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6909Y1 - 노하 주차장치 - Google Patents

노하 주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6909Y1
KR900006909Y1 KR2019870020695U KR870020695U KR900006909Y1 KR 900006909 Y1 KR900006909 Y1 KR 900006909Y1 KR 2019870020695 U KR2019870020695 U KR 2019870020695U KR 870020695 U KR870020695 U KR 870020695U KR 900006909 Y1 KR900006909 Y1 KR 9000069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ge
parking
road
parking lot
lift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206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0813U (ko
Inventor
이중재
Original Assignee
이중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중재 filed Critical 이중재
Priority to KR20198700206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6909Y1/ko
Publication of KR8900108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081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69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690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E04H6/18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using only vertical transport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노하 주차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주차장치의 구성 및 설치상태를 보인 일부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주차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보인 측면도로서, (a)는 본 고안의 주차케이지가 지하부에 안착된 상태의 측면도, (b)는 본 고안의 주차케이지가 지상부로 완전히 상승한 상태의 작용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주차케이지가 하강된 상태를 정면에서 바라본 제2도의 A-A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하굴착부 1b : 지지벽
10 : 케이지 10b : 지지부
12-1,12-2,12-3 : 주차실 13 : 로울러
14 : 가이드레일 20 : 리프트장치
21,22,23,24 : 링크암 25 : 링크박스
본 고안은 노하(路下)주차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팬더 그래프식 리프트장치를 이용한 다단케이지로 구성되어 주, 정차가 가능한 차도의 연변이나 이면도로등의 지하 주차시설로서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노하 주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종래의 주차시설에는 지상이나 건물의 지하공간을 활용하는 평면주차 시설이 널리 이용되고 있는 바, 이와같은 종래의 평면주차장은 주로 도심 또는 건물의 지하실등과 같은 한정된 평면공간만을 이용하는 것이므로, 많은 대수의 차량을 수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와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최근에는 자동차전용 주차빌딩 또는 자동차를 격납하여 회전순환 이동시키는 수직순환식 입체주차등의 주차시설이 운용되고 있으나, 이들전용 주차빌딩이나 순환식 입체주차장은 평면 주차시설과 마찬가지로 별도의 주차공간의 확보가 필수적 요건으로 되어 있어 각종 건축물이 밀집된 도심부에는 새로운 주차공간의 확보가 어렵고, 이들 주차시설이 상시 지상부 노출되는 지상구조물로 이루어 것이므로 도시의 미관을 해치게 되는 단점이 있다.
특히, 전기한 주차빌딩의 경우, 주차수용능력의 증대를 위하여는 건물의 대형화 및 고층화가 불가피하므로, 방대한 점유면적을 필요로하는 막대한 시설투자가 뒤따르게 되는 반면, 이를 운용함에 있어서도 연속적으로 입·되는 상행차량과 하행 차량간의 중복교차에 따라 통로기능이 복잡화고, 제한된 지상 도로망과 건물 입·구간의 연계소통의 한계성으로 인한 주·배차 기능의 저하에 따라 효율적인 운용관리가 어려운 실정에 있다.
이로 인하여 건물의 고층부 즉, 5-6층 이상의 시설에 대한 주차는 기피되고 있어 방대한 시설규모에 비하여 실용적으로 활용할 수 없게 되는 등의 제점이 있었다.
또한 후기의 순환식 주차장치를 이용한 수직입체 주차장의 경우에는 좁은 면적의 공간부지를 활용하여 비교적 많은 차량을 수용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으나, 주차장의 설치여건 따라 차량의 입·구 부위가 극히 제한을 받게 되므로, 그 입·출구부위의 전방지상부에 차량의 회전을 위한 적당한 공간을 마련하거나 별도의 턴테이블 또는 선회가능한 팰리트 장치등을 부설하여 입·출고되는 차량의 방향을 전환시켜야만 하는 난점이 있으며, 매차량의 입·출고시마다 무단체인으로 연결된 다수개의 케이지를 순차적으로 순환이동시켜야만 하므로, 복잡한 순환구조와 비능률적인 입·출고 작업이 소요되고 임의 유동상태와 순환이동되는 케이지 및 차량의 승강운전시 안정도가 결여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주목적은 상기와 같은 제반 단점 및 문제점을 갖지 않는 노하주차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수대의 차량이 수용되는 다단식 주차케이지를 차도연벽 즉, 이면도로나 노면등의 지하부에 도로의 주행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하여 하강된 각 케이지의 상면이 노면과 동일평면을 이루게 하고, 그 주차케이지의 양측에 부설된 통상의 팬더그래프식 리프트장치에 의하여 승강되게 함으로써, 케이지의 승강작동이 용이하고 각 케이지의 상면이 노면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차량의 입·출고 및 인접 주행차도와의 연계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노하주차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노하주차장치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차도의 연변 또는 이면도로를 따라 일정폭과 깊이로 굴착한 피트(Pit)의 내부에 수대의 차량이 수용될 수 있는 다단식 케이지가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각 케이지의 상면이 노면과 동일평면을 이루게되고, 이와같이 설치되는 각 케이지의 양측벽 상단부에는 유압실린더에 의하여 전개·절첩되는 링크암으로 이루어지는 팬더그래프식 리프트장치가 각기 설치되어 그 하측암의 지지부가 지하부에 고정되고 그 상측암의 상단부가 케이지 상판의 양측단 저면에 접촉고정되어 있어, 리프트장치의 작동에 따라 각 케이지를 선택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노하주차장치에 있어서는 전·후방으로 트여진 입·출구부를 가지는 각 케이지가 차도의 연변이나 이면도로등의 지하부에 차량의 주행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것이므로, 별도의 주차공간부를 확보하거나 지상구조물을 설치하지 않고도 적합한 장소에 간단히 시설할 수 있고, 노면의 미관을 해침이 없이 하강된 케이지의 상면이 통상의 노면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상승된 케이지로부터 출고되는 차량이 그 주행방향을 따라 직진하여 인접차도로 진입할 수 있게 됨으로써 차량의 입·출고 및 연계도로망과의 소통이 신속원활하게 이루어질 수가 있다.
특히 수대의 차량이 수용되는 케이지의 승강작동이 간단한 작동구조를 가지는 팬더그래프식 리프트장치에 의하여 단계적으로 이뤄질수 있게 됨으로써, 그 시공설치와 운전 및 유지관리가 용이하여 안전하고 효율적인 주차설비로 활용될 수가 있다.
상기와같은 본 고안의 목적 및 그이외의 목적과 특징은 일예로서 도시한 첨부도면에 의하여 서술되는 다음의 설명을 고려함으로써 더욱 상세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제1도,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의한 노하주차장치는 차도(D·W)의 연변 또는 이면도로등을 소정폭과 깊이로 굴착하여된 지하굴착부(1a)내에서 임의로 승강될 수 있게 설치되는 일정규격의 장방체상 주차케이지(10)와 그 케이지(10)의 양측벽 상측에 각기 부설되는 통사의 팬더그래프식 리프트장치(20)로 구성된다.
상기한 케이지(10)는 수대의 차량(C)이 각기 수용될 수 있도록 수개의 격판(11)에 의하여 다단(도면에서는 3단으로 도시됨)으로 분리된 수개의 주차식(12-1)(12-2)(12-3)이 형성되어 있고, 각 주차실(12-1)(12-2)(12-3)의 전·후단은 차량(C)이 자유로이 입·출고 될 수 있도록 트여져 있으며, 그케이지(10)의 상판(10a)은 케이지(10)가 완전히 하강 안착된 상태에서 노면(P)과 동일평면을 이루도록 되어있어, 다수개의 케이지(10)가 노면(R·S)의 길이방향 즉, 차량(C)의 주행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와같이 설치되는 각 케이지(10) 양측벽의 수직모서리부 외측에는 수개의 로울러(13)가 케이지(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있고 이들 각 로울러(13)는 지하굴착부(1)의 양측벽(1a)에 수직방향으로 고정설치된 각 가이드레일(14)에 접촉지지되어 있어, 승강되는 케이지(10)의 작동위치를 안정되게 잡아줄 수 있게 되었다.
한편, 이와같이 된 케이지(10)를 승강작동시키는 양측의 팬더 그래프식 리프트장치(20)는 상호연결 조립된 수개의 고정측 링크암(21), (22)과 가동측 링크암(23) (24)으로 각기 구성되어 그 하부일측의 고정측 링크암(22)의 단부가 지하굴착부(1) 양측벽(1a) 상단의 확정 지지벽(1b)에 지지고정된 링크박스(25)의 하단에 설치되어 있고, 그 상부일측에 위치하는 고정측 링크암(21)의 상단은 상기 케이지(10)의 상판(10a) 양측에 연장형성된 각 지지부(10b)의 저면에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그 타측 상·하에 위치하는 자동측 링크암(23) (24)의 단부에는 상기 상판지지부(10b)의 저면 및 지지박스(25) 하단의 각 가이드 레일(26) (27)을 따라 이동되는 로울러(28) (29)가 각기 설치되어있고, 이와같이된 리프트장치(20)의 상·하 고정측 링크암(21) (22)에는 일단 이 케이지 상판(10a) 저면과 지지박스(25)의 하단에 각기 고정된 유압실린더(30) (31)의 피스턴로드(30a) (31b)가 각기 연결되어 있어, 별도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구동되는 유압실린더(30) (31)의 작동에 따라 케이지(10)의 단계적인 승강작동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P는 인도를 보인 것이고, 32는 링크박스(25) 고정용 앵커를 보인 것이다.
다음,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노하 주차장의 동작상태 및 작용효과는 다음과 같다.
상기 제1도와 제2도의 (a)는 인도(P)와 인접한 차도(D·W)연변의 노면(R·S)에 연속으로 설치된 본 고안 노하주차장치의 단위 케이지(10) 내부에 차량(C)이 입고 수용된 상태에서 케이지(10)가 지하굴착부(1)의 내부로 하강안착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이때에는 케이지(10) 양측의 링크박스(25)에 팬더그래프식 리프트장치(20)의 각 링크암(21) (22), (23) (24)이 절첩된 상태로 내장되어 있어, 지상부에 노출되는 케이지 상판(10a)이 상면의 노면(R·S)과 동일한 평면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이와같은 상태에서는 지상부근 즉, 노면(R·S)상에는 케이지 상판(10a)을 제외한 돌출 구조물이 존재하지 않게 되므로, 도로연변의 미관에는 아무런 장애요인을 갖지 않게되고 그 케이지상판(10a)을 통하여 차량의 이동주행 및 주정차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새로운 차량의 입고 또는 수용된 차량의 출고를 위하여 케이지(10)를 상승 이동시키고 자할 경우에는, 별도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팬더그래프식 리프트장치(20)의 유압실린더(30)(31)를 구동하게 되면, 제2도의 (b)에 도시된 바와같이 각 유압실린더(30)(31)의 피스턴로드(30a)(31a)가 절첩된 고정측 링크암(21)(22)을 그 고정축 단부를 중심으로 회전전개시키게 되고, 이에 연동되는 가동축 링크암(23)(24)의 단부에 설치된 로울러(28)(29)가 가이드 레일(26)(27)을 따라 내측으로 이동되면 각 링크암(21)(22)(23)(24)이 함께 펼쳐지게 됨에 따라 상측 링크암(21)(23)의 상단으로 케이지의 상판(10a)을 들어올리게 되므로, 지하 굴착부(1)내에 하강 안착되어 있던 케이지(10)는 그 수직 모서리부에 설치된 각 로울러(13)가 가이드레일(14)을 따라 이동되면서 점차 지상으로 상승작동하게 된다.
따라서, 이때에 통상의 제어방법으로 유압실린더(30)(31)의 작동폭을 조정하여 케이지(10)의 상승높이를 결정함으로써 요구되는 주차실(12-1 또는 12-2)의 하부격판(11) 또는 케이지(10)의 저판이 노면(R, S)과 같은 평면상에 위치되도록 일치시킬 수 있게되므로, 상승된 케이지(10)의 전·후 개방부를 통하여 차량(C)을 입고 또는 출고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이와같이 하여 케이지(10)로 부터 출고되는 차량(C)은 그 전방 또는 후방에 설치된 인접케이지의 상판(10a)을 통과하여 인접된 주행차도(D·W)로 신속히 진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본 고안에 의한 다수의 케이지(10)가 차도(D·W)연변의 노면(R·S)하에 그 주행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된 예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을 실시함에 있어서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각 케이지(10)의 설치방향은 주차공간의 주변환경 및 인접차도와의 연계소통여건등에 따라 상호평행한 병렬식 배열형태로 변형하여 각 케이지(10)의 입·출구 부위가 차도(D·W)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설치될 수도 있으며, 또한 승강장치를 팬더그래프식으로 하지않고 수직승강식 다단유압잭(Telescophic Jack)를 이용하여 케이지(10)를 승강시킬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같은 본 고안에 의한 노하주차장치는 수대의 차량이 다단으로 주차될 수 있는 승차식 지하주차장치를 시설함에 있어서, 다단식 케이지의 양측부에 부설되는 공지의 팬더그래프식 리프트장치를 이용하여 케이지를 임의의 높이로 승강시킬 수 있게 하되, 이들 주차케이지를 주 장치가 가능한 기존 차도의 연변이나 이면도로등의 지하부에 그 주행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하여 각 케이지의 상면이 노면과 동일평면을 이룰 수 있게 한 것이므로, 별도의 주차공간을 확보하거나 지상구조물을 설치하지 않고도 간단히 시설할 수 있게되고 노면의 미관을 전혀 해침이 없이 케이지의 상면이 통상의 노면으로 활용될 수 있게됨과 아울러, 차량의 입·출고시에는 노면의 진행방향을 따라 그대로 직진하여 케이지의 내부로 입고 하거나 출고된 차량의 인접주행차도로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게 됨으로써 차량의 입·출고 및 연계도로망과의 소통이 신속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차량이 수용되는 케이지의 시설 및 승강구조가 간단하고 그 시공 및 운전관리가 용이하여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인 주차설비로서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차도의 연변이나 이면도로등의 주행방향을 따라 형성된 지하굴착부(1)내에 연속적으로 설치되고 전, 후방이 개방된 다단주차실(12-1, 12-2, 12-3)을 가지는 장방갑체상 케이지(10)와, 각 케이지(10)의 양측벽 상측부에 대향되게 부설되고 유압실린더(30)(31)의 구동에 따라 각 링크암(21)(22)(23)(24)을 전개 시키거나 절첩하여 케이지(10)를 승강시키는 공지형태의 팬더그래프식 리프트장치(20)와, 상기 굴착부(1)의 주벽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케이지(10)의 양측벽에 설치된 로울러(13)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1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노하 주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굴착부(1)내에 하강안착된 각 케이지(10)의 상면이 노면과 동일평면상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노하 주차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장치(20)는 그 상측 링크암(21)(23)의 상단이 케이지상판(10a)의 양측 지지부(10b) 저면에 접촉지지되고, 그 하측 링크암(22)(24)의 하단은 지하굴착부(1)상측의 지지벽(1b)에 설치된 링크박스(25)의 하단에 각기 접촉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노하 주차장치.
KR2019870020695U 1987-11-27 1987-11-27 노하 주차장치 KR9000069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20695U KR900006909Y1 (ko) 1987-11-27 1987-11-27 노하 주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20695U KR900006909Y1 (ko) 1987-11-27 1987-11-27 노하 주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0813U KR890010813U (ko) 1989-07-11
KR900006909Y1 true KR900006909Y1 (ko) 1990-08-02

Family

ID=19269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20695U KR900006909Y1 (ko) 1987-11-27 1987-11-27 노하 주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690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8339B1 (ko) * 2012-03-29 2013-01-03 오재황 다층 주차 장치
KR101291348B1 (ko) * 2011-04-01 2013-07-30 박춘식 겹 주차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7659B1 (ko) * 1997-09-12 2000-06-01 오재황 주차장치
KR100351321B1 (ko) * 1999-05-25 2002-09-09 주식회사 신화정밀 액체 충진기
KR20020003170A (ko) * 2001-12-01 2002-01-10 김진성 주택용 다단식 주차설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1348B1 (ko) * 2011-04-01 2013-07-30 박춘식 겹 주차장치
KR101218339B1 (ko) * 2012-03-29 2013-01-03 오재황 다층 주차 장치
WO2013147482A1 (ko) * 2012-03-29 2013-10-03 Oh Jae Hwang 다층 주차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0813U (ko) 1989-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6664B1 (ko) 최대자동차주차장치
US20130078062A1 (en) Modular multistorey robotized car park
US4109804A (en) Vehicle parking system with a plurality of movable columns having vehicle supporting floors
KR900006909Y1 (ko) 노하 주차장치
US5011331A (en) Method and structural elements for construction underground garages
US3520423A (en) Vehicle storage apparatus
CN110670928A (zh) 一种侧方位无避让小型双层停车装置
US2028476A (en) Garage for automobiles and the like
US5046910A (en) Main body structure for underground parking lot and underground parking lot using the structure
RU2119030C1 (ru) Многоэтажная механизированная монорельсовая автостоянка-гараж
WO2005045161A1 (en) Mechanical underground car parks under streets and pedestrian areas
KR910008144Y1 (ko) 노하 주차장치
KR102036732B1 (ko) 차수 장치
EP1375783A2 (en) Mechanical underground car parks under streets and pedestrian areas
RU59672U1 (ru) Многоуровневый стояночно-гаражный комплекс для автомобилей (варианты)
US4538521A (en) Recessible guide rail arrangement for a wheel-supported vehicle
KR102511689B1 (ko) 월파 방지용 차수도어
JPS6341479Y2 (ko)
JP3596946B2 (ja) 立体駐車設備用安全柵
SU1379434A1 (ru) Гараж дл автомобилей
CN112681844B (zh) 多层立体停车系统
RU2129197C1 (ru) Многоярусный гаражный комплекс
CN216517167U (zh) 一种利用人行道开发的集约型街边立体停车场
JPH11152927A (ja) 自転車立体駐車設備
RU78246U1 (ru) Многоместный подземный паркин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03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