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7436Y1 - 굴삭기 캐빈 앞창의 개폐 장치 - Google Patents

굴삭기 캐빈 앞창의 개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7436Y1
KR900007436Y1 KR2019870003469U KR870003469U KR900007436Y1 KR 900007436 Y1 KR900007436 Y1 KR 900007436Y1 KR 2019870003469 U KR2019870003469 U KR 2019870003469U KR 870003469 U KR870003469 U KR 870003469U KR 900007436 Y1 KR900007436 Y1 KR 9000074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door
opening
trolley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034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8119U (ko
Inventor
장남선
Original Assignee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이경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이경훈 filed Critical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700034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7436Y1/ko
Publication of KR8800181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811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74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743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68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for overhead wings
    • E05F15/67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for overhead wings operated by flexible or rigid rack-and-pinion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the vehicle front, e.g. structure of the glazing, mounting of the glazing
    • B60J1/04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the vehicle front, e.g. structure of the glazing, mounting of the glazing adju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굴삭기 캐빈 앞창의 개폐 장치
제1도는 굴삭기의 정면도.
제2도는 이 고안의 종단면 구성도.
제3도는 요부 횡단면 구성도이며 대차가 천정부 레일에 위치한 상태이다.
제4도는 천정부 레일의 종 단면 확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캐빈 11 : 창구
12 : 창구레일 13 : 랙
14 : 천정부레일 15 : 주행부
16 : 입구 17 : 차수벽
2 : 문짝 21, 22 : 바퀴
23 : 횡축 3 : 구동기구
31 : 대차 32 : 주행기어
33 : 구동축 34 : DC 감속모터
35, 36 : 도그 37, 38 : 리미트 스위치
이 고안은 굴삭기 캐빈 앞창(Front Window)을 전동식으로 개폐할 수 있는 창문 자동 개폐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굴삭기에 캐빈 앞창은 굴삭기의 작업반경이 확대됨에 따라 넓은 시야, 선명한 시계를 확보할 수 있도록 개폐식으로 변모해 가고 있다.
굴삭기 앞창의 개폐 장치를 설계 함에는 다음 사항이 요구된다.
○ 개방 상태에서 시계(視界)의 최대 확보,
○ 보디의 신속한 좌우 회전시 안정될 것,
○ 신속 간편한 개폐 조작의 가능,
이 고안은 위와같은 요청에 부응하여 문짝을 캐빈의 천정쪽으로 밀어 붙이는 상하, 슬라이딩 개폐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러한 개폐 장치에 의하면 열린 문짝은 캐빈의 천정쪽에 수평 상태로 머물게 되므로최대 시계의 확보, 회전체 상에서의 안정 도모라는 상기 두가지의 설계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것만으로 오퍼레이터의 바쁜 손으로 창문을 개폐할 수는 없으므로 여기에 원터치 조작이 가능한 전동식 자동 개폐 장치를 결합시킴으로써 신속, 간편한 개폐 조작이 실현 되어 상기한 세가지의 모든 요청이 가능케 되는 것이다.
이 고안을 첨부 도면에 의해 상술되면 다음과 같다.
부호 1은 캐빈, 2는 문짝, 3은 구동기구이다.
캐빈의 앞쪽 창구(11) 좌우에 홈통형 창구레일(12)이 배설되며, 이 레일은 전장에 걸쳐 랙(13)이 부설된 천정부 레일(14)로 연장되어 있다.
단면에서 볼때 레일(12)의 주행부(15)는 천정부 레일(14)에 까지 연속되어 있으며 랙(13)은 주행부(15)의 내측으로 비켜서 부설되어 있다.
레일(12), (14)은 횡축과 구동축이 끼워지는 좁혀진 입구(16)를 남기고 차수벽(17)을 구성한다.
문짝(2)의 좌우 상, 하부의 바퀴(21), (22)가 횡축(23)에 의지되어 있으며 바퀴(21), (22)들은 레일의 주행부(15)위에 놓여 있다.
구동기구(3)의 구성은 링크 플레이트를 겸하는 대차(31) 내단의 좌, 우의 주행기어(32)를 레일(14)에 부설된 랙(13) 위에 놓아 물리고, 대차(31)의 외단을 문짝(2)에 링크시키며, 주행기어(32)를 고정한 구동축(33)이 대차에 설치된 DC 감속(34)의 출력축에 접속 연동되고, 대차(31)상의 도그(35), (36)가 전후 동작을 끝에서 천정부 레일(14) 양단의 리미트 스위치(37), (38)에 접속되는 것이다.
이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대차(31)가 천정부레일(14)의 내측으로 이동되면 창문이 열리고 외측으로 이동되면 창문이 닫힌다.
문짝(2)의 동작을 관찰해 보자.
대차(31)에 의해 문짝(2)가 끌려 올려가는 동작초기에서 창구레일(12)내에 있는 상부 바퀴(21)는 주행부(15)를 타고 이동하여 천정부레일(14)의 입구에 이른다.
이때 문짝(2)의 상부는 캐빈내측으로 기울어 지고 하부 바퀴(22)는 창구 레일(12)을 타고 상승되는 것이다.
동작 중반에서, 상부 바퀴(21)는 천정부 레일(14)의 중간쯤와 있고, 마찬가지로 하부 바퀴(22)도 창구 레일(12)의 중간쯤에 위치 한다.
이때 문짝(2)은 크게 기울어진 자세이다.
동작끝에서, 상부 바퀴(21)는 천정부 레일(14)의 내단에 와 있고 하부 바퀴는(22)는 천정부 레일(14)의 입구에 와 있게 된다.
이때 문짝(2)은 천정에 와 있으며 창구(11)는 완전하게 개방 되는 것이다.
창문이 열린 자세를 보면 창구 레일(12)에 있던 바퀴(21), (22)들이 천정부 레일(14)로 이동된 상태가 되는 것이므로 굴삭기 자체의 격심한 좌우 운동에도 최적의 개방 안정 상태를 유지 하게 된다.
대차(31)에 의해 천정부 레일에 머무는 문짝(2)을 외측으로 밀어내면 문짝(2)은 상기와는 반대로 경로를 거쳐 창구레일(12)로 이동되어 창문이 닫히게 된다.
창문에 개폐 동작을 주는 대차(31)의 작용을 보자.
대차(31)의 외단은 문짝(2)의 상단에 링크되어 있으므로 대차(31)의 전, 후진 주행 동작은 위에서와 같이 문짝(2)의 개폐 동작을 유발하는 것이다.
또, 대차는 모터(34)의 회전력으로 주행된다.
즉, 모터(34)의 감속 회전력을 구동축(33) 끝의 주행기어(32)를 돌려준다.
그리하여 주행기어(32)는 정회전 할때 랙(13)위에서 전진하여 내측으로 이동하고, 역회전 할때 랙(13)위에서 후진하게 된다.
이러한 모터(34)의 정, 역회전은 적절한 전원인가 회로에 의해 DC모터(34)에 공급되는 DC 전류의 전극을 바꿔줌으로써 행할 수 있다.
또한 대차(31)에 부설된 도그(35), (36)는 대차의 전, 후진 동작 끝에서 리미트스우치(37), (38)와 접촉된다.
이 리미트 스위치는 문작 개폐 동작의 자동적인 종료기능을 부여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이며, 모터에 주지된 릴레이 전원인가 회로를 부가하고 이 회로를 리미트 스위치(37), (38)가 자동 개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레일(12), (14)들은 횡축(23)이나 구동축(33)이 끼워져 이동하는 입구(16)만 남기고 차수벽(17)이 구비됨으로 바퀴나 주행기어의 노출이 적어져 우수, 먼지등으로 부터 보호되며 주행부(15)나 랙(13)으로 부터 이탈됨이 방지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이 고안에서는 개방 상태에서 최대의 시계확보, 굴삭기 보디 회전시의 안정, 그리고 신속한 자동 개폐 기능이 있는 캐빈 앞창의 개폐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캐빈 창구 좌우의 홈통형 창구레일(12)에서 주행부(15)가 연속 되게끔 랙(13)이 부설된 천정부 레일(14)을 연장시키고, 문짝 좌, 우, 상, 하의 바퀴(21), (22)가 레일의 저행부(15)에 놓이며, 문짝과 링크되는 대차(31)의 주행기어(32)를 랙(13)위에 놓아 치합시키고, 대차(31)상의 DC 모터(34) 회전축이 주행기어(32)의 구동축(33)과 접속되며, 대차 상의 도그(35), (36)가 전후진 동작의 끝에서 천정부 레일 양단의 리미트 스위치(37), (38)에 접속되는 굴삭기 캐빈 앞창의 개폐 장치.
KR2019870003469U 1987-03-19 1987-03-19 굴삭기 캐빈 앞창의 개폐 장치 KR9000074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3469U KR900007436Y1 (ko) 1987-03-19 1987-03-19 굴삭기 캐빈 앞창의 개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3469U KR900007436Y1 (ko) 1987-03-19 1987-03-19 굴삭기 캐빈 앞창의 개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8119U KR880018119U (ko) 1988-10-27
KR900007436Y1 true KR900007436Y1 (ko) 1990-08-16

Family

ID=19260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03469U KR900007436Y1 (ko) 1987-03-19 1987-03-19 굴삭기 캐빈 앞창의 개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743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4050B1 (ko) * 2002-08-16 2005-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8119U (ko) 1988-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16182A (en) Retractable top for a bed of a pick-up truck
JP2000108890A (ja) プラットホーム用開閉柵
KR900007436Y1 (ko) 굴삭기 캐빈 앞창의 개폐 장치
US3924545A (en) Railway car dual access level selection apparatus
CN212773999U (zh) 一种用于高铁站的可移动伸缩站台门模组
KR100203496B1 (ko) 승합차의 도어 자동개폐장치
CN113479139A (zh) 车用两级电动伸缩导板装置
CN218198269U (zh) 一种基于磁悬浮的电动门一体化动力梁
KR200158661Y1 (ko) 자동차용 이동식 루프 캐리어
CN212637297U (zh) 一种建筑垃圾车防尘密闭装置
SU1081103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выгрузки сыпучих грузов из крытых железнодорожных вагонов
CN215845595U (zh) 一种卧式离心铸造机用多功能防护罩
JP3386312B2 (ja) 開閉式屋根装置
KR0126985Y1 (ko) 모터구동식 자동차 선루프
US4953910A (en) Openable roof control device of wheeled motor vehicle
KR920005974Y1 (ko) 승용차문의 자동개폐장치 구조
JPS5935753Y2 (ja) 引戸式扉
JP2851961B2 (ja) 水中移送装置
KR200145900Y1 (ko) 화물차 적재함용 화물 고정구조
JPH07108927A (ja) 列車乗降補助装置
CN110789866A (zh) 一种顶盖机构及具有其的集装箱
RU2031017C1 (ru) Погрузочно-разгруз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с кузовом-фургоном
KR19990024569U (ko) 트럭의 적재함
SU1142394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разгрузки железнодорожных вагонов
SU1028540A1 (ru) Кузов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дл перевозки животны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