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8231Y1 - 뚜껑개폐장치 - Google Patents

뚜껑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8231Y1
KR900008231Y1 KR2019870016385U KR870016385U KR900008231Y1 KR 900008231 Y1 KR900008231 Y1 KR 900008231Y1 KR 2019870016385 U KR2019870016385 U KR 2019870016385U KR 870016385 U KR870016385 U KR 870016385U KR 900008231 Y1 KR900008231 Y1 KR 9000082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container
locking jaw
push button
clos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163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6834U (ko
Inventor
주익환
Original Assignee
주익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익환 filed Critical 주익환
Priority to KR20198700163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8231Y1/ko
Publication of KR89000683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683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82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823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5/00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 B65D45/02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for applying axial pressure to engage closure with sealing surface
    • B65D45/16Clips, hooks, or clamps which are removable, or which remain connected either with the closure or with the container when the container is open, e.g. C-shaped
    • B65D45/18Clips, hooks, or clamps which are removable, or which remain connected either with the closure or with the container when the container is open, e.g. C-shaped of snap-over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10Details of hinged closures
    • B65D2251/1016Means for locking the closure in closed position
    • B65D2251/1033Protuberances and cavities provided on a horizontal flange respectively of the container or base and the closure, and penetrating one into the other, e.g. of the press-button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뚜껑개폐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의 장치가 부착된 용기의 일실시예의 부분단면 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장치에 의하여 뚜껑이 닫힌 상태의 종단면도.
제 3 도는 동 뚜껑이 열린 상태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뚜껑 2 : 용기
3 : 누름보턴 4 : 탄성편
5, 6 : 걸림턱 5', 6' : 격판
7 : 경사돌기 8 : 경첩
9 : 격실 10 : 누름보턴 삽입공
본 고안은 도시락 상자나 수지케이스, 필통등의 합성수지제의 일용품수납용기에 부착되는 뚜껑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알려진 뚜껑개폐장치로는 간단한 괘정금주나 스냅단추, 또는 자석등을 부착한 것과 같이 용기와 뚜껑에 별도의 괘정수단을 사용한 것으로부터 용기와 뚜껑에 별도의 괘정수단을 사용한 것으로 부터 용기와 뚜껑자체에 감합수단을 형성한 것등, 여러형태의 개폐장치가 공지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전자의 괘정수단을 장착한 경우에는 금속제등으로 제작된 별도의 괘정장치를 용기와 뚜껑에 부착해야 했으므로 부품비가 많이 요구될 뿐만아니라, 특히 합성수지제의 도시락 상자나 수저케이스 또는 물통 등과 같은 물이 직접적으로 용기와 접촉하는 경우에는 금속제의 괘정장치가 쉽게 녹이 슬어 내용물이 비위생적으로되는 결함이 있었다.
또한 후자의 감합수단이 용기와 뚜껑자체에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전자의 결함은 해소할 수 있으나, 대부분 뚜껑을 열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만 뚜껑이 열리는 불합리한 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제 결함을 감안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용기와 뚜껑의 접촉부위의 일개소에 걸림턱을 형성하되, 걸림턱의 전방에 경사면이 형성된 돌기를 돌설하고 등 돌기에 누름보턴이 부착된 탄성편을 당접시킴으로써 별도의 스프링이나 괘정수단을 사용하지 않고도 용기와 뚜껑자체에 형성된 합성수지제의 개폐장치에 의하여 간단히 뚜껑이 개폐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뚜껑개폐장치는 도시락상자나 수저케이스 및 필통등과 같은 간단한 일용품의 수납용기에 적용시켜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바람직하기는 물기가 많이 닿는 용기로서, 합성수지제의 도시락상자, 수저케이스, 물통 또는 조미료 케이스 등에 보다 적합하다.
제 1 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사시도로서, 도면중(1)은 뚜껑, (2)는 용기, (8)은 뚜껑(1)과 용기(2)를 여닫기 위한 경첩이다.
상기 용기(2)와 뚜껑(1)의 전방중앙에는 끝에 걸림턱(5) (6)이 돌설된 격판(5')(6')이 각각 입설되어 있고, 용기(2)의 격판(5')은 사방이 막혀 격실(9)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뚜껑(1)의 걸림턱(6)의 전방에는 앞쪽에 경사면이 형성된 경사돌기(7)가 돌출되어 상기 격실(9)내에 내장된 탄성편(4)의 상단부와 당접되어 있으며, 탄성편(4)의 전방에는 누름보턴(3)이 삽착되어 격실(9)의 전방에 관통된 누름보턴삽입공(10)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미설명 부호 11은 세척용 통공이다.
이와같이된 본 고안의 뚜껑개폐장치는 사용시 제 3 도에서와 같이 손가락으로 누름보턴(3)을 누르면, 누름보턴(3)이 삽착된 턴성편(4)이 휘어지면서 그 선단부가 경사돌기(7)의 전방 경사면(7)을 압압하여 경사돌기(7)를 상승하게하고, 그에 따라 뚜껑 걸림턱(6)이 용기걸림턱(5)에서 이탈하여 뚜껑(12)이 열리게 된다.
뚜껑(1)이 열린후 누름보턴(3)에서 손가락을 떼면 탄성판(4)의 탄성력에 의하여 휘어진탄성편(4)은 원상으로 복귀되면서 누름보턴(3)은 다시 삽입공(10)이 외부로 돌출된 상태가 된다.
다시 뚜껑(1)을 닫기 위해서는 뚜껑(1)을 손으로 누르면 뚜껑걸림턱(6)이 용기걸림턱(5)에 걸리면서 뚜껑(1)이 닫히게된다.
그리고, 사용중 혹시 격실(9)내부에 음식물등이 끼었을 경우에는 개폐장치를 분해할 필요없이 격실(9)내부로 물을 흘려 보내 격실(9)의 저면에 관통된 세척용통공(11)을 통하여 불순물을 배출시킴으로써 보다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뚜껑개폐장치는 그 구조가 간단하고 작동이 단순하여 보다 위생적으로 사용되는 수납용기를 저렴한 가격으로 제공할 수 있는 신규의 고안이다.

Claims (1)

  1. 용기(2)와 뚜껑(1)의 접촉부에 걸림턱(5) (6)이 형성된 뚜껑개폐장치에 있어서, 뚜껑걸림턱(6)의 전방에 경사돌기(7)를 돌설하여 상기 용기걸림턱(5)하측의 격실(9)에 내장된 탄성편(4)과 당접되게하고 상기 탄성편(4)에 누름보턴(3)을 삽착하여 결식(9)전방에 관통된 누름보턴삽입공(10)의 외부로 돌출되게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개폐장치.
KR2019870016385U 1987-09-26 1987-09-26 뚜껑개폐장치 KR9000082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6385U KR900008231Y1 (ko) 1987-09-26 1987-09-26 뚜껑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6385U KR900008231Y1 (ko) 1987-09-26 1987-09-26 뚜껑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6834U KR890006834U (ko) 1989-05-15
KR900008231Y1 true KR900008231Y1 (ko) 1990-09-10

Family

ID=19268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16385U KR900008231Y1 (ko) 1987-09-26 1987-09-26 뚜껑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823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6834U (ko) 198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7235035B2 (en) Container with sealable lid
MY103705A (en) A resealable dispenser-container for wet tissues.
EP0955247A1 (en) Container
TR200101487T2 (tr) Dağıtıcı kapama tertibatı.
EA003802B1 (ru) Сохраняющая аромат емкость
US4203529A (en) Pouring receptacle with automatic closure
KR900008231Y1 (ko) 뚜껑개폐장치
WO2003072452A1 (en) Dispenser having one touch flip top opening
ATE81322T1 (de) Behaelter mit ausgiessvorrichtung.
KR200419638Y1 (ko) 음료용기 뚜껑에 구비된 마개 개방구조
US1644049A (en) Tooth brush and paste holder
KR910004385Y1 (ko) 뚜껑개폐장치
KR960001793Y1 (ko) 도시락 뚜껑의 수저함덮개 개폐장치
US2341447A (en) Container for tablets
JPS5827962Y2 (ja) 容器蓋のヒンジ
US1018106A (en) Blacking-box opener and holder.
KR940001725Y1 (ko) 콤팩트 뚜껑의 개폐구조
KR900011374Y1 (ko) 화장품용기의 뚜껑 개폐구조
JPS6143372Y2 (ko)
JPS6239783Y2 (ko)
JPH0853151A (ja) 蓋板付きキャップおよび蓋板付き容器
KR940001723Y1 (ko) 콤팩트(Compact) 뚜껑의 개폐구조
JP3791749B2 (ja) チューブ容器
JPH0451172Y2 (ko)
JPS589883Y2 (ja) 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