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8272B1 - 열 우선적 감지능력을 갖는 화재 식별 감지기 - Google Patents

열 우선적 감지능력을 갖는 화재 식별 감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8272B1
KR900008272B1 KR1019830004424A KR830004424A KR900008272B1 KR 900008272 B1 KR900008272 B1 KR 900008272B1 KR 1019830004424 A KR1019830004424 A KR 1019830004424A KR 830004424 A KR830004424 A KR 830004424A KR 900008272 B1 KR900008272 B1 KR 9000082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radiation
fire
heat
det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4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6427A (ko
Inventor
티. 컨 마크
제이. 씬조리 로버트
Original Assignee
산타 바바라 리씨치 센터
로버트 엠. 탤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타 바바라 리씨치 센터, 로버트 엠. 탤리 filed Critical 산타 바바라 리씨치 센터
Publication of KR840006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64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8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82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re-Detection Mechanisms (AREA)
  • Photometry And Measurement Of Optical Pulse Characteristic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열 우선적 감지능력을 갖는 화재 식별 감지기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재 및 폭발 검출 시스템을 도시한 계통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한 검출 시스템의 일부분을 도시한 개략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재 및 폭발 검출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 계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다중 채널 화재 감지기 12 : 단파장 방사선 응답 채널
14 : 장파장 방사선 응답 채널 16 : 방사에너지
18 : 화재(또는 소오스) 20 및 30 : 광학 휠터
22 및 32 : 검출기 24, 34 및 52 : 증폭기
28 : NOR 및 임계 게이트 40 :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50 : 부수적인 회로 채널 53 : 임계 장치
54 : OR 게이트
본 발명은 주로 화재 및 폭발 감지 및 진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방사선이 최소한 2개의 상이한 스팩트럼 대역 내에서 검출되는 이러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화재 진화 시스템중의 어떤 형태의 진화 시스템은 화재 진화 명령 출력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화재 또는 폭발로 발생된 전자가 방사선에 응답하는 다중 신호 프로세싱(processing) 채널을 갖고 있는 화재 감지기를 사용한다. 이 화재 진화 명령 출력 신호는 할론 개스(halon gas)와 같은 화재 진화물의 방출을 트리거(trigger)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시스템은 또한 진화시킬 필요가 있는 화재 및 폭발과 관련하지 않은 방사선을 식별하기 위해 1개 이상의 신호 프로세싱 채널을 사용한다. 예를들어, 탄화수소 화재는 특정한 상대 세기에서 6 내지 30㎛ 스펙트럼 대역내의 장파장 적외선 방사선 및 0.7 내지 1.2㎛ 스펙트럼 대역내의 단파장 방사선을 발생시킨다. 다중 채널 화재 감지기는 방사선이 선정된 크기의 화재와 관련된 레벨 이상의 각각의 상술한 스펙트럼 대역내에서 탄화수소 화재와 관련된 상대 크기로 검출될 때에만 출력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예를들어, 고광도 램프, 히터(heater), 회중 전등등에 직접 노출되어도 잘못된 트리거링을 하지 못하도록 되어 있다. 상술한 형태의 이러한 다중 채널 화재 진화 시스템중의 한 시스템은 알.제이. 씬조리(R.J. Cinzori)에게 허여되고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도된 미합중국 특허 제3,931,521호에 기술되어 있다.
상술한 화재 진화 시스템은 여러가지 환경에서 만족스럽게 동작하지만, 1개 이상의 방사선 채널의 동작을 방해하는 불리한 상태가 생길 수 있다. 예를들어, 이러한 화재 감지기 시스템에 의해 감시되는 지역이 연기로 가득차게 되면, 장파장 범우내의 검출은 영향을 받지 않지만, 잠재적으로 위험한 화재로부터의 단파장 방사선은 연기에 의해 감지기 시스템으로 부터 차폐될 수 있다.
다중 채널 화재 진화 시스템의 동작시에 생기는 다른 중요한 문제점은 감지기 윈도우(window)상의 오염으로 인해 동작하지 못하는 것이다. 예를들어, 다중 채널 화재 감지기 시스템은 차량의 엔진실내에서 생길 수 있는 화재로부터 운전자를 보호하기 위해 장갑 차량에 사용된다. 이러한 경우에, 감지기는 엔진실내에 배치되므로, 엔진실 화재를 가능한 한 빨리 검출할 수 있다. 이러한 장갑 차량은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고, 진화 시스템을 동작시켜야 할 만한 화재가 생기기 전에 상당한 기간 동안 지연될 수 있다. 이러한 연장된 기간동안, 엔진시내에 배치된 화재 진화 시스템의 감지기의 윈도우는 구리스(grease), 모래, 먼지 및 이러한 위치에서 종종 발견되는 다른 성분들을 포함하는 오염물 막으로 덮힐 수 있다. 이러한 오염물들이 상당히 두껍게 쌓이면 전형적인 다중 채널 화재 진화 시스템은 단파장 채널의 차단으로 인해 효율적으로 동작하지 못하게 된다.
예를들어, 화재 진화 시스템이 장갑 차량의 엔진실내의 화재를 진화하도록 양호하게 동작하지 못하면, 화재 진화 시스템이 보호하도록 설계된 장갑 차량에 재해를 입힐 수 있다. 그러므로, 상술한 문제점을 제거하는 개량된 다중 채널 화재 감지기 시스템이 필요하게 되었다. 특히 잘못된 트리거링 신호를 충분히 식별할 수 있고, 동시에, 시스템이 양호하게 동작하지 못하게 방해하는 방사선 차폐 상태가 생기더라도 화재 진화명령 출력 신호를 적시에 발생시키는 개량된 화재 감지기 시스템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다중 채널 화재 진화 시스템내의 이러한 방사선 차단 상태와 관련된 상술한 문제점을 제거한다. 본 발명은 화재와 관련된 최소한 2개의 상이한 스펙트럼 대역내의 방사선을 검출함으로써 선정된 지역내의 화재를 검출하기 위한 식별 화재 감지기를 제공한다. 이 식별 화재 감지기는 검출될 화재의 형태 및 크기에 관련된 이 스펙트럼 대역들내의 방사선의 선정된 양에 응답하여 출력 신호를 제공한다. 또한, 지역내의 열의 선정된 양에 응답하여 출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특수한 열 감지기 채널도 제공된다.
본 발명은 광학 섬유 감지기 시스템 분야를 상당히 진보시킨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화재 또는 폭발로 발생된 방사선과 검출될 화재 또는 폭발이 아닌 다른 사건에 관련된 방사선을 식별할 때 종래 기술의 다중 채널 화재 감지기 시스템의 장점들을 제공하고, 동시에 화재 감지기 시스템의 주위 환경에서 방사선 차폐현상이 생기므로 검출되지 않는 화재 상태에 대한 보호를 제공한다. 이제부터,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장점을 상세히 설명하겠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는 기존의 다중 채널 화재 및 폭발 검출 시스템을 사용하고, 또한 이 시스템에 열 우선적 보호능력을 갖는 부수적인 특수 채널을 제공한다. 제1도는 이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1도는 실시예의 대부분의 소자들은 종래의 미합중국 특허 제3,931,521호(이후부터 '521 특허라고 하겠음)에 이 특허의 제1도에 관련해서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 '521 특허를 참고문헌으로 포함한다.
'521 특허의 제1도에 도시된 실시예와 공통된 본 명세서의 제1도에 도시한 실시예의 소자들을 간단히 요약하여 설명하면, 다중 채널 화재 감지기(10)은 가까이 있거나 멀리 있는 화재 또는 폭발(18)로부터 방사에너지(16)을 수신하도록 각각 결합된 단파장 바사선 응답 채널(12)와 장파장 방사선 응답 채널(14)를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이 시스템(10)은 6야트(약 55㎜) 정도 거리밖의 고 에너지 연료류(fuel-type) 폭발에 고도로 반응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채널(12)의 방사 에너지(16)은 전자기 주파수 스펙트럼의 근적외선 범위에 있는 방사선이고, 채널(14)의 소오스(18)로부터의 방사 에너지는 전자기 주파수 스펙트럼의 원적외선 범위에 있는 방사선이다.
단파장 채널(12)는 예를들어, 0.7 내지 1.2미크론 범위의 스펙트럼 대역내의 방사선 파장만을 통과시키기 위해 적당한 종래의 광학 휠터(20)을 포함한다. 휠터된 방사선은 증폭기(24)의 입력에 제공되는 출력 검출신호를 발생시키는 실리콘 광 검출기와 같은 검출기(22)에 부딪친다. 증폭기(24)는 NOR 및 임계게이트(28)의 한 입력(26)에 도시한 바와같이 접속된 출력을 갖고 있다.
장파장 채널(14)는 광학 휠터(20)의 범위와 다른 범위, 예를들어, 7내지 30미크론 범위내의 파장을 통과시키기 위해 종래의 광학 휠터(30)을 포함한다. 휠터된 방사선은 열 검출기(32)에 부딪친다. 이 검출기는 예를들어, 열전기 파일(thormopile)로 될 수 있고, 주파수 보상 증폭기 단(34)의 입력에 접속된 출력을 갖고 있다. 다르게는, 검출기는 열와이어, 공기식 열 검출기, 또는 열전쌍으로 될 수 있는데 이러한 소자들은 본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는 것으로서 출원 발명에 따른 신규한 구성에 있어서 검출기로서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증폭기(34)는 NOR 및 임계게이트(28)의 제2입력(36)에 접속된 출력을 갖고 있다. 이 게이트(28)은 '521 특허에 상세하게 기술된 바와같이, 방사선의 선정된 양이 선정된 비례 관계로 검출기(22 및 32)에 의해 검출될 때 출력 펄스를 선로(38)상에 발생시키도록 선로(26 및 36)상의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동작한다. 선로(38)상의 출력 펄스는 적당한 화재 진화물 방출 메카니즘(mechanism)과 같은 후속단을 확실히 트리거링하기에 충분한 바람직한 기간의 출력 펄스를 발생시키기 위해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40)을 트리거시킨다.
그러므로, 장차장 에너지와 단파장 에너지가 둘다 선정된 임계 레벨 이상의 레벨에서 검출될 때에만 신호가 선로(42)상에 나타난다. 이 임계 레벨들은 증폭기(24 및 34) 및 NOR 및 임계게이트(28)로 된 전자 회로내에서 내부적으로 제어된다. 그러므로, 증폭기(34)의 이득은, 방사선의 선택된 레벨이 검출될 때, NOR 게이트(28)의 입력을 동작시키는데, 필요한 공지된 임계 레벨이 열 검출기(32)의 출력까지 도달되도록 선택된다. 이와 유사한 고찰이 채널(12)에도 적용된다.
채널(12 및 14)에 관련된 스펙트럼 범위들은 각각 0.7 내지 1.2 미크론 및 7내지 30미크론 범위내에 반드시 있을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원리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 다른 스펙트럼 범위들이 바람직하게 선택될 수도 있다. 본 분야에 숙련된 기술자들은 이러한 고찰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부수적인 채널(50)도 제공된다. 이 부수적인 회로 채널(50)은 증폭기(52), 임계장치(53) 및 OR 게이트(54)를 포함하는데, 이 OR 게이트(54)의 한 입력은 임계 장치(53)의 출력에 접속되게, 다른 입력은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40)의 출력인 선로(42)에 접속된다. OR 게이트(54)의 출력은 시스템(10)의 출력인 신호 선로(56)에 접속된다.
증폭기(52)의 이득 및 임계 장치(53)의 임계 전압은 선로(36)이 NOR 게이트(28)의 입력을 트리거하는 레벨보다 더 크게 선택된 레벨에서 열 검출기(32)의 출력의 신호 레벨이 임계 회로(53)의 입력을 동작시키도록 선택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이 선택된 임계 레벨은 NOR 게이트(28)을 트리거시키는 레벨보다 10배 더 크다. 채널(50)을 트리거링하기 위한 다른 레벨이 본 발명에 따라 선택될 수도 있다. 예를들어, 어떤 상황에서 화재가 검출되는 속도는 잘못된 트리거링에 대한 면역성보다 더 중요하게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술한 레벨보다 낮은 레벨이 선택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상황에서는, 화재 진화물의 제한된 양이 잘못된 트리거링으로 인해 방출되지 못하게 하고 이러한 물질의 화재에 응답해서만 방출되는 가능성을 최대화하는 것이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이다. 이러한 경우에, 시스템 설계자는 상술한 레벨 보다 더 트리거링 레벨을 선택할 수 있다. 본 분야에 숙련된 기술자들은 이러한 고찰 및 선택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채널(50)은 신호에 대한 검출기(32)의 출력에 의존할 필요가 없다. 실제로는, 원하는 경우에, 신호를 증폭기(52)에 제공하기 위해 별도의 검출기가 사용될 수 있다.
제2도에는 채널(50)과, 이 채널(50)이 제1도의 회로의 다른 부분과 상호 접속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 선택된 부수적인 회로 소자들을 포함하는 제1도에 도시한 시스템의 일부분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2도의 개략도는 '521 특허의 명세서, 특히 이 특허의 제1도의 회로의 개략도인 이 특허의 제3도와 관련하여 고찰되어야 한다.
제2도를 참조하면, 증폭기 장치(68'), 저항기(92' 및 93'), 다이오드(116') 및 회로 기준 전위점(72' 및 82')는 '521 특허의 제3도에 도시된 회로와 공통이다.
증폭기 장치(58)은 종래의 차동 증폭기이다. 저항기(60, 62 및 64)와 캐패시터(70)은 증폭기(52)의 이득의 상술한 선택된 양을 제공하고, 약 0.3Hz의 주파수 응답을 제공하도록 공지된 원리에 따라 선택된다. 0.3Hz의 이 주파수 응답은 증폭기(52)의 입력에 인가된 합성 파형의 AC 성분을 억압하기 위해 양호한 실시예의 채널(50)의 증폭기(52)로 설계된다.
임계 회로(53)은 증폭기(52)의 출력이 기준 전위점(82와 72) 사이에 전압 분할기 형태로 함께 접속되는 저항기(63 및 65)의 값에 따라 결정되는 상술한 선택된 임계 레벨을 초과할 때 입력 신호를 OR 게이트(54)에 제공하도록 비교기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도시한 바와같이, 종래의 방법으로 접속된 저항기(59, 61, 63 및 65)를 갖고 있는 다른 차동 증폭기 장치(67)에 기초를 둔 것이다.
임계 회로(53)의 출력은 도시한 바와같이, OR 게이트(54)의 한 입력에 접속된다. 이 OR 게이트(54)의 다른 입력은 선로(42, 제1도)에 접속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새로운 열 우선적 보호를 제공하는 대부분의 다른 다중 채널 화재 및 폭발 감지기 시스템과 관련하여 사용하기 위해 용이하게 개조할 수 있다. 예를들어, 본 발명은 로버트 제이. 씬조리 및 제럴드 에프. 스태플톤(Gerald F. Stapleton)에게 1974년 7월 23일자로 허여되고,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도된 미합중국 특허 제3,825,754호(이후부터는 '754 특허라고 하겠음)에 기술된 것과 같은 다중 채널 화재 검출 시스템과 관련하여 2가지의 약간 다른 방법으로 실행될 수 있다. 이 2가지 실행 장치에 대해서 제3도 및 제4도를 참조하여 다음에 기술하겠다.
제3도에는 '754 특허와 관련된 제1실행 장치와 도시되어 있다. 제3도에 도시한 회로는 '754 특허의 제1도에 기초를 둔 것으로, 본 명세서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변형된 것을 제외하면, 그 특허에 도시된 것과 같은, 그 특허에 포함된 소자들을 모두 포함한다. '754 특허의 제1도와 공통인 본 명세서의 제3도내의 회로 소자들은 '754 특허의 제1도내의 대응 소자와 동일한 참조 번호를 갖고 있고, '가 첨자된 것으로 본 명세서의 제3도에 도시되어 있다. 그러므로, 예를들어, 본 명세서의 제3도내의 회로 블럭(12', 14' 및 16')는 각각 '754 특허의 제1도내의 블럭(12, 14 및 16)에 대응한다.
간단히 말하자면, '754 특허의 제1도에 도시된 회로는 화재 식별 검출 능력을 제공하는 2개의 주요 채널(12, 14)를 갖고 있고, 제3 "라운드 채널(Round Channel)"(도시하지 않았음)을 갖고 있는 이중 스펙트럼 적외선 화재 검출 시스템이다. 이 라운드 채널은 탄약의 폭발 주위로부터의 검출된 방사선에 응답하여 주요 검출 채널들이 일시적으로 동작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탄약의 고 에너지 폭발 주위를 식별하므로, 이러한 폭발 주위주로부터의 잘못된 트리거링을 방지시킨다. 이 회로는 또한, 검출되지 않을 수도 있는 지연된 화재가 발생될 경우에 일시적으로 동작하지 못하게 되는 것을 우선적으로 고려하기 위해 고장-안전 논리 및 검출 회로를 갖고 있다.
다시, 제3도를 참조하면, 2개의 주요 채널(12' 및 14')가 상술한 고 에너지 탄약 주위 식별 논리 기능에 따르는 주요 채널(12' 및 14')의 출력에 응답하여 신호를 출력시키는 AND 게이트(56')로서 도시되어 있다. AND 게이트(102')는 상술한 고장-안전 논리의 실행에 따라 신호를 출력시킨다. AND 게이트(56' 및 102')의 출력은 출력 선로(114')를 갖고 있는 OR 게이트(110')의 각각의 입력에 인가된다. OR 게이트(110")는 3개의 입력을 갖고 있지만, '754 특허내의 OR 게이트(110)은 "가 첨자된 2개의 입력만을 갖고 있다. 제3도의 상술한 회로 소자들의 상호 접속 및 동작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상술한 '754 특허의 명세서에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른 증폭기(120)의 입력은 증폭기(44')의 출력에 접속된다. 이 증폭기(120)의 출력은 인버터(122)의 입력에 접속되는데, 이 인버터의 출력은 임계 게이트(124)의 입력에 접속된다. "임계 게이트(124)의 출력은 OR 게이트(110")의 제3입력에 접속된다.
동작시에, 증폭기(120) 및 인버터(122)의 이득은, 본 발명의 열 우선적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서, 장파장방사선의 선정된 레벨이 주요 채널(14')에 의해 수신될 때 임계 게이트(124)를 트리거시키도록 임계 게이트(124)의 임계 레벨과 관련하여 셋트된다.
제4도에는 '754 특허의 제1도에 도시된 회로에 관련된 본 발명의 부수적인 실행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제3도에서와 같이, '754 특허의 제1도와 공통인 회로 소자들은 '가 첨자되어 본 명세서의 제4도에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AND 게이트(56")가 '754 특허의 4개의 입력에 비해 3개의 입력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이 입력들을 '754 특허와 구별하여 도시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는 "를 첨자하여 도시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른 증폭기(126)의 입력은, 제3도의 경우와 같이, 증폭기(44')의 출력에 접속된다. 증폭기(126)의 출력은 인버터(128)의 입력에 접속되고, 이 인버터의 출력은 임계 게이트(130)에 접속된다. 임계 게이트(130)의 출력은 시간 지연 단(132)의 입력에 접속되고, 이 시간 지연 단의 출력은 OR 게이트(134)의 제1입력에 접속된다. 주요 채널(12' 및 14')의 출력은 AND 게이트(136)의 제1입력에 접속된다. 주요 채널(12' 및 14')의 출력은 AND 게이트(136)의 각각의 입력에 접속되고, 이 AND(136)의 각각의 입력에 접속되고, 이AND 게이트의 출력은 OR게이트(134)의 제2입력에 접속된다. OR 게이트(134)의 출력은 3개의 입력 AND 게이트(56")의 제3입력에 접속된다. AND 게이트(56")의 다른 2개의 입력들은 선로(58' 및 60')에 접속되는데, 이 선로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상술한 '754 특허에 기술되어 있다.
동작시에, 증폭기(126) 및 인버터(128)의 이득은 제3도에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같이, 임계 게이트(130)의 임계 레벨에 관련하여 셋트된다. 지연 장치(132)의 타이밍(timing)은 지연 장치(38' 및 50')의 타이밍과 동일하게 되도록 셋트되는데, 이 지연 장치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상술한 '754 특허에 기술되어 있다. 이 실행 장치에 따른 양호한 실시예에서, 시간 지연 단(132)는 이 시간 지연 단의 입력에 인가된 신호와 동일하지만 4msec 만큼 지연된 신호를 이 시간 지연 단의 출력에 제공한다. 이 4msec 지연은 '754 특허에 상세히 기술된 바와같이, 회로가 타이밍 지연단(38' 및 50')의 기능과 유사한 형태로 AND 게이트(56")에 의해 고에너지 탄약주위 식별 기능을 실행하게 한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의 제4도에 도시한 본 발명의 실행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열 우선적 채널을 사용하는데, 이 열 우선적 채널은 고에너지 탄약 주위 식별 논리에 따른다. 이 실행 장치는 화재 검출 시스템이 잘못된 트리거링에 동작하지 않는 것이 중요한 경우에 적용하기에 적합하다. 그래도, 본 발명의 열 우선적 채널은 부수적으로 보호될 차량내에 배치된 검출기의 윈도우에 오염물이 쌓이는 것으로 인해 화재 검출 시스템이 차폐되는 것을 방지한다.
기술된 본 발명의 원리를 이해하면, 본 기술에 숙련된 기술자들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을 용이하게 설계할 수 있다.

Claims (11)

  1. 화재를 검출하기 위한 화재 감지기 장치에 있어서, 전자기 주파수 스펙트럼의 0.7-1.2 미크론 파장영역의 방사선을 포함하는 제1스펙트럼 대역내의 방사선을 검출하고 상기 제1스펙트럼 대역에서 감지된 방사선의 양에 대응하는 제1감지기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제1채널 감지 수단(30', 28'), 전자기 주파수 스펙트럼의 7-30 미크론 파장 영역의 방사선을 포함하는 제2스펙트럼 대역내의 방사선을 검출하고 상기 제2스펙트럼 대역에서 검출된 방사선의 양에 대응하는 제2감지기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제2채널 감지 수단(40', 26') 및 상기 제1 및 상기 제2감지기 신호들이 감지될 선정된 화재의 검출에 각각 관련된 제1 및 제2 임계 레벨을 초과할 때 제1출력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제1 및 상기 제2채널 감지 수단에 응답하는 게이트 수단(56' ; 136)을 포함하는 방사선 감지용 다중 채널 화재 감지기 수단(14', 12'), 상기 화재 감지기장치에 입사되는 열 에너지에 관련된 7-30 미크론 파장 영역내의 검출된 방사선의 선정된 양에 응답하되, 제2채널 감지 수단에 관련된 상기 제2임계 레벨보다 큰 선정된 양에 응답하여, 제2출력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열 감지기 수단(120, 122, 124 ; 126, 128, 130, 132), 상기 제1 및 상기 제2출력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각각 접속된 제1 및 제2입력을 갖고 있고, 상기 제1 또는 상기 제2출력 신호에 응답하여 제3출력 신호를 제공하도록 되어 있는 OR 게이트 수단(134 ; 110"), 상기 화재 감지기 장치의 부근에서 생기는 고 에너지 탄약 주위에 관련된 선정된 검출 방사선에 응답하여 금지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고 에너지 탄약 주위 식별수단, 및 상기 열 감지기로부터의 제2출력 신호가 제1 또는 제2채널 감지 수단중의 하나 또는 2개가 적절히 동작하지 않더라도 화재 진화물이 정상적으로 작동되게 하도록 상기 금지 신호의 부재시에 상기 제3출력 신호에 응답하여 화재 진화물을 작동시키기 위한 제4출력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출력 게이트 수단(1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지기 장치.
  2.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상기 제2채널 감지 수단(14', 12')가 각각 상기 제1 및 상기 제2감지기 신호의 제공을 지연시키기 위한 제1 및 제2지연 수단(50', 38')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열 감지기 수단(126, 128, 130, 132)가 상기 제2출력 신호의 제공을 지연시키기 위한 제3지연 수단(1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지기 장치.
  3. 화재를 검출하고 이에 응답하여 화재 진화물을 작동시키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제1 및 제2감지기수단을 내부에 갖고 있는 주 화재 감지기(14', 12'), 제3임계 레벨을 초과하는 열에 관련된 방사선의 선정된 양의 검출에 응답하여 우선적 출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열 우선적 감지 수단(126, 128, 130, 132), 상기 열 우선적 감지 수단이 주 화재 검출기내의 감지기중의 하나 또는 2개가 적절히 동작하지 않더라도 화재진화물이 작동되게 하도록 주 화재 검출기로부터의 주 출력 신호 또는 열 우선적 감지 수단으로부터의 우선적 신호의 발생에 응답하여 화재 진화물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제1감지기 수단이 제1의 선정된 임계 레벨을 초과하는 제1스펙트럼 대역내의 방사선의 검출에 응답하여 제1출력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제2감지기 수단이 제2의 선정된 임계 레벨을 초과하는 제2스펙트럼 대역내의 방사선의 검출에 응답하여 제2출력 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주 화재 검출기가 감지기들로부터의 제1 및 제2출력 신호의 발생에 응답하여 화재 진화물을 작동시키도록 된 주 추출력 신호를 제공하는 게이팅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감지기 수단이 7-30 미크론 파장 영역내의 방사선을 검출하기 위한 감지기를 포함하고 상기 열 우선적 감지 수단이 파장 영역은 동일하지만 상기 제1임계 레벨보다 양이 많은 방사선의 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우선적 신호를 발생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동일한 감지기가 주 화재 감지기내의 제1감지기용으로 사용되고 또한 열 우선적 감지 수단의 일부로서 사용되고, 열 우선적 감지 수단이 상기 제1임계 레벨보다 큰 제3임계 레벨을 정하는 회로를 더 포함함으로써 열 우선적 신호는 검출된 열이 열 우선적 감지 수단이 적절히 동작되는 경우에 제1감지기에 의해 검출되었을 열 보다 실질적으로 클 때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제3임계 레벨이 상기 제1임계 레벨보다 최소한 10배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임계 수단(52, 53 ; 120, 122, 124 ; 126, 128, 130)이 상기 제1감지기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증폭시키기 위한 증폭기(52 ; 120 ; 126), 및 제1감지기가 제3임계 레벨을 초과하는 방사선을 검출할 때 상기 열 우선적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증폭기의 이득에 관련하여 설정되는 임계 신호회로(53 ; 124 ;130)에 의해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기(52 ; 120 ; 126)이 제1의 선정된 주파수 이상으로서 이득 롤-오프특성을 가짐으로써, 상기 제1감지기의 AC 성분이 상기 증폭기의 작용에 의해 이의 DC 성분과 비교하여 억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 신호 회로(53 ; 124 ; 130)이 차동 증폭기(67)를 포함하고, 차동 증폭기의 한 입력은 기준 신호원에 접속되고, 차동 증폭기의 다른 입력은 상기 증폭기(52 ; 120 ; 126)이 출력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수단이 상기 주 출력 신호 및 상기 열 우선적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연결된 입력을 갖고 있는 OR 게이트(54 ; 110" ; 1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 감지기의 부근에 발생하는 고 에너지 탄약 주위에 관련된 선정된 검출 방사선에 응답하여 금지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고 에너지 탄약 주위 식별 수단 및 화재 감지기로부터 상기 금지 신호 및 주 출력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금지 신호의 부재시에 상기 주 출력 신호의 발생에 응답하여 소정의 출력을 제공하도록 된 제1게이팅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작동 수단이 상기 게이팅 수단의 출력 및 열 우선적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OR 게이트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KR1019830004424A 1982-09-20 1983-09-20 열 우선적 감지능력을 갖는 화재 식별 감지기 KR9000082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1987282A 1982-09-20 1982-09-20
US419872 1982-09-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6427A KR840006427A (ko) 1984-11-29
KR900008272B1 true KR900008272B1 (ko) 1990-11-10

Family

ID=23664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4424A KR900008272B1 (ko) 1982-09-20 1983-09-20 열 우선적 감지능력을 갖는 화재 식별 감지기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4647776A (ko)
EP (1) EP0119264B1 (ko)
JP (1) JPH0754557B2 (ko)
KR (1) KR900008272B1 (ko)
AR (1) AR241613A1 (ko)
AU (1) AU555668B2 (ko)
BR (1) BR8307522A (ko)
CA (1) CA1247211A (ko)
DE (1) DE3368786D1 (ko)
EG (1) EG16878A (ko)
IL (1) IL69771A (ko)
IT (1) IT1208443B (ko)
WO (1) WO19840012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30684A (en) * 1984-06-18 1986-12-23 Santa Barbara Research Center Fire sensing and suppression method and system responsive to optical radiation and mechanical wave energy
EP0304230A3 (en) * 1987-08-21 1989-12-20 The British Petroleum Company P.L.C. Optical measurement method
US5126570A (en) * 1988-09-27 1992-06-30 The Standard Oil Company Sensor and method for measuring alcohol concentration in an alcohol-gasoline mixture
US5064271A (en) * 1989-03-14 1991-11-12 Santa Barbara Research Center Fiber optic flame and overheat sensing system with self test
US5051595A (en) * 1989-12-06 1991-09-24 Santa Barbara Research Center Fiber optic flame detection and temperature measurement system employing doped optical fiber
US5051590A (en) * 1989-12-06 1991-09-24 Santa Barbara Research Center Fiber optic flame detection and temperature measurement system having one or more in-line temperature dependent optical filters
US6140617A (en) * 1999-10-22 2000-10-31 General Electric Company Cooktop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including detecting properties of a utensil through a solid-surface cooktop
US6452136B1 (en) 2000-12-13 2002-09-17 General Electric Company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sensing of a vessel and other properties of a cooktop
WO2005096985A1 (en) * 2004-04-06 2005-10-20 Willem Mennega Dispensing arrangement
WO2005111556A2 (en) * 2004-05-07 2005-11-24 Walter Kidde Portable Equipment, Inc. Flame detector with uv sensor
JP2014197296A (ja) * 2013-03-29 2014-10-16 能美防災株式会社 炎検知器
CN109188063A (zh) * 2018-09-26 2019-01-11 北京明日电力电子有限公司 一种传感器自适应型复合式电气火灾监控探测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31521A (en) * 1973-06-29 1976-01-06 Hughes Aircraft Company Dual spectrum infrared fire detector
US3825754A (en) * 1973-07-23 1974-07-23 Santa Barbara Res Center Dual spectrum infrared fire detection system with high energy ammunition round discrimination
US4206454A (en) * 1978-05-08 1980-06-03 Chloride Incorporated Two channel optical flame detector
US4229659A (en) * 1978-11-17 1980-10-21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Oxidizer burn through detector with majority voting network
US4296324A (en) * 1979-11-02 1981-10-20 Santa Barbara Research Center Dual spectrum infrared fire sensor
GB2089503B (en) * 1980-12-12 1984-07-18 Graviner Ltd Fire and explosion detection
US4469944A (en) * 1981-11-20 1984-09-04 Santa Barbara Research Center Optical discriminating fire sen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1931583A (en) 1984-03-29
EG16878A (en) 1989-06-30
JPH0754557B2 (ja) 1995-06-07
IT1208443B (it) 1989-06-12
EP0119264A1 (en) 1984-09-26
KR840006427A (ko) 1984-11-29
JPS59501602A (ja) 1984-09-06
AU555668B2 (en) 1986-10-02
WO1984001232A1 (en) 1984-03-29
CA1247211A (en) 1988-12-20
US4647776A (en) 1987-03-03
IT8348992A0 (it) 1983-09-20
IL69771A (en) 1992-01-15
DE3368786D1 (en) 1987-02-05
AR241613A1 (es) 1992-09-30
EP0119264B1 (en) 1986-12-30
IL69771A0 (en) 1983-12-30
BR8307522A (pt) 1984-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8272B1 (ko) 열 우선적 감지능력을 갖는 화재 식별 감지기
US4199682A (en) Fire and explosion detection apparatus
US4296324A (en) Dual spectrum infrared fire sensor
KR850001329B1 (ko) 화염감지기
US3609364A (en) Hydrogen fire detection system with logic circuit to analyze the spectrum of temporal variations of the optical spectrum
US4975684A (en) Fire detecting system
US4405919A (en) Method of fire detection and fire detection installation
EP0159798B1 (en) Fire and explosion protection system
US4765413A (en) Fire and explosion detection apparatus
US4423326A (en) Fire or explosion detection
EP0277685B1 (en) Fire sensing and suppression method and system responsive to optical radiation and mechanical wave energy
US4199755A (en) Optical smoke detector
US4472715A (en) Dual spectrum fire sensor with discriminator
US4718497A (en) Fire and explosion detection and suppression
US4719973A (en) Fire and explosion detection and suppression
US2762034A (en) Fire and explosion detection apparatus
US4421984A (en) Fire and explosion detection and suppression
EP0507025B1 (en) Intruder detection arrangements and methods
EP0066952B1 (en) Sensor system responsive to a fire or explosion
JP2003263688A (ja) 炎感知器
GB2089503A (en) Fire and explosion detection
GB2067749A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Fire and Explosion Detection
JPH06331755A (ja) 火災等の異常検知機能を備えた人体検知装置
JP3205889B2 (ja) 炎検出装置
JP3049525B2 (ja) 火災等の異常検知機能を備えた人体検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015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