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7769B1 - 이색성 아조 색소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이색성 아조 색소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7769B1
KR900007769B1 KR1019860700478A KR860700478A KR900007769B1 KR 900007769 B1 KR900007769 B1 KR 900007769B1 KR 1019860700478 A KR1019860700478 A KR 1019860700478A KR 860700478 A KR860700478 A KR 860700478A KR 900007769 B1 KR900007769 B1 KR 9000077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alkyl
general formula
alkoxy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700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700358A (ko
Inventor
게이스께 다꾸마
기미또시 가또
히로시 아이가
야스유끼 야마다
쓰또무 니시자와
Original Assignee
미쓰이도오아쓰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도즈까 야스아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59243375A external-priority patent/JPS61123667A/ja
Priority claimed from JP59248195A external-priority patent/JPS61126174A/ja
Priority claimed from JP59267295A external-priority patent/JPS61145285A/ja
Application filed by 미쓰이도오아쓰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도즈까 야스아끼 filed Critical 미쓰이도오아쓰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claimed from PCT/JP1985/000644 external-priority patent/WO1986003215A1/ja
Publication of KR860700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7003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7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77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31/00Disazo and polyazo dyes of the type A->B->C, A->B->C->D, or the like, prepared by diazotising and coupling
    • C09B31/16Trisazo dye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이색성 아조 색소의 제조방법
액정 표시장치는 최근 에너지 절약 및 크기 축소의 측면에서 광범위한 상업성이 있다. 최근 사용되는 대부분의 액정 표시장치는 비틀린 네마틱 액정의 전기광학 효과를 이용한 것으로 필수조건으로 2개의 편광필름을 배합 사용하여 표시조작을 수행한다. 그러나, 이런 상황하에서 이들의 사용에는 많은 제한이 따른다. 가능한 고체 액정 표시계로서 이색성 색소를 네마틱 액정에 용해시켜 수득된 착색 액정 조성물의 전기광학 효과를 이용한 소위 게스트-호스트형 액정 표시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이런 액정 표시의 일부는 손목시계, 시계, 전기 가전용품, 공업용계기 등의 표시장치로 이미 사용되고 있다.
게스트-호스트형 액정 표시계의 원리는 게스트인 이색성 색소분자가 호스트인 액정 분자의 배열과 일치하는 방향성을 갖는 경향이 있는 현상에 근거를 둔것이다. 즉, 보통은 전기장인 외부 자극을 받으면 액정분자는 "온"상태에서 "오프"상태로 그 방향성의 방향이 변하고, 이색성 색소 분자도 그 방향성의 방향이 변한다. 그결과, 색소 분자에 의한 광흡수 정도가 전상태와 후상태가 다르게 되어 표시를 수행한다. 게스트-호스트형 액정 표시계는 이 법칙에 근거한 것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이색성 색소는 근본적으로 하기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 (1) 저농도에서도 충분한 색상 강도를 나타내야 한다; (2) 큰 이색성 비율을 갖고 전압을 걸었을때 및 걸지않았을때 현저한 대조를 나타내야 한다; (3) 액정에 대해 충분한 용해도를 갖어야 한다; (4) 뛰어난 내구성 및 안정성을 갖고 장기간의 사용에도 장치의 기능이 악화되지 않아야 한다; 등.
상기의 조건을 만족하는 물질로 다양한 이색성 색소가 제안되었다. 이런 이색성 색소의 일부는 디지탈시계, 계기등에 이미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런 상황하에서 이들의 대부분은 아직도 개선되어야 될 단점, 즉 큰 이색성 비율을 갖는 것은 내구성이 좋지 않고 또는 내구성이 뛰어나면 실용시에 선명한 표시를 나타낼 수 있는 이색성 비율을 갖추지 못하는 단점을 갖고 있다.
발명의 개요
상기의 측면에서 본 발명가들은 집중적인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결과, 현재 큰 이색성 비율 및 뛰어난 내구성을 갖는 신규 이색성 색소를 발견하였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하기 일반식(I)로 표시되는 신규 이색성 아조 색소를 제공하는 것이다.
Figure kpo00001
또는
Figure kpo00002
(식중, R1은 알킬기, 알콕시알킬기 또는 p-위치가 알킬 또는 알콕시기로 치환될 수 있는 페닐 또는 시클로헥실기이고, R2및 R3는 각각 수소원자, 알킬, 시클로알킬, 알콕시, 알콕시알콕시, 시클로알킬옥시알콕시, 아릴옥시알콕시 또는 아릴기, 할로겐원자, 또는 시아노 또는 디알킬아미노기이다.)을 의미하고; Y1및 Y2는 각각 수소 또는 할로겐원자 또는 알킬, 알콕시, 시아노 또는 히드록시기를 의미하고, Ar1및 Ar2는 각각
Figure kpo00003
또는
Figure kpo00004
를 의미하고; W1및 W2는 각각 -N=N- 또는 -N=CH- 이지만 W2가 -N=CH- 기일 경우에는 W1은 -N=N-기이고, m은 0 또는 1의 정수이지만 W1이 -N=CH- 기일경우에는 m은 0이고; 및 B는 히드록실, 알콕시, 알콕시알콕시 또는 p-알킬벤질옥시기,
Figure kpo00005
이지만 W1또는 W2가 -N=CH- 기일경우에는 B는 수소 또는 할로겐원자, 시아노기,
Figure kpo00006
또는
Figure kpo00007
일 수 있다[식중, R4는 알킬기 또는 p-위치가 알킬 또는 알콕시기로 치환될 수 있는 페닐 또는 시클로헥실기이고, R5는 수소원자 또는 알킬기이며, R6는 알킬기 또는
Figure kpo00008
이다(식중, R7및 R8은 각각 수소 또는 할로겐원자, 히드록실, 시아노, 알킬, 디알킬아미노, 알콕시 또는 알콕시알콕시기, R9가 수소원자 또는 알킬기인
Figure kpo00009
또는
Figure kpo00010
이다.).
본 발명의 색소의 특징은 상응하는 아조 화합물 분자장축의 한쪽 말단에 하기 일반식(II)로 표시되는 골격의 도입에 있다.
Figure kpo00011
식중, A, Y1, Y2및 W1은 일반식(I)의 정의와 동일하고 이색성은 공지된 유사 아조 색소에 비교하여 현격히 개선되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이색성 아조 색소는 일반식(Ⅱ)에 표시된 바와같이 비페닐기말단에 A로 표시되는 기가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가장 양호한 방식
일반식(I)로 표시되는 본 발명의 이색성 아조 색소는 하기에 설명된 방법으로 합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m이 1이고 W1및 W2가 모두 -N=N- 기인 일반식(I)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경우, 하기 일반식(III)으로 표시되는 아민 :
Figure kpo00012
(식중, A는 일반식(I)의 정의와 동일하다.)을 통상적인 방법으로 디아조화 시킨 후, 하기 일반식(Ⅳ)로 표시되는 화합물 :
Figure kpo00013
(식중, Y1및 Y2는 일반식(I)의 정의와 동일하다.)과 결합시켜 하기 일반식(V)로 표시되는 모노아조 색소를 수득한다.
Figure kpo00014
(식중, A, Y1및 Y2는 일반식(I)의 정의와 동일하다.) 그후, 모노아조 화합물을 통상적인 방법으로 유사하게 디아조화 시킨 후, 하기 일반식(VI)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
Ar1-NH2(VI)
(식중, Ar은 일반식(I)의 정의와 동일하다.)과 결합시켜 하기 일반식(Ⅶ)로 표시되는 디스아조 색소를 수득한다.
Figure kpo00015
(식중, A, Y1, Y2및 Ar1은 일반식(I)의 정의와 동일하다.) 이 디스아조 색소를 통상적인 방법으로 더 디아조화 시키고 하기 일반식(Ⅷ)로 표시되는 화합물 :
Ar2-B (Ⅷ)
또는 하기 일반식(IX)로 표시되는 화합물 :
Ar2-OH (IX)
(식중, Ar2및 B는 일반식(I)의 정의와 동일하다.)과 결합시켜 일반식(I)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하기 일반식(X)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수득한다.
Figure kpo00016
(식중, A, Y1, Y2, Ar1및 Ar2는 일반식(I)의 정의와 동일하다.) 후자의 화합물은 전자의 화합물의 전구체이다.
그리고 화합물(X)은 하기 일반식(IX)로 표시되는 할로겐 화합물 :
Hal-B' (Ⅵ)
(식중, Hal은 Cl 또는 Br로 표시되는 할로겐원자를 의미하고 B'는 일반식(X)의 화합물과 축합할 수 있어 일반식(I)의 B와 동일한 기가 되는 전구체기를 의미한다.)과 함께 통상적인 방법으로 탈할로겐화수소 및 축합반응을 일으켜 본 발명의 목적하는 이색성 아조색소가 수득된다.
m=0인 경우, 일반식(V)의 화합물은 디아조화된후, 일반식(Ⅷ) 또는 (Ⅸ)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결합되고, 필요하다면 일반식(XI)로 표시되는 할로겐 화합물과 축합되어 본 발명의 목적하는 이색성 아조 색소가 동일한 방식으로 수득된다.
한편, W1또는 W2가 -N=CH-기인 일반식(I)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경우, 일반식(V) 또는 (Ⅶ)로 표시되는 아미노 화합물 및 하기 일반식(XII)로 표시되는 알데히드 화합물 :
OHC-Ar2-B (XII)
(식중, Ar2및 B는 일반식(I)의 정의와 동일하다.)이 통상적인 방법으로 탈수 축합되어 본 발명의 이색성 아조 색소가 수득된다.
본 발명의 이색성 아조 색소가 상기에서 언급된 방법으로 합성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이색성 아조 색소는 공지된 다른 단위 반응이 여러 방식으로 배합되어 합성될 수도 있다.
이렇게 수득된 일반식(I)의 조 색소는 재결정,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등으로 정제되어 높은 순도의 색소가 수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색성 색소에 대한 구체적이고 대표적인 예는 실시예에서 설명한다.
그러나, 이색성 아조 색소가 이들에 의해서 한정되지는 않는다. 일반식(I)에서의 R1, R2, R3, Y1, Y2, Ar1, Ar2및 B로서 하기의 구체적인 기도 언급될 수 있다.
일반식(I)의 R1에 대한 구체적인 예로는 하기와 같은 구조식을 갖는 기를 들 수 있다 :
Figure kpo00017
이중에서 탄소원자 15개 이하를 갖는 알킬기가 이색성 효과 및 제조의 용이를 위해서 바람직하다.
R2및 R3에 대한 구체적인 예로는 -CH3, -C2H5, -(CH2)2CH3, -CH(CH3)2, -(CH2)7CH3, -CH2C(CH3)3및 -(CH2)10CH3와 같은 알킬기, -OCH3, -OC2H5, -O(CH2)7CH3, -OC2H4CH(CH3)CH2C (CH3)3및 -O(CH2)12CH3와 같은 알콕시기,
Figure kpo00018
H11과 같은 시클로알킬기, -OCH2CH2OC2H5, -OCH2CH2OCH2CH(CH3)2과 같은 알콕시알콕시기,
Figure kpo00019
과 같은 시클로알킬옥시알콕시기,
Figure kpo00020
와 같은 아릴옥시알콕시기,
Figure kpo00021
Figure kpo00022
와 같은 아릴기, -F,-Cl 및 -Br과 같은 할로겐원자, 시아노기 및
Figure kpo00023
와 같은 디알킬아미노기를 들 수 있다. R2및 R3가 수소원자인 경우, 즉 비치환된 벤조옥사졸고리 또는 비치환된 벤조티아졸고리인 경우에는 실제적으로 충분한 이색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생산비용의 측면에서 R2및 R3가 모두 수소원자인 경우가 유리하다.
Y1및 Y2의 구체적인 예로는 -H,-Cl,-Br,-I,-F,-CN,-OH,-OCH3및 -CH3를 들 수 있다. Y1및 Y2가 모두 수소원자인 경우에는 특히 큰 이색성 효과를 나타내고 반응 생성물의 정제가 용이하다. 따라서 Y1및 Y2는 동시에 수소원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Ar1및 Ar2에 대한 구체적인 예로는 하기 구조식을 갖는 기를 들 수 있다 :
Figure kpo00024
B에 대한 구체적인 예로는 히드록실기, -OCH3, -OC2H5, -OC4H9(n), -OC(CH3)3, -O(CH2)5CH3, -O(CH2)7CH3, -OC2H4CH(CH3)CH2C(CH3)3및 -O(CH2)12CH3와 같은 알콕시기, -OCH2CH2OC2H5및 -OCH2CH2OCH2H2CH(CH3)2와 같은 알콕시 알콕시기, -OCH2
Figure kpo00025
(CH2)6CH3와 같은 p-알킬벤질옥시기 및 -N(CH3)2및 -N(C2H5)2와 같은 디알킬아미노기를 들 수 있다.
한편, B가
Figure kpo00026
를 표시할 경우, R4에 대한 구체적인 예로는 하기 구조식을 갖는 기를 들 수 있다 :
Figure kpo00027
Figure kpo00028
B가
Figure kpo00029
를 나타낼 경우, 수소원자 및 -CH3, -C2H5및 -C4H9와 같은 알킬기를 R5의 구체적인 예로 들 수 있다. R6에 대한 구체적인 예로는 -CH3, -C2H5, -C4H9(n) 및 -CH2CH(CH3)2와 같은 알킬기,
Figure kpo00030
치환 벤질기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색성 아조 색소는 통상적인 표시장치내에 색상 표시 액정 조성물로 사용되기 위해 액정내에 배합될 수 있다.
액정 물질로는 통상적인 네마틱 액정, 콜레스테릭 액정, 스멕틱 액정 및 키랄 네마틱 액정이 사용될수 있다. 이들의 예로는 비페닐, 테르페닐, 페닐시클로헥산, 시클로헥실시클로헥산, 페닐시클로헥사노에이트, 페닐벤조에이트, 시클로헥실시클로헥사노에이트, 비페닐시클로헥사노에이트, 펜옥시카르보닐페닐벤조에이트, 시프염기, 페닐비페닐카르복실레이트, 피리미딘, 디옥산, 시클로헥실메틸에테르 및 신나모니트릴형의 액정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색소는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2개 이상의 색소가 배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색소 농도는 이들이 액정내 각 색소의 용해도 상한선을 초과하지 않고, 동시에 색소분자가 액정분자의 방향성에 의해 그 방향성이 충분히 조절되는 범위내이면 어떤 농도도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액정에 대해 0.01∼10중량%, 바람직하게는 0.01∼5중량%의 농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이색성 색소와 다른 이색성 또는 비-이색성 색소가 혼합되어 생성된 혼합물을 목적하는 색소의 이색성 색소로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제한은 없다. 액정내의 이색성 색소의 용해는 예정된 양의 색소를 액정에 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장기간 교반하거나 또는 생성된 혼합물을 적어도 액정이 이소트로픽 액체로 전환되는 온도 이상으로 가열한 후, 동일한 온도에서 교반하여 수행된다. 이런 방식으로 이색성 색소는 목적하는 색상-표시 액정 조성물로 제제될 수 있다.
일부 대표적인 색소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아조-형 이색성 색소의 합성예 및 액정(Merck 사의 "ZLI-1565", "ZLI-1840" 또는 "E-8")내에서의 이색성 비율 및 용해된 색상은 이후 하기 실시예에서 설명한다.
실시예에서 주어질 이색성 비율은 본 발명의 신규 이색성 색소의 효용을 가장 명확하게 설명하는 고유값이다. 실시예에 기재된 각각의 이색성 비율은 각 이색성 색소를 전형적인 네마틱 액정인 메르크사 제조 액정(상품명 : ZLI-1565, ZLI-1840 또는 E-8)내에 농도 1.0중량%가 되도록 용해시키고 균일한 방향성을 갖도록 미리 처리된 10μm의 틈을 갖는 유리 액정 셀내에 밀봉시킨 후, 생성된 액정 셀을 분광광도계의 광 경로에 위치시키고 흡수도(
Figure kpo00031
)를 측정하기 위해서 액정 배열과 수평인 선평광된 광 및 흡수도 (
Figure kpo00032
)를 측정하기 위해서 액정배열과 수직인 선편광된 광을 조사하여 하기 방정식 :
Figure kpo00033
에 따라 계산하여 얻은 값이다. 본 발명의 모든 이색성 색소는 극히 높은 이색성 비율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액정 및 액정 조성물로 사용되기 적당한 신규 이색성 색소 및 이런 조성물을 이용한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기일반식 :
Figure kpo00034
로 표시되는 화합물 15부를 300부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이후 "DMF"로 기재)내에 용해시키고 69부의 35% 염산을 가한다. 생성된 혼합물을 5℃ 이하로 냉각하고 22부의 30% 아질산나트륨염 수용액을 적가한다. 동일한 온도에서 2시간동안 혼합물을 교반한 후, 3.6부의 술팜산을 가해서 디아조화된 액체 혼합물을 수득한다. 디아조화된 액체 혼합물을 500부의 빙수에 붓고 여기에 30부의 DMF내에 용해시킨 5.5부의 α-나프틸아민 용액을 적가한 후, 0∼5℃에서 2시간동안 교반한다. 45% 가성소오다 수용액으로 pH=4로 조절한 후, 혼합물을 여과하고 고체물질을 세척 및 건조시켜 23.5부의 하기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모노아조 색소의 조 생성물을 수득한다.
Figure kpo00035
4.0부의 상기 모노아조 색소를 200부의 DMF내에 용해시키고 10부의 35% 염산을 가한다. 생성된 혼합물을 5℃ 이하로 냉각시키고 10% 아질산나트륨염 수용액 10부를 적가한 후, 혼합물을 동일한 온도에서 2시간동안 교반한다. 1.0부의 술팜산을 가하여 디아조화된 액체 혼합물을 수득한다. 생성된 디아조화 액체 혼합물에 300부의 50% 아세톤 물을 가해서 디아조화된 액체 혼합물을 완전히 용해시킨다. 생성된 용액에 20부의 DMF내에 용해시킨 3.1부의 N-(p-에톡시벤질)-α-나프틸아민 용액을 적가한다. 생성된 용액을 pH=3∼4 및 0∼5℃에서 3시간동안 교반한 후, 혼합물을 교반하며 1000부의 빙수에 붓는다. 생성된 혼합물을 중화시키고 여과한다. 고체물질을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하기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디스아조 색소의 조 생성물을 6.3부 수득한다.
Figure kpo00036
조 생성물을 톨루엔내에 용해시키고 분리한 후, 용출액으로 톨루엔을 사용하는 실리카겔 분말이 충진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순수한 디스아조-색상 형태인 상기 생성물을 4.8부 수득한다.
작은 비이커내에서 상기의 디스아조 색소 1.0중량%를 메르크사제조의 "ZLI-1565"액정에 가한다. 생성된 혼합물을 약 80℃로 가열하여 완전히 맑은 용액을 만든다.
용액을 방치 및 냉각한 후, 생성된 착색 액정 용액을 액정표시용 시험 셀내에 봉합시킨다.
표시 셀은 전압을 걸어주지 않으면 청자색을 띤다. 5V의 전압을 걸어주면 단지 그의 전극만 거의 무색이 되어 매우 양호한 대조를 이룬다. 또한, 상술된 편광광 방법에 따라 결정된 이색성 비율은 최대 흡수 파장인 576nm에서 17.7이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합성된 하기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
Figure kpo00037
을 마찬가지로 디아조화 시킨 후, N-(p-에틸카르보닐옥시벤질)-N-메틸아닐린과 결합시켜 하기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디스아조색소를 수득한다.
Figure kpo00038
정제된 색소의 이색성 비율은 최대 흡수파장인 545nm에서 15.3이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유사하게, 하기 일반식의 화합물 :
Figure kpo00039
을 우선 합성한다. 그후, 디아조화시키고 하기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
Figure kpo00040
과 결합시켜 하기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디스아조 색소를 수득한다.
Figure kpo00041
정제된 색소의 이색성 비율은 최대 흡수 파장인 575nm에서 16.8이다.
실시예 4
하기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
Figure kpo00042
106부를 1000부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내에 용해시키고 120부의 35% 염산을 가한다. 생성된 혼합물을 5℃이하로 냉각시키고 20% 아질산나트륨 수용액 125부를 적가한다. 혼합물을 동일한 온도에서 2시간동안 교반한 후, 술팜산을 가해서 디아조화된 액체 혼합물을 수득한다. 디아조화된 액체 혼합물의 pH를 4로 조절한 후, 36부의 α-나프틸아민이 용해된 DMF 용액을 적가하여 생성된 혼합물을 0∼5℃에서 3시간동안 교반한다. 반응 혼합물을 1500부의 물에 붓고 여과한다. 이렇게 수득된 고체 물질을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하기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디스아조 색소인 조 생성물을 116부 수득한다.
Figure kpo00043
상기에서 수득된 6부의 디스아조 색소를 150부의 DMF에 용해시키고 35% 염산을 10부 가한다. 생성된 혼합물을 5℃ 이하로 냉각한다. 이렇게 냉각된 혼합물을 격렬하게 혼합하여 10부의 10% 아질산나트륨 수용액을 적가한다. 혼합물을 동일한 온도에서 3시간동안 교반한 후, 술팜산을 가해서 디아조화된 액체 혼합물을 수득한다. 디아조화된 액체 혼합물에 30부의 DMF내에 용해된 3부의 N-(p-에톡시벤질)-α-나프틸아민 용액을 적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3∼8℃에서 3시간동안 교반한다. 반응 혼합물을 600부의 물을 붓는다. pH를 6∼7로 조절한 후, 혼합물을 여과하고 생성된 고체 물질을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킨다. 이후, 메탄올내에 분산시키고 1시간동안 교반한다. 메탄을 분산액을 여과하여 생성된 고체 물질을 건조시켜 하기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트리스아조 색소인 고체 생성물을 7.2부 수득한다.
Figure kpo00044
조 생성물을 톨루엔내에 용해시킨 후, 실리카겔로 충진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28부의 트리스아조 색소를 수득한다.
그후, 상기의 트리스아조 색소 1.0중량%를 메르크사 제조의 액정 "ZLI-1565"에 가한다. 생성된 혼합물을 약 80℃로 가열하여 완전히 맑은 용액을 만든다. 용액을 방치하여 냉각시킨 후, 생성된 착색 액정 용액을 액정 표시장치내에 봉합시킨다.
표시장치는 전압을 걸어주지 않으면 청자색을 띤다. 전압을 걸어주면 단지 그의 전극만 무색으로 되어 양호한 대조를 이룬다. 이런경우, 이색성 비율은 최대 흡수파장인 572nm에서 18.7이다.
실시예 5
실시예 4와 유사하게, 하기 일반식의 화합물 :
Figure kpo00045
을 디아조화시키고 하기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아민 :
Figure kpo00046
과 결합시켜 하기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디스아조 색소를 수득한다.
Figure kpo00047
"ZLI-1565"내 정제된 색소의 이색성 비율은 최대 흡수 파장인 575nm에서 18.2이다.
실시예 6
실시예 4와 유사하게, 하기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디스아조 색소 :
Figure kpo00048
를 수득한 후, 화합물을 디아조화시키고 하기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
Figure kpo00049
과 결합시켜 하기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트리스아조 색소를 수득한다.
Figure kpo00050
"ZLI-1565"내 정제된 색소의 이색성 비율은 최대 흡수 파장인 582nm에서 18.1이다.
실시예 7
실시예 5와 유사하게, 하기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
Figure kpo00051
을 디아조화시키고 하기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
Figure kpo00052
과 결합시켜 하기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디스아조 색소를 수득한다.
Figure kpo00053
"ZLI-1565"내 정제된 색소의 이색성 비율은 최대 흡수 파장인 539nm에서 16.4이다.
실시예 8
모노아조 단계 :
하기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
Figure kpo00054
7부를 400부의 DMF내에 용해시킨 후, 20부의 35% 염산을 가한다. 생성된 혼합물을 5℃ 이하로 냉각한 후, 25부의 10% 아질산나트륨 용액을 적가한다, 이렇게 수득된 혼합물을 동일한 온도에서 2시간동안 교반한 후, 술팜산을 가해서 디아조화된 액체 혼합물을 수득한다. 디아조화된 액체 혼합물의 pH를 4로 조절하고 7.5부의 α-나프틸아민메탄술폰산 나트륨염이 용해된 57.5부의 수용액을 가한다. 생성된 혼합물을 0∼5℃에서 2시간동안 교반한다. 생성된 혼합물을 1000부의 빙수에 붓고 여과한다. 이렇게 수득된 케이크를 1
Figure kpo00055
의 물에 분산시킨다. 분산액을 85∼90℃에서 8시간동안 교반한 후, 여과한다. 생성된 고체물질을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하기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모노아조 화합물의 조 생성물을 8부 수득한다.
Figure kpo00056
디스아조 단계 :
상기에서 수득된 4부의 모노아조 화합물을 200부의 DMF에 용해시킨 후, 12부의 3.5% 염산을 가한다. 생성된 혼합물을 5℃ 이하로 냉각한 후, 10%의 아질산나트륨 수용액 12부를 적가한다. 이렇게 수득된 혼합물을 동일한 온도에서 2시간동안 교반한 후, 술팜산을 가해서 디아조화된 액체 혼합물을 수득한다. 10부의 DMF내에 용해시킨 2.2부의 α-나프틸아민 용액을 적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0∼5℃에서 2시간동안 교반한다. 반응 혼합물을 500부의 빙수에 붓고 여과한다. 생성된 고체물질을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하기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디스아조 화합물의 조 생성물을 5부 수득한다.
Figure kpo00057
트리스아조 단계 :
상기에서 수득된 디스아조 화합물 5부를 300부의 DMF에 용해시키고 10부의 35% 염산을 가한다. 생성된 혼합물을 0∼5℃로 냉각하고 8부의 10% 아질산나트륨 수용액을 적가한다. 생성된 혼합물을 동일한 온도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후, 술팜산을 가해서 디아조화된 액체 혼합물을 수득한다. 500부의 빙수에 가한 후, 30부의 10% 가성 소오다 수용액에 용해시킨 2부의 페놀 용액을 적가한다. 생성된 혼합물을 0∼5℃ 및 pH=7∼9에서 2시간동안 교반하고 여과한다. 생성된 고체물질을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하기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트리스아조 화합물인 5.2부의 고체 생성물을 수득한다.
Figure kpo00058
상기의 조 생성물을 톨루엔내에 용해시키고 분리한 후, 실리카 겔로 충진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 한다.
이색성 비율의 측정 :
10부의 메르크사 제조 액정 "ZLI-1840" 및 0.05부의 정제된 색소를 작은 비이커에 담는다. 생성된 혼합물을 약 80℃로 가열하여 완전히 맑은 용액을 만든다. 용액을 방치해서 냉각시킨 후, 생성된 착색 액정 용액을 액정 표시 장치내에 봉합시킨다.
표시장치는 전압을 걸지않은 상태에서 자색을 띤다. 전압을 걸어준 경우, 단지 그의 전극만 거의 무색이 되어 매우 양호한 대조를 이룬다. 또한, 이색성 비율은 최대 흡수 파장인 575nm에서 12.8이다.
실시예 9
실시예 8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된 하기 일반식의 화합물 :
Figure kpo00059
3부를 60부의 DMF에 용해시키고 0.8부의 탄산칼륨 및 0.2부의 요오드화칼륨을 가한다. 생성된 혼합물을 70℃에서 1시간동안 교반한 후, 1.5부의 n-부틸브로마이드를 가하고 80℃에서 2시간동안 교반한다.
실온으로 냉각시켜 300부의 물에 붓는다. 생성된 혼합물을 여과하여 생성된 고체물질을 메탄올로 세척하고 물로 세척하여 하기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조 생성물을 수득한다.
Figure kpo00060
상기-정제된 색소의 "ZLI-1840"내 이색성 비율은 최대 흡수 파장인 560nm에서 14.2이다.
실시예 10
실시예 8의 디스아조 단계에서 α-나프틸아민 대신에 아닐린 메탄술폰산을 반응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8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 및 정제를 수행하여 하기 일반식의 트리스아조 색소를 수득한다.
Figure kpo00061
정제된 색소의 이색성 비율은 최대 흡수 파장인 469nm에서 13.0이다.
실시예 11
하기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디스아조 화합물 :
Figure kpo00062
4.5부를 100부의 DMF에 용해시키고 5부의 35% 염산을 가한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간 교반한 후, 0∼5℃로 냉각하여 8.3부의 10% 아질산나트륨 용액을 적가한다. 이렇게 수득된 혼합물을 동일한 온도에서 2시간동안 교반한 후, 술팜산을 가해서 디아조화된 액체 혼합물을 수득한다. 디아조화된 액체 혼합물에 1.5부의 N,N-디메틸아닐린을 가하고 0∼5℃에서 2시간동안 교반한다. 생성된 혼합물을 500부의 물에 붓고 여과한다. 생성된 고체물질을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하기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조 생성물을 수득한다.
Figure kpo00063
상기-정제된 색소의 "ZLI-1840"내 이색성 비율은 최대 흡수 파장인 540nm에서 15.3이다.
실시예 12
하기 일반식의 화합물 :
Figure kpo00064
2부를 100부의 클로로포름에 분산시키고 0.9부의 N,N'-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를 가한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동안 교반하고, 20부의 에탄올을 가한 후, 생성된 혼합물을 50℃에서 1시간동안 교반한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하고 잔류물에 n-헥산을 가한다. 생성된 혼합물을 여과하고, 이렇게 수득된 고체물질을 건조시켜 하기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조 생성물을 수득한다.
Figure kpo00065
상기-정제된 색소의 "ZLI-1840"내 이색성 비율은 최대 흡수 파장인 472nm에서 16.4이다.
실시예 13
하기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
Figure kpo00066
을 디아조화시키고 α-나프틸아민과 결합시켜 하기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수득한다.
Figure kpo00067
상기 화합물 5부 및 3부의 p-페닐벤즈알데히드를 200부의 톨루엔에 가한다. 생성된 혼합물을 환류하에 5시간동안 가열한다. 가열하면서 톨루엔을 증발시켜 용액의 부피를 절반으로 줄인다. 반응 후, 용매를 감압하에 증류하고 150부의 에탄올을 가한다. 생성된 혼합물을 여과하고, 이렇게 수거된 고체 물질을 에탄올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하기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5.6부를 수득한다.
Figure kpo00068
상기-정제된 색소의 "ZLI-1840"내 이색성 비율은 최대 흡수 파장인 521nm에서 16.7이다.
실시예 14
하기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
Figure kpo00069
을 DMF내에서 디아조화시키고 하기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
Figure kpo00070
과 결합시켜 하기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수득한다.
Figure kpo00071
상기-정제된 색소의 "ZLI-1840"내 이색성 비율은 최대 흡수 파장인 602nm에서 19.6이다.
실시예 15
하기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
Figure kpo00072
11부를 150부의 물에 가한 후, 120부의 35% 염산을 가한다. 생성된 혼합물을 5℃ 이하로 냉각하고 40부의 10% 아질산나트륨 수용액을 적가한다. 동일한 온도에서 2시간동안 교반한 후, 술팜산을 가해서 디아조화된 액체 혼합물을 수득한다. 디아조화된 액체 혼합물을 pH=4로 조절한 후, 6.2부의 α-나프틸아미노메탄술폰산 나트륨염을 함유한 50부의 수용액을 적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0∼5℃에서 2시간동안 교반한다. 그후, 1000부의 가성 소오다 묽은 수용액을 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80℃에서 1시간동안 교반한다. 반응 후, 반응 혼합물을 35% 염산으로 중화시키고 여과한다. 생성된 고체 물질을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하기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모노아조 색소의 조 생성물을 17부 수득한다.
Figure kpo00073
100부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내에 4.2부의 상기-수득된 모노아조 화합물을 용해시키고 20부의 35% 염산을 가한다. 생성된 혼합물을 5℃ 이하로 냉각시키고 10%의 아질산나트륨 수용액을 적가한다. 혼합물을 동일한 온도에서 2시간동안 교반한 후, 술팜산을 가해서 디아조화된 액체 혼합물을 수득한다.
디아조화된 액체 혼합물에 10부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내에 4.0부의 N,N-디메틸아닐린을 용해시킨 용액을 적가한다. 생성된 혼합물을 0∼5℃에서 2시간동안 교반한다. pH를 4로 맞춘후, 100부의 빙수를 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여과한다. 이렇게 수득된 고체물질을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하기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디스아조 색소 5.0부를 수득한다.
Figure kpo00074
디스아조 색소를 톨루엔에 용해시킨 후, 분리하고 실리카 겔로 충진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디스아조 색소를 수득한다.
작은 비이커내에서 상기의 디스아조 색소 0.1부를 43%의 4-n-펜틸-4'-시아노비페닐, 17%의 n-프로폭시-4'-시아노비페닐, 13%의 4-n-펜톡시-4'-시아노비페닐, 17%의 4-n-옥톡시-4'-시아노비페닐 및 10%의 4-n-펜틸-4'-시아노테르페닐로 구성된 액정에 가한다. 생성된 혼합물을 약 80℃로 가열하여 완전히 맑은 용액으로 전환시킨다. 내용물을 방치하여 냉각시킨 후, 생성된 착색 액정 용액을 액정 표시장치내에 봉합시킨다.
표시장치는 전압을 걸어주지 않은 상태에서 자색을 띤다. 전압을 걸어주면 단지 그의 전극만 무색으로 되어 매우 양호한 대조를 이룬다. 또한 이색성 비율은 최대 흡수 파장인 545nm에서 13.8이다.
실시예 16
실시예 15와 동일한 방식으로, 하기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
Figure kpo00075
을 디아조화시키고 pH=8∼9에서 페놀과 결합시켜 하기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수득한다.
Figure kpo00076
그후, 0.5부의 상기 화합물을 가열하여 50부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내에 용해시키고 2.0부의 피리딘 및 0.8부의 프로피오닐 클로라이드를 가한다. 생성된 혼합물을 80℃에서 3시간동안 가열한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100부의 물을 가한다. 이렇게 수득된 혼합물을 여과하여 생성된 고체물질을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켜서, 하기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디스아조 색소를 0. 5부 수득한다.
Figure kpo00077
BDH사 제조 액정 "E-8"내 상기-정제된 색소의 이색성 비율은 최대 흡수 파장인 455nm에서 11. 4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이색성 아조 색소의 구조식 및 이색성 비율을 하기의 표 1∼5에 기재한다.
[표 1]
Figure kpo00078
Figure kpo00079
Figure kpo00080
Figure kpo00081
Figure kpo00082
Figure kpo00083
Figure kpo00084
[표 2]
Figure kpo00085
[표 3]
Figure kpo00086
Figure kpo00087
Figure kpo00088
Figure kpo00089
Figure kpo00090
Figure kpo00091
Figure kpo00092
Figure kpo00093
[표 4]
Figure kpo00094
Figure kpo00095
Figure kpo00096
[표 5]
Figure kpo00097
Figure kpo00098
Figure kpo00099

Claims (18)

  1. 하기 일반식(Ⅰ)
    Figure kpo00100
    에서, m이 1이고 W1및 W2가 모두 -N=N-기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경우, 하기 일반식(Ⅲ)으로 표시되는 아민 :
    Figure kpo00101
    R1은 알킬기, 알콕시알킬기 또는 p-위치와 알킬 또는 알콕시기로 치환될 수 있는 페닐 또는 시클로헥실기 이고, R3및 R3는 각각 수소원자, 알킬, 시클로알킬, 알콕시, 알콕시알콕시, 시클로알킬옥시알콕시, 아릴옥시알콕시 또는 아릴기, 할로겐원자, 또는 시아노 또는 디알킬아미노기이다)을 통상적인 방법으로 디아조화 시킨후, 하기 일반식(IV)로 표시되는 화합물 :
    Figure kpo00102
    (상기식에서, Y1및 Y2는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알킬, 알콕시, 시아노 또는 히드록시 기이다)과 결합(coupling)시켜 하기 일반식(V)로 표시되는 모노아조 색소
    Figure kpo00103
    (상기식에서, A, Y1및 Y2는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를 얻은 다음, 이 모노아조 화합물을 통상적인 방법으로 유사하게 디아조 하여, 하기 일반식(VI)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
    Ar1-NH2(Ⅵ)
    (상기식에서,
    Ar1은 각각
    Figure kpo00104
    를 의미한다)과 결합시켜 하기 일반식(Ⅶ)로 표시되는 디스아조 색소
    Figure kpo00105
    (상기식에서, A, Y1, Y2및 Ar1은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를 수득한 다음, 이러한 디스아조 색소를 통상적인 방법으로 더욱 디아조화시키고 하기 일반식(Ⅷ)로 표시되는 화합물 :
    Ar2-B (Ⅷ)
    또는 하기 일반식(IX)로 표시되는 화합물 :
    Ar2-OH (Ⅸ)
    [상기식에서,
    Ar2
    Figure kpo00106
    이고, B는 히드록실, 알콕시, 알콕시알콕시 또는 p-알킬벤질옥시기,
    Figure kpo00107
    이지만 W1또는 W2가 -N=CH-기일 경우에는 B는 수소 또는 할로겐원자, 시아노기,
    Figure kpo00108
    O-R5일수 있으며, 여기서 R4는 알킬기 또는 p-위치가 알킬 또는 알콕시기로 치환될 수 있는 페닐 또는 시클로헥실기이고, R5는 수소원자 또는 알킬기이며, R6는 알킬기 또는
    Figure kpo00109
    (여기서, R7및 R8은 각각 수소 또는 할로겐원자, 히드록실, 시아노, 알킬, 디알킬아미노, 알콕시 또는 알콕시알콕시기, R9가 수소원자 또는 알킬기인
    Figure kpo00110
    과 결합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식(I)과 그 전구체인 일반식(X) :
    Figure kpo00111
    (상기식에서, A, Y1, Y2, Ar1및 Ar2는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로 표시되는이색성 아조색소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일반식(I)에서 A가 -CN인 이색성 아조색소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일반식(I)에서 A가 -COOR1인 이색성 아조색소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일반식(I)에서 A가
    Figure kpo00112
    인 이색성 아조색소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일반식(I)에서 A가
    Figure kpo00113
    인 이색성 아조색소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일반식(I)에서 R1이 -CH3, -C2H5, -(CH2)3CH3, -(CH2)7CH3,-C2H4CH(CH3)CH2-(CH3)3, -(CH2)10CH3,
    Figure kpo00114
    인 이색성 아조색소의 제조방법.
  7.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일반식(I)의 각 알킬기의 탄소수가 15이하인 이색성 아조색소의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R2및 R3가 각각 수소원자, -CH3, -C2H5-, -(CH2)2CH3, -CH(CH3)2, -(CH2)7CH3, -CH2C(CH3)3, -(CH2)10CH3, -OCH3, -OC2H5, -O(CH2)7CH3, -OC2H4CH(CH3)CH2C(CH3)3, -O(CH2)12CH3,
    Figure kpo00115
    Figure kpo00116
    또는
    Figure kpo00117
    인 이색성 이조색소의 제조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일반식(I)에서 Y1및 Y2가 각각 수소원자, -Cl, -Br, -I, -F, -CN, -OH, -OCH3또는 -CH3인 이색성 아조색소의 제조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일반식(I)에서 Y1및 Y2가 모두 수소원자인 이색성 아조색소의 제조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일반식(I)에서 Ar1및 Ar2가 각각
    Figure kpo00118
    이색성 아조색소의 제조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일반식(I)에서 B가 히드록실기, -OCH3, OC2H5, -OC4H9(n), -OC(CH3)3, -O(CH2)5CH3, -O(CH2)7CH3, OC2H4CH(CH3)CH2C(CH3)3, -O(CH3)12CH3, -OCH2CH2OC2H5, -OCH2CH2OCH2CH(CH3)2,
    Figure kpo00119
    (CH2)6CH3, -N(CH3)2또는 -N(C2H5)2인 이색성 아조색소의 제조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B는 일반식 (Ⅰ)에서
    Figure kpo00120
    로 표시되고 R4는 -CH3, -C2H5, -(CH2)CH3, -(CH2)7CH3, -C2H4CH(CH3)CH2-(CH3)3, -(CH2)10CH3,
    Figure kpo00121
    인 이색성 아조색소의 제조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B가 일반식(Ⅰ)에서
    Figure kpo00122
    로 표시될 경우, R5는 수소원자, -CH3, -C2H5또는 -C4H9인 이색성 아조색소의 제조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B가 일반식(Ⅰ)에서
    Figure kpo00123
    로 표시될 경우, R6는 -CH3, -C2H5, -C4H9(n),
    Figure kpo00124
    Figure kpo00125
    인 이색성 아조색소의 제조방법.
  16. 일반식(Ⅹ)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일반식(XI)로 표시되는 할로겐 화합물 :
    Hal-B' (XI)
    (식중, Hal은 Cl 또는 Br로 표시되는 할로겐원자를 의미하고, B'는 일반식(X)의 화합물과 축합할 수 있어 일반식(Ⅰ)의 B와 동일한 기가 되는 전구체기를 의미한다)과 함께 통상적인 방법으로 탈할로겐화수소 및 축합반응 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식(Ⅰ)로 표시되는 이색성 아조색소의 제조방법.
    Figure kpo00126
    Figure kpo00127
    [상기식에서,
    A는 -CN, -COOR1
    Figure kpo00128
    (R1은 알킬기, 알콕시알킬기 또는 p-위치와 알킬 또는 알콕시기로 치환될 수 있는 페닐 또는 시클로헥실기이고, R2및 R3는 수소원자, 알킬, 시클로알킬, 알콕시, 알콕시알콕시, 시클로알킬옥시알콕시, 아릴옥시알콕시 또는 아릴기, 할로겐원자, 또는 시아노 또는 디알킬아미노기이다)을 의미하고, Y1및 Y2는 각각 수소 또는 할로겐 원자 또는 알킬, 알콕시, 시아노 또는 히드록시기를 의미하고, Ar1및 Ar2는 각각
    Figure kpo00129
    또는
    Figure kpo00130
    를 의미하고; W1및 W2는 각각 -N=N- 또는 -N=CH-이지만 W2가 -N=CH-기일 경우에는 W1은 -N=N-기이고, m은 0 또는 1의 정수이지만 W1이 -N=CH-기일 경우에는 m은 0이고; 및 B는 히드록실, 알콕시, 알콕시알콕시 또는 p-알킬벤질옥시기,
    Figure kpo00131
    이지만 W1또는 W2가 -N=CH-기일 경우에는 B는 수소 또는 할로겐원자, 시아노기
    Figure kpo00132
    Figure kpo00133
    일수 있고, 여기서 R4는 알킬기 또는 p-위치가 알킬 또는 알콕시기로 치환될 수 있는 페닐 또는 시클로헥실기이고, R5는 수소원자 또는 알킬기이며, R6는 알킬기 또는 -CH2
    Figure kpo00134
    (여기서, R7및 R8은 각각 수소 또는 할로겐원자, 히드록실, 시아노, 알킬, 디알킬아미노, 알콕시 또는 알콕시알콕시기, R9가 수소원자 또는 알킬기인
    Figure kpo00135
    이다].
  17. 일반식(I)에서 m=0인 경우, 일반식(V)의 화합물을 디아조화한후, 일반식(Ⅷ)과 결합하거나 일반식(IX)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결합한 다음 일반식(XI)로 표시되는 할로겐화 화합물과 축합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식(I)의 이색성 아조색소의 제조방법.
    Figure kpo00136
    Ar2-b (VIII)
    Ar2-OH (IX)
    Hal-B' (XI)
    상기식에서,
    A는 -CN, -COOR1,
    Figure kpo00137
    (R1은 알킬기, 알콕시알킬기 또는 p-위치와 알킬 또는 알콕시기로 치환될 수 있는 페닐 또는 시클로헥실기이고, R2및 R3는 수소원자, 알킬, 시클로알킬, 알콕시, 알콕시알콕시, 시클로알킬옥시알콕시, 아릴옥시알콕시 또는 아릴기, 할로겐원자, 또는 시아노 또는 디알킬아미노기이다)을 의미하고; Y1및 Y2는 각각 수소 또는 할로겐 원자 또는 알킬, 알콕시, 시아노 또는 히드록시기를 의미하고, Ar1및 Ar2는 각각
    Figure kpo00138
    또는
    Figure kpo00139
    를 의미하고; W1및 W2는 각각 -N=N- 또는 -N=CH-이지만
    W2가 -N=CH-기일 경우에는 W1은 -N=N-기이고, m은 0 또는 1의 정수이지만 W1이 -N=CH-기일 경우에는 m은 0이고; 및 B는 히드록실, 알콕시, 알콕시알콕시 또는 p-알킬벤질옥시기,
    Figure kpo00140
    이지만 W1또는 W2가 -N=CH-기일 경우는 B는 수소 또는 할로겐원자, 시아노기
    Figure kpo00141
    Figure kpo00142
    일수 있고, 여기서 R4는 알킬기 또는 p-위치가 알킬 또는 알콕시기로 치환될 수 있는 페닐 또는 시클로헥실기이고, R5는 수소원자 또는 알킬기이며, R6는 알킬기 또는
    Figure kpo00143
    (여기서, R7및 R8은 각각 수소 또는 할로겐원자, 히드록실, 시아노, 알킬, 디알킬아미노, 알콕시 또는 알콕시알콕시기, R9가 수소원자 또는 알킬기인
    Figure kpo00144
    이고, Hal은 Cl 또는 Br로 표시되는 할로겐원자를 의미하고, B'는 일반식(I)의 B와 동일하다.
  18. 일반식(I)에서 W1또는 W2가 -N=CH-기일때, 일반식(V) 또는 (Ⅶ)로 표시되는 아미노화합물 및 하기 일반식(XII)로 표시되는 알데히드 화합물 :
    OHC-Ar2-B (XII)
    (식중, Ar2및 B는 일반식(I)의 정의와 동일하다.)을 통상적인 방법으로 탈수축합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이색성 아조색소의 제조방법.
    Figure kpo00145
    식중, A는 -CN, -COOR1,
    Figure kpo00146
    (R1은 알킬기, 알콕시알킬기 또는 p-위치가 알킬 또는 알콕시기로 치환될 수 있는 페닐 또는 시클로헥실기이고, R2및 R3는 수소원자, 알킬, 시클로알킬, 알콕시, 알콕시알콕시, 시클로알킬옥시알콕시, 아릴옥시알콕시 또는 아릴기, 할로겐원자, 또는 시아노 또는 디알킬아미노기이다)을 의미하고; Y1및 Y2는 각각 수소 또는 할로겐 원자 또는 알킬, 알콕시, 시아노 또는 히드록시기를 의미하고, Ar1및 Ar2는 각각
    Figure kpo00147
    또는
    Figure kpo00148
    를 의미하고; W1및 W2는 각각 -N=N- 또는 -N=CH-이지만 W2가 -N=CH-기일 경우에는 W1은 -N=N-기이고, m은 0 또는 1의 정수이지만 W1이 -N=CH-기일 경우에는 m은 0이고; 및 B는 히드록실, 알콕시, 알콕시알콕시 또는 p-알킬벤질옥시기,
    Figure kpo00149
    이지만 W1또는 W2가 -N=CH-기일 경우에는 B는 수소 또는 할로겐원자, 시아노기
    Figure kpo00150
    Figure kpo00151
    일수 있고, 여기서, R4는 알킬기 또는 p-위치가 알킬 또는 알콕시기로 치환될 수 있는 페닐 또는 시클로헥실기이고, R5는 수소원자 또는 알킬기이며, R6는 알킬기 또는
    Figure kpo00152
    (여기서, R7, 및 R8은 각각 수소 또는 할로겐원자, 히드록실, 시아노, 알킬, 디알킬아미노, 알콕시 또는 알콕시알콕시기, R9가 수소원자 또는 알킬기인
    Figure kpo00153
    이다.
KR1019860700478A 1984-11-20 1985-11-19 이색성 아조 색소의 제조방법 KR9000077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9243375A JPS61123667A (ja) 1984-11-20 1984-11-20 二色性トリスアゾ色素
JP59248195A JPS61126174A (ja) 1984-11-26 1984-11-26 二色性ジスアゾ色素
JP248195 1984-11-26
JP59267295A JPS61145285A (ja) 1984-12-20 1984-12-20 ベンゾチアゾ−ル環を有するアゾ系液晶表示用二色性色素
JP267295 1984-12-20
PCT/JP1985/000644 WO1986003215A1 (en) 1984-11-20 1985-11-19 Dichroic azo dyes
JP243375 1996-09-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700358A KR860700358A (ko) 1986-10-06
KR900007769B1 true KR900007769B1 (ko) 1990-10-19

Family

ID=27467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700478A KR900007769B1 (ko) 1984-11-20 1985-11-19 이색성 아조 색소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776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700358A (ko) 1986-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55253A (en) Pleochroic anthraquinone dyes
EP0084208B1 (en) Asymmetric dichroic dye molecules having polyazoaryl linking groups and substituted aryl thiazyl substituents
EP0080153B1 (en) Pleochroic azo dyes, a liquid crystal composition containing the azo dyes and a display device using the liquid crystal composition
JPH0237948B2 (ko)
EP0202341B1 (en) Dichroic azo dyes
GB2090274A (en) Dichroic dyestuff
US4676923A (en) Dichroic dyestuffs for liquid crystal and liquid crystal composition
KR900007769B1 (ko) 이색성 아조 색소의 제조방법
JP3783384B2 (ja) 二色性色素、該色素を含む液晶組成物および液晶素子
JPH0558621B2 (ko)
US4883611A (en) Dichroic coloring agents for liquid crystal displays
US4952678A (en) Trisazo dyes
JPH0579116B2 (ko)
JPH0554508B2 (ko)
JPH0625307B2 (ja) シアノビフエニル系液晶表示用二色性アゾ色素
KR870001882B1 (ko) 안트라퀴논 염료의 제조방법 및 이 염료로 이루어진 액정조성물
JP2002294092A (ja) トリフェノジオキサジン化合物、その中間体、それら製造方法並びに二色性色素及び液晶組成物。
JPS6121163A (ja) 二色性ジスアゾ染料
JPH0635552B2 (ja) 二色性ジスアゾ色素
JPH0748520A (ja) 液晶表示用二色性トリスアゾ色素
JPH0546865B2 (ko)
JPS61221267A (ja) 液晶表示用二色性アゾ色素
JPS6335193B2 (ko)
JPS61126174A (ja) 二色性ジスアゾ色素
JPS61174264A (ja) 液晶表示用二色性トリスアゾ色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09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