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7323Y1 - 테이프 레코더의 카셋트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테이프 레코더의 카셋트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7323Y1
KR900007323Y1 KR2019860015445U KR860015445U KR900007323Y1 KR 900007323 Y1 KR900007323 Y1 KR 900007323Y1 KR 2019860015445 U KR2019860015445 U KR 2019860015445U KR 860015445 U KR860015445 U KR 860015445U KR 900007323 Y1 KR900007323 Y1 KR 9000073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sette
eject
cassette holder
tape
lock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154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8554U (ko
Inventor
신사꾸 다나가
다다오 아라다
다가유끼 기다자와
Original Assignee
다나싱뎅기 가부시기가이샤
신사꾸 다나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나싱뎅기 가부시기가이샤, 신사꾸 다나가 filed Critical 다나싱뎅기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to KR20198600154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7323Y1/ko
Publication of KR8800085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855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73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7323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75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 G11B15/66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Landscapes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테이프 레코더의 카셋트 지지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테이프 레코더의 평면도.
제2도는 동 테이프 레코더의 카세트 장전 상태하에서의 요부 평면도.
제3도는 동 테이프 레코더의 카세트 비 장전 상태하에서의 요부 평면도.
제4도는 카셋트 비 장전 상태하에서의 평면도.
제5도는 녹음 또는 재생 상태에서의 평면도.
제6도 및 제7도는 테이프 카셋트 취출시의 평면도.
제8도는 제4도의 B-B선에서 본 단면도.
제9도는 제5도의 E-E선에서 본 단면도.
제10도는 제4도의 C-C선에서 본 도면.
제11도는 제5도의 F-F선에서 본 도면.
제12도는 제7도의 G-G선에서 본 도면.
제13도는 제4도의 D-D선에서 본 단면도.
제14도는 외부에서의 충격력으로 카셋트 홀더가 동작위치로 절환되는 것을 방지하는 종래의 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주기판 2 : 리일축
3a, 3b : 캡스탠축 4 : 모터
5 : 자기헤드 6a, 6b : 핀치로울러
8 : 회동판 9 : 카셋트 홀더
10 : 절곡편 11 : 카셋트 삽탈구
12 : 테이프 카셋트 13 : 스프링 받이부재
14 : 이젝트 부재 16 : 당접부
17 : 계합돌부 18 : 팽출부
19 : 돌출부 20 : 이젝트 스프링
21 : 계지부재 22 : 당접편
22a : 스프링 23 : 고정계지부
24 : 계지부 25 : 이젝트 조작부재
26 : 계합부 27 : 연결봉
28 : 복귀 스프링 29 : 조작력 전달부재
30 : 복귀 스프링 31 : 수압부
33 : 계합편 34 : 연동부재
36 : 홈 37 : 연결핀
38 : 수압편 39, 40 : 계합돌부
41 : 카셋트 누름 스프링 42 : 당접편
43 : 스톱퍼부 51 : 편체
52 : 돌부
본 고안은 카셋트식 테이프 레코더에 있어서, 외부에서의 충격등에 의하여 카셋트 홀더가 동작위치로 절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테이프 레코더의 카셋트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4도 내지 13도는 특허원 소 59-15676호로서 출원된 이미 공지로 되어있는 카셋트식 테이프 레코더의 개략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즉 제4도는 정지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로서, 주기판(1)의 상면측에는 각 1쌍의 리일축(2a, 2b), 캡스탠축(3a, 3b) 및 이들을 회전 구동하는 모터(4)를 포함한 테이프 구동기구가 장착되어있다.
모터(4)는 양 캡스탠축(3a, 3b)을 각각의 테이프 보냄 방향으로 동시에 회전시킴과 동시에, 1쌍의 리일축(2a, 2b)을 택일적으로 각기 테이프 권취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주기판(1)의 상면에는 녹음재생용의 자기헤드(5) 및 각 캡스탠축(3a, 3b)에 대응한 핀치로울러(6a, 6b)가 장착되고 있으며 또 주기판(1)의 상면에는 제4도에서의 상단연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상하방향(제4도의 지면에 직교한 방향)으로 회동가능한 회동판(8)이 형성되어, 이 회동판(8)의 회동단부에 카셋트홀더(9)가 역시 상하방향(제4도의 지면에 직교한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있다.(제8도, 제9도 참조).
또 회동판(8)에는 카셋트 홀더(9)와는, 제13도에서와 같이, 카셋트 홀더(9)의 상방절곡부(9a)를 회동판(8)의 홈(8a)에 하방으로 끼워 맞추며, 또 카셋트 홀더(9)의 고리상 절곡부(9b)를 회동판(8)의 선단부(8b)의 상측에서 걸어맞추어 연결하고 있다.
회동판(8)의 상방향에의 회동량은 주기판(1)의 측벽상부에 형성된 절곡편(10)에 의하여, 규제되며, 이절곡편(10)의 존재로, 회동판(8) 및 카셋트홀더(9)는 상측으로 이동한 곳에서 주기판(1)과 대체로 평행하게 지지된다.
카셋트홀더(9)는 제4도에 있어서의 하단측(제8도에 있어서의 좌단측)에 카셋트 삽탈구(11)를 가지며, 카셋트 홀더(9)가 카셋트 삽탈위치에 있는 제4도의 상태에서는, 이 카셋트 삽탈구(11)를 통하여 테이프 카셋트(12)를 삽탈시킬수가 있다.
그리고 카세트 홀터(9)내에 테이프 카셋트(12)를 삽입한 상태에서, 제9도에서와 같이, 회동판(8)이 하측방향으로 회동하고, 카셋트 홀더(9가 카셋트 장전위치(즉 동작위치)에 위치하게 되면, 테이프 카셋트(12)는 리일축(2a, 2b) 및 캡스탠축(3a, 3b)과 계합한다.
자기헤드(5)는 카셋트 홀더(9)가 카셋트 삽탈위치에서 카셋트 장전위치로 이동할 때, 이와 연동하여 제4도에서의 좌방향으로 이동하고, 제5도와 같이, 테이프 카셋트(12)내에 들어가 내부의 자기 테이프와 접촉한다.
또 이와같이 자기 헤드(5)가 테이프 카셋트(12)내에 들어가는 동작과 연동하여, 모터(4)에 의하여 구동되고 있는 측의, 리일축과 같은 측의 핀치로울러가 이에 대응한 캡스탠축과 자기테이프를 통하여 압접한다.
예를들면 리일축(2b)이 구동하고 있을때는, 핀치로울러(6b)는 자기테이프를 통하여 캡스탠축(3b)에 압접한다.
이와같이하여 자기테이프는 일방향으로 주행 구동되어 녹음 또는 재생 동작을 하게된다.
회동판(8)의 상면에는 스프링 받이부재(13)가 일단이측(14)에 지지되어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 회동판(8)에는 테이프 카셋트(12)의 삽탈방향(제4도에 있어서의 상하방향)에 미끄럼 가능한 이젝트부재(15)가 장착되어 있다.
이 이젝트부재(15)는, 제8도에서와 같이, 카셋트 홀더(9)내에 삽입된 테이프 카셋트(12)를 당접시킬 당접부(16)를 일단(제4도에 있어서 상단)에 가지며, 또 타단에는 홀더(9)내에 삽입된 테이프 카셋트(12)의 일방 리일 허브구멍에 끼워 맞출 계합돌부(17)를 형성하며, 또 상면에는 회동판(8)의 회동단연에 형성된 팽출부(18)에 당접하여 카셋트 되돌려 누름 방향의 이동량을 규제하는 돌출부(19)를 갖고 있다.
한편, 스프링 받이부재(13)는 그 회동단이 이젝트부재(15)측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젝트부재(15)와 스프링받이부재(13)의 회동단의 사이에는 전개스프링으로된 이젝트 스프링(20)이 건너질러져 있다.
회동판(8)의 하면측에는 스프링받이부재(13)와 같은 공축(14)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판상 계지부재(21)가 형성되며, 이 계지부재(21)는 이젝트 부재(15)의 동작선상에 위치할 당접편(22)과, 주기판(1)의 고정계지부(23)(제9도 참조)에 선택적으로 계합하여 카셋트 홀더(9)를 카셋트 삽탈위치로 계지하는 계지부(24)를 가지며 스프링(22a)에 의하여 계지부(24)를 주기판(1)의 측판상연에 계지시키는 방향으로 상시 회동탄지되어 있다.
주기판(1)의 측판 외면에는, 제10도, 제11도에서와 같이, 이젝트 조작부재(25)가 동도면에서의 좌우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젝트 조작부재(25)는 선단위치에 절곡 형성된 계합부(26)를 가지며, 또 연결봉(27)을 통하여 스프링 받이부재(13)와 연결 되어있다.
또 이 이젝트 조작부재(25)는 복귀 스프링(28)에 의하여 상시 제10도에 있어서 우방향으로 탄지되어 있다.
그리고, 이 이젝트 조작부재(25)가 제10도, 제11도와 같이, 복귀스프링(28)에 의하여 우방향(복귀방향)으로 이동하고 있을때는 스프링 받이부재(13)를 제4도, 제5도와 같이 시계방향(복동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있으며, 제12도와 같이, 이젝트 조작부재(25)를 복귀 스프링(28)에 저항하여 좌방향으로 누르면, 스프링받이 부재(13)도 동시에, 제6도, 제7도와 같이, 반시계방향(왕동방향)으로 회동한다.
주기판(1)의 측판 외면에는, 다시 제10도, 11도와 같이, 이젝트 주작부재(25)의 하측에 위치하여, 판상의 조작력 전달부재(29)가 제10도의 좌우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 조작력 전달부재(29)는 복귀 스프링(30)에 의하여 상시 우방향으로 탄지되어 있다.
제12도와 같이, 이젝트 조작부재(25)가 좌방향에 이동할 때, 조작력 전달부재는 이 이젝트 조작부재(25)의 압압력을 수압부(31)에서 받아 이 이젝트조작부재(25)와 일체로 좌방향으로 이동한다.
또 조작력 전달부재(29)에는 계합편(33)이 절곡 형성되어 있다.
또 주기판(1)의 측판 외면에는, 이젝트 조작부재(25) 및 조작력 전달부재(29)의 전방위치(제10도에서 좌측위치)에 판상연동부재(34)가 축(35)를 지지점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연동부재(34)는 회동판(8)의 측판부에 형성된 장홈(36)에 계합할 연결핀(37)과, 이젝트 조작부재(25)의 계합부(26)에 제10도에 있어서의 우측에서 당접하여 복귀 스프링(28)에 의한 압압력을 받는 수압편(38)과, 조작력 전달부재(29)의 계합편(33)의 전후에 위치한 계합돌부(39, 40)를 구비하며, 카셋트 누름 스프링(41)에 의하여 상시, 제10도에서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 탄지되어 있다.
다음에 동작을 설명하면, 제4도 제8도 및 제10도는 카셋트 비 장전시의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이 상태에서는 이젝트 부재(15)는 이젝트 스프링(20)의 탄성력으로 테이프 카셋트 취출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다.
또 카셋트 홀더(9)는 주기판(1)에서 떨어진 정지위치에 있으며, 계지부재(21)의 계지부(24)는 주기판(1)의 고정 계지부(23)에 계합하여, 카셋트 홀더(9)의 동작위치에의 이동을 금지하고 있다.
또 스프링 받이부재(13)는 연결봉(27) 및 이젝트 조작부재(25)를 통하여 복귀 스프링(28)의 탄성력을 받고 있으며, 그러므로 복귀 방향(이젝트 스프링(29)을 탄지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다.
한편, 조작력 전달부재(29)는 그 계합편(33)이 연동부재(34)의 계합돌부(40)에 당접시켜져 있으며, 복귀 스프링(30)에 의한 복귀 동작은 금지되어 있다.
또 연동부재(34)는 복귀 스프링(30) 및 카셋트 누름스프링(41)의 탄성력을 받아, 장홈(36)과 연결핀(37)과의 계합으로 카셋트 홀더(9)를 동작위치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회동 탄지되어 있으나 고정계지부(23)와 계지부(24)와의 계합으로 그 방향에의 회동은 금지되어 있다.(제4도 참조).
여기서, 테이프 카셋트(12)를 카셋트 홀더(9)내에, 카셋트 삽탈구(11)에서 긴쪽 방향으로 향하며, 또 주기판(1)과 대체로 평행한 상태로 삽입하면, 먼저 이젝트 부재(15)의 계합돌부(17)가 테이프 카셋트(12)의 리일 허브구멍에 걸어 맞추어진다.
이어서 테이프 카셋트(12)의 삽입선상에 위치한 이젝트 부재(15)의 당접부(16)가 테이프 카셋트(12)를 압압하고, 이에따라 이젝트 부재(15)는 이젝트 스프링(20)에 대항하여 후퇴한다.
그리고, 이젝트 부재(15)의 후퇴에 따라, 이젝트 스프링(20)의 탄성 변형량이 점차 증대하고, 그 탄성 변형량이 최대가 되는 위치를 넘으면, 이번에는 이젝트 스프링(20)의 탄성력이 이젝트 부재(15)를 후퇴방향으로 이동 시키도록 작용한다. 이 때문에, 테이프 카셋트(12)를 눌러주는 힘은 불요하게 되며, 이젝트 스프링(20)의 탄성력으로 테이프 카셋트(12)는 카셋트 홀더(9)내에 끌어들여진다.
이어서, 이젝트 부재(15)는 계지부재(21)의 당접편(22)에 당접하여 계지부재(21)를 스프링(22a)의 탄지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회동시킨다.
따라서 계지부재(21)의 계지부(24)는 주기판(1)의 고정계지부(23)에서 벗어나며(제5도 참조), 회동판(8) 및 연동부재(34)는 복귀스프링(30) 및 카셋트 누름 스프링(41)의 탄성력을 받아 하측방향으로 회동하고, 카셋트 홀더(9)도 하강하여 테이프 카셋트(12)를 리일축(2a, 2b) 및 캡스탠축(3a, 3b)에 계합시킨다(제9도 참조).
제5도, 제9도 및 제11도는 카셋트 장전상태, 즉 카셋트 홀더(9)가 동작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 상태에서는 연동부재(34)의 회동으로 조작력 전달부재(29)의 계합편(33)이 계합돌부(40)에서 벗어나, 조작력 전달부재(29)가 복귀 스프링(30)에 의하여 복귀한다.
또 이젝트 조작부재(25)의 계합부(26)는 연동부재(34)의 수압편(38)을 복귀 스프링(28)의 탄성력에 의하여 압압하고 이 압압력은 연동부재(34)를 제11도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 시키도록 작용한다.
한편, 이젝트 스프링(20)의 탄성력은 연결봉(27)을 통하여 이젝트 조작부재(25)에 전달되게 되나 이 탄성력도 복귀 스프링(28)과 같이 이젝트 조작부재(25)에 대하여 우방향으로 작용하고, 다시 연동부재(34)에 대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작동한다.
또 카셋트 홀더(9)가 동작위치에 이동한 것에 관련하여 모터(4)를 기동시켜, 일방의 리일축(예를들면 리일축(2b)과, 양 캡스탠축(3a, 3b)등이 소정방향으로 회전을 개시하고, 동시에 자기헤드(5)가 테이프 카셋트(12)의 방향으로 이동하여 자기 테이프에 접촉하고, 다시 모터(4)의 회전력을 받고있는 측의 리일축과 동일측의 핀치로울러(6b)를 대응한 캡스탠축(3b)에 자기 테이프를 통하여 압접시킴으로서 녹음 또는 재생상태를 형성한다.
다음에 정지 및 테이프 카셋트(12)의 취출의 경우에는, 제6도에서와 같이, 이젝트 조작부재(25)를 누르면 된다.
이 경우, 이젝트 조작부재(25)가 제12도와 같이 조작력 전달부재(29)의 수압부(31)를 압압하여, 조작력 전달부재(29)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 결과, 계합편(33)이 연동부재(34)의 계합돌부(39)를 압압하여 연동부재(34)를 제12도에서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킨다.
따라서 회동판(8)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이에 따라 카셋트 홀더(9)는 정지위치까지 상승하여 테이프카셋트(12)를 리일축(2a, 2b) 및 캡스탠축(3a, 3b)에서 상방향으로 빠져 나오게한다.
또 이젝트 조작부재(25)의 누름조작에 의하여 연결봉(27)을 통하여 스프링 받이부재(13)가 제6도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 이젝트 스프링(20)을 반전시킨다.
이로인하여 이젝트 부재(15)는 이젝트 스프링(20)의 탄성력을 받아, 제7도와 같이, 그 돌출부(19)가 회동판(8)의 팽출부(18)에 당접할 위치까지 전진하여, 테이프 카셋트(12)를 카셋트 삽탈구(11)에서 밀어낸다.
또 계지부재(21)는 스프링(22a)의 힘으로 제7도에 있어서의 시계방향으로 왕동복귀하여, 그 계지부(24)를 주기판(1)의 고정 계지부(23)에 계지시켜, 카셋트 홀더(9)를 정지위치에 유지시킨다.
그리고 이젝트 조작부재(25)를 떼면, 이 부재(25)는 복귀 스프링(28)에 의하여 복귀하여 제4도, 제8도 및 제10도에 표시한 상태로 된다.
상술한 종래의 장치에서는, 테이프 카셋트(12)를 카셋트 홀더(9)에 삽입하고, 이 삽입으로 계지부재(21)를 축(14)을 지지점으로 하여 회동시켜 계지부재(24)를 고정계지부(23)에서 벗어나게 함으로써 카셋트 홀더(9)를 하강시키도록 되어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의 경우는 외부에서 충격력이 작용하면, 계지부재(21)가 축(14)을 지지점으로 하여 제4도안의 화상표(A)로 표시한 바와같이 회동하여 계지부(24)가 고정계지부(23)에서 벗겨지기 쉽다.
이와같이 벗겨지면 카세트 홀더(9)가 재차 제9도와 같이 하강하게 된다. 이와같이 카셋트 홀더(9)가 하강상태에 있을때는 카셋트(12)를 장착할 수가 없다.
자동차 테이프 레코더에 있어서는, 통상 테이프 카셋트 삽탈구(11)의 전면에 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입구를 테이프 카셋트(12)로 밀어 열어서 테이프 카셋트(12)를 카셋트 홀더(9)에 장착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카셋트 홀더(9)가 하강위치에 있는지, 없는지 밖에서는 확인할 수 없다. 그러므로, 테이프 카셋트(12)를 무리하게 눌러 테이프 카셋트 홀더(9)를 파손시키는 경우가 자주 있었다.
그러므로, 종래 제품을 수용하는 경우에는 제14도에서와 같이 회동판(8)과 계지부재(21)등에 나사구멍(45, 46)을 형성하여 이들 나사구멍(45, 46)에 캐비넷(47)측에서 나사(48)를 장착하므로써 계지부재(21)가 충력력으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식을 채용했었다.
그러나, 이러한 수단의 경우, 나사구멍의 가공, 나사, 나사의 취부, 해탈등에 요하는 비용 때문에 제품단가가 상승할 뿐 아니라, 나사를 해탈한 통상 상태하에서는 내충격성이 없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간단한 구성에도 불구하고, 제품 수용시는 물론 통상시에 있어서도 내충격성을 충분히 확보하므로써 카셋트 홀더 및 테이프 카셋트의 보호 및 전체의 저 가격화를 도모하는 테이프 레코더의 카셋트 지지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 것으로, 본 고안은 테이프 카셋트를 삽탈자재로 지지하여 동작위치와 정지위치와의 사이를 이동가능한 카셋트 홀더와; 이 카셋트 홀더를 동작위치 방향으로 탄지하는 카셋트 누름스프링과; 상기 카셋트 홀더를 왕복동 가능하게 삽입장착되어 왕동위치에서 계지부를 고정 계지부에 계합 시킴으로서 상기 카셋트 홀더를 정지위치에 멈추게 하는 계지부재와; 상기 카셋트 홀더에 진퇴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카셋트 홀더에 삽입될 테이프 카셋트의 삽입력을 받아 후퇴하여 상기 계지부재를 상기 고정 계지부에 벗겨, 이젝트 조작에 따른 상기 계지부재의 왕동에 관련하여 주어지는 이젝트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전진하여 테이프 카셋트를 취출방향으로 되돌리는 이젝트 부재를 구비한 테이프 레코더의 카셋트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젝트 부재가 전진위치에 있을 때, 상기 이젝트 부재와 상기 계지부재의 위치관계를, 이 이젝트 부재의 일부가 상기 계지부재의 일부에 접근하여 상기 계지부재의 복동을 금지하도록 설정한 것이다.
테이프 카셋트를 장착하고 있지 않을때는, 계지부재가 복동하고져 해도 이 복동이 이젝트 부재에 의하여 항상 방지된다.
이하 제1도 내지 제3도에 따라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술하면(이를 도면에서 제4도 내지 제13도와 동일부분은 동일부호로 표시하고 따라서 중복되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에서 종래의 것과 상이한 점은 계지부재(21a)의 구조이다.
즉, 계지부재(21a)에는, 제2도 및 제3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이젝트 부재(15)에 근접하여 테이프 카셋트 삽탈구(11)측에 연장한 편체(51)가 일체로 형성되고 있다.
그리고 이 편체(51)의 이젝트 부재(15)와 대향한 측면에서, 선단부분에는 이젝트 부재(15)측을 향하여 돌출한 돌부(52)가 형성되며, 돌부(52)는 이젝트 부재(15)의 이동방향의 폭이 비교적 넓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돌부(52)는 구체적으로는 다음 관계가 성립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이젝트 부재(15)의 후퇴 동작 및 전진동작에 영향을 주지 않고 또 이젝트 부재(15)가 제3도에서와 같이 전진 위치에 있을 때, 이젝트 부재(15)의 측면과의 사이에 계지부(24)와 고정 계지부(23)와 계합상태를 해제함에 필요한 거리(t1) 이내의 간격(t2)을 두고 상기 측면과 대향한 관계가 성립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하면, 카셋트 홀더(9)의 장전 및 취출조작은 종래의 장치와 완전히 같다.
그러나 테이프 카셋트(12)를 장전하고 있지 않을 때, 즉 카셋트 홀더(9)가 상승하여 정지위치에 있을때에는, 상술한 이젝트 스프링(20)이 반전하여 이젝트부재(15)가 전진위치에 있게 되므로, 계지부재(21a)에 형성된 돌부(52)가 거리(t1)이하의 간격(t2)을 두고 이젝트 부재(15)의 측면에 대향하고 있게 된다.
그러므로 카셋트 홀더(9)가 정지위치에 있을 때, 외부에서의 충격력등에 의하여 계지부재(21a)에, 고정계지부(23)에서 계지부(24)를 벗겨내는 방향의 회동력이 작용해도 계지부재(21a)의 회동이 계지부(24)를 고정계지부(23)에서 벗겨내는데 필요한 거리(t1)이하의 간격(t2)으로 규제된다.
따라서, 외부에서 충격력이 가해져도 카셋트 홀더(9)가 하강상태로 절환되는 사태는 없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계지부재(21a)에는 돌부(52)를 형성하지 않고 이젝트 부재(15)의 측면에 이와 동일한 형태의 돌부를 형성하여도 된다.
또한, 계지부재(21a)에도, 이젝트 부재(15)의 측면에도, 돌부를 형성하지 않고 아주 간단하게, 이젝트부재(15)와 계지부재(21a)의 위치관계가 그 이젝트부재(15)가 전진위치에 있는때, 이 이젝트부재(15)의 일부가 계지부재(21a)의 일부(돌부에 한정되지 않음)에 접근하여 계지부재(21a)의 회동을 금지하도록 설정되어도 된다.
본 고안은 이젝트 부재가 전진위치에 있을 때, 이 이젝트 부재로 카셋트 홀더의 정지위치를 지지하는 계지부재의 동작을 규제하고 있으므로, 간단한 구성에도 불구하고 카셋트 홀더가 정지위치에 있을 때 외부에서의 충격력으로 카셋트 홀더가 동작위치로 절환되는 것이 확실하게 방지될 수가 있다.
따라서 전체의 고가격화를 초래함이 없이 제품수용시나, 통상 사용시에 있어서의 내충격성을 향상시킬수가 있어 카셋트 홀더나 테이프 카셋트를 보호할 수 있는 사용의 용이함을 향상시킬수가 있다.

Claims (1)

  1. 테이프 카셋트(12)를 삽탈자재로 지지하여 동작위치와 정지위치와의 사이를 이동가능한 카셋트 홀더(9)와; 이 카셋트 홀더(9)를 동작위치 방향으로 탄지하는 카셋트 누름스프링(41)과; 상기 카셋트 홀더(9)에 왕복동 가능하게 삽입 장착되어, 왕동위치에서 계지부(24)를 고정 계지부(23)에 계합 시킴으로써 상기 카셋트 홀더(9)를 정지위치에 멈추게 하는 계지부재(21a)와; 상기 카셋트 홀더(9)에 진퇴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카셋트 홀더(9)에 삽입될 테이프 카셋트(12)의 삽입력을 받아 후퇴하여 상기 계지부재(21a)를 상기 고정계지부(23)에서 벗겨, 이젝트 조작에 따른 상기 계지부재(21a)의 왕동에 관련하여 주어지는 이젝트 스프링(20)의 탄성력으로 전진하여 테이프 카셋트(12)를 취출방향으로 되돌리는 이젝트 부재(15)를 구비한 테이프 레코더의 카셋트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젝트 부재(15)가 전진위치에 있을 때, 상기 이젝트 부재(15)와 상기 계지부재(21a)의 위치관계를, 이 이젝트 부재(15)의 일부가 상기 계지부재(21a)의 일부에 접근하여 상기 계지부재(21a)의 복동을 금지하도록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레코더의 카셋트 지지장치.
KR2019860015445U 1986-10-08 1986-10-08 테이프 레코더의 카셋트 지지장치 KR9000073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5445U KR900007323Y1 (ko) 1986-10-08 1986-10-08 테이프 레코더의 카셋트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5445U KR900007323Y1 (ko) 1986-10-08 1986-10-08 테이프 레코더의 카셋트 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8554U KR880008554U (ko) 1988-06-30
KR900007323Y1 true KR900007323Y1 (ko) 1990-08-13

Family

ID=19256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15445U KR900007323Y1 (ko) 1986-10-08 1986-10-08 테이프 레코더의 카셋트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732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8554U (ko) 1988-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2201786A (ja) データ記録再生装置のキャリッジ機構
JPH0258700B2 (ko)
US4829393A (en) Automatic magnetic recording medium ejecting mechanism for use in a magnetic recording medium driving unit
JPH05983Y2 (ko)
KR900007323Y1 (ko) 테이프 레코더의 카셋트 지지장치
KR940005106B1 (ko) 카세트 로딩 장치
US4523241A (en) Head shift mechanism in a magnetic tape apparatus
KR900007324Y1 (ko) 테이프 레코더의 카셋트 지지장치
JPH054121Y2 (ko)
KR900002238B1 (ko) 차제용 카셋트식 테이프 레코더
EP0870301B1 (en) Apparatus for the storage and/or reproduction of information on/from an information carrier
US6710971B2 (en) Interpose lever which can be reduced in number of components and assembling steps and tape drive using the same
US6160681A (en) Method for preventing excessive force exerted on a lever assembly
KR0133256B1 (ko) 자기 테이프 기록 및 재생 장치
JPH0258703B2 (ko)
KR930003186B1 (ko) 테이프 레코오더의 테이프 이완 해소장치
KR900002068Y1 (ko) 테이프 레코더의 카셋트 이젝트 장치
JPS6327309Y2 (ko)
KR890005700Y1 (ko) 디스크 카아트리지용 기록 재생장치
JP2570831Y2 (ja) カセットテーププレーヤ
JP2616501B2 (ja) カセットローディング装置
JPH0755706Y2 (ja) カセット装填装置のロック・イジェクト機構
JPH0658436U (ja) テープレコーダのカセット着脱装置
KR900002063Y1 (ko) 테이프 레코오더 장치
JPS6034122Y2 (ja) ヘツドシヤ−シの位置決め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725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