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6417Y1 - 전화기의 자동 경보장치 - Google Patents

전화기의 자동 경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6417Y1
KR900006417Y1 KR2019870003997U KR870003997U KR900006417Y1 KR 900006417 Y1 KR900006417 Y1 KR 900006417Y1 KR 2019870003997 U KR2019870003997 U KR 2019870003997U KR 870003997 U KR870003997 U KR 870003997U KR 900006417 Y1 KR900006417 Y1 KR 9000064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phone
decimal counter
player
power supply
tape recor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039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8720U (ko
Inventor
이대수
Original Assignee
박 월터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 월터남 filed Critical 박 월터남
Priority to KR20198700039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6417Y1/ko
Publication of KR88001872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872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64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641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4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alarm systems, e.g. fire, police or burglar alarm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화기의 자동 경보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블록도,
제2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원부 2 : 안전스위치
3 : 비상대기시간설정회로부 4 : 센서
5 : 순차스위치회로부 6 : 연결스위치회로부
7 : 포토커플러 8 : 전자식전화기회로부
9 : 경보음발생회로부 10 : 클록발생회로부
11 : 전원 공급스위치회로부 12 : 신호감쇄회로부
13 : 테이프레코더, 플레이어 "가"접점
IC1, IC2: 타이머 IC3: 십진카운터
본 고안은 전화기의 자동 경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화국선을 연결하는 본 장치부에 감지센서와 경보기 및 테이프 레코더, 플레이어를 전자적으로 연결시키고, 메모리 기능을 가진 전지식 전화기와 결합하여 구성한 시스템을 가정, 사무실, 창고등에 설치하므로서 주인이 부재시나 유사시에 자동적으로 경보를 울리게 하고, 자동으로 전화선을 이용하여 신고를 할수 있게 함으로서 도난을 미연에 방지토록 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일반 가정이나 주로 귀금속을 취급하는 상점등에 설치된 전화기와 사고 예방 사설전문 업소간에 유선 또는 무선에 의한 정보시스템을 설치하여 주인이 부재중인 경우에 외부인이 침입하거나 비상사고가 발생되었을 경우에 지정 업소에 비상벨을 울리도록 하였으나, 이는 지정된 업소로만 연락이 가능할 뿐이고 주인의 거처와는 무관하므로, 주인과는 연락이 늦어서 사고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없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결점을 감안하여 본 시스템을 일반 가정이나 사무실 또는 창고등에 설치하여 주인이나 관리인 외출하기 전에 행선지의 전화번호 또는 선택지정한 전화번호를 기억시켜 두거나, 특정장소에 경보벨을 설치하여 두면 외출을 한후에 가정이나 사무실 또는 창고등에 외부인이 들어오거나, 불의의 사고가 발생하게 되면 감지신호에 의해서 테이프 레코더, 플레이어의 녹음이 재생되고, 전화기의 메모리부에 기억시켜둔 행선지 또는 선택지정한 장소의 전화벨이 울리도록 할 뿐만 아니라 특정장소에 설치하여둔 경보벨이 울리도록 함으로서 도난사고의 방지 및 불의의 사고등을 신속하고 원만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함에 주안점을 둔 것으로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전화국선에 연결 사용하는 메모리 전화기에 있어서, 전원부(1)는 안전스위치(2)에 연결되고, 상기 안전스위치(2)에 연결되어 이루어진 비상대기시간, 설정회로부(3)와 센서(4)의 검출신호가 순차 스위치 회로부(5)내의 십진카운터(IC3)를 동작시키고, 상기 십진카운터(IC3)의 각 출력전압으로 실리콘 제어정류기(SCR1)과 릴레이(S2)로 구성된 연결스위치 회로부(6)를 동작시켜서, 국선(T, L)이 상기 릴레이(S2)의 B단자측에 연결되고, 상기 십진카운터(IC3)의 출력전압으로 포토커플러(7)이 동작하여 전자식 전화기 회로부(8)내의 기억 재생버튼에 연결되고, 다른 한 신호는 경보음 발생회로부(9)에 입력되고, 실리콘 제어정류기(SCR2)를 통과하여 상기 십진카운터(IC3)의 동작 시간을 결정하는 시간 조정용 클록 발생회로부(10)과, 연결되고 상대국 이 수화기를 들면 스위치 트랜지스터(TR15),(TR16)으로 신호를 감지하여 테이프 레코더, 플레이어(13)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 스위치 회로부(11)와 전원공급 스위치 회로부(11)로 부터 공급되는 전원으로 테이프 레코더, 플레이어(13)가 동작되어 재생된 메세지가 전화기 회로부(8)에 공급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에 따른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광의 블록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로써, 전원부(1)의 전원장치로부터 DC 12V를 시스템에 급전하고, 이때 전원이 단전되었을때에 대비하여 충전용 밧테리를 설치하였으며, 전원 변환 릴레이의 동작으로 외부전원 또는 내부 충전용 밧테리에 연결된다.
그래서, 평상시에는 안전스위치(2)를단자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본 시스템은 동작하지 않고, 전환선 변환릴레이(S2)의 동작으로단자에 접속되어서 전환기 콘센트단자선(IㆍTㆍL)에 연결된다.
또한, 부재시에는 안전스위치(2)를단자와 위치로 전환시켜 놓으면 이때 직류 전압에 의해 비상대기시간 설정회로부(3)의 전원 지연용 타이머(IC4)이 동작하게 되는데 이는 저항(R1), 반고정저항(R1a)및 평활콘덴서(C2)에 의해 설정되는 시간 조정 시정수에 의하여 수초 또는 수분후에 타이머(IC1)에서 스위칭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에 항상 "하이"전압 상태에서 일정 시간 후에 "로우"전압 상태로 되어 스위칭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가 "로우"전압에서 "하이"전압으로 되면서 스위칭 트랜지스터(TR1)의 에미터에 연결되어 있는 접점 "가"에 전원이 공급되어 비상대기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비상대기 상태에 있을때, 센서(4)가 "온"이 되면 순차 스위치 회로부(5)의 트랜지스터(TR7)가 베이스가 "로우"전압에서 "하이"전압으로 되면서 트랜지스터(TR7)의 에미터 전압이 "하이"전압이 되어, 실리콘 제어정류기(SCR3)가 도통상태가 되어 입력측으로 부터 공급된 전원에 의하여 발광다이오드(LED2)사 점등되고, 트랜지스터(TR6)의 베이스가 "하이"전압으로 되면서 십진카운터(IC3)의 입력단자 ⑮ 가 "로우"전압으로 되어 십진카운터(IC3)가 동작하게 됨에 따라 ④,⑦,⑩,③, 순서로 각 회로에 순차적으로 연결시킨다.
먼저, 십진카운터(IC3)의 출력단자 ④에서 "하이"전압이 나오면서 십진카운터(IC3)의 출력단자 ④는 연결스위치 회로부(6)의 실리콘 제어정류기(SCR1)을 도통시켜 주므로서, 이때 비상대기 상태에 있던 전압이 "가" 단자로 흘러서 발광다이오드(LED1)을 점등시키며, 또한 트랜지스터(TR4)의 베이스를 "하이"전압으로 되어서, 트랜지스터(TR3)의 베이스를 "하이"전압으로 동작되어 이때 흐르는 전압으로 릴레이(S2)가 동작하게 된다.
이때, 트랜지스터(TR3)의 콜렉터에 있던 전압은 외부전화기를 연결하는 국선(T, L : TEL LINE)과 임의의 전화선을 연결하는 전화기 콘센트 단자선(I.T.L : INT TEL LINE)을 전환시켜 주는 릴레이(S2)의 동작으로단자에서단자로 연결되게 되므로서 외부전화선인 국선(T, L)이 비상전화기로 연결됨에 따라서 십진카운터(IC4)의 출력단자⑦에서 "하이"전압의 출력이 인가되어, 포토커플러(7)를 "온"시키게 됨과 동시에 전자식 전화기 회로부(8)에 내설된 Ic5의 기억재생보턴을 연결하여, Ic5에서 기억시켜 두었던 전화번호가 외부 전화국선(T.L)으로 송신되어 상대방의 전화벨을 울리는 것이다.
또한, 십진카운터(IC3)의 출력단자 ⑩에서 "하이"전압이 나와서, 하나의 신호는 경보음 발생회로부(9)로 입력되어 경보음이 발생되고, 동시에 다른 하나의 신호는 실리콘 제어정류기(SCR2)를 도통시켜서 비상대가 상태에 있는 접점 "가"의 전원을 트랜지스터(TR5)의 베이스에 인가하게 된다.
이때, 상기 트랜지스터(TR5)를 구동시켜서 십진카운터(IC3)의 맥동주파수를 느리게 하여 타이머(Ic2)외부에 연결된 테이프 레코더, 플레이어(13)를 통한 음성이 상대국에 전달되는 시간을 연장시킨다.
즉, 이때 타이머(Ic2)의 시간조정 클록 발생회로부(10)에 의하여 십진카운터(IC3)를 동작하는 시간을 결정하게 주게 되는데, 트랜지스터(TR5)의 콜렉터에 연결되어 있는 평활 콘덴서(C7)에 의하여 테이프 레코더, 플레이어(13)에 녹음된 내용의 시간에 따라 타이머(Ic2)의 동작시간을 수십초 또는 수분동안 지연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대국 수화기를 들면 이것을 트랜지스터(TR15),(TR16)으로 검출하여 외부의 테이프 레코더, 플레이어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 스위치 회로부(11)이다.
즉, 상대국에서 수화기를 들었을때 트랜지스터(TR15)의 베이스에 "하이"전압이 가하여 지면서, 트랜지스터(TR16)의 베이스가 "하이"전압이 가하여 지게 되고, 또한 트랜지스터(TR16)의 에미터 에서는 "B"전압이 테이프 레코더, 플레이어(13)가 동작을 하여 신호 감쇄회로부(12)로 미리 녹음되어진 메세지가 재생되고 감쇄 기능의 저항(R40),(R11),(R12)을 통하여 알맞은 신호가 비상전화기의 마이크 회로에 연결되어 국선을 따라서 상대국에 전달하여 주게 되므로서 하나의 동작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나의 동작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대국에서 수화기를 들지 않았을 경우에 타이머(IC2)에 콘덴서(C1), 저항(R9), 콘덴서(C7)의 시정수에 의하여 설정된 시간이 지난 다음에 십진카운터(IC3)의 출력단자 ③에서 "하이"전압이 나오게 되어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에 인가되어 트랜지스터(TR2)의 콜렉터를 "로우"전압으로 되게 하게 되며, 트랜지스터(TR2)의 콜렉터에서 나오는 "로우"전압은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에 인가되어서 접점 "가"지점에 전원이 끊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에 실리콘 제어정류기(SCR3)은 계속 도통되어 있으므로, 십진카운터(IC3)은 각 ④,⑦,⑩,③, 순서를 전술한 바와 같은 동작을 반복적으로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일반가정이나 사무실 또는 창고등에서 주인이나 관리자가 외출시에 행선지나 선택된 장소의 전화번호를 기억시켜 두거나 선택한 장소에 경보장치를 하여놓고, 외출하게 되면 외부의 전화 또는 외부인이 들어왔을때 외출장소에서 직접 신호를 받을 수 있으며, 선택한 장소에서 경보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동작은 자동화 시스템으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비상사태의 경우에 신속하고 원활하게 사후처리를 할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전화국선에 연결 사용하는 메모리 전화기에 있어서, 전원부(1)는 안전스위치(2)에 연결되고, 상기 안전스위치(2)에 연결되어 이루어진 비상대기시간 설정회로부(3)와, 센서(4)의 검출신호가 순차 스위치 회로부(5)내의 십진카운터(IC3)를 동작시키고, 상기 십진카운터(IC3)의 각 출력전압으로 실리콘 제어정류기(SCR1)과 릴레이(S2)로 구성된 연결스위치 회로부(6)를 동작시켜서, 국선(T.L)이 상기 릴레이(S2)의 B단자측에 연결되고, 상기 십진카운터(IC3)의 출력전압으로 포토커플러(7)이 동작하여 전자식 전화기 회로부(8)내의 기억 재생버튼에 연결되고, 다른 신호는 경보음 발생회로부(9)에 입력되고, 실리콘 제어정류기(SCR2)를 통과하여 상기 십진카운터(IC3)의 동작시간을 결정하는 시간조정 클록 발생회로부(10)과 연결되고, 상대국이 수화기를 들면 스위칭 트랜지스터(TR15),(TR16)으로 검출하여 테이프 레코더, 플레이어(13)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 스위치 회로부(11)와, 상기 전원공급 스위치 회로부(11)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으로 테이프 레코더, 플레이어(13)가 동작되도록 구성된 시스템에 전자식 전화기 회로부(8)을 결합하여 테이프 레코더, 플레이어(13)의 재생신호와 센서(4)에 의한 감지신호를 외부인이 자동적으로 인식할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의 자동경보장치.
KR2019870003997U 1987-03-27 1987-03-27 전화기의 자동 경보장치 KR9000064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3997U KR900006417Y1 (ko) 1987-03-27 1987-03-27 전화기의 자동 경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3997U KR900006417Y1 (ko) 1987-03-27 1987-03-27 전화기의 자동 경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8720U KR880018720U (ko) 1988-10-29
KR900006417Y1 true KR900006417Y1 (ko) 1990-07-20

Family

ID=19260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03997U KR900006417Y1 (ko) 1987-03-27 1987-03-27 전화기의 자동 경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641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3006B1 (ko) * 2018-10-04 2020-03-02 (주)에스에므 비상시 전화발신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3006B1 (ko) * 2018-10-04 2020-03-02 (주)에스에므 비상시 전화발신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8720U (ko) 1988-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38031A (en) Home communications and control system
US4417100A (en) Emergency dialer system
US4413158A (en) Automatic call forwarding telephone apparatus
US3794774A (en) Telephone audio program system
US4408102A (en) Two-wire exchange telephone system
KR900006417Y1 (ko) 전화기의 자동 경보장치
US4313037A (en) Telephone station set with improved flash signalling
JP2554647B2 (ja) コ−ドレス電話機
US4258230A (en) Party line telephone system
JP2899321B2 (ja) 電話端末機
JP2899320B2 (ja) 電話端末機
JP2575426B2 (ja) 電話システム
JPS6027294A (ja) ボタン電話装置
JP2607262B2 (ja) 電話交換システムの増設ユニット
JP3215964B2 (ja) プッシュボタン電話機の保留システム及び保留方法
KR890001153B1 (ko) 전화회선을 이용한 자동경보장치
KR900001134B1 (ko) 안전기능이 있는 인터폰 장치
JPS6046918B2 (ja) ボタン電話装置における局線接続制御方式
JP2646409B2 (ja) 電話装置
KR900005432Y1 (ko) 도난 자동 신고장치
KR960010326Y1 (ko) 인터폰겸용 브렌치시스템의 국선접속장치
KR900001616B1 (ko) 전화기를 이용한 화재 경보 시스템
KR870002117B1 (ko) 인터폰 겸용 전화기
KR0127529Y1 (ko) 외부음향기기를 이용한 통화 대기음 송출장치
JPS5838678Y2 (ja) 特定番号通話防止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