 좌측으로 슬라이드 함으로써 상기 제1, 제2회동레버(50, 51)가 동 도면중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저속회전 전달상태로 된다. 상기 제1, 제2가동부재(56, 57)는 코일 스프링(59, 60)에 의하여 저속회전 전달상태로 되는 방향(제5도중 좌방향)으로 부세되어 있다. 상기 제2가동부재(57)는 그 일측면의 제2계합돌기(57b)가 상기 섀시(2)의 상면 스토퍼(2j)에 당접함으로써 제5도중 좌방향에의 이동한계 위치를 규제한다. 상기 제1가동부재(56)의 타단측 하면에 돌설된 계합핀(56b)은 상기 섀시(2)에 천설된 구멍(2a)을 이동가능하게 하여 이 섀시(2)의 하면측에 돌출하여 회동레버(58)이 계합공(58a)에 회동자재로 계합하고 있다. 이 회동레버(58)는 그 일단의 계합핀(58b)이 상기 캠판(7)의 제2캠부(17)에 습동자재로 계합하고 있다. 그리고 이 캠판(7)은 제6도중 시계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함에 따라서 상기 회동레버(58)를 통하여 상기 제1가동부재(56)가 코일 스프링(59)의 부세력으로 저속회전 전달방향(제5도중 좌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제1가동부재(56)의 타단측 상면에는 연결기구(61)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연결기구(61)는 제5도에서와 같이 대체로 중간부가 상기 제1가동부재(56)의 상면에 소정범위의 정, 역 회전자재로 축착된 회동레버(62)를 갖고 있다. 이 회동레버(62)의 일단측 하면에는 계합돌기(62a)가 돌설되고, 이 계합돌기(62a)는 상기 제1가동부재(56)의 타단측에 형성된 계합단부(56c)에 착탈자재로 계합한다. 그리고, 상기 계합돌기(62a)가 계합단부(56c)와 계합함으로써 제1, 제2가동부재(56, 57)는 서로 연결되고 일체가 되어 타방향으로 슬라이드 한다. 상기 회동레버(62)는 스프링(63)에 의하여 계합방향에 부세되고 있다. 상기 연결기구(61)에 의한 상기 제1, 제2가동부재(56, 57)의 연결상태는, 상기 캠모터(3)가 정회전하고 있을때에서 또 제1, 제2가동부재(56, 57)가 제5도면중 우방향 이동한계 위치에 도달했을때, 해제기구(64)에 의하여 해제된다.
이 해제기구(64)는 상기 섀시(2)의 상면에 정, 역 회전자재로 축착된 회전체(65)를 갖고 있다. 이 회전체(65)의 상면에는 둘레방향으로 등배분하여 복수의 계합치(65a)가 돌설되어 있다. 이 회전체(65)에는 이와 동축 일체 회전자재로 기어(66)가 형성되고 이 기어(66)는 상기 제1동력전달기구(6)의 제2기어(12)와 치합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캠모터(3)가 정 회전시는, 상기 회전체(65)는 제5도면중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그 계합치(65a)에 의하여 상기 회동레버(62)가 그 상면에 회전자재로 취부된 당접부대(67)를 통하여 압압되어 이 회동레버(62)는 상기 스프링(63)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해제방향(제5도중 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 그 계합돌기(62)가 상기 제1가동부재(56)의 계합단부(56c)에서 벗겨져 연결 해제상태로 된다. 상기 캠모터(3)의 역회전시는, 상기 회전체(65)는 제5도중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그 계합치(65a)가 상기 당접부재(67)에 섭접하는것 뿐이고, 상기 회동레버(62)는 해제방향으로 회전하지 않고 연결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상기 카세트 로딩기구(20)는 카세트(71)를 카세트 하우징(카세트 장입부)(70)내에 소정상태로 장입하므로써, 이 카세트(71)를 상기 공급측 리일대(30, 31)의 리일축(30c, 31c)에 감합시켜 장착위치로 하고, 또 이젝트 모드 설정용 조작체(도시생략)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장착위치에 있는 카세트(71)를 상기 카세트 하우징(70)외축에 배출하여 비장착위치로 하는 것이다. 상기 카세트 하우징(70)은 제1도 내지 제3도에서와 같이 상기 섀시(2)의 전후방향 대체로 중간부에서 말부 양측에 직립시켜서 취부된 측판(68, 69) 상호간에 전후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자재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카세트 하우징(70)은 카세트(71)를 놓을 수 있는 저판(70a)의 양측에 직립시켜서 측판(70b, 70c)을 형성하여 이들 양측판(70b, 70c)을 연결간(70d)으로 연결하고 있다. 상기 카세트 하우징(70)은 그 양측판(70b, 70c)의 전후부에 돌설된 가이드핀(72, 73)이 상기 양측판(68, 69)에 그 전후에 병설된 가이드공(74, 75)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계합되고, 이에 따라, 상기 카세트 하우징(70)이 상기 양측판(68, 69) 상호간에 지지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공(74, 75)은 수평공부(74a, 75a)의 후단부에 하측을 향하여 수직공부(74b, 75b)를 연설해서 된 거꾸로 선 L자상을 이루고 있다. 상기 카세트 하우징(70)의 양측판(70b, 70c)의 전방부의 가이드핀(72, 73)에는 갈구리(76)를 통하여 동력전달용 치차기구(77, 78)가 연결되어 있다. 일방측판(68)측 (제1도중 우측)의 동력전달용 치차기구(77)는 이 일방측판(68)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 일방 동력전달용 치차기구(77)는 제2도 및 제4도에서와 같이 웜(79)과 이 웜(79)과 치합할 웜휠(80)과, 이 웜휠(80)과 동축회전할 제1 및 제2기어(81 및 82)와, 이 제2기어(82)와 치합함과 동시에, 외측면 주연일부에 소정각도 범위에 걸쳐 상기 제1기어(81)와 치합할 제3기어(83)를 일체로 형성된 제4기어(84)와, 이 제4기어(84)와 치합할 제5기어(85)등으로 되며, 상기 제4기어(84)는 상기 갈구리(76)를 통하여 상기 일방 측판(68)의 앞부측의 가이드핀(72)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타방측판(69)측(제1도중 좌측)의 동력전달용 치차기구(78)는 이 타방 측판(69)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 타방 동력전달용 치차기구(78)는 상기 일방 동력전달용 치차기구(77)의 제5기어(85)와 동축회전하는 제1기어(86)와, 이 제1기어(86)와 치합할 제2기어(87)등으로 되며, 이 제2기어(86)는 상기 갈구리(76)를 통하여 상기 타방 측판의(69) 앞부측의 가이드핀(72)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카세트(71)를 카세트 하우징(70)내에 장치하여 소정상태로 하여 제2도 및 제3도중 실선으로 표시한 상태로 장입하면, 이 장입을 검출 스위치(도시생략)가 검출하게 되고, 상기 캡스턴 모터(4)는 회전구동하고, 그 회전력이 상기 제2동력전달기구(27), 후술하는 회전력 전달 절환기구(21) 및 제4동력전달기구(87)를 통하여 상기 일방의 동력전달 치차기구(77) 및 타방의 동력전달용 치차기구(78)에 전달된다.
따라서 제2도 및 제3도중 실선으로 표시한 상태에서 카세트(71)와 일체로 카세트 하우징(70)이 가이드공(74, 75)의 수평공부(74a, 75a)를 따라 수평내방에 이동한 다음, 수직공부(74b, 75b)를 따라서 수직 하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카세트(71)는 제2도 및 제3도중 점선으로 표시한 바와같이 장착위치로 된다.
이 장착위치에 있어서는, 카세트(71)의 케이스(71a)내에 수납된 공급축 테이프 권회체 및 권취측 테이프 권회체의 중심 감합공(모두 도시없음)내에, 상기 공급축 리일대(30) 및 권취측 리일대(31)의 리일축(30c, 31c)이 감합한다.
또 상기 카세트(71)의 케이스(71a)의 후단 개구면에 개폐자재로 형성된 개폐뚜껑(도시없음)은, 이 카세트(71)의 장착위치에 있어서 개방된다.
또 상기 카세트(71)의 장착위치에 있어서, 후술하는 경사 테이프 가이드 포울, 수직 테이프 가이드 포울 및 상기 캡스턴(28)이 상기 케이스(71a)의 저면 절경공(도시없음)을 통하여 테이프 투우프 내의 내측 위치에서 각각 이 케이스(71a)내에 상대적으로 감입한다.
상기 제4동력전달기구(87)는 제6도 및 제12도에서와 같이 상기 일방의 동력전달용 치차기구(77)의 웜(79)의 하단에 고정착설된 V홈이 달린 제1풀리(88)와, 상기 섀시(2)의 하면에 회전자재로 축착된 V홈이 달린 제2풀리(89)와, 이들 양 풀리(88, 89)사이에 권장된 엔드리스 벨트(90)와, 상기 제2풀리(89) 상면에 일체로 형성된 기어(91)등으로 된다.
상기 엔드리스 벨트(90)는 단면이 대체로 정방형상을 이룬 고무제 각 벨트로 된다. 상기 기어(91)는 회전력 전달절환기구(21)에 연결되어 있다.
이 회전의 전달회절환기구(21)는, 상기 섀시(2)의 하면에 소정각도 범위 회동자재로 축착된 가동부재(92)를 갖고 있다. 이 가동부재(92)는 평면이 대체로 L자상을 이루며, 이 중간부는 상기 섀시(2)의 하면에 축착되어 있다. 상기 가동부재(92)의 일단측에는 핀치롤러(93)가 회전자재로 축착되어 있다. 이 핀치롤러(93)의 상면에는 기어(94)가 일체로 형성되며, 이 기어(94)는 상기 제4동력전달기구(87)의 기어(91)와 상시치합하고 있다.
상기 핀치롤러(93)는 그 둘레 측면이 상기 제2동력전달기구(27)의 엔드리스 벨트(35)의 상기 제2풀리(34)의 둘레측면에 장치된 부분에 접리하므로, 그 접촉시, 이 엔드리스 벨트(35)와 같이 상기 핀치롤러(93)가 회전한다.
상기 가동부재(92)는 코일스프링(95)에 의하여, 상기 핀치롤러(93)의 둘레 측면이 상기 엔드리스 벨트(35)에서 떨어지는 방향(제6도 및 제12도중 반시계방향)에 부세되어 있다. 상기 코일스프링(95)은 일단이 상기 가동부재(92)에, 타단이 상기 섀시(2)의 하면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상기 가동부재(92)에는 이 가동부재(92)가 상기 코일스프링(95)의 부세력에 대항하여 상기 핀치롤러(93)의 둘레면이 상기 엔드리스 벨트(35)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회동한때, 이 엔드리스 벨트(35)에 상기 핀치롤러(93)의 둘레측면이 압착하는 방향에 부세력을 발생하는 꼬임 코일스프링(96)이 형성되어 있다. 이 꼬임 코일스프링(96)은 제6도 및 제12도에서와 같이 그 중심 코일부가 상기 가동부재(29)의 회동측에 장치되고, 또 일단부는 이 가동부재(92)의 일단측에 타단부가 이 가동부재(92)의 타단측에 각각 계합되어 있다.
상기 꼬임 코일스프링(96)의 타단부는, 링크기구(104)를 통하여 상기 캠판(7)의 제2캠부(17)에 연결되어 있다. 이 링크기구(104)는 슬라이드레버(97)와 회동레버(98)로 된다. 이 슬라이드레버(97)의 일단이 상기 꼬임 코일스프링(96)의 타단에 당접되어 있다.
이 슬라이드레버(97)는 상기 섀시(2)의 하면에 소정범위 슬라이드 자재로 장착되어 있다. 이 슬라이드레버(97)의 타단에 상기 회동레버(98)의 일단이 당접되고 있다. 이 회동레버(98)는 그 중간이 상기 섀시(2)의 하면에 소정 각도 범위 회동 자재하게 축착되어 있다.
상기 회동레버(98)의 타단에는 계합핀(98a)을 돌설하고 있으며, 이 계합핀(98a)은 상기 캠판(7)의 제2캠부(17)에 계합하고 있다. 그리고, 이 캠판(7)의 회전에 따라 상기 회동레버(98), 슬라이드레버(97)를 통하여 상기 가동부재(92)는 회동제어 된다.
상기 섀시(2)의 하면에는 상기 슬라이드레버(97)의 일단측에 있어서, 이와 직렬로 위치하여 제동레버(99)는 소정범위 슬라이드 자재로 장착되어 있다(제6도 및 제12도 참조). 이 제동레버(99)는 상기 카세트 로딩기구(20)가 카세트 로딩동작을 완료한 후에 있어서, 이 카세트 로딩기구(20)가 오동작 하지 않도록 록 시켜두기 위한 것이다.
이 제동레버(99)는 일단에 고무등으로 된 제동슈우(100)를 장착하며, 이 제동슈우(100)는 상기 제동레버(99)의 슬라이드에 따라서 상기 제4동력 전달기구(87)의 기어(91)에 접리하고, 이 접촉시 이 기어(91)에 대하여 제동력이 부여되어 록 상태로 된다.
상기 제동레버(99)는 코일스프링(101)에 의하여 상기 제동슈우는 상기 기어(91)에 접촉하는 방향에 부세되어 있다. 그리고, 이 슬라이드레버(97)가 상기 제동레버(99)측에 슬라이드 함으로서 상기 가동부재(92)가 회동하여, 상기 핀치롤러(93)가 엔드리스 벨트(35)에 접촉함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레버(97)에 의해 상기 제동레버(99)가 코일스프링(101)의 부세력에 대항하여 반 슬라이드레버(31)측으로 압압 이동되어, 상기 제동슈우(100)가 기어(91)에서 떨어져 제동이 해제된다.
상기 테이프 로딩기구(22)는 상기 장착 위치에 있는 카세트(71)의 케이스(71a)내에서 자기테이프(71d)를 인출하여, 헤드(도시생략)를 갖는 가이드 실린더(106)의 외주면에 소정각도 범위에 걸쳐서 겹쳐 접촉되는 것이다. 이 테이프 로딩기구(22)는, 제5도, 제6도 및 제14도에서와 같이 1쌍의 로딩암(102)과, 이들 로딩암(102)을 서로 연동시키는 기어기구(103)와, 이 기어기구(103)와 상기 캠판(7)의 제3캠부(18)등을 연락할 링크기구(105)등을 갖고 있다.
상기 로딩암(102)은, 제1암부재(102a)의 일단에 제2암부재(102b)의 일단을 회동자재로 연결한다. 상기양 제1암부재(102a, 102a)의 타단은, 상기 섀시(2)의 상기 가이드 실린더(106)근방 상면에 이와 떨어져 형성된 보조 섀시(107) 하면에, 소정각도 범위 정, 역 회동자재로 축착되어 있다.
상기 양 제2암부재(102b, 102b)의 타단에는 선도가이드 블럭(108)이 각각 고정되고, 이들 선도 가이드 블럭(108, 108)은 상기 가이드 실린더(106)의 양측에 위치하여 상기 보조 섀시(107)에 형성된 소정형상의 가이드공(109, 109)에 슬라이드 자재로 계합되어 있다.
상기 각 선도 가이드 블럭(108)의 상면에는 테이프 가이드용 경사포울(110)과 수직포울(111)등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들 경사포울(110)과 수직 포울(111)은 상기 가이드공(109)을 통하여 보조 섀시(107)의 상측으로 연출하고 있다.
상기 가이드공(109)의 선단부에는 스토퍼(1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어기구(103)는 상기 양 제1암부재(102a, 102a)의 타단에 스프링(113)을 통하여 일체로 회전자재 장착된 서로 치합할 1쌍의 기어(114)와, 그 일방기어(114)와 치합할 부채꼴 기어(115)등으로 된다. 이 부채꼴 기어(115)는 상기 섀시(2)의 하면에 소정각도 범위 정, 역 회동자재로 축착되어 있다.
상기 링크기구(105)는 제1회동레버(116)와, 슬라이드레버(117)와, 제2회동레버(118)등으로 된다. 상기 제1회동레버(116)는 그 일단이 상기 부채꼴 기어(115)의 절결부(115a)에 회동자재로 계합되고, 또 그 중간부는 상기 섀시(2)의 하면에 소정각도 범위 회동자재로 축착되어 있다.
상기 제1회동레버(116)는 그 중간부의 계합돌기(116a)가 상기 섀시(2)에 천설된 소정 중심각의 원호상가이드공(2b)내에 섭동자재로 계합하고, 이 가이드공(2b)의 중심각 범위에서 상기 제1회동레버(116)가 정, 역 회동한다. 이 제1회동레버(116)의 타단은 상기 슬라이드레버(117)의 일단에 코일스프링(119)을 통하여 접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 슬라이드레버(117)는 상기 섀시(2)의 하면에 소정범위 슬라이드 자재로 장착되어 있다. 이 슬라이드레버(117)의 타단에 돌설된 핀(117a)은 상기 제2회동레버(118)의 일단 절결부(118a)에 회동자재하게 계합되어 있다.
이 제2회동레버(118)는 그 타단이 상기 섀시(2)의 하면에 소정각도 범위 정, 역 회동자재로 축착되어 있다. 이 제2회동레버(118)의 일측 중간부의 계합핀(118b)이 상기 캠판(7)의 제3캠부(18)에 섭동자재하게 계합되어 있다.
상기 캠판(7)이 일방향(제6도중 반시계방향)에 소정각도 회동한때, 제2회동레버(118), 슬라이드레버(117), 제1회동레버(116)를 통하여 부채꼴 기어(115)가 비 로딩측(제6도중 반시계방향)에 회동하고, 양 로딩암(102)은 축소상태로 되어 제14도중 실선에서와 같이, 그 선도 가이드 블럭(108)은 가이드공(109)의 기단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캠판(7)이 타방향(제6도중 시계방향)으로 소정각도 회동하면, 부채꼴 기어(115)는 로딩측(제6도중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양 로딩암(102)은 신장 상태로 되어 제14도중 점선으로 표시한 바와같이 그 선도 가이드 블럭(108)이 스토퍼(112)에 당접한다.
상기 핀치롤러 구동기구(23)는, 제5도, 제6도 및 제15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핀치롤러(120)를 지지한 핀치롤러 지지기구(121)와, 링크부재(122)와, 상기 핀치롤러(120)를 상기 캡스턴(28)에 급속 접근시킬 제1전달기구(123)와, 상기 핀치롤러(120)를 상기 캡스턴(28)에 강하게 압접시킬 제2전달기구(124)등을 갖고 있다.
상기 핀치롤러 지지기구(121)는 일단이 섀시(2)의 상면에 소정 각도 범위 정, 역 회동자재로 축착된 회동부재(125)와, 이 회동부재(125)에 조립된 꼬임 코일스프링(126)등으로 되며, 상기 회동부재(125)의 타단에 상기 핀치롤러(120)가 회전자재로 축착되어 있다. 상기 꼬임 코일스프링(126)은 그 일단이 상기 회동부재(125)의 계지공(도시생략)에 계지되고 또 중앙 코일부가 회동부재(125)의 회동축(125a)에 감합되고, 타단은 상기 링크부재(122)의 일단절결부(122a)에 계합되어 있다.
이 링크부재(122)는 그 중간부가 상기 제1전달기구(123)의 제1슬라이드부재(127)의 일단에 소정각도 범위 회동자재로 연결되고, 또 타단은 상기 제2전달기구(124)의 연결암(128)의 일단에 회동자재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링크부재(122)와 연결암(128)과의 연결점은 제1작용점(O1)으로 되고 또 상기 링크부재(122)와 제1슬라이드부재(127)와의 연결점은 제2작용점(O2)으로 되어 있다.
상기 제1전달기구(123)는 상기 섀시(2)의 상면에 소정범위 슬라이드 자재로 장착된 제1슬라이드부재(127)와, 상기 섀시(2)의 하면에 소정각도 범위 회동자재로 축착된 회동체(129)와, 상기 섀시(2)의 하면에 소정범위 슬라이드 자재로 장착된 제2슬라이드부재(130)등을 갖고 있다.
상기 제1슬라이드부재(127)의 타단에 형성된 계합돌기(127a)는 상기 섀시(2)의 구멍(2c)을 이동가능하게 이 섀시(2)의 하면측에 연출하여 상기 회동체(129)와 당접 계합하고 있다. 이 회동체(129)의 계합돌기(129a)는 상기 제2슬라이드부재(130)의 타단측의 절결부(130a)에 회동자재로 계합되어 있다. 이 제2슬라이드부재(130)의 타단 계합돌기(130b)는 상기 테이프 로딩기구(22)의 기어기구(103)의 부채꼴 기어(115)의 계합공(115b)에 계합되어 있다.
상기 부채꼴 기어(115)는 비로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2슬라이드부재(130)의 타단 계합돌기(130b)는 이 부채꼴 기어(115)의 계합공(115b)의 일단면에 당접하고 있다. 그리고, 부채꼴 기어(115)는 로딩측에 소정각도 회동하는데 따라 계합공(115b)의 타단면에 상기 제2슬라이드부재(130)의 타단 계합돌기(130b)가 당접후, 로딩이 완료할때 까지 이 부채꼴 기어(115)와 같이 제2슬라이드부재(130)는 제6도중 우방향으로 슬라이드 한다.
이 제2슬라이드부재(130)의 슬라이드에 따라서, 상기 회동체(129)는 동 도면중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고, 이 회동체(129)에 의하여 상기 제1슬라이드부재(127)가 제5도중 우방향에 압압되어 슬라이드 한다. 이 제1슬라이드부재(127)의 슬라이드로써, 링크부재(122)의 제1작용점(O1)은 변위되면서 동도면중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핀치롤러 지지기구(121)는 동 도면중 반시계방향에 급속회동하여 핀치롤러(120)는 캡스턴(28)에 약간의 간극을 둔 상태에서 급속 접근한다.
상기 제2전달 기구(124)는 연결암(128)과 제1회동암(131)과, 제2회동암(132)등을 갖는다. 상기 연결암(128)의 일단은 상기 링크부재(122)의 타단에 회동자재로 연결되어, 이 연결암(128)의 타단은 상기 제1회동암(131)의 일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 제1회동암(131)은 그 중간부가 상기 섀시(2)의 상면에 회동자재로 축착되어 있다. 이 제1회동암(131)의 타단의 절결부(131a)에는, 상기 섀시(2)의 구멍(2d)을 통하여 이 섀시(2)의 상면측에 연출하고 있는 상기 제2회동암(132)의 일단측의 계합돌기(132a)가 회동자재로 계합되어 있다. 이 제2회동암(132)은 대체로 L자상을 이루고 있고, 그 중간부는 상기 섀시(2)의 하면에 소정범위 회동자재로 축착되어 있다.
상기 제2회동암(132)의 타단 계합핀(132b)은, 상기 캠판(7)의 제1캠부(15)와 섭동자재로 계합하고 있다. 그리고, 이 캠판(7)이 제6도중 시계방향에 소정각도 회동하는데 따라, 제2회동암(131), 제1회동암(130) 및 연결암(128)을 통하여 상기 링크부재(22)가, 제2작용점(O2)은 변위함이 없이 제1작용점(O1)을 제5도중 좌측으로 변위시키면서 동 도면중 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 핀치롤러 지지기구(121)를 제5도중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핀치롤러(120)가 캡스턴(28)에 강하게 압착된다.
상기 링크부재(122)는 코일스프링(133)에 의하여 제5도중 반시계방향(핀치롤러(120)가 캡스턴(28)에서 떨어지는 방향)에 부세되어 있다.
상기 제동 기구(25)는 상기 공급축 리일대(30)와 권취측 리일대(31)등에 제동력을 부여하는 것이다. 이 제동기구(25)는, 제21도 및 제22에서와 같이, 공급축 제동부재(134)와 권취측 제동부재(135)등을 갖고 있다. 이들 양 제동부재(134, 135)는 그 중간부가 상기 섀시(2)의 상면과 상기 보조 섀시(37)의 하면등에 소정각도 범위 정, 역 회동자재로 축지된 암(136, 137)의 일단에, 고무등으로 된 제동슈우(138, 139)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공급축 제동부재(134)의 암(136)은, 그 타단에 제1, 제2계합부(136a, 136b)를 각각 갖고 있으며, 또 상기 권취측 제동부재(135)의 암(137)은, 그 일단측 하면에 제1계합부(137a)를, 타단에 제2, 제3계합부(137b, 137c)를 각각 갖고 있다.
상기 양 제동부재(134, 135)의 제동슈우(138, 139)는 상기 양 리일대(30, 31)의 대경둘레측면(30a, 31a)에 접리하고, 그 접촉시, 제동상태로 되어 양 리일대(30, 31)에 제동력이 부여된다. 상기 권취측 제동부재(135)는 제동상태에서 비제동 방향(제5도중 반시계방향)에 회동할 때, 그 암(137)의 제2계합부(137b)는 상기 공급축 제동부재(134)의 암(136)의 제2계합부(136b)에 당접계합하여, 제동 상태에 있는 이 공급축 제동부재(134)를 비제동방향으로 회동한다.
상기 양 제동부재(134, 135)는 코일스프링(140, 141)에 의하여 제동방향에 회동부세되어 있다. 이들 코일스프링(140, 141)은 그 일단이 상기 양재동 부재(134, 135)의 암(136, 137)에, 타단이 상기 섀시(2)의 상면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상기 공급축 제동부재(134)의 암(136)의 제1계합부(136a)는 상기 섀시(2)에 천설된 구멍(2e)내를 이동 가능하게 되어, 상기 테이프 로딩기구(22)의 링크기구(105)의 슬라이드레버(117)의 계합공(142)내에 섭동가능하게 계합한다. 계합공(142)은 제6도와 같이 장축 폭협부(142a)와, 그 일단에 경사면(142b)을 통하여 연설된 단축 폭광부(142c)로 된다. 그리고, 상기 공급축 제동부재(134)의 암(136)의 제1계합부(136a)가 계합공(142)의 폭협부(142a)에 위치하고 있을 때, 이 공급축 제동부재(134)는 비제동상태로 되어 있다.
또 이 공급축 제동부재(134)의 암(136)의 제1계합부(136a)가 계합공(142)의 폭광부(142c)에 위치하고 있을 때, 이 공급축 제동부재(134)는 제동상태로 되어 있다.
상기 권취측 제동부재(135)의 암(137)의 제1계합부(137a)는 상기 섀시(2)의 구멍(도시없음)을 통하여 이 섀시(2)의 하면측으로 연출하고, 이 연출단부에, 상기 테이프 로딩기구(22)의 링크기구(105)의 제2회동레버(118)의 일측면이 접리하고, 그 접촉시, 이 제2회동레버(118)에 의하여 상기 권취측 제동부재(135)가 비제동 방향에 압압 회동된다.
이 권취측 제동부재(135)의 암(137)의 제3계합부(137c)는 상기 회전속도 절환기구(24)의 링크기구(43)의 제2가동부재(57)의 상면의 제3계합돌기(57c)와 계탈자재로 당접 계합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속도 절환기구(24)는 고속회전 상태로 절환함에 따라, 상기 권취측 제동부재(135)는 비제동 상태로 된다.
상기 백텐션 기구(26)는 상기 카세트(71)의 자기 테이프(71d)의 이완을 방지하도록 상기 공급축 리일대(30)와 권취측 리일대(31)등에 가벼운 저항력을 부여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백텐션 기구(26)는 제5도에서와 같이 공급축 리일대(30)에 저항력을 부여하는 공급축부(26a)와, 권취측 리일대(31)에 저항력을 부여하는 권취측부(26b)등을 갖고 있다.
상기 공급축부(26a)는 제5도 및 제24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일단이 상기 섀시(2)의 상면에 소정각도 범위 회동자재로 축착된 텐션암(143)과, 상기 공급축 리일대(30)의 소경둘레측면(30b)에 접리하는 제동밴드(144)등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텐션암(143)의 타단 상면에는 텐션 포울(145)이 수직으로 식설되어 있다.
상기 제동밴드(145)는 상기 공급축 리일대(30)의 소경둘레측면(30b)의 외주를 따라서 배설되고, 또 그 일단이 상기 텐션암(143)에 타단이 상기 섀시(2)의 상면에 각각 고저되어 있다.
상기 텐션암(143)은 그 일단부 양측의 제1, 제2계합돌기(143a, 143b)가 상기 섀시(2)에 형성된 원호상가이드공(2f, 2g)내에 이동가능하게 계합되어 있으며, 이들 가이드공(2f, 2g)의 중심각의 범위내에서 정, 역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텐션암(143)은 코일스프링(146)에 의하여 상기 공급축 리일대(30)에 대하여 저항력을 부여하는 방향(제5도 및 제24도중 반시계방향)에 부세되어 있다.
상기 코일스프링(146)은 상기 섀시(2)의 하면측에 위치하여, 그 일단이 상기 텐션암(143)의 제1계합돌기(143a)에, 타단이 상기 섀시(2)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테이프 로딩기구(22)가 비로딩 상태에 있을 때, 일측(제5도 및 제24도중 자측)의 로딩암(102)의 선도 가이드 블럭(108)의 측면이, 상기 텐션암(143)에 당접하고 있음에 따라서, 이 텐션암(143)은 상기 코일스프링(146)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제5도중 시계방향 회동한계 위치에 유지되고, 이 상태에서는, 상기 제동밴드(144)는 이완된 상태가 되어 공급축 리일대(30)에 대하여 저항력은 부여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상기 로딩암(102)은 로딩측에 이동함에 따라서 상기 텐션암(143)은 상기 코일스프링(146)의 부세력으로 제5도중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그 회동한계 위치에 도달하면, 제동밴드(144)는 긴장상태로 되어 상기 공급축 리일대(30)의 소경 둘레측면(31b)에 압착하고, 이 리일대(30)에 저항력이 부여되어, 자기테이프(71d)의 이완을 방지한다.
상기 텐션암(143)의 일단에는, 제3계합돌기(143c)가 형성되고, 이 계합돌기(143c)는 상기 테이프 로딩기구(22)가 로딩동작 완료시에 회동암(147)의 제1계합돌기(147a)와 당접하고 이에 따라 텐션암(143)은 제3도중 반시계방향으로의 회동이 저지되며, 상기 공급축 리일대(30)에 대하여 과도한 저항력이 부여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상기 회동암(147)은 제6도에서와 같이 섀시(2)의 하면에 회동자재로 축착되어 있다. 상기 회동암(147)의 제1계합돌기(147a)는 상기 섀시(2)의 원호상 가이드공(2h)내를 이동가능하게 통하여 이 섀시(2)의 상면측에 돌출하고 있다. 상기 회동암(147)의 제2계합돌기(147a)는 상기 테이프 로딩기구(2)가 로딩동작 완료시 그 부채꼴 기어(155)의 제2절결부(115c)에 계탈자재로 계합한다.
상기 권취측부(26b)는 제5도 및 제25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일단이 상기 보조 섀시(37)의 상면에 소정각도 범위 정, 역 회동자재로 축착된 텐션암(148)과, 상기 권취측 리일대(31)의 소경 둘레측면(31b)에 접리하는 제동슈우(149)와, 상기 텐션암(148)과 상기 캠판(7)의 제1캠부(15)등을 연락하는 링크기구(150)등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텐션암(148)은 코일스프링(151)에 의하여, 상기 권취측 리일대(31)에 대하여 저항력을 부여하는 방향(제5도 및 제25도중 시계방향)에 부세되어 있다. 상기 코일스프링(151)은 상기 보조 섀시(37)의 하측에 위치하여, 그 일단이 상기 텐션암(148)에, 타단이 상기 보조 섀시(37)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상기 링크 기구(150)는 상기 섀시(2)측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섀시(2)의 하면에 소정범위 슬라이드 자재로 장착된 슬라이드레버(152)와, 상기 섀시(2)의 하면에 소정각도 범위 정, 역 회동자재로 축착된 회동레버(153)등으로 된다.
상기 슬라이드레버(152)는 그 일단측에 상방을 향하여 제1계합돌기(152a)가, 하측을 향하여 제2계합돌기(152b)가, 타단측 상면을 향하여 제3계합돌기(152c)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계합돌기(152a)는 상기 텐션암(148)에 형성된 가이드공(154)의 경사면(154a)에 접리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레버(152)는 제5도중 우측(제6도중 좌측)에 이동하여, 그 제1계합돌기(152a)가 상기 가이드공(154)의 경사면(154a)에 당접함으로서, 이 텐션암(148)은 코일스프링(151)이 부세력에 저항하여, 제5도중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서, 상기 제동슈우(149)가 상기 권취측 리일대(31)의 소경 둘레측면(31a)에서 떨어진다.
또, 상기 슬라이드 레버(152)는 제5도중 좌측(제6도중 우측)으로 이동하여, 제1계합돌기(152)를 상기 경사면(154a)에서 떨어뜨림으로써 상기 텐션암(148)은 코일스프링(151)의 부세력으로 제5도중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그 제동슈우(149)는 상기 권취측 리일대(31)의 소경둘레측면(31b)에 압착하여 이 권취측 리일대(31)에 대하여 저항력이 부여되어, 자기테이프(71d)의 이완이 방지된다.
상기 회동레버(153)는 일단에 제1계합부(153a)를, 타단에 제2계합부(153b)를 각각 구유하고 또 그 중간부는 상기 섀시(2)의 하면에 축착되어 있다. 상기 제1계합부(153a)는 상기 캠판(7)의 제1캠부(15)에 섭동자재로 계합하면, 타단의 제2계합부(153b)는 상기 슬라이드레버(152)의 타단이 제2계합부(152b)에 당접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캠판(7)은 제6도중 시계방향으로 소정각도 회동하는데 따라서, 상기 회동레버(153)는 제6도중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그 제2계합부(153b)는 상기 슬라이드레버(152)의 제2계합부(152b)를 압압 해제함으로써, 이 슬라이드 레버(152)는 제5도중 우측(제6도중 좌측)으로 슬라이드 하여, 그 제1계합부(152a)가 경사면(154a)에 당접하고, 텐션암(148)은 코일스프링(151)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제5도중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권취측 리일대(31)에 대하여 저항력을 주지 않는다. 상기 슬라이드레버(152)는 코일스프링(155)의 부세력으로 제6도중 좌방향(제1계합부(152a)는 경사면(154a)에 당접하는 방향)에 부세됨에 따라서, 회동레버(153)는 제6도중 반시계방향으로 부세되어 있다.
상기 코일스프링(155)은 그 일단이 상기 슬라이드레버(152), 타단은 상기 섀시(2)의 하면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또 상기 슬라이드레버(152)의 제3계합돌기(152c)는 회동부재(158)에 접리한다. 이 회동부재(158)는 제6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상기 섀시(2)의 하면에 소정각도 범위 정, 역 회동자재로 축착되어 있다. 상기 회동부재(158)는 양자에 제1, 제2계합단부(158a, 158b)를 갖는다. 이 제1계합단부(158a)에 상기 슬라이드레버(152)의 제3계합돌기(152c)를 접리시킨다.
또 상기 제2계합단부(158b)에 상기 공급측 텐션암(143)의 제2계합돌기(143b)가 접리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 레버(152)는 제5도중 좌측(제6도중 우측)으로 이동함으로써 권취측 리일대(31)에 저항력이 부여된때, 상기 슬라이드 레버(152)에 의하여 회동부재(158)는 제6도중 시계방향으로 압압회동되고, 이 회동부재(158)의 회동에 따라서, 공급측 백텐션암(143)이 백텐션 해제 방향으로 압압회동하여 공급측 리일대(30)에 대하여 저항력을 부여하지 않는다.
또 제5도중(159)는 상기 섀시(2)의 상면 소정위치에 회전자재로 축착한 인피댄스롤러, (160)은 이 인피댄스롤러(159)와 동축으로 일단이 회동자재하게 취부된 회동체이고, 그 타단 상면에는 소거헤드(161)가 취부되어 있다. 상기 회동체(160)는 꼬임 코일 스프링(162)에 의하여 제5도중 시계방향에 부세되어 있다. 또 (163)은 재생헤드이다.
다음에 상기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작동을 설명한다.
(I) 카세트 언로딩 상태에 있어서는,
① 캠판(7)은 제6도에서와 같이 카세트 언로딩 모드 위치에 있다.
② 카세트 로딩기구(20)는 제2도 및 제3도중 실선으로 표시한 언로딩 상태에 있다.
③ 회전력전달 절환기구(21)는 제12도에서와 같이 핀치롤러(93)가 앤드리스 벨트(25)에 압접하여 회전력전달 가능한 상태에 있다.
④ 테이프 로딩기구(22)는 제14도중 실선으로 표시한 언로딩 상태에 있다.
⑤ 핀치롤러 구동기구(23)는, 제15도중 2점 점선으로 표시한 핀치롤러(120)가 캡스턴(28)보다 더욱 떨어진 상태(비작동상태)에 있다.
⑥ 회전속도 절환기구(24)는 그 링크기구(43)의 제1가동부재(56)가 코일 스프링(59)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제5도중 우측에, 제2가동부재(57)는 코일 스프링(60)의 부세력으로 제5도중 좌측에 각각 이동한 상태, 즉 연결기구(61)가 해제된 상태에 있고, 제3동력전달기구(29)의 제2풀리(39)의 회전력은, 제1기어(44)에 전달되지 않는 무부하 상태에 있다.
⑦ 제동기구(25)는 제5도 및 제21(a)도에 표시한 양리일대(30, 31)에 제동력을 부여한 제동 작동상태에 있다.
⑧ 백텐션기구(26)는, 그 공급측부 및 권취측부(26a 및 26b)중 모두 공급측 및 권취측 리일대(30 및 31)에 대항력을 부여하지 않는 소위 백텐션 해제 상태에 있다.
⑨ 카세트 로딩기구(20)를 록 하기 위한 제동레버(99)는, 제12도에서와 같이 제동슈우(100)가 제4동력전달기구(87)의 기어(91)에서 떨어진 비록 상태에 있다.
(II) 이러한 상태에서 카세트 하우징(70)내에 카세트(71)를 소정 세트 위치까지 삽입하면, 그 삽입을 검출 스위치(도시생략)가 검출하고 이 검출신호에 의거하여 캡스턴 모터(4)는 일방향(제6도중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구동하여 이 캡스턴 모터(4)의 회전력이 제2동력전달기구(27)→ 핀치롤러(93)→ 기어(94)→ 제4동력전달기구(87)를 통하여 카세트 로딩기구(20)의 동력전달 치차기구(77, 78)에 전달되어 이 카세트 로딩기구(20)가 로딩측에 구동되어서, 카세트(71)가 로딩되어서 장착위치로 된다.
이 카세트 로딩이 완료되면, 이것을 검출스위치(도시없음)가 검출하고, 이 검출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캡스턴 모터(4)의 회전구동이 정지하여 카세트 로딩기구(20)의 구동이 정지된다.
이 캡스턴 모터(4)의 회전구동이 정지하면, 이것을 검출스위치가 검출하고, 그 검출신호에 의거하여 캠모터(3)는 정방향(제6도중 시계방향)으로 회전구동하고, 그 회전력은 제1동력전달기구(6)를 통하여 캠판(7)에 전달되고 이 캠판(7)은 정방향(제6도중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이 회전에 따라서 회전력 전달절환기구(21)의 회동레버(98)의 계합핀(98a) 및 회전속도 절환기구(24)의 회동레버(58)의 계합핀(58b)이 캠판(7)의 제2캠부(17)의 대경부(17a)에서 소경부(17b)에 계합함으로써, 회전력전달 절환기구(21)가 제12도중 2점 점선으로 표시한 바와같이 회전력 전달 불가능 상태로, 또는 회전속도 절환기구(24)는 제17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저속회전 전달 상태로 각각 절환됨과 동시에 카세트 로딩기구(20)를 록하는 제동레버(99)가 제12도중 2점 점선으로 표시한 바와같이 록 상태가 되고, 다시, 캠모터(3)의 회전구동이 정지하여 대기 상태로 된다.
즉, 회전력 전달절환기구(21)의 회동레버(98)의 계합핀(98a)은 캠판(7)의 제2캠부(17)의 소경부(17b)에 계합함으로써, 이 회동레버(98)는 제6도중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이 회동에 따라서 코일 스프링(95)의 부세력으로 가동부재(92)는 제6도중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고, 슬라이드 레버(97)는 동도면중 우방향으로 슬라이드 함으로써 핀치롤러(93)가 제3동력 전달 기구(29)의 엔드리스벨트(40)에서 떨어지고 제12도의 2점 점선으로 표시한 동력전달 불가능상태로 된다.
또 회전속도 절환기구(24)의 회동레버(58)의 계합핀(58b)은 캠판(7)의 제2캠부(17)의 소경부(17b)에 계합함으로써, 이 회동레버(58)는 제6도중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고, 이 회동레버(58)에 연결된 제1가동부재(56)만 코일 스프링(59)의 부세력으로 제5도중 좌측으로 이동하여 제17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저속회전 전달 상태로 절환된다.
상기 제1가동부재(56)는 제5도중 좌측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연결기구(61)가 연결상태로 된다. 또 카세트 로딩기구(20)를 록 하기 위한 제동레버(99)가 상기 슬라이드 레버(97)의 슬라이드에 따라 코일 스프링(101)의 부세력으로 제6도중 우측으로 슬라이드 하여 제12도중 2점 점선으로 표시한 바와같이 그 제동슈우(100)가 제4동력전달기구(87)의 기어(91)에 압찰하여, 이 기어(91)에 제동력을 줌으로서 카세트 로딩기구(20)는 조용하게 작동하도록 록 한다.
(III) 이러한 대기 상태에서 모드 설정부의 재생모드 설정용 조작체를 조작하면, 그 조작신호에 의거하여 캠모터(3)는 정방향으로, 캡스턴 모터(4)는 역방향(제6도중 시계방향)으로, 및 실린더 모터(5)가 일방향으로 각각 회전구동하고, 캠판(7), 캡스턴(28) 및 가이드 실린더(106)가 회전한다.
상기 캠모터(3)는 정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캠판(7)의 정회전으로, 테이프 로딩기구(22)의 링크기구(105)의 제2회동레버(118)가 제6도중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고, 이에 연결된 슬라이드 레버(117)가 제6도중 우측으로 이동하고, 그 계합공(142)의 경사면(142b)을 거쳐서 폭협부(142a)에, 제동기구(25)의 공급측 제동부재(134)의 암(136)의 제1계합부(136a)가 당접함으로써, 이 암(136)은 코일 스프링(140)의 부세력에 대항하여 제5도중 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 제21(b)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공급측 리일대(30)에 대한 제동이 해제된다.
또 상기 테이프 로딩기구(22)의 링크기구(105)의 슬라이드 레버(117)는 제6도중 우측에 이동함으로써, 이에 연결된 제1회동레버(116)를 통하여 부채꼴 기어(115)가 동도면중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이에 치합한 기어(114, 114)를 통하여 양 로딩암(109, 109)이 로딩측에 작동하고 카세트(71)내의 자기 테이프(71d)를 인출하여 제14도에 표시한 가이드 실린더(106)의 외주에 첨접된다. 또 상기 테이프 로딩기구(22)의 양 로딩암(109, 109)은 로딩측에 이동함에 따라 백텐션 기구(26)의 공급측부(26a)의 텐션암(143)이 선도 가이드 블럭(108)에 접촉한 상태에서 코일스프링(146)의 부세력으로 제5도중 반시계 방향으로 서서히 소정각도 회동된다. 그리고, 이 텐션암(143)은 선도 가이드 블럭(108)에서 떨어지는 위치(제26도중 실선으로 표시한 위치)에서는, 텐션암(143)의 제3계합돌기(143c)가 부채꼴 기어(115)의 제6도중 시계 방향으로의 회동에 따라서, 그 제2절결부(115c)에 제2계합돌기(147b)가 계합하면서 제6도중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회동암(147)의 제1계합돌기(147a)에 당접한 상태에서 서서히 제5도중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고, 제26도중 2점 점선으로 표시된 위치로 되고, 이에 따라 공급측 리일대(30)에 대하여 제동 밴드(114)에 의하여 저항력을 주게된다.
상기 텐션암(143)은 제24도중 실선으로 표시한 위치에서 동도면 2점 점선으로 표시한 위치까지 회동할때, 부채꼴 기어(115)의 계합공(115b)에 계합돌기(130b)가 계합하고 있는 핀치롤러 구동기구(23)의 제1전달기구(123)의 제2슬라이드 부재(130)가 이 부채꼴 기어(115)의 제6도중 시계방향에의 회동에 따라서 동도면중 우측으로 슬라이드 함으로써 제1전달기구(123)가 작동하고, 제15도중 2점 점선으로 표시한 바와같이 회동부재(125)는 제1단 회동하여, 핀치롤러(120)가 캡스턴(28)에 급속 접근한다.
또, 상기 테이프 로딩기구(22)의 링크기구(105)의 제2회동레버(118)가 제6도중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서, 이 회동레버(118)의 일측면이 제동기구(25)의 권취측 제동부재(135)의 암(137)의 제1계합부(137a)에 당접함에 따라 이암(137)은 코일 스프링(141)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제5도중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며, 제22c도에 표시한 권취측 리일대(31)에 대한 제동이 해제된다.
상기 테이프 로딩기구(22)의 선도 가이드블럭(108)은 스토퍼(112)에 당접하여 테이프 로딩이 완료되면, 핀치롤러 구동기구(23)의 제2전달기구(124)의 제2회동부재(132)의 계합돌기(132a)는 캠판(7)의 제1캠부(15)의 소경부(15a)에서 대경부(15b)에 계합함으로써 이 제2전달기구(124)가 작동하고 제15도중 실선으로 표시한 바와같이 회동부재(125)는 제2단 회동하여 핀치롤러(120)가 캡스턴28)에 자기 테이프(71b)를 통하여 압접한다. 이에 따라 자기테이프(71d)는 소정방향으로 주행하여 재생모드를 실행한다. 이 재생모드의 실행에 따르는 상기 캠모터(3)의 회전구동을 정지한다.
(IV) 이러한 재생모드에서 모드 설정부의 빨리보냄 모드 혹은 되돌려 감음 모드설정용 조작체를 조작하면, 그 조작 신호에 의거하여 캠모터(3)는 역방향(제6도중 반시계방향)으로 회전구동하고, 캠판(7)은 재생 모드위치에서 빨리보냄 혹은 되돌려 감음 모드 위치까지, 즉 회전 속도 절환기구(24)의 회동레버(58)의 계합핀(58b)이 제2캠부(17)의 대경부(17a)에, 또는 회전전달 절환기구(21)의 회동레버(98)의 계합핀(98a)이 캠부(17)의 소경부(17b)에 계합한 상태로 될때까지 역방향(제6도중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 캠판(7)의 역방향에의 회전에 따라서 백텐션 기구(26)는 역 동작함으로써 공급측부(26a)에 의한 공급측 리일대(30)에 대한 저항력의 부여는 해제된다.
또 상기 캠판(7)의 역회전에 따라 핀치롤러 구동기구(26)의 제2전달기구(124)가 역동작하여 회동부재(125)는 제2단 회동개시 위치(제1단 회동종료위치)까지 되돌아가, 핀치롤러(120)는 캡스턴(28)에서 약간 떨어진다.
또 상기 캠판(7)의 역회전에 따라 테이프 로딩기구(22)의 링크기구(105)의 제2회동레버(118)는 역동작하여 제동기구(25)의 권취측 제동부재(135)의 암(137)이 코일 스프링(141)의 부세력으로 회동되어서 권취측 리일대(30)에 대하여 제동력을 주게된다.
또 상기 캠판(7)의 역회전에 따라서, 핀치롤러 구동기구(23)의 제1전달기구(123)는 역동작하여, 초기위치까지 되돌아 가고, 핀치롤러(120)는 제15도중 하선으로 표시한 초기 위치로 되돌아 간다.
또 상기 캠판(7)의 역회전에 따라서, 테이프 로딩기구(22)가 역동작하여, 그 로딩암(102, 102)은 제14도 실선에 표시한 초기 위치로 되돌아 간다.
상기 테이프 로딩기구(22)의 역동작으로, 제동기구(25)의 공급측 제동부재(134)의 암(136)의 제1계합부(136a)는 슬라이드 레버(117)의 계합공(142)의 경사면(142b)에 당접하지 않게 되므로, 암(136)은 코일 스프링(140)의 부세력으로 회동되어서 공급측 리일대(30)에 대하여 제동력이 부여된다.
상기 캠판(7)의 역회전에 따라서 회전속도 절환기구(24)의 링크기구(43)의 회동레버(58)의 계합핀(58b)은 캠판(7)의 제2캠부(17)의 소경부(17b)에서 대경부(17a)의 계합함으로써 제1가동부재(56)가 연결기구(61)에 의하여 연결상태의 제2가동부재(57)를 따라서 코일스프링(59)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제5도중 우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제1, 제2가동부재(56, 57)의 이동에 따라서, 제2가동부재(57)의 제3계합돌기(57c)에 권취측 제동부재(135)의 암(137)의 제3계합부(137c)가 당접함에 따라, 이 암(137)은 코일 스프링(141)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제5도중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되어 권취측 리일대(31)에 대한 제동이 해제된다.
또, 상기 암(137)의 제동해제 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서, 이 암(137)의 제2계합부(137b)가 공급측 제동부재(134)의 암(136)의 제2계합부(136b)에 당접하게 되므로, 이 암(136)은 코일 스프링(140)의 부세력을 받아 제5도중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고, 공급측 리일대(30)에 대한 제동이 해제된다(제22(a), (b)도 참조).
또 상기 제1, 제2가동부재(56, 57)가 제5도중 우방향에 이동함에 따라서, 회전속도 절환기구(24)는 제16도에서와 같이 고속 회전전달 상태로 절환되고, 자기테이프(71d)가 고속 주행된다.
또 상기 제1, 제2가동부재(56, 57)가 제5도중 우방향에 이동함에 따라서 해제기구(64)의 회전체(65)의 계합치(65a)가 당접부재(67)에 섭접하게 되나, 캠모터(3)는 정방향으로 회전되고, 이에 따라 회전체(65)는 제5도중 시계방향에 회전되어 있으므로 연결기구(61)는 제23(a)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해제됨이 없이 양가동부재(56, 57)는 서로 연결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V) 이러한 빨리보냄 또는 되돌려 감음 모드에서 모드 설정부의 재생모드 설정용 조작체를 조작하면, 그 조작 신호에 의거 캠모터(3)가 빨리보냄 모드 혹은 되돌려 감음 모드 위치에서 재생모드 위치까지 정방향으로 회전된다.
이 캠판(7)의 정방향에의 회전에 따라서, 해제기구(64)의 회전체(65)는, 제5도의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됨으로써, 그 계합치(65a)는 당접부재(67)에 당접하여 이것을 압압함으로써, 제23a도에 표시한 연결기구(61)가 해제된다.
이 연결기구(61)의 해제로, 제2가동부재(57)만이 코일 스프링(60)의 부세력으로 제5도중 좌측으로 슬라이드 하고, 권취측 제동부재(135)가 코일 스프링(141)의 부세력으로 회동하여, 재생모드가 개시할때까지 사이, 권취측 리일대(31)에 대하여 제동력이 부여됨과 동시에, 공급측 제동부재(134)도 코일 스프링(140)의 부세력으로 회동하고, 재생모드가 개시될때까지 사이, 공급측 리일대(30)에 대하여도 제동력을 부여한다.
또 상기 캠판(7)이 재생모드 위치까지 회동함으로써, 상기 (III)과 같이 타의 각 기구가 재생모드를 하는 상태로 세트되고, 재생모드는 실행된다.
(VI) 이러한 재생모드에서 모드 설정부의 레뷰모드 설정용 조작체를 조작하면, 그 조작신호에 의거하여 캠모터(3)는 역회전하고, 이에 따라 캠판(7)이 역회전하고, 이 캠판(7)의 역회전으로 핀치롤러 구동기구(23)는 역동작하여 핀치롤러(120)는 캡스턴(28)에서 떨어진다. 그 다음 소정시간(예를들면 0.4초) 경과하면, 캠모터(3)가 정회전 함으로써, 캠판(7)은 레뷰 위치까지 정회전하고, 이 회전에 따라서 핀치롤러 구동기구(23)는 정동작하여 핀치롤러(120)가 다시 캡스턴(28)에 압접한다.
상기 캠판(7)의 회전에 따라서 백텐션 기구(26)의 권취측부(26b)의 링크기구(150)의 회동레버(153)의 제1계합부(153a)는 제1캠부(15)의 소경부(15a)에서 대경부(15b)에 계합함으로써 이 회동레버(153)는 제6도중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고, 이 회동레버(153)가 슬라이드 레버(152)를 코일 스프링(155)의 부세력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제5도중 좌방향(제6도중 우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슬라이드 레버(152)의 이동으로 그 계합돌기(152a)는 권취측부(26)의 텐션암(148)의 가이드공(154)의 경사면(154a)에서 벗어나게 되므로, 이 텐션암(148)은 코일 스프링(151)의 부세력으로 제5도중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제25도중 2점 점선으로 표시한 권취측 리일대(31)에 대하여 저항력을 부여한다.
한편, 상기 슬라이드 레버(152)의 제5도중 좌방향에의 이동에 따라서, 그 제3계합돌기(152c)가 회동부재(158)의 제1계합돌기(158a)에 당접함으로써, 이 회동부재(158)를 제6도중 시계방향으로 압압 회동시킨다. 이 회동부재(158)의 회동에 따라서, 그 제2계합돌기(158b)는 공급측부(26a)의 텐션암(143)의 제3계합돌기(143c)에 당접하여, 이 텐션암(143)을 코일 스프링(146)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제5도중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제24도 실선 상태로 하므로, 공급측 리일대(30)에 대한 제동밴드(144)에 의한 저항력의 부여를 해제한다. 그리고, 레뷰 모드를 실행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제1발명에 의한 자기기록 재생장치는, 카세트를 카세트 하우징 내에 소정상태로 장입함으로써 이 카세트를 공급측 리일대 권취측 리일대의 리일축에 감합시겨서 장착 위치로 하고, 또 이젝트 모드 설정용 조작체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장착위치에 있는 카세트를 상기 카세트 하우징 외측에 배출하여 비 장착 위치로 하는 카세트 로딩기구에 대하여 구동용 회전력을 전달상태 및 비전달 상태로 택일적으로 절환하는 회전력 전달 절환기구와, 상기 장입 위치에 있는 카세트 내에서 자기 테이프를 인출하여 헤드를 갖는 가이드 실린더의 외주면에 소정각도 범위에 걸쳐 첨접되는 테이프 로딩기구와, 상기 공급측 리일대 및 권취측 리일대에 제동력을 부여하는 제동기구와, 핀치롤러를 캡스턴에 대하여 접리 시키는 핀치롤러 구동기구와, 상기 자기 테이프의 이완 방지하도록 상기 공급측 리일대 및 권취측 리일대에 저항력을 부여하는 백텐션 기구와, 기어비를 바꿈으로써, 상기 공급측 리일대 및 권취측 리일대의 회전속도를 절환하는 회전속도 절환기구등을 구비한 자기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기구의 모두에 관계되는 캠부를 갖는 회전자재의 1매의 캠판과, 이 캠판을 회전구동하는 모터를 형성하여, 이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캠판을 통하여 상기 각 기구의 모두에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각 기구의 동작 타이밍을 고정도로 설정할 수 있음과 동시에, 각 기구를 구동하기 위한 구성이 간단하고 부품수 및 조립공수를 줄여서 생산원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 본 발명의 제2발명은, 카세트를 카세트 하우징 내에 소정상태로 장입함으로써 이 카세트를 공급측 리일대 및 권취측 리일대의 링리측에 감합시켜서 장착 위치로 하고 또 이젝트 모드 설정용 조작체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장착위치에 있는 카세트를 상기 카세트 하우징 외측에 배출하여 비장착 위치로 하는 카세트 로딩기구에 대하여 구동용 회전력을 전달상태 및 비전달 상태로 택일적으로 절환하는 회전력 전달기구와, 상기 장착 위치에 있는 카세트 내에서 자기 테이프를 인출하여, 헤드를 갖는 가이드 실린더의 외주면에 소정각도 범위에 걸쳐 첨접되는 테이프 로딩기구와, 상기 공급측 리일대 및 권취측 리일대에 제동력을 부여하는 제동기구와, 핀치롤러를 캡스턴에 대하여 접리시키는 핀치롤러 구동기구와, 상기 자기 테이프의 이완을 방지할 상기 공급측 리일대 및 권취측 리일대에 저항력을 주는 백텐션 기구와, 기어비를 바꿈으로써 상기 공급축 리일대 및 권취측 리일대의 회전속도를 절환하는 회전속도 절환 기구등을 구비한 자기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기구의 모두 관계되는 캠 및 도전 접점을 갖는 회전자재한 1매의 캠판과, 이 캠판을 회동구동하는 모터와, 상기 도전접점에 접리하는 접점을 갖는 배선판과, 각종 조작모드를 선택하여 설정한 모드 설정부와, 상기 도전접점과 상기 배선판의 접점등의 접촉 및 비접촉에 의하여 얻어진 상기 캠판의 당해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이 캠판을 상기 모드 설정부에 의하여 설정된 모드에 대응한 위치로 제어하는 제어부등을 구비하고,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캠판을 통하여 상기 각 기구의 모두에 구동력으로서 전달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1발명의 효과에 부가하여 각 기구의 조작모드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구성이 간단하여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2)

  1. 카세트(71)를 카세트 하우징(70)내에 소정상태로 장입함으로써 이 카세트를 공급측 리일대(30) 및 권취측 리일대(31)의 리일축에 감합시켜서 장착 위치로 하고, 또 이젝트 모드 설정용 조작체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장착 위치에 있는 카세트를 상기 카세트 하우징 외측에 배출하여 비장착 위치로 하는 카세트 로딩기구(20)에 대하여 구동용 회전력을 전달 상태 및 비전달 상태로 택일적으로 절환하는 회전력 전달 절환기구(21)와; 상기 장착 위치에 있는 카세트 내에서 자기 테이프(71d)를 인출하여 헤드를 갖는 가이드 실린더(106)의 외주면에 소정각도 범위에 걸쳐서 첨접되는 테이프 로딩기구(22)와; 상기 공급측 리일대 및 권취측 리일대에 제동력을 부여하는 제동기구(25)와; 핀치롤러(120)를 캡스턴(28)에 대하여 접리시킬 핀치롤러 구동기구(23)와 ; 상기 자기 테이프의 이완을 방지하도록 상기 공급측 리일대 및 권취측 리일대에 저항력을 부여하는 백텐션 기구(26)와; 기어비를 바꿈으로써 상기 공급측 리일대 및 권취측 리일대의 회전속도를 절환하는 회전속도 절환 기구(24) 등을 구비한 자기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기구의 모두에 관계하는 캠부(15, 17, 18) 를 갖는 회전자재한 1장의 캠판(7)과, 이 캠판을 회전구동하는 모터(3)등을 형성하여, 이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캠판을 통하여 상기 각 기구 모두에 구동력으로서 전달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 재생장치.
  2. 카세트(71)를 카세트 하우징(70)내에 소정 상태로 장입함으로써, 이 카세트를 공급측 리일대(30) 및 권취측 리일대(31)의 리일축에 감합시켜서 장착 위치로 하며, 또 이젝트 모드 설정용 조작체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장착 위치에 있는 카세트를 상기 카세트 하우징 외측에 배출하여 비장착 위치로 하는 카세트 로딩기구(20)에 대하여 구동용 회전력을 전달 상태 및 비전달 상태로 택일적으로 절환하는 회전력 전달 절환기구(21)와; 상기 장착 위치에 있는 카세트 내에서 자기 테이프(71d)를 인출하여 헤드를 갖는 가이드 실린더(106)의 외주면에 소정각도 범위에 걸쳐 첨접되는 테이프 로딩기구(22)와; 상기 공급측 리일대 및 권취측 리일대에 제동력을 부여하는 제동기구(25)와; 핀치롤러(120)를 캡스턴(28)에 대하여 접리시킬 핀치롤러 구동기구(23)와; 상기 자기테이프의 이완을 방지할 상기 공급측 리일대 권취측 리일대에 저항력을 부여하는 백텐션 기구(26)와; 기어비를 바꿈으로써 상기 공급측 리일대 및 권취측 리일대의 회전속도를 절환하는 회전속도 절환기구(24)를 구비한 자기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기구의 모두에 관계되는 캠부(15, 17, 18) 및 도전접점(16)을 갖는 회전자재한 1매의 캠판(7)과, 이 캠판을 회전구동하는 모터(3)와, 상기 도전접점에 접리하는 접점(19a-19e)을 갖는 배선판(19)과, 각종 조작모드를 선택하여 설정하는 모드 설정부와, 상기 도전접점과 상기 배선판의 접점등의 접촉 및 비접촉으로 얻어지는 상기 캠판의 당해 위치 정보에 의거 이 캠판을 상기 모드 설정부에 의하여 설정된 모드에 대응한 위치에서 제어하는 제어부등을 구비하고,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캠판을 통하여 상기 각 기구의 모두에 구동력으로서 전달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 재생장치.
KR1019870006340A 1987-06-22 1987-06-22 자기기록 재생장치 KR9000084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06340A KR900008495B1 (ko) 1987-06-22 1987-06-22 자기기록 재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06340A KR900008495B1 (ko) 1987-06-22 1987-06-22 자기기록 재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1046A KR890001046A (ko) 1989-03-18
KR900008495B1 true KR900008495B1 (ko) 1990-11-22

Family

ID=19262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6340A KR900008495B1 (ko) 1987-06-22 1987-06-22 자기기록 재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849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1046A (ko) 1989-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99723A (en)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having a cassette loading mechanism driven by a pinch roller
US5699208A (en)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deck mechanism with component operating slide member between main deck and sub-deck
US4661867A (en) Cassette loading device and method
KR970011132B1 (ko) 리버스식 기록 재생장치의 모드전환기구
KR900008495B1 (ko) 자기기록 재생장치
US4434442A (en) Automatic reverse system for tape recorder
JPH0150983B2 (ko)
EP0369476B1 (en) A normal/reverse mode changing mechanism for tape transport apparatus
CA1228419A (en) Switching device for actuating the recording switch of a magnetic-tape apparatus
EP0580031A2 (en) Apparatus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of a recording and reproducing system for a cassette tape recorder
JPH0660485A (ja) 磁気記録再生器のブレーキ装置
US5402289A (en) Tape travel control mechanism
EP0072587A1 (en) Magnetic-tape cassette apparatus
US4571644A (en) Tape recorder
EP0345739B1 (en) Magnetic tape recording and playback apparatus
KR910000953Y1 (ko) 테이프 주행장치에 있어서의 핀치롤러 구동장치
KR970002574Y1 (ko) 수동식 카셋트 구동체를 갖춘 자기테이프 카셋트 장치
JP2675394B2 (ja) テープローディング装置
JPH0614291Y2 (ja) 磁気記録再生装置におけるブレ−キ装置
JPH0810866Y2 (ja) テープ走行方向切換装置
KR910000952Y1 (ko) 자기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의 브레이크 제어장치
JPH0421262B2 (ko)
JP3399824B2 (ja) カセットローディング装置
KR910004845Y1 (ko) 브이씨알의 테이프 카세트 로딩장치
JPH082818Y2 (ja) 音響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2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