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6580Y1 - 습도 감지 장치 - Google Patents

습도 감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6580Y1
KR900006580Y1 KR2019870005064U KR870005064U KR900006580Y1 KR 900006580 Y1 KR900006580 Y1 KR 900006580Y1 KR 2019870005064 U KR2019870005064 U KR 2019870005064U KR 870005064 U KR870005064 U KR 870005064U KR 900006580 Y1 KR900006580 Y1 KR 9000065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midity
input
output
operational amplifier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050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20247U (ko
Inventor
이상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구자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구자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8700050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6580Y1/ko
Publication of KR8800202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2024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65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6580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6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static variables, e.g. electrographic flaw testing
    • G01N27/605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static variables, e.g. electrographic flaw testing for determining moisture content, e.g. humidit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습도 감지 장치
제1도는 본 고안 장치의 회로도.
본 고안은 습도 감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습도 감지기에 교류 정전류를 흘려주어 전압 변동에 따른 습도 감지 기능의 저하를 방지토록한 습도 감지 장치 회로 구성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습도 감지기는 특성상 직류전압은 인가하지 않고 교류전원을 인가토록 되어 있는데 종래에는 상승 교류전원을 이용하거나 또는 자체 교류 발진 회로를 구성하여 교류전원을 습도 감지기에 인가토록 되어 있으므로 전원전압(또는 전류)변동에 따라 습도의 정확한 감지가 어렵고 또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전압 변동에 따른 보상 회로를 추가 하게 되므로 습도 감지 장치의 구성이 복잡해지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자체 발진 회로를 구성할 경우 이상적인 정전압 정현파의 발생이 불가능하여 구형파를 발진 시켜 주로 사용하게 되므로 결국 정확한 습도의 감지를 하지 못하였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습도 감지 장치는 정류 전류 회로에 의하여 습도 감지기에 정전류를 흘려 주게 하므로서 전원 변동을 막고 안정된 습도감지 작용을 수행토록 하여 기기에 대한 신뢰도의 향상을 도모하며 또한 보상 회로나 발진회로의 사용을 배제하여 회로 구성을 간소화하고 이에 따른 제조원가의 절감과 조립 작업 능률의 향상을 기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제1도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구성은, 전원트랜스(T) 2차 측권선과 브릿지 다이오드(D1-D4)의 교류 입력단 사이에 습도 감지기(HR)를 연결하되, 브릿지 다이오드(D1-D4)의 직류 출력단은 평활용 콘덴서(C1)에 연결함과 동시에 저항(R1-R2)과 제너 다이오드(DZ)및 트랜지스터(TR0)로 구성된 정전류 제어회로(A)이 연결하며, 습도 감지지(HR)의 일단은 일측입력(-)이 출력과 연결된 연산 증폭기(IC1) 타측입력(+)에 연결하며, 연산 증폭기(IC1) 출력은 다이오드(D5)와 콘덴서(C2)의 정류 및 평활 회로를 통해 연산 증폭기(IC2) 일측입력(+)에 연결하고, 연산 증폭기(IC2)의 타측입력(-)은 습도 설정용 가변 저항(VR)에, 그 출력은 습도제어 구동회로(B)에 연결하여서된 것이다.
미설명 부호 R3, R4는 저항이다.
본 고안의 작용 효과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트랜스(T)의 2차측에 유기된 전압은 브릿지 다이오드(D1-D4)로 정류되어 콘덴서(C1)로 평활되어 정전류 제어회로(A)에 인가된다.
이때 정전류 제어회로(A)의 제너다이오드(DZ) 양단에 걸리는 전압(VDZ) VDZ=Vbe+IR2, V(be : 트랜지스터(TR0)의 베이스-에미터간 전압, I : 저항(R2)에 흐르는 전류.)
상기식에서 VDZ와 Vbe, R2가 일정하므로 전류(I)도 일정하다. 저항(R1)의 값이 저항(R2)에 비해 크므로 전류(I)는 대부분 트랜지스터(TR0)이 콜렉터 전류가 된다. 그러므로 트랜지스터(TR0)의 콜렉터에는 일정한정 전류가 흐른다.
따라서 정전류 제어회로(A)에 정전류가 흐르면 습도감지기(HR)에도 전원 전압의 변동에 무관하게 일정한 교류 전류가 흐른다.
따라서 습도감지기(HR)에 걸리는 전압(VHR)은 다음과 같다.
VHR=i×r, i : 습도 감지기(HR)에 흐르는 교류 정전류, r : 습도 감지기(HR)의 습도에 따른 저항.
따라서 전류(i)는 일정하므로 전압(VHR)은 저항(r)의 변화에 대해서면 변화 하므로 전원전압변동에 영향은 없게 되는 것이다.
습도 감지기(HR)에 걸리는 전압은 연산 증폭기(IC1)의 입력(+)에 인가되면 그 출력은 다이오드(D5)와 콘덴서(C2)로 정류 평활되어 직류로 변환 한다. 이 직류로 변환된 츨력 전압은 다시 연산 증폭기(IC2)의 입력(+)에 인가되어 습도 제어가 된다.
즉, 가변저항(VR)은 습도 설정용 가변 저항으로서 연산 증폭기(IC1)의 출력과 가변저항(VR)으로 설정된 전압을 비교하여 설정습도를 제어하기 위한 구동회로(B)를 동작 시킨다.
구동회로(B)는 공지의 가습장치 또는 습도 표시장치가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습도 감지 장치의 습도 감지기에 정전류를 흘려줄 수 있어서 정확한 습도의 감지 및 이를 통한 습도 제어에 정확을 기할 수 있게되며 따라서 기기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게 된 것이다.

Claims (1)

  1. 전원트랜스(T) 2차측권선과 브릿지 다이오드(D1-D4)의 교류 입력단 사이에 습도 감지기(HR)를 연결하되, 브릿지 다이오드(D1-D4)의 직류 출력단은 평활용 콘덴서(C1)에 연결함과 동시에 (R1-R2)과 제너다이오드(DZ)및 트랜지스터(TR0)로 구성된 정전류 제어회로(A)에 연결하며, 수도감지기(HR)의 일단은 일측입력(-)이 출력과 연결된 연산 증폭기(IC1) 타측입력단자(+)에 연결하며, 연산 증폭기(IC1) 출력은 다이오드(D5)와 콘덴서(C2)의 정류 및 평화회로를 통해 연산증폭기(IC2) 일측입력(+)에 연결하고, 연산 증폭기(IC2)의 타측입력(-)은 습도 설정용 가변저항(VR)에, 그 출력은 습도 제어구동회로(B)에 연결하여서된 습도 감지 장치.
KR2019870005064U 1987-04-10 1987-04-10 습도 감지 장치 KR9000065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5064U KR900006580Y1 (ko) 1987-04-10 1987-04-10 습도 감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5064U KR900006580Y1 (ko) 1987-04-10 1987-04-10 습도 감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20247U KR880020247U (ko) 1988-11-30
KR900006580Y1 true KR900006580Y1 (ko) 1990-07-26

Family

ID=19261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05064U KR900006580Y1 (ko) 1987-04-10 1987-04-10 습도 감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658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20247U (ko) 1988-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72416A (en) Isolated input current sense means for high power factor rectifier
US3764880A (en) Two-wire current transmitter with isolated transducer circuit
KR900006580Y1 (ko) 습도 감지 장치
KR910008926A (ko) 개선된 전파 정류기/평균화 회로
KR200343267Y1 (ko) 전압검출회로를 구비한 위상제어장치
JPH0334684Y2 (ko)
SU1434237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пределени наличи металла
KR900002111Y1 (ko) 상대습도 감지회로
SU373633A1 (ru) Автокомпенса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мерения
KR900006663Y1 (ko) 수분측정기용 dc/dc콘버어터회로
KR900003645Y1 (ko) 전원 전압 자동 제어 회로
CN1336034A (zh) 用于移动电话的放大器
JPH02103474A (ja) 交流電流検出装置
JPS5912822Y2 (ja) パルス幅↓−電圧変換器
JPH0424283Y2 (ko)
JPH021667Y2 (ko)
KR900005322Y1 (ko) 유도가열 조리기의 소물검지 회로
JP2526597Y2 (ja) 差動変圧器型変位検出器
JPS5848614Y2 (ja) 湿度検出回路
SU744502A1 (ru) Терморегул тор
KR900001911Y1 (ko) 트랜지스터를 이용한 레귤레이터 회로
JP2560725Y2 (ja) 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
JPH0530172Y2 (ko)
KR930011247B1 (ko) 트라이액을 이용한 전압 레귤레이터
KR870001204Y1 (ko) 다출력 안정화 전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06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