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6541Y1 - 안전장치를 가진 아답타 - Google Patents
안전장치를 가진 아답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00006541Y1 KR900006541Y1 KR2019880003552U KR880003552U KR900006541Y1 KR 900006541 Y1 KR900006541 Y1 KR 900006541Y1 KR 2019880003552 U KR2019880003552 U KR 2019880003552U KR 880003552 U KR880003552 U KR 880003552U KR 900006541 Y1 KR900006541 Y1 KR 90000654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olt
- adapter
- plug
- state
- locking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9/00—Coupling parts for selective co-operation with a counterpart in different ways to establish different circuits, e.g. for voltage selection, for series-parallel selection, programmable connec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작용상태 단면도로서, (a)는 본 고안인 아답타와 220볼트용플러그를 결합하기전의 상태도이고, (b)는 본 고안인 아답타와 220볼트용플러그를 결합한 상태도이며, (c)는 본 고안인 아답타와 220볼트용 플러그가 결합한 상태에서 220볼트용 플러그를 아답타로부터 분리되는 상태도이다.
제3도는 본 고안의 작용상태 단면도로서, (a)는 제2도의 (a)의 A-A선 단면도이고, (b)는 제2도의 (b)의 B-B선 단면도이며, (c)는 제2도의 (c)의 C-C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110볼트용 아답타몸체 2 : 220볼트용 플러그
3,3' : 설치홈 4,4' : 버튼 삽입공
5,5' : 단자핀 삽입공 6,6' : 걸림편
7,7' : 누름버튼
본 고안은 110볼트용 아답타와 220볼트용 플러그를 결합함에 있어 결합상태의 유지력을 양호하게 하여 함부로 분리됨을 방지한 안전장치를 가진 아답타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110볼트용아답타와 220볼트용 플러그를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에 있어서 110볼트용아답타와 220볼트용플러그의 결합상태가 견고하지 못하여 110볼트용 아답타와 220볼트용플러그를 결합하여 전원 콘센트에 꼽아 전원이 인가되고 있는 상태에서 전원 콘센트로부터 상기의 아답타와 플러그를 뽑아낼때 아답타와 플러그가 쉽게 분리되어 버리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그러므로 전원콘센트에는 110볼트용아답타가 그대로 꼽혀있고 220볼트용플러그만이 빠져나오므로 한번더 110볼트용아답타를 뽑아야 하는 폐단이 있었다.
더욱이, 상기와 같은 종래의 110볼트용아답타와 220볼트용플러그가 결합하여 전원콘센트에 꼽혀있는 상태에서 220볼트용플러그와 연결된 전원코드에 사용자나 어린이등의 부주의 등으로 인하여 발이 걸리게 되거나, 또는 전원코드와 연결된 제품의 위치를 바꿀때, 220볼트용플러그가 110볼트용아답타로부터 완전분리가 되거나 또는 완전분리가 되지는 아니하였으나 220볼트용플러그의 단자핀이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110볼트용아답타에 꼽혀 있는 상태로 되는 경우가 있다. 즉 220볼트용플러그가 110볼트용 아답타로부터 분리되다가만 상태가 이루어지는 경우이다.
전자의 경우에는 다시 꼽아야하는 불편함이 뒤따르고, 후자의 경우에는 다시 완전하게 꼽아야하는데 이때 노출된 220볼트용플러그의 단자핀에 손가락등이 닿게되면 감진의 위험성이 있는 것이고, 뿐만아니라 그대로 방치하게 되면 이물질등이 단자핀에 닿아 합선이 발생하게 되는 위험이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아답타와 220볼트용플러그가 결합된 상태에서 함부로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로킹수단들을 구성하여 안출한바가 있으나, 구성이 복작하고 또한 220볼트용플러그의 단자핀을 별도로 새로이 제작해야 하므로 기존의 220볼트용플러그는 사용이 불가능하며 220볼트용플러그를 아답타로 부터 분리할때에도 신속하게 분리해내지 못함은 물론 여러번 사용하게 되면 결합상태가 헐거워 결국에는 접촉불량의 문제가 발생되는 폐단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문제점을 해결하고 110볼트용아답타와 220볼트용플러그의 결합상태 유지력이 양호하게 되어 함부로 분리됨을 방지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110볼트용아답타의 상측부에 탄발력을 갖는 걸림편을 설치하고 이를 조작하는 누름버튼을 설치하여 220볼트용플러그와 결합할시 걸림편의 탄발력에 의하여 플러그의 결합상태를 유지토록 하고 분리시에는 누름버튼을 눌러 분리하도록 하여서 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10볼트용아답타몸체(1)와 220볼트용플러그(2)가 결합 및 분리되도록 한 것에 있어서, 상기, 110볼트용아답타몸체(1)의 상측부에는 양측으로 설치홈(3)(3')을 형성하고, 외측으로는 버튼삽입공(4)(4')을 형성하며 상측으로는 단자핀 삽입공(5)(5')을 형성한다.
상기 설치홈(3)(3')에는 탄발력을 갖는 걸림편(6)(6')을 삽입설치하고 또한 걸림편(6)(6')을 조작하기 위한 누름버튼(7)(7')을 설치하며, 누름버튼(7)(7')에는 누름부(8)와 삽입홈(9)및 걸림턱(10)을 형성하여 누름부(8)는 버튼삽입공(4)(4')에 삽입되도록하고 삽입홈(9)에는 상기 220볼트용플러그(2)의 단자핀(11)이 삽입되도록 하며 걸림턱(10)은 상기 버튼삽입공(4)(4')의 연단부에 걸려 외부로 이탈됨을 방지토록 한다. 상기 110볼트용아답타몸체(1)의 설치홈(3)(3')하측으로는 110볼트용단자핀(12)을 형성한 접속캡(13)을 설치토록 하여서 된 구성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4는 체결용나사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효과를 설명한다.
도시된 제2도와 제3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우선, 110볼트용아답타몸체(1)와 220볼트용플러그(2)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된 제2도의 (a), (b)와 제3도의 (a), (b)에 의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제2도의 (a)및 제3도의 (a)와 같은 상태에서, 220볼트용플러그(2)의 단자핀(11)을 110볼트용아답타몸체(1)의 단자핀 삽입공(5)(5')에 삽입하면 단자핀(11)은 누름버튼(7)(7')의 삽입홈(9)을 통하여 접속캡(13)에 접속된다. 이때 설치홈(3)(3')에 삽입설치된 걸림편(6)(6')은 탄발력으로서 220볼트용플러그(2)의 단자핀(11)을 도시된 제2도의 (b)및 제3도의 (b)와 같이 측방에서 압압하여준다. 그러므로 220볼트용플러그(2)는 걸림편(6)(6')의 탄발력에 의하여 110볼트용아답타몸체(1)와 견고하게 결합이 되는 것이다.
다음, 110볼트용아답타(1)와 220볼트용플러그(2)가 결합된 상태에서 분리되는 원리를 도시된 제2도의 (c)와 제3도의 (c)에 의하여 설명한다. 즉, 양측 누름버튼(7)(7')의 누름부(8)를 누르면 양측의 누름버튼(7)(7')은 도시된 제3도의 (c)에서와 같이 양측의 걸림편(6)(6')을 눌러준다. 이에따라 걸림편(6)(6')은 압축되어 단자핀(11)으로부터 이탈된다. 이후 220볼트용플러그(2)를 뽑으면 110볼트용아답타몸체(1)와 용이하게 분리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하여 110볼트용아답타몸체(1)와 220볼트용플러그(2)는 결합 및 분리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220볼트용플러그(2)의 단자핀(11)에 로킹홈 또는 로킹턱을 형성하여 걸림편(6)(6')에 로킹토록하여 사용할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같이 하면 결합상태의 유지력을 더욱 높여 주게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110볼트용아답타몸체(1)에 탄발력을 갖는 걸림편(6)(6')과 누름버튼(7)(7')을 구성시켜 110볼트용아답타몸체(1)와 220볼트용플러그(2)의 결합상태 유지력을 양호하게 하여 임의적으로 분리됨을 방지하고, 분리시에는 누름버튼(7)(7')을 누르면 용이하게 분리가 이루어지는 것이며, 또한 간단한 구성으로서 로킹 및 분리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기존의 220볼트용플러그에 별도의 걸림턱이나 걸림홈등을 형성하지 아니하고 그대로 사용하더라도 양호한 결합상태의 유지력을 가질수 있는 특징을 지닌 것이다.
Claims (1)
110볼트용아답타몸체(1)와 220볼트용플러그(2)가 결합 및 분리되도록 한 것에 있어서, 상기 110볼트용아답타몸체(1)의 상측부에 설치홈(3)(3')을 형성하고 이에 탄발력을 갖는 걸림편(6)(6')과 걸림편(6)(6')을 조작하기 위한 누름버튼(7)(7')을 삽입 설치토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 안전장치를 가진 아답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880003552U KR900006541Y1 (ko) | 1988-03-17 | 1988-03-17 | 안전장치를 가진 아답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880003552U KR900006541Y1 (ko) | 1988-03-17 | 1988-03-17 | 안전장치를 가진 아답타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90020057U KR890020057U (ko) | 1989-10-05 |
KR900006541Y1 true KR900006541Y1 (ko) | 1990-07-26 |
Family
ID=19273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880003552U KR900006541Y1 (ko) | 1988-03-17 | 1988-03-17 | 안전장치를 가진 아답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900006541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1010758A1 (ko) * | 2009-07-22 | 2011-01-27 | Kim Seon Bi | 110v용 안전 콘센트 |
-
1988
- 1988-03-17 KR KR2019880003552U patent/KR900006541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1010758A1 (ko) * | 2009-07-22 | 2011-01-27 | Kim Seon Bi | 110v용 안전 콘센트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90020057U (ko) | 1989-10-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548879A (en) | Fastener device | |
US2732531A (en) | Lockable electric connector | |
US3543218A (en) | Safety connectors for electrical extension cords | |
KR19990077905A (ko) | 버클 | |
US5100339A (en) | Electrical connector structure | |
KR900006541Y1 (ko) | 안전장치를 가진 아답타 | |
GB2416432A (en) | Electrical plug with plunger to assist removal | |
KR200172065Y1 (ko) |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 | |
KR200346211Y1 (ko) | 플러그 소켓 | |
JPH01132073A (ja) | プラグの保持機構 | |
KR960002442Y1 (ko) | 탈리(脫離)가 용이한 플러그 | |
US3039073A (en) | Self-locking electrical plug and socket | |
CN217983825U (zh) | 一种可防拆的电连接器 | |
KR200192636Y1 (ko) | 콘센트 | |
KR910004996Y1 (ko) | 전원용 안전 플러그 | |
KR910005533Y1 (ko) | 모니터의 결합장치 | |
CN214367094U (zh) | 一种可快速定位的杆体连接件和杆体的滑动定位的机构 | |
US2965870A (en) | Electrical connector plug | |
KR200173234Y1 (ko) | 컨넥터의 록장치 | |
KR860003015Y1 (ko) | 버 클 | |
KR890005318Y1 (ko) | 플러그와 콘센트의 결합장치 | |
KR870003287Y1 (ko) | 안전 플러그 | |
KR0130067Y1 (ko) | 사용자 보호용 전원 코넥터 | |
KR880003306Y1 (ko) | 100v/220v 겸용 전원플러그 | |
KR100198820B1 (ko) | 220/110 볼트 겸용 플러그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19970127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