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5318Y1 - 플러그와 콘센트의 결합장치 - Google Patents

플러그와 콘센트의 결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5318Y1
KR890005318Y1 KR2019860014624U KR860014624U KR890005318Y1 KR 890005318 Y1 KR890005318 Y1 KR 890005318Y1 KR 2019860014624 U KR2019860014624 U KR 2019860014624U KR 860014624 U KR860014624 U KR 860014624U KR 890005318 Y1 KR890005318 Y1 KR 8900053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outlet
exposed
fixing piece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146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7020U (ko
Inventor
김양중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600146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5318Y1/ko
Publication of KR88000702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702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53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531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93Means f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at the end of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zero insertion force or no fri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플러그와 콘센트의 결합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2도와 본 고안 플러그와 콘센트의 분리상태 사시도.
제3(a)도는 본 고안 플러그를 콘센트에 결합한 상태의 종단면도, (b)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요부 발췌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 1b : 상, 하체 2 : 노출공
3 : 버튼 4 : 지지부
5 : 고정편 6 : 탄발스프링
7 : 요입부 10 : 결착공
본 고안은 플러그를 콘센트에 임의로 결합하지 못하게 하거나, 또는 결합시킨 다음에는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한 플러그와 콘센트의 결합장치에 대한 것이다.
종래의 플러그는 단자만 콘센트의 단자공이 끼우면 결합이 되었기 때문에 어린이들도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게 되어 기기가 갑작스런 전원공급을 받게됨에 따라 고장이 발생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또 반복 사용하거나, 또는 단자와 단자공이 서로 잘 맞지 않아 단자의 끼워진 상태가 헐거워질 경우 플러그의 중량이나 부주의로 코오드를 건드리게 되면 결합상태가 느슨하게 되어 단자의 일부가 노출되므로 누전이나 감전사고가 발생되는 등의 폐단도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을 플러그내에 탄발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상향되는 고정편을 착설하여 버튼으로 이 고정편을 하향시켜야만 콘센트에 별도로 뚫은 결착공에 고정편이 끼워지게 되거나, 또는 빠져나올 수 있도록 하므로 이를 조작할 줄 모르는 어린이들은 플러그를 결합 및 분리시키지 못하게하여 주며, 또 일단 결합시킨 상태에서는 결착공에 고정편이 결착되어 임의로 결합상태가 분리되거나, 또는 헐러워지지 않게 하여 주므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사용상태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플러그(1)의 상체(1a)전면부측 중간에는 노출공(2)을 뚫어 버튼(3)의 상부가 관통 노출되게 결합하고 하체(1b)의 전면부측 중간 내면에는 지지부(4)를 형성하여 외단에 고정턱(5')이 형성된 고정편(5)을 탄발스프링(6)으로 탄력설치되게 결합시켜 그 외단부가 요입부(7)를 통해 전방으로 노출되게 하므로 상, 하체(1a)(1b)를 결착시키면 양측단자(7)(7')사이의 중간에 위치되게 하며 버튼(3)의 하부는 고정편(5)의 내단부 상면에 밀착되게 하고 콘센트(8)의 단자공(9)(9')사이 중간에는 결착공(10)을 뚫어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플러그(1)를 콘센트(8)에 결합할 때에는 먼저 상체(1a)의 상면으로 노출된 버튼(3)을 눌러주면 이 버튼은 제3(b)도 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향되면서 고정편(5)을 하강시켜 주므로 이에 의해 탄발 스프링(6)은 압축되고 하강된 고정편(5)의 외단 고정턱(5')부분은 콘센트(8)에 뚫어진 결착공(10)위치에 놓이게 되므로 이 상태에서 단자(7)(7')를 단자공(9)(9')에 끼우면 고정턱 (5)부분이 결착공(10)을 관통하여 끼워지면서 플러그(1)가 콘센트(8)에 결합되며 이렇게 한 다음 버튼(3)을 놓아주면 압추되었던 탄발스프링(6)의 탄발력에 의해 고정편(5)과 버튼(3)은 다시 상승되고 이에 따라 상승된 고정편(5)의 외단 고정턱(5')이 제3(a)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결착공(10)의 상부 내주면에 걸려 고정되므로 플러그(1)는 콘센트(8)에 결착 고정되어 고정턱(5')의 고정상태를 해제시켜주지 않으면 결합상태가 임의로 분리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결합하는 본 고안은 플러그(1)를 분리시킬 때에는 제3(b)도에서와 같이 버튼(3)을 눌러서 고정편(5)을 하강시켜 주면 고정턱(5')도 하강되어 결착공(10)에 의한 고정상태가 해제되므로 이때 플러그(1)를 분리시키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사용하는 본 고안은 고정편(5)의 조작방법을 모르면 플러그(1)를 임의로 콘센트(8)에 결합시키거나, 또는 결합된 상태에서 임의로 분리하지 못하게 되어 어린이들이 장난을 할 수 없게 됨은 물런 결합상태가 완강하게 되므로 사용중 부주의로 코오드나 플러그를 건드리게 되어도 결합상태가 느슨하게 되지 않게 되므로 결합상태에서는 단자의 일부라도 전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되어 누전이나 감전 또는 접촉불량 등의 폐단이 제거되는 등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플러그의 상체 (1a)에는 노출공(2)을 뚫어 내부에 결합한 버튼(3)의 상부가 관통되어 노출되게 하고 하체(1b)에는 지지부(4)를 형성하여 고정편(5)과 이를 탄력설치하는 탄발스프링(6)을 결합시켜 상,하체(1a)(1b)를 결착하면 고정편(5)의 외단이 요입부(7)를 통해 전방으로 노출되어 양측단자 사이의 중간에 위치되게 하며 콘센트에는 결착공(10)을 뚫어서 된 플러그와 콘센트의 결합장치.
KR2019860014624U 1986-09-24 1986-09-24 플러그와 콘센트의 결합장치 KR8900053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4624U KR890005318Y1 (ko) 1986-09-24 1986-09-24 플러그와 콘센트의 결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4624U KR890005318Y1 (ko) 1986-09-24 1986-09-24 플러그와 콘센트의 결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7020U KR880007020U (ko) 1988-05-31
KR890005318Y1 true KR890005318Y1 (ko) 1989-08-12

Family

ID=19255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14624U KR890005318Y1 (ko) 1986-09-24 1986-09-24 플러그와 콘센트의 결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531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7020U (ko) 1988-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62697A (en) Safety device for electrical outlet
KR910015912A (ko) 소형 전자 장치의 기능을 확장하기 위한 확장장치
US4904195A (en) Twist-lock female-male plug adapter
KR890005318Y1 (ko) 플러그와 콘센트의 결합장치
US5100339A (en) Electrical connector structure
EP1204178A3 (de) Steckverbinder mit Schalter
CN110265818B (zh) 一种大电流连接器
CN207910163U (zh) 一种电连接结构和带有该电连接结构的灯具
JPS6420515A (en) Connector device
KR900006541Y1 (ko) 안전장치를 가진 아답타
JPS63153495U (ko)
KR100244111B1 (ko) 전원코드 접속장치
KR900003119Y1 (ko) 전기,전자제품의 캐비네트 분리장치
KR200346211Y1 (ko) 플러그 소켓
KR200162008Y1 (ko) 전기터미널 고정가능 커넥터하우징
PL340278A1 (en) Electric cable connector
KR100246005B1 (ko) 와이어 커넥터
JPH0113503Y2 (ko)
KR880003306Y1 (ko) 100v/220v 겸용 전원플러그
JPS6472706A (en) Connector for hair curler
KR880002246Y1 (ko) 전자기기의 복합연결 소켓
KR910004996Y1 (ko) 전원용 안전 플러그
KR900001273Y1 (ko) 홀더 코드 취부 장치
KR20220145775A (ko) 분리가 용이한 전원 플러그
JPS5938075Y2 (ja) 筐体の結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