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7988Y1 - 낚시대용 대 선단 보호 커버 - Google Patents

낚시대용 대 선단 보호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7988Y1
KR900007988Y1 KR2019860019107U KR860019107U KR900007988Y1 KR 900007988 Y1 KR900007988 Y1 KR 900007988Y1 KR 2019860019107 U KR2019860019107 U KR 2019860019107U KR 860019107 U KR860019107 U KR 860019107U KR 900007988 Y1 KR900007988 Y1 KR 9000079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line
rod
fishing
cover
cov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191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5728U (ko
Inventor
리유이찌 오오무라
Original Assignee
후지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리유이찌 오오무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리유이찌 오오무라 filed Critical 후지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157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572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79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798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08Containers for ro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낚시대용 대 선단 보호 커버
제 1 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제 2 도는 동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본 고안은 가이드가 부착된 릴낚시대의 대(竿) 선단 보호 커버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낚시줄을 낚시대의 가이드에 뀀기위한 낚시줄 안내봉을 구비하고 또한 커버본체의 선단에 완충재를 내장시킨 낚시대용 대 선단 보호 커버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낚시대의 대 선단 보호 커버의 선단에 완충재를 내장한 종래 기술로서는 일본국 실개소54-182390호가 있으며, 낚시줄 안내봉을 고정하는 종래기술로서는 일본국 실개소56-150376호, 실개소57-76471호 및 실개소58-44061호가 공개되어 있다.
상기 일본국 실개소54-182390호에 개재되어 있는 완충재는, 대의 선단에 부착된 톱가이드가 대 선단 보호커버의 선단내벽에 충돌할 때의 충격을 완화시키고자 한 것이나. 초릿대는 본대(元竿)에 수납된 상태에서는 대와 대 사이에 틈새가 생겨서 요동하기 쉬운 상태인 것, 초릿대는 가요성인 것 및 대 선단의 톱 가이드는 낚시대의 축방향에 대하여 경사상태로 부착되어 있는 것등의 원인에 의하여 보호커버의 장착시에 초릿대의 선단이 옆으로 밀리거나 혹은 톱가이드의 선단이 직접 완충재의 구석부에 충돌하여 커버본체의 내벽과 완충재 사이에 톱가이드가 끼이는 일이 있기 때문에, 완충재의 작용을 상실할 뿐만아니라 대 선단 보호커버를 벗겨낼 때에 초릿대가 파손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 대 선단 보호커버에 낚시줄 안내봉을 고정하는 수단에 대해서는, 일본국 실개소56-150376호, 실개소 57-76471호 및 실개소58-44061호의 실시예에 개재되어 있으나, 일본국 실개소56-150376호는 낚시줄 안내봉의 고정단에 대 선단 보호 커버의 선단내형에 끼우는 부착구를 고정한 구성이므로, 대 선단보호커버의 종류나 크기에 따라서 각각 맞는 부착구를 제작하여야만 하는 문제가 있다.
또 일본국 실개소57-76471호는 낚시줄 안내봉을 대 선단보호커버의 선단에 형성한 부착구멍으로 관통고정한 것이나, 낚시줄 안내봉을 금속선으로 형성하였을 경우, 고정단의 이탈방지수단은 금속선을 부착구멍으로 통하게 한 후에 형성해야만 한다. 그러나 대 선단 보호커버의 선단에 형성된 부착구멍에 낚시줄 안내봉을 관통하여 고정시킨 구성은 다른 것에서도 볼수 있으나 낚시줄 안내봉의 자유단에는 낚시줄을 뀀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 이 부분은 봉부보다 굵게 되므로 낚시줄 안내봉은 내측으로부터 또한 봉부의 굵기와 거의 동일한 직경의 부착구멍을 통과시켜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일본국 실개소58-44061호는 낚시대용 캡의 안쪽 천장부 또는 상측부에 안내줄을 연설한 구성인 것이다. 이것은 안내줄을 캡의 천장부 또는 상측부에 다른 기구등을 이용해서 열접착하여 연설하거나, 작은 구멍을 뚫어 줄을 끼운후 줄이 구멍에서 빠지지 않게 매듭을 짓거나 하여 캡에 연설되게 한 것이므로, 안내불과 캡과의 상호고정작업이 번거로우며 그에 따른 고정상태 역시 견고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낚시줄 안내봉을 톱가이드 및 기타 가이드에 통과시키면서 대 선단보호커버를 장착하면, 톱가이드가 옆으로 밀리는 문제는 생기지 않는 것에 착안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에 의한 낚시대용 대 선단보호커버는, 커버본체내에 삽입하는 한편, 후단에 낚시줄뀀는 구멍을 설치한 낚시줄 안내봉의 선단을 커버본체의 측벽에 고정하는 동시에, 낚시줄 안내봉으로 관통시킨 스폰지, 고무 등의 완충재를 커버본체의 선단에 내장한 것이며, 또 낚시줄안내봉의 선단부에 그 뒤측의 봉부보다 약간 굵은 고정부를 형성하고, 이 고정부의 전단에는 플랜지부를, 후단에는 테이퍼부를 설치하며, 한편 커버본체의 측벽에는 고정부와 거의 동일한 직경의 부착구멍을 뚫고, 이 부착구멍의 외측에서 상기 낚시줄 안내봉의 후단을 커버본체내로 삽입하여 부착구멍에 고정부를 끼워 부착한 것이다.
본 고안의 낚시대용 마디선단보호커버의 일 실시예를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부호1은 플래스틱제의 커버본체이며, 그 일측을 폐쇄시킨 측벽(2)의 중앙에는 후에 설명하는 낚시줄 안내봉의 고정부와 거의 동일한 직경의 부착구멍(3)이 뚫려져 있다. a는 커버본체(1)내에 장착한 낚시줄 안내봉이며, 봉부(4)의 후단에 낚시줄을 뀀는 구멍(5)을 설치하고, 전단부에는 봉부(4)보다 약간 굵은 고정부(6)를 형성하여 그 전단에는 플랜지부(7)를, 후단에는 테이퍼부(8)를 형성하고, 이 테이퍼부(8)의 끝면에 턱부(9)를 형성한 것이며, 부착구멍(3)의 외측에서 봉부(4)를 삽입하여 테이퍼부(8)를 관통시키는 것에 의하여 고정부(6)를 부착구멍(3)내에 끼우고, 플랜지부(7)를 그 외측면에, 턱부(9)를 그 내측면에 밀접시켜 낚시줄 안내봉(a)이 커버본체(1)에 부착되는 것이다.
또 부호10은 스폰지, 고무등의 완충재이며 중앙부에 뚫은 구멍(11)을 커버본체(1)에 장착한 낚시줄 안내봉(a)의 뒤끝에서 끼워넣어 커버본체(1)내의 선단부에 위치시키고 있다.
또한 부호12는 초릿대, 13은 중간대, 14는 본대, 15는 초릿대(12)에 부착된 톱 가이드, 16은 중간대(13)와 본대(14)에 부착된 가이드, 17은 고무밴드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는 상기와 같은 구성이므로 이것을 밀낚시대에 장착할 경우, 톱가이드(15)및 기타가이드(16)에 낚시줄 안내봉(a)을 관통시키면서 장착하면, 톱가이드(15)는 완충재의 후단면에 지지되며, 또 낚시터에서 커버본체(1)를 벗겨 낼때에는 낚시줄 뀀는 구멍(5)에 낚시줄을 꿴 다음 커버본체(1)를 뽑아내면 그 뽑힘에 따라 모든 가이드(15), (16)에 낚시줄이 뀀게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낚시대용 대 선단보호커버는 커버본체의 장착상태에서 낚시줄 뀀는 구멍에 낚시줄을 꿴 다음에 커버본체를 벗겨내면 각 가이드의 낚시줄을 확실하게 꿸수가 있는 것이지만, 특히 본 고안에 있어서는 커버본체를 릴낚시대에 장착할 때에 낚시줄 안내봉이 가이드작용을 하며, 톱가이드가 완충재의 뒤측면 거의 중앙부에 정확하게 충돌하기 때문에 그 충격 혹은 장착상태에서 외측으로부터 커버본체에 가해지는 어떤 충격도 완충재에 의하여 충분하게 흡수되며 더구나 톱가이드가 커버본체의 내벽과 완충재사이에 끼이는 일이 없으므로 커버본체를 벗겨낼 때 초릿대가 파손되는 일도 없다.
또 본 고안에 의한 대 선단보호커버에 있어서, 낚시줄 안내봉의 선단부에 봉부보다 약간 굵은 고정부를 설치하고 그 전단에 플랜지부를, 그 후단에 테이퍼부를 형성하며, 또 커버본체 측벽의 부착구멍을 상기 고정부와 거의 동일한 직경으로 할 때는, 이 부착구멍에 외측으로 낚시줄 안내봉의 뒤끝을 삽입하여 이것을 뒤쪽으로 잡아당기는 것만으로 커버본체에 낚시줄 안내봉을 용이하게 고정할 수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커버본체(1)의 일측을 폐쇄시킨 측벽(2)에 낚시줄 뀀는 구멍(5)을 마련한 낚시줄 안내봉(a)을 고정함에 있어서, 상기 낚시줄 안내봉(a)의 일단을 측벽(2)에 뚫은 구멍(3)에 끼워져 걸리는 고정부(6)와 플랜지부(7)를 가진 테이퍼부(8)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대용 대 선단보호커버.
KR2019860019107U 1986-04-16 1986-12-01 낚시대용 대 선단 보호 커버 KR900007988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57078 1986-04-16
JP1986057078U JPH0232062Y2 (ko) 1986-04-16 1986-04-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5728U KR870015728U (ko) 1987-11-23
KR900007988Y1 true KR900007988Y1 (ko) 1990-09-03

Family

ID=30886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19107U KR900007988Y1 (ko) 1986-04-16 1986-12-01 낚시대용 대 선단 보호 커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232062Y2 (ko)
KR (1) KR90000798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9200B2 (ja) * 1993-09-13 1996-12-04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竿の口栓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28307U (ko) * 1974-08-23 1976-03-01
JPS58164471U (ja) * 1982-04-30 1983-11-01 朝倉 一男 道糸通し付き保護カ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5728U (ko) 1987-11-23
JPH0232062Y2 (ko) 1990-08-30
JPS62167569U (ko) 1987-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1999042148A3 (en) Syringe assembly
KR900007988Y1 (ko) 낚시대용 대 선단 보호 커버
GB2354146A (en) Fishing Tackle
US6094853A (en) Floating bait caster and bait protector with depth control
US5620180A (en) Grip of badminton racket
US4215504A (en) Line guide for a fishing rod
KR200316376Y1 (ko) 차량의 비상탈출용 망치
KR200164413Y1 (ko) 릴낚시대용 가이드 보호카바
US3012786A (en) Shock impact frangible arrowhead
CA1251930A (en) Release mechanism and depth planer for fishing
JPS6239662Y2 (ko)
JP2001275521A (ja) 穂先折防止用補助具
KR900001305B1 (ko) 낚시대용 마디선단 보호카버
JPS5726074A (en) Ship with bulb at bow
US3741100A (en) Boat ventilator
GB2252484A (en) Angling hook retainer
JP2791632B2 (ja) ガイド付き振出竿の竿先保護カバー
JP3232831U (ja) 釣り竿のトップガイド保護具
US4895538A (en) Ski rope handle and method of assembly
JPH0538620Y2 (ko)
JPH0246387Y2 (ko)
GB2165731A (en) Beach fishing bait shuttle
KR200187953Y1 (ko) 낚싯대 이탈방지용 받침대
KR970004162Y1 (ko) 릴 낚시대용 마디선단 보호커버
KR940005189Y1 (ko) 낚시대 이탈 방지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61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