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6377B1 - 엘레베이터의 군관리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엘레베이터의 군관리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6377B1
KR900006377B1 KR1019870010877A KR870010877A KR900006377B1 KR 900006377 B1 KR900006377 B1 KR 900006377B1 KR 1019870010877 A KR1019870010877 A KR 1019870010877A KR 870010877 A KR870010877 A KR 870010877A KR 900006377 B1 KR900006377 B1 KR 9000063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elevator
error
rule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0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4975A (ko
Inventor
도루 야마구찌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찌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8900049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49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6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63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02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 B66B1/06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 B66B1/14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 B66B1/18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with means for storing pulses controlling the movements of several cars or c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엘레베이터의 군관리 제어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의 엘레베이터의 군관리 제어wkd치의 시스템 구성도. 제2도는 동 실시예를 실현시키는 스프트웨어 구성도.
제3도-제10도는 동 실시예를 실현시키기 위한 메모리 데이타를 나타낸 도.
제11도는 동 실시예의 할당제어의 흐름도.
제12도는 할당제어에 사용되는 예측연산의 흐름도.
제13도는 예측연산에서 사용되는 승강실의 홀서브 인덱스를 나타낸 도.
제14도는 홀호출에 대한 파생 승강실 호출의 상태를 나타낸 도.
제15도는 예측 미응답시간의 연산결과를 나타낸 도.
제16도는 예측 미응답시간의 확률분포 모드를 나타낸 도.
제17도는 홀호출에 대한 파생 승강실 호출의 상태를 나타낸 도.
제18도는 예측 미응답시간의 확신도를 구하기 위한 도.
제19도는 추론연산의 흐름도.
제20도는 제1의 추론연산에서 사용되는 제어규칙올 나타낸 도.
제21도는 귀속도(歸屬度)함수를 나타낸 도.
제22도 및 제23도는 조건-지시를 나타낸 도.
제24 및 제25도는 제어지령을 구하기 위한 도.
본 발명은 엘레베이터의 군관리 제어에 관한 것이고, 각종의 군제어에 있어서 각각의 목표치에 양호하게 추종시키는 군관리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엘레베이터의 군관리 제어는 홀호출에 대한 할당의 제어와 고수요에 대한 특수운전 제어가 중심이 되어있다. 홀호출에 대한 할당제어에 있어서는 종래는 도작시간등 각종의 예측 연산을 이용한 평가에 의해서 할당을 행하고 있었다. 이로 인해서 예측의 실패에 의해서 할당의 실패가 발생되는 일도 있었다. 이와같은 일을 없애기 위하여 일일 교통의 흐름을 학습하든지 또 그 예측데이타의 신뢰성을 구하는 등이 있었다.
또 그 예측연산 처리에 상당한 처리시간을 요하고 있었다.
학습을 행하는 군관리 제어에 었어서도 확룰적으로 발생하는 홀호출이나 파생되는 승강실 호출을 완전히 예측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홀호출이나 파생되는 호출을 완전히 예측할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종래는 홀호출이나 파생되는 승강실 호출의 예측을 100% 정확한 것으로하여 도착시간등의 예측연산을 행하고 있으므로 이 예측연산에 준한 각종제어에 있어서의 평가의 결정에 잘못이 생긴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하는 것은 설계자 즉 군관리 제어의 전문가의 지식을 직접적으로 제어에 이용하고 상세한 제어를 실현시키고 동시에 그 제어의 기본이 되어있는 조건의 애매함을 가미하여 할당제어의 실패를 적게할 수 있도록 할뿐만 아니라 군관리 제어의 고속처리가 가능한 엘레베이터의 군관리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복수의 서비스층에 대해서 복수의 엘레베이터를 취역시켜 엘레베이터의 운행을 제어하는 군관리 제어방법에 있어서 조건과 지시에 의해서 나타내져 비중이 부여된 복수의 제어규칙을 사용하여 제2의 추론기능으로 복수의 제어지령으로부터 제어지령의 후보를 결정하고, 이 제1의 추론기능에 의해서 결정된 제어지령의 후보에 준하여 전문가의 제어전략을 조건과 지시에 의해서 나타낸 복수의 제어규칙을 사용하여 제2의 추론기능으로 이 제어규칙의 조건이 성립하는 정도 및 지시의 비중부여를 제어규칙마다 결정하고 이 제어규칙마다 비중이 부여된 지시로부터 제어지령의 결정을 행한다.
전문가의 제어전략이라 함은 엘레베이터의 군관리에 대해서 숙지한 엘레베이터의 군관리의 전문가가 경험적으로 얻은 효율이 높은 군관리 제어의 실제적인 지식이다.
조건과 지시에 의해서 나타내지 비중이 부여된 복수의 제어규칙이라 함은 일반적으로 "만약 A이면 B"라는 형태로 표현된 것이고, 또한 이 제어규칙에는 비중부여가 행해진다. 이들의 제어규칙을 사용하여 제1의 추론기능에 의해서 복수의 제어지령으로부터 제어지령의 후보를 결정한다. 예를들면 홀호출의 할당제어에있어서 제어지령은 "A 호기에 할당한다". ,"B 호기에 할당한다", "C 호기에 할당한다" 및 "D 호기에 할당한다" 이다.
상술한 4종류의 제어지령은 엘레베이터의 대수가 증가하면 그것에 수반하여 제어지령도 마련된다. 또 할당제어에 있어서는 상술한 각 제어지령을 할당지령이라 칭한다. 제1의 추론기능에 있어서는 복수의 할당지령으로부터 할당지령의 후보를 결정한다.
다음에 제2의 추론기능에서 사용되는 제어규칙은 일반형으로서 "만약 A이면 B"라는 형태로 표현된 규칙이다. 예를들면 홀호출의 할당제어에 있어서는 전문가의 제어전략을 조건과 지시에 의해서 나타낸 제어규칙중의 하나의 규칙으로 "만약 오래 기다리면 할당하지 않는다"와 같이 표현된다. 이와같이 전문가의 제어전략을 "만약 A이면 B"라는 형태로 표현된 규칙이 복수 준비되어 있다.
제2의 추론기능에 있어서는 제1의 추론기능에 의해서 후보로서 한정된 제어지령을 사용했을 때의 제어규칙에 나타낸 조건이 성립하는 정도를 예측하고 이 정도로부터 제어규칙에 나타내어지는 지시의 비중부여를 행한다. 예를들면 제어규칙이 "만약 오래 기다리게되면 할당을 하지 않는다"라고 하자. 그때에 복수의 엘레베이터중의 한대의 엘레베이터 예를 들면 A 호기에 할당지령으로서 "A 호기에 승강장 호출을 할당한다."를 준 경우에 제어규칙에 나타낸 조건인 "오래 기다리게 된다."가 성립하는 정도를 예측한다. 즉, 승강장호출을 할당한 것에 의해서 오래 기다리게 되는 정도를 예측한다. 이 예측된 정도에 의해서 "할당한다"라는 지시에 비중 부여를 결정한다.
상술한 추론기능으로 제어규칙의 조전이 성립하는 정도 및 지시의 비중부여를 결정하는 것을 각 제어규칙마다 행하고 최종적으로 비중부여된 지사로부터 제어지령을 결정한다.
아래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엘레베이터의 군관리 제어방법을 제1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제1도에 있어서, 1은 군관리 제어장치로 군관리 제어부 1A, 지식공학응용부 1B, 보조기억부 1C로 이루어지고 엘레베이터 제어장치 2, 전송제어기 3, 엘레베이터 감시모니터 4와 시어리얼 전송에 의한 전송전용LSI에 의한 시스템 버스로 결합되어 있다. 홀게이트, 램프, 센서, 디스클레이의 I/O 제어기 5와의 결합은 전송전용 LSI와 범용의 전송소프트웨어에 의한 시어리얼 전송에 의해서 행해지고 있다. 승강실내 제어기 6과 엘례베이터 제어장치 2도 시어리얼 전송에 의해서 결합되어 있다. 빌딩관리 컴퓨터 7의 데이타나 0A용컴퓨터 8의 데이타, 타임레코더 9A의 데이타 입력장치 7통지데이타나 입구카운터 10A의 데이타의 I/O 제어기 10은 전송제어기 3의 인터페이스에 의해서 결합되고 시어리얼 시스템 버스로 전송된다.
본 시스템은 최대사양에 가까운 예이고, 이로인해서 일부분이 없는 시스템일지라도 본 발명을 사용할 수있다.(입력되는 것에 대해서 행한다). 또 7A,8A,4A는 CRT 단말, 키 입력등의 조작 표시계이다.
다음에 제2도를 참조하여 그 소프트 웨어 구성을 설명하겠다
제2도에 있어서, 군관리 제어장치1(제1도)이 개시(S)후 타스크 관리 프로그램 20에 의해서 어느 타스크를 기동하느냐가 결정된다. 타스크는 기능별 소프트웨어 모쥴이고, 조건에 의해서 기동된다. 여기에서 각 타스크의 설명을 간단히 하겠다. 32는 RAM CPU의 레지스터의 초기화 및 각 LST의 초기화를 행하는 초기화 타스크이고 초기상태나 동작의 모드가 바뀌었을 때 기동된다.
21은 CCT(카 콘디숀 테이블), KCT(승강실 콘디숀 테이블), HCT(홀 콘디숀 테이블)등의 외부입력을 RAM 상에 세트시키는 외부입력 타스크이다. 이 외부입력 타스크 21은 우선도가 높고 100msec 정도마다 재기동이 행해진다. 여기에서 HCT는 홀콘디숀 테이블의 약칭이고, 엘레베이터 제어장치에 의해서 홀호출 등록이 되고 그 데이타가 입력된다.
여기에서 가령 군중에 있는 호기를 A-D의 4대로 하고,1-8층이라고 가정하면 상기 HCT, CCT, KCT는 각각 제3도, 제4도, 제5도와 같은 비트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제3도에 나타낸 홀상태를 나타낸 HCT에 있어서 0-13의 홀서브 인덱스(HS)에 대해서 8층의 하강(8D)으토부터 7층의 상승(7U)까지 각 8비트의 정보가 격납되어 있다. 각 층마다 홀상대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예를들면 5층의 엘레베이터홀에서 상승스위치가 눌리면 HS11(5U)의 7비트가 1로 되고, 이 홀호출에 대응하는 서비스 엘레베이터가 후술하는 수법으로 A호기라고 결정되면 HS11의 0비트 및 6비트가 1로 된다. 그리고 상기 A 호기가 5층에 도착하면 HS11의 0,6,7비트가 모두 0으로 리세트된다. 즉, 0-3비트는 각 엘레베이터의 호기세트를 나타내고 6비트는 홀호출에 대한 옐레베이터의 할당의 유무를 나타내고, 또 7비트는 홀호출의 유무를 나타낸다.
제4도의 승강실 상태를 나타내는 CCT에 있어서, 0-3의 인덱스에 대해서 엘레베이터 A 호기로부터 D호기까지 각 16비트의 정보가 격납되어 있다. 즉, 0-3 비트에는 승강실의 하중상태가 2진법으로 나타내 있다. 이들 0-3비트의 의미는 "0001∼0010" "11""100""101"110""111""1000""1001"1010""1011""1100"에 대해서 각각 0-10%, 11-20%, 21-30%, 31-40%, 41-50%, 51-60%, 61-70%, 71-80%, 81-90%, 91-100%, 101-110%, 11%이상을 나타낸다.
5비트는 승강실의 주행상태를 나타내고 "1"은 주행중 "0"은 감속중을 나타낸다. 7비트는 문의 개폐상태를나타내고, "1"은 개방중, "0"은 폐쇄중을 나타낸다. 8-13비트는 승강실 위치를 2진법으로 나타낸 것이다. 14,15비트는 승강식 이동방향을 나타내고. "10"은 상승중, "1"은 하강중, 또 "0"은 무방향 즉, 정지중을 나타낸다.
제5도의 승강실 호출상태를 나타낸 KCT에 있어서 제3도의 HCT와 동양으로 0-3비트가 엘레베이터A-D 호기에 대한 승강실 호출의 유무를 나타낸다.
이상으로 엘레베이터 호출상태가 입력된 것으로 된다.
제2도에 있어서, 22는 할당을 행하는 할당 타스크이다. 이 할당타스크 22는 100msec 정도마다 신발생홀호출을 첵크하고 만약 발생이 있으면 예측 미응답시간 연산 서브루틴 24, 만원등, 손상예측 서브루틴 25 및 평가 서브루틴 23에 의해서 예측 미응답시간, 만원등의 손상에 대한 평가를 행하고 평가가 최량인 호기를 결정한다,
26은 할당재검 타스크이고, 이 할당재검 타스크 26은 약 1초에 1회정도 기동되는 레벨이 낮은 타스크이고, 오래 기다리거나 만원으로 되든지, 예측되는지 하는 홀호출에 대해서 할당변경을 행하는 것이다. 28은각 단체 엘레베이터 교신용 타스크이고, 주기적으로 행하는 데이타의 전송이외에도 필요에 응하여 제어출력이나 데이타 요구등 할당, 할당취소등, 승차인수, 하차인수, 신발생 승강실 호출등이 행해진다. 이들은 버퍼를 이용하여 행해진다. 제6도에 나타낸 바와같은 내용의 데이타가 제7도에 나타낸 바와같은 포매트로 전송되어 온다
29는 년간타이머 각종 타이머이고, 10ms, 100ms 1초등의 각종의 인터벌 타이머와 그들과 조합된 년간타이머의 루틴이다. 또 이들의 데이타는 외부타이머에 의해서 보정된다.
년간타이머에는 월, 일자, 요일, 휴일, 6요(일본민속일)기타의 행사관리 정보가 있고, 제2의 I/O 타스크 31의 프로피 디스크나 제1의 I/O 타스크 30의 CRT등에 의해서 정보가 갱신된다·
제1의 I/O 타스크 30의 CRT 전송입력 출력 캐릭터 디스플레이 터미널용 타스크는 외부의 단말이나 다른 컴퓨터등과의 정보의 전송에 사용된다. 이 타스크 30은 다른 군관리 타스크를 해치지 않도록 낮은 레밸로 타임슬라이스되어 기동된다.
또 제2의 I/O 타스크 31의 (플렉시블)프로피디스크 제어용은 외부의 프로피 디스크에 학습데이타등을기억시킬 때에 기동된다. 제1의 I/O 타스크 30과 동양으로 낮은 레벨로 기동된다. 학습데이타 처리 타스크 27은 외부입력이나 단체로부터의 데이타에 의해서 그 시점의 상대의 데이타 테이블에 세트해가고 또 다음 상태토 변화할 때등 그 데이타를 바꿔넣는 타스크이고 데이타의 변화시나 상태의 변화시에 기동된다. 또 낮은 레벨의 타스크이고, 높은 군관리 타스크를 해치지 않도록 기동된다. 단, 특별한 프래그나 우선순위의 변경등이 행해진 경우에는 변화된다. 여기에서 학습 데이타는 제8도(a),(b),(c),(d),(e)에 나타낸 바와같이 월, 일자, 요일, 6요, 휴일, 시간대(타임벤드)등의 요소에 의해서 몇가지의 동등 교통도도로 분류되고 그 모드별로 제9도 및 제10도에 나타낸 것과 같은 데이타를 갖는다.
제9도 및 제10도에 그들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제9도 및 제10도에 있어서 기호는 아래와 같다.
HCT & RAT : 15분간의 평균 홀호출 발생개수
KCT & RAT : 평균승강실 호출 발생개수
IN & RAT : 승차인수 평균
OUT & RAT : 하차인수 평균
KCT & SET : 각 층에 대한 승강실 호출 발생율.
HCT & RAT-OUT & RAT는 방향부층의 인덱스 HS(홀서브 인덱스)에 의해서 나타내어진다. KCT& RAT는 A층부터 B층으로라는 A, B 매트릭스에 의해서 나타내고 있다.
또 고수요시는 그들의 변화가 세분된 기간별로 학습되어 있다. 이들은 AV & MEN & P(HS.t)로 각 HS와 t에 대해서 나타내어진다. 단 t는 시각이다.
기타의 타스크로서는 제2도에 있어서 1초 간격으로 기동되고, 외부의 빌딩관리 컴퓨터와 데이타의 입력, 출력의 데이타 교신이나 그로인한 데이타 수집을 행하는 타스크 34나 그 데이타를 이용하여 수요를 앞서 얻고 교통수요를 예측하고 운전모델을 결정하는 교통수요예측 타스크 33이 있고, 이들의 타스크 33, 34는 100msec 마다 기동된다. 또 이들에 의해서 기동되는 운전모델의 타스크로서 각종 운전 타스크 35가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의한 군관리 제어방법에 있어서 홀호출에 대한 할당제어에 관해서 설명하겠다.
할당제어는 제1도에 나타낸 군관리 제어장치 1내의 군관리 실제어부 1A 및 지식공학 응용부 1B등에 의해서 행해진다. 제1l도에 할당제어의 흐름도를 나타냈다. 또 설명의 편의상 4대의 엘레베이터(A 호기, B호기, C 호기 및 D 호기)가 군관리 제어되는 것으로 한다.
상술한 구성의 설명에 있어서는 8층의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아래 설명에서는 편의상 12층일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엘레베이터의 군관리 제어에 있어서의 홀호출에 대한 할당제어에 관해서 설명하겠다. 할당제어는 엘레베이터의 운행모드에 의해서 그 제어의 방법이 다르다.
일예로서 각층의 교동의 흐름이 밸런스 상태에 있을 경우의 운행모드에 있어서의 할당제어에 관해서 설명하겠다.
할당제어에 있어서는 제어의 목표로서 하기의 것이 있다.
(1) 오래 기다리는 호출을 줄인다.
(2) 양호한 호출을 증가시킨다.
(3) 고수요충의 서비스를 양호하게 유지한다.
(4) 만원통과를 줄인다.
상술한 목표는 전문가가 갖고 있는 지식에 의한 것이고, 할당제어에 있어서의 전문가의 제어전략이다. 제2의 추론기능에 있어서 상술한 각각의 제어전략에 대응하는 조건과 지시에 의해서 나타낸 제어규칙이 준비된다. 예를들면 "오래 기다리는 호출을 줄인다"에 대응하는 제어규칙은 "오래기다리게 되면 할당을 하지 않는다"이다.
"양호한 호츨을 중가시킨다"에 대해서는 "양호한 호출이면 할당한다" 등이고, 다른 제어전략에 관해서도 동양으로 "만약 A이면 B"의 형식의 제어규칙이 준비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제1의 추론기능으로 복수의 할당지령으로부터 할당지령의 후보를 결정하고, 후보로된 할당지령에 준하여 상술의 제어규칙에 나타낸 조건의 성립정도 및 지시의 비중부여를 제2의 추론기능에의해서 각 제어규칙마다 결정한다. 상술한 조건의 성립정도라 함은 조건이 "오래 기다리게 되면"이면 오래기다리계 되는 정도를 말한 것이다. 이 정도가 높다는 것은 매우 오래 기다리게 되는 것을 의미하고 가늠이 되는 정도인 것이다. 이 정도가 높다는 것은 매우 오래 기다리게 되는 것을 의미하고 정도가 낫다는 것은 다소 오래 가다리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술한 제2의 추론에 있어서는 제1의 추론기능에 의해서 후보로 선택된 할당지령에 대응하는 엘레베이터 호기로 가할당(假割當)을 행함으로써 오래 기다리게 되는 정도를 예측하고 그 정도로부터 지시의 비중부여를 행한다. 즉, 제1의 추론기능에 의해서 후보로 선택된 할당지령이 "A 호기에 할당한다", "B 호기에할당한다. 및 "C 호기에 할당한다"이면 각각 A 호기, B 호기, C 호기에 가할당을 행한다. 가할당을 행했을때에 오래 기다리게 될것 같으면 할당을 행하지 않는 방향으로 지시의 비중부여를 행한다. 각 제어 규칙마다 결정된 지시의 비중부여를 종합적으로 평가하고 할당제어에 있어서는 "할당한다"라는 제어지령의 강도를 결정한다.
이상의 제어지령의 강도의 결정을 엘레베이터 호기에 대해서 각각 행하고 가장 제어지령이 강한 것에 대해서 할당을 행한다.
즉, 가장 제어지령이 강한 엘레베이터가 A 호기, B 호기, C 호기중의 A 호기일 경우에는 A 호기에 대해서 "A 호기에 할당한다"라는 제어지령을 줌으로써 A 호기에 할당을 행하게 되는 것이다.
할당을 졀정할 때에 상술의 목표를 모두에 대해서 완전히 만족시키는 엘레베이터 호기에 할당을 행하려면 할당을 행할 수 없게 된다. 그래서 목표를 가장높은 정도로 만족시키는 엘레베이터 호기에 할당을 행한다.
그로인해서 상술한 제어전략에 의해서 제어규칙을 준비하고 그 조건이 성립되는 정도 및 지시의 강도를 구하여 제어지령의 강도를 결정한다. ·
다음에 할당제어에 관해서 설명하겠다.
제11도에 나타낸 흐름도를 사용하여 할당제어에 있어서의·할당의 결정에 관해서 설명하겠다. 단계 1에 있어서는 고장중, 군외운전중등으로 할당제어를 행할 수 없는 엘레베이터 호기를 할당제어의 대상외로 한다. 다음 단계 2에 있어서는 이후의 단계 4에 있어서의 추론연산에 필요한 데이타가 예측연산을 행한다. 단계 3에 있어서는 단계 2에서 얻어진 각종 데이타를 단계 4의 추론연산을 행하는데 적합한 형태로 변환하기 위한 전처리가 행해진다. 단계 4에서는 추론연산이 행해진다, 이 추론연산에 있어서는 제1의 추론연산 및 제2의 추론연산이 행해진다. 제1의 추론연산에 있어서는 할당제어에 있어서의 제어지령인 복수의 할당지령을 몇몇 후보로 한정한다. 다음에 제2의 추론연산에 있어서는 제1의 추론연산에 의해서 후보로서 선택된 할당지령에 따라서 연산을 행한다. 이 제2의 추론연산은 전문가의 제어전략을 조건과 지시에 의해서 나타낸 각각의 제어규칙의 조건의 성립정도 및 지시의 비중부여를 행한다. 제어규칙마다 비중이 부여된 제어지령의 강도를 결정한다. 이 제어지령은 A 호기에 대해서는 "홀호출을 A 호기에 할당한다"이고, B 호기에 대해서는 "홀호출을 B 호기에 할당한다"이고, C호기에 대해서는 "흘호출을 C 호기에 할당한다"이다. 상술한 단계 2로부터 단계 4까지의 각 연산의 각 호기이 더해서 행해진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지시의 비중부여의 정도를 지시의 강도라 칭한다. 단계 5에 있어서 각 호기의 제어지령의 강도를 비교하여 가장 제어지령이 강한 호기에 최종적으로 새롭게 발생한 홀호출을 할당하는 지령을 출력한다. 이상으로 새롭게 발생한 홀호출에 어느 호기를 할당할 것인가가 결정된 할당제어가 완료된다.
상술한 단계 4에 있어서는 각 제어규칙마다 조건의 성립정도 및 지시의 강도의 결정이 행해지지만 이하 제어규칙의 하나인 "오래 기다리게되면 할당을 행하지 않는다"의 조건의 성립정도 및 지시의 강도의 결정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따라서 상술의 제어규칙에 대응하여 단계 2에 있어서는 각 호기의 예측 미응답시간, 최소예측 미응답시간, 최대예측 미응답시간 및 예측 미응답시간의 확신도의 연산이 행해진다. 이 확신도는 소정의 시간내에 승강실이 도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상술한 예측 연산에 관해서 제12도에 나타낸 흐름도를 사용하여 설명하겠다.
단계 2a에 있어서 현재 승강실이 있는 홀서브 인덱스 HS를 세트한다. 제13도에 홀서브 인덱스 HS를 나타냈다. 홀서브 인테스 HS는 현재 승강실이 있는 층과 승강실의 운전방향을 고려한 것이다. 12층에 있는엘레베이터에 관해서 설명하면 12층에 승강실이 있고, 하강운전을 행할 경우는 이 승강실의 홀서브 인덱스HS는 '0'이 된다. 12층부터 하강함에 따라서 제1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홀서브 인덱스 HS의 값은 커진다. 또 1층에 승강실이 있고, 상승운전을 행할 경우에는 그 승강실의 홀서브 인덱스 HS는 '11'로 되고 l층부터 상승함에 따라서 커진다. 예를들면 A 호기의 승강실이 11층부터 하강할 경우는 이 승강실의 홀서브 인덱스HS는 '1'이 된다. 또 승강실의 흘서브 인덱스 HS가 '5'인 것은 승강실이 7층에 있고, 운전방향이 하강인것을 의미한다. 이 홀서브 인덱스 HS의 값은 아래의 단계에서 행해지는 각층으로의 예측 미응답시간의 연산의 개시점을 나타낸다
다음에 단계 2b가 행해진다. 단계 2b에 있어서는 이미 등록되어 있는 홀호출에 대한 파생 승강실 호출을 학습 데이타등에 준하여 발생시킨다. 이 파생 승강실 호출은 홀호출에 대해서 도의적으로 발생시킨 호출이고, 실제의 호출과는 다를 경우도 있다.
제14도에 홀호출 및 그 파생호출의 모양을 나타냈다. 예를들면 홀호출이 9층 및 4층에 있다고 하면 그들의 파생 승강실 호출은 9층의 홀호출에 대해서 7층이고,4층 홀호출에 대해서 2층이다 이상과 같이 파생승강실 호출의 발생완료후 단계 2c가 행해진다
단계 2c에 있어서는 각층의 예측 미응답시간 Tx의 연산을 행한다. 설명의 편의상 홀호출에만 착안하여 승강실 호출을 없는 것으로 하고 연산을 행한다.
제15도에 각 층의 예측 미응답시간 Tx를 나타냈다. 여기에서 한 층간을 상승 또는 하강하는데 소요되는시간을 1초로 하고 홀호출 또는 승강실 호출이 있는 층에 승강실이 도착할 때에 2층에서 승객의 승하차에 의한 손실시간을 10초로 한다.
승강실이 11층에 있고, 하강하는 경우를 생각한다. 11층(홀서브 인덱스 HS는 '1')부터 10층(홀서브 인덱스 HS는 '2')까지의 주행시간으로 1초를 요한다. 또 11층부터 9층(홀서브 인덱스 HS '3')까지의 주행시간으로 2초를 요한다. 9층에서는 홀호출이 있으므로 손실시간으로 10초 걸린다. 따라서,11층부터 8층(홀서브인덱스 HS는 '4'이다)까지 13초를 요하게 된다. 동양으로 11층부터 4층(홀서브 인덱스 HS는 '8'이다)까지는 27초를 요한다. 11층에 있는 승강실이 1층까지는 하강하고 다음에 1층부터 12층까지 상승하고 재차 11층으로 돌아가는데 62초를 요한다. 이 시간은 9층 및 4층에 홀호출이 있을 경우이고, 홀호출의 수가 증가되면 그것에 따라서 각층으로의 예측 미응답지간도 커진다.
홀호승강실 호출이 있는 층의 예측 미응답시간 RESTPT(HS)는 다음식으로 나타내어진다.
Figure kpo00001
RANT(Sta1, End1)는 정지층부터 다음 정지층까지의 주행에 요하는 주행시간이다.
또 L0ST(End1)는 정지예정층에서의 손실시간이다. KEIKAT(HS)는 홀호출이 발생된 홀서브 인덱스HS에 대해서 할당이 세트되어서부터의 결과시간을 나타낸다.KEIKAT(HS)는 '0'이라고 생각해도 지장없으므로 무시할 수 있다. l는 예측 미응답시간을 구하려고 하는 층까지의 호출의 수를 나타냄(예측 미응답시간을 구하려고 하는 층의 호출도 포함한다).
제14도의 경우 예를들면 호출이 있는 9층의 예측 미응답시간 RESPT(3)는 다음식으로 나타내어 진다.
Figure kpo00002
11층과 9층과의 사이에 있어서는 호출이 없으므로 승강실은 10층에 정지하지 않으므로 손실시간은 '0'이다. 또 동양으로 4층의 예측 미응답시간 RESPT(8)는 다음 식으로 나타내어진다.
Figure kpo00003
RANT(Star, End2)는 9층부터 7층까지의 주행시간이다. RANT(Sta3, End3)는 7층부터 4층까지의 주행시간이다. 이경우 RANT(Sta2, End2) 는 2초이고, RANT(Sta3, End3) 는 3초이다. L0ST(Endl) 은 9층에서의 손실시간이고, L0ST(End2)는7층에서의 손실시간이다. 따라서, RESPT(8)은27초이다. 이상으로제15도에 나타낸 각층의 예측 미응답시간이 구해진다.
다음에 단계 2d 및 단계 2e가 행해진다. 여기에서는 홀호출이 있는 층에 대해서만 최소예측 미응답시간 Tmin, 최대예측 미응답시간 Tmax 및 예측 미응답시간의 확율 분포 모드를 결정한다.
예측 미응답시간 Tx는 실제의 홀호출에 대해서 파생호출을 발생시키고 실제의 홀호출과 그 파생호출과 승강실 호출을 고려했을 때의 각 층의 예측 미응답시간이다. 이 예측 미응답시간 Tx에 대해서 최소예측 미응답시간 Tmin은 실제의 홀호출 및 승강실 호출만을 고려했을 때의 각 층의 예측 미응답시간이다. 또 최대예측 미응답시간 Tmax는 전체층에 홀호출이 발생했을 때의 각 층의 예측 미응답시간이다. 최소예측 미응답시간 Tmin 및 최대예측 미응답시간 Tmax는 상술한 제(1)식에 의해서 구해진다.
다음에 예측 미응답시간의 확률분포 모드를 구한다. 홀호출이 있는 승강실이 소정시간내에 도착하는 가능성을 구하기 위하여 각 홀호출이 있는 층의 확률분포 모드를 설정한다. 제16도에 홀호출이 있는 층의 예측미응답 시간의 확률분포 모드로서 2종류의 모드 제16도(a) 및 (b)를 나타낸다. 이 본포모드는 예측 미응답시간 Tx를 중심으로 분포된다. 또 이 분포모드는 최소 미응답시간 Tmin, 예측 미응답지간 Tx및 최대미응답시간 Tmax의 값에 의해서 분포상태는 다르다. 그러나, 이 분포모드는 반드시 최소미응답시간 Tmin과 최대 미응답시간 Tmax와의 사이에 존재하고 Sl부와 S2부의 면적이 같고 또한 양자의 면적의 합은 1이 되고, TL1과 TL2가 같아지도록 설정된다. 제16도에 나타내어지는 두가지 확률분포 모드의 선택은 어느 층의 홀호출에 대해서 학습데이타등에 의해서 발생시킨 파생 승강실 호출과 실제의 승강실 호출이 일치하는 가능성의 대소에 의해서 결정된다. 즉, 학습데이타등에 의해서 발생시킨 파생승강실 호출이 실제로 발생되는 승강실 호출과 일치하는 가능성이 낮은 경우는 제17도(a)에 나타낸 패턴의 확률분포 모드가 선택된다. 제17도(b)는 5층의 상승 홀호출에 대해서 12층에 파생승강실 호출이 발생한 경우를 나타낸다. 이 경우에 3층에 있는 승강실의 8층 및 7층으로의 미응답시간의 확률분포 모드는 제16도(a)에 나타낸 모드가 된다.
한편 학습데이타등에 의해서 발생시킨 파생승강실 호출이 실제로 발생하는 승강실 호출과 일치하는 가능성이 높은 경우는 제16도(b)에 나타낸 패턴의 확률분포모드가 선택된다.
즉, 제17도(b)에 나타내어지는 경우는 홀호출에 대해서 기준층의 1층에 승강실 호출이 실제로 발생하는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승강실이 1층으로 가는 가능성은 높아진다.
따라서 l0층에 있는 승강실의 3층의 예측 미응답시간의 확률분포 모드는 제16도(b)에 나타내어지는 분포모드로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해진 예측 미응답시간의 확률분포도로부터 예측 이응답시간의 확신도를 구한다. 이 확신도는 소정 시간내에 승강실이 도착하는 가능성을 나타낸 것이다. 제18도에 있어서, 횡축은 예측 미응답시간, 종축은 확률치를 나타낸다. 승강실이 30초이내로 도착하는 가능성 즉, 확신도 TP0는 A부분의 면적을 구함으로써 얻어진다. 또 동양으로 31초이상 60초미만에 승강실이 도착하는 확신도 TP1은 B부분의 면적에 의해서 구할 수 있고,60초 이상의 경우의 확신도 TP2에 대해서는 C부분의 면적에 의해서 구할 수 있다. 확률분포 모드는 면적이 1이 되도록 정규화(正規化)되어 있으므로 면적을 구하는 것으로 각 예측 미응답시간의 확신도가 구해진다. 이 확신도는 확률로서 나타내어진다.
이상 제12도에 나타낸 단계 2c, 단계 2d 및 단계 2e에 의해서 예측응답시간과 그 확신도가 구해진다. 단계 2c 이하 단계 2g까지를 각층마다 반복하여 행함으로써 각층의 예측 미응답시간 및 홀호출이 있는 층의 예측 미응답시간의 확신도를 구한다. 이상으로 제l1도의 단계 2에 의한 예측 미응답시간의 연산을 종료한다.
제11도에 나타낸 단계 4의 할당제어의 추론연산에 관해서 설명하겠다.
단계 4의 추론연산에서는 제1의 추론연산 및 제2의 추론연산이 행해진다. 제1의 추론연산에서는 복수의 할당지령부터 제2의 추론연산에서 사용되는 할당지령의 후보의 결정을 행하는 연산이 행해진다. 이들은 각 엘레베이터 호기의 현상의 연산데이타 예를들면 할당된 호출개수, 승강실 상태, 예측 미응답시간등의 값을 사용하기 때문에 고속으로 연산이 행해진다.
다음에 제2의 추론연산에서는 제1의 추론연산에서 후보로서 선택된 할당지령부터 최종적으로 어느 할당지령을 사용하느냐를 결정한다. 즉, 어느 엘레베이터 호기에 할당을 행하느냐를 결정한다. 이 제2의 추론연산에서는 가할당에 의한 연산이 행해지고, 그 연산에 필요한 예측연산이 반복되어 행해지므로 상당한 처리시간이 소비된다.
추론연산을 제19도에 나타낸 흐름도를 사용하여 설명하겠다
단계 4a에서는 제1의 추론연산이 행해진다. 제1의 추론연산에 의해서 할당지령의 후보의 결정을 행한다. 여기에서 단계 5b부터 단계 4f에 걸쳐서 행해진다. 제2의 추론연산에서 사옹되는 할당지령의 후보를 결정한다.
제1의 추론연산에 임해서는 조건과 지시에 의해서 표시되고 비중부여된 복수의 제어규칙이 사용되고 있다. 이들의 제어규칙은 제20도에 나타내 있고, 이미 준비되어 있는 일반적인 연산 데이타가 사용된다. 일예로서 3종류의 제어규칙에 관해서 설명하겠다. 규칙 1은 "할당된 호출개수가 평균이하이면 할당의 후보로 한다"이고, 이 규칙에 대한 비중부여로서 C1이 주어진다. 또 동양으로 규칙 2는 "승강실이 자유로운 승강실이면 할당의 후보로 한다"이고, 이 규칙에 대한 비중부여로 C2가 주어진다. 규칙 3은 "예측 미응답시간의 평균치가 60초이내이면 할당의 후보로 한다"이고, 이 규칙에 대한'비중부여로 C3이 주어진다.
다음에 구체적으로 제1의 추론연산에 관해서 설명하겠다. 제1의 추론연산에 있어서는 상술한 규칙 1,규칙 2 및 규칙 3에 준하여 각 엘레베이터 호기의 평가를 행하여 할당지령의 후보를 결정한다. A호기, B호기, C호기 및 D호기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먼저 A호기에 대해서 다음 식을 사용하여 평가치 EA를 구한다.
Figure kpo00004
여기에서,β1.β2 및 β3은 각각 규칙 1, 규칙 2, 및 규칙 3에 나타낸 조건의 확신도이다. Al,A2 및 A3은 각각 규칙 1, 규칙 2 및 규칙 3에 나타낸 지시의 강도이고, 설명의 편의상 A1=A2=A3=1로 한다. C1,C2 및 C3은 각각 규칙 1, 규칙 2 및 규칙 3에 대한 비중부여이다. 여기에서는 비중부여의 일예로서C1=0.7, C2=0.9 및 C3=0.4라한다.
A호기에 할당된 호출개수가 평균호출 개수이하의 경우에 있어서는 확신도 β1=1이고, 평균호출 개수보다도 많은 경우에 있어서는 확신도 β1=0이 된다. 할당된 호출개수의 데이타는 제3도에 나타낸 흘콘디숀테이블로부터 얻는다.
즉, A호기의 규칙 1에 대한 평가치 EA1은 할당된 호출개수가 평균호출개수 이하의 경우에는 EA1=0.7이된다. 또 할당된 호출개수가 평균호출개수보다도 많을 경우는 EA1=0이 된다.
다음에 규칙 2에 관해서 설명하겠다. A호기의 승강실이 자유일 경우는 학신도 β2=1이고, 자유 승강실이 아닐 경우는 β2=0이다. 승강실이 자유인지의 여부는 제4도에 나타낸 카아콘디숀 테이블로부터 구한다.
즉, A호기의 규칙 2에 대한 평가치 EA2는 승강실이 자유승강실이면 EA2=0.9이고, 자유 승강실이 아니면 EA2= 0이다.
규칙 3에 관해서 설명하겠다. A호기의 예측 미응답시간의 평균치가 60초이내가 되는 가능성이 조건의 확신도 β3으로 된다. 이 예측 미응답시간의 평균치는 제l1도의 단계 2의 예측연산의 결과로부터 구한다. 또 예측 미응답시간의 평균치가 60초이내가 되는 가능성은 제11도의 단계 2에서 행해진다. 예측 미응답시간의 확률분포로부터 예측 미응답시간의 확신도를 구하는 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구할 수 있다. 예를들면 예측미응답시간의 평균치가 60초이내가 되는 가능성이 0.6이면 조건의 확신도 β3=0.6으로 된다. 엘레베이터A호기의 규칙 3에 대한 평가치 EA3=0.6×0.4=0.24이 된다.
이상 기술한 바와 같이 각 규칙에 대한 A호기의 평가치를 구하여 최종적으로 평가치 EA를 상술의(2)식으로부터 구한다
상술한 방법과 같이하여 B호기, C호기 및 D호기의 평가치 EB, EC, ED를 구한다.
다음에 최종적으로 평가치가 큰 값의 순서로 상위 3대의 엘레베이터 호기를 선택하고 그 엘레베이터 호기에 대응한 할당지령을 할당지령의 후보로 한다. 예를들면 상술한 연산으로 4대의 엘레베이터중에서 A호기,B호기 및 C호기가 선택됐다고 하면 그것에 대응한 할당지령 "A호기에 할당한다", "B호기에 할당한다·및"C호기에 할당한다"가 할당지령의 후보로서 선택된다.
상술의 제1의 추론연산에 있어서는 복수의 제어규칙을 사용하여 각 엘레베이터 호기의 상태에 의해서 할당지령의 후보의 결정을 행한다. 즉, 각 엘레베이터의 상태 예를들면 할당된 호출개수, 승강실 상대, 예측미응답시간등의 값으로부터 할당제어의 대상으로 적당하다고 생각되는 것을 선택한다. 상술한 실명에서는규칙을 3종의 것으로 하고 있으나 더 많은 규칙을 사용해도 좋다. 이들의 각 규칙은 조건과 지시에 의해서 나타내지고 또한 각 규칙에는 규칙에 대한 비중부여가 되어 있다. 조건과 지시는 전문가의 제어전략에 마라서 결정되고 도 지시의 강도 및 규칙에 대한 비중부여도 전문가의 제어전략에 의해서 졀정된다.
제1의 추론연산에서는 최종적으로 4개의 할당지령으로 부터 할당 지령의 후보로서 평가치가 큰 엘레베이터 호기의 3대에 대응하는 할당지령을 선택하고 있으나, 대수를 3대로 한정지워지는 것은 아니다. 상위의 몇대를 후보로서 선택하느냐는 전문가의 제어전략에 의해서 결정된다
다음에 제2의 추론연산에 관해서 설명하겠다, 이 제2의 추론연산에 있어서는 제1의 추론연산으로후보로서 선택된 3개의 할당지령에 준하여 추론연산을 행한다.
제2의 추론연산에서는 할당제어의 연산을 행한다.
이 할당제어에 있어서는 "오래 기다리는 호출을 줄일것" 즉, 60초 이상의 오래 기다리는 호출을 '0'으로하는 것을 목표로 하여 새롭게 발생한 홀호출을 가할당했을 때에 오래 기다리게 되는 가능성이 높아지는 호기에 대해서는 할당되기 어렵게 한다. 즉, 가할당을 행함으로써 "오래 기다림을 줄인다"라는 목표와의 편차(이하 에러라 칭항)E 및 에러증분 △E에 의해서 "홀호출에 할당한다"라는 지시의 강도를 수치로 나타낸다. 이 지시의 강도를 3종의 할당지령에 대응하는 각 엘레베이터 호기에 대해서 구한다. 즉, A호기, B호기 및C호기에 관해서 연산을 행한다.
할당제어의 추론연산을 제19도에 나타낸 흐름도를 사용하여 설명하겠다.
단계 4b에 있어서 A호기, B호기 및 C호기중의 처음에 A호기에 "새롭게 발생한 홀호출을 가할당한다"라는 제어지령을 준다.
다음에 단계 4c가 행해진다 목표로부터의 에러와 에러증분 △E를 다음 식으로 구한다.
Figure kpo00005
확신도 : 승강실이 60초이상에 도착하는 확신도 TP2
n : 가할당을 포함하는 모든 홀호출수
상술한 (3)식으로부터 A호기에 가할당을 하기 전과 가할당을 한 후의 에러 Ea2의 값 및 에러 Ea2의 증분 △Ea를 구한다. 가할당하기 전의 에러 E의 값을 Ea1으로 하고 가할당후의 에러를 Ea2라 하면 에러 E의증분 △Ea는 다음 식에 의해서 구해진다.
Figure kpo00006
다음에 귀속도 함수를 사용하여 에러 Ea2및 에러의 증분 △Ea의 값의 평가를 행한다. 여기에서 귀속도 함수에 관해서 설명하겠다.
일반적으로 어느 대상이 집합 A의 요소인지의 여부를 생각할 때 엄밀히 분별하는 것이 아니고 집합 A의 요소인 정도를 고려하기 위하여 귀속도 함수를 사용한다. 제21도에 나타낸 귀속도함수에 있어서 횡축은 상술의 에러E, 에러의 증분 △E이고, 종축은 귀속도를 나타낸다.
제21도에는 집합으로 집합 Z0, 집합 PM 및 집합 PB의 각각의 귀속도함수를 나타낸다 집합 Z0는 에러E 및 에러의 증분 △E가 "대략 0"인 집합, 집합 PM는 에러 E 및 에러의 증분 △E가 "정이고 중정도"인 집합, 집합 PB는 에러 E 및 에러증분 △E가 "정이고 큰것"인 집합을 나타낸다, 각각의 귀속함수는 모든 에러 E 또는 에러의 증분 △E에 각각의 값이 집합 Z0, 집합 PM 및 집합 PB에 포함되는 정도를 부여한다.이 정도라 함은 집합에 속하는 정도를 나타낸 것이고, 귀속도라 칭하여 0.0으로부터 1.0까지의 사이의 수로나타낸다. 귀속도가 1.0인 경우는 대상이 집합 A의 완전한 요소임을 나타내고 귀속도가 0.0인 경우는 대상이 집합 A의 완전한 요소가 아닌 것을 나타낸다.
예를들면 에러 E가 e인 경우에 대해서 그 귀속도를-생각한다. 제21도로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에러 e에 대해서는 집합 PB의 귀속도는 0.7이고, 집합 PM의 귀속도는 0,3이다. 즉, 에러 e는 0 7의 귀속도에서"정이고 큰것"인 집합 PB에 속하고,0.3의 귀속도에서 "정이고 중정도"인 집합 PM에 속한다.
다음에 제어규칙의 조건이 성립하는 정도를 구한다. 즉, 이 조건은 "오래 기다리게 된다면"이므로 오래기다리게 되는 정도를구한다. 이 정도는에러 E및 에러의 증분△E의 귀속도로 나타내진다. 따라서 에러 E 및 에러증분 △E의 귀속도를 구함으로써 조건이 성립하는 정도를 구한다
가할당한 후의 에러 Ea2와 그때의 증분 △Ea의 귀속도를 제21도에 나타낸 귀속도함수로부터 구한다. 제21도로부터 에러 Ea2의 집합 PM에 대한 귀속도는 0.9이고, 집합 Z0에 대한 귀속도는 0.1이다. 또 에러증분 △Ea의 집합 PM에 대한 귀속도는 0.5이고, 집합 Z0에 대한 귀속도는 0.5이다.
이상과 같이 에러 E 및 에러의 증본 △E의 값이 집합 Z0, PM, PB의 어느 집합에 속하느냐를 귀속도도 고려하여 구했다. 이 귀속도함수는 에러 E 및 에러증분 △E의 값에 대해서 그 값이 크냐 또는 작으냐의 평가를 주는 것이 된다.
즉, 에러 E의 값이 집합 PB에 속하는 것은 그 값이 큰것을 의미하고 또 집합 PB에 대한 귀속도가 클수록 에러 E의 값이 큰것을 의미한다. 에러의 증분 △E의 값에 관해서도 동양이다. 오래 기다리게 되는 정도는 에러 E 및 에러의 증본 △E가 속하는 집합 및 그 귀속도에 의해서 나타내지므로 에러 E 및 에러의 증분△E가 크다는 것은 오래 기다리게 되는 정도가 크다는 것이다.
제2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러 Ea2는 집합 PM에 귀속도 0.9로 속하고 에러의 증분 △Ea는 집합 PM및 집합 Z0에 귀속도 0.5로 속하므로 약간 오래 기다리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술한 에러 E, 에러증분 △E의 평가결과로부터 상술한 제어규칙에 나타내지는 지시의 강도를 결정한다. 이 평가결과라 함은 에러 E 및 에러의 증분 △E가 집합 Z0, PM, PB중 어느 집합에 어느 정도의 귀속도로 속하느냐는 것이다.
제19도의 단계 4e의 조건-지시 테이블을 제22도에 나타냈다. 제22도는 에러 E 및 에러의 증분 △E에 대응한 지시 △U를 나타낸 것이다. 예를들면 에러 E가 "대략 영(0)"(집합 Z0)인 에러증분 △E가 "정이고,큰것"집합 PB)인 경우 지시 △U로서 "할당할 필요는 없다"를 얻는다. 지시 △U로서는 5종류가 있고, P0는 "할당한다", PS는 "항망해도 좋다", Z0는 "보통", NS는 "할당할 필요는 없다", NE는 "할당하지 않는다"이다. 에러 E로서의 집합의 수는 집합 PB, 집합 PM 및 집합 NE의 3종류이고, 에러증분 △E의 경우도 동양으로 3종류이고, 에러 E와 에러증분 △E와의 조합에 의해서 9종류의 규칙이 있다. 따라서 9종류의 규칙을 생각하고, 그 규칙을 제23도에 나타냈다. 규칙 1은 에러 E가 "정이고 큰것"에러의 증본 △E가 "정이고 큰것"일 때는 지시 △U를 "할당하지 않는다"라고 하는 것을 의미하고 규칙 2이하 동양이다.
제2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건-지시 톄이블은 에러 E 및 에러의 증분 △E의 값이 속하는 집합을 조건으로 하여 지식 △U를 결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제22도에 나타낸 조건-지시 테이블은 "만약 A이면 B"형으로 나타낸 프로덕숀·룰을 매트릭스화한 것이다. 또 조건에 대한 지시는 인위적으로 결정되는 것이고, 전문가의 지식에 따른 제어전략에 의한 것이다.
다음에 제22도로부터 에러 Ea2및 에러의 증분 △Ea의 평가로부터 지시 △U를 구한다. 에러 Ea2는 집합PM 및 집합 Z0에 속하고, 에러의 증분 △Ea는 집합 PM 및 집합 Z0에 속한다. 따라서 에러 Eaz 및 증분△Ea에 속하는 집합과 조건으로 지시 △U를 구하면 다음에 나타낸 4종류가 있다.
(가) 에러 Ea2가 집합 PM에 속하고 또한 증분 △Ea가 집합 PM에 속하면 지시 △U는 NE(할당하지 않는다)가 된다.
(나) 에러 Ea2가 집합 PM에 속하고 또한 증분 △Ea가 집합 Z0에 속하면 지시 △U는 Z0(보통으토 할당한다)로 된다.
(다) 에러 Ea2가 집합 Z0에 속하고 또한 증분 △Ea가 집합 PM에 속하면 지시 △U는 NS(할당할 필요는 없다)로 된다,
(라) 에러 Ea2는 집합 Z0에 속하고, 또한 증분 △Ea가 집합 Z0에 속하면 지시 △U는 P0(할당한다)로 된다
이상으로 에러 Ea2가 속하는 집합과 증분 △Ea가 속하는 집합과의 조합(가)-(라)에 의해서 4종류의 규칙이 상술한 9종류의 규칙에서 추출된다. 이 추출된 규칙은 제23도에 나타낸 규칙 5, 규칙 6, 규칙 8 및 규칙 9이다. 에러 Ea`및 증분 △Ea에 대해서 4종류의 규칙에 나타낸 4종류의 지시 △U를 얻었으나 이들의 4종류의 지시 △U를 같은 강도로 엘레베이터 호기에 줄 수는 없다. 즉,4종류의 규칙중 강하게 적용될 수있는 것과 약하게 적용할 수밖에 없는 규칙이 있다. 그래서 각각의 규칙이 낸 지시를 그 규칙의 조건이 만족되어 있는 정도에 의해서 비교한다. 즉, 각각의 규칙의 지시에 비중부여를 하고 이 비중부여가 된 지시를비중부여 평균을 하여 지시의 강도 U를 결정한다.
제24도를 사용하여 각각의 규칙의 지시의 비중부여 및 비중부여를 평균하여 얻어지는 지시의 강도에 관해서 설명하겠다. 제24도에 있어서, 각 규칙에 대한 에러 E및 증분 △E의 그래프의 횡축은 에러 E 또는 증분△E의 값이고, 종축은 귀속도이다. 또 지시 △U를 나타낸 그래프의 횡축의 정의 방향은 할당방향을 나타내고, 부의 방향은 할당하지 않는 방향을 나타내고 종축은 귀속도를 나타낸다.
제24도에 나타낸 규칙 5에 관해서 말하면 에러 E에 대하여 집합 PM은 0.9의 정도로 만족되고, 에러증본△E에 대한 집합 PM은 0.5의 정도로 만족된다. 규칙 5의 만족되는 정도는 2개의 집합이 만족되는 정도중작은 값으로 된다. 따라서 규칙 5는 0.5의 정도로 만족하게 된다. 지시 △U를 나타낸 집합은 이 0.5라는정도로 제한된다. 이하 동양으로 규칙 6, 규칙 8, 규칙 9에 관해서 지시 △U를 나타낸 집합을 구한다. 이상으로 단계 4d가 종료된다.
다음에 단계 4f가 행해진다. 단계 4f에 있어서는 단계 4d에서 얻어지는 각 규칙에 대한 지시의 집합의 논리합을 취하고 이것을 집합에 속하는 정도로 비중부여를 평균하고 최종적으로 지시의 강도 U를 구한다. 여기에서는 제2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시의 강도 U는 -0.69가 된다.
상술한 지시의 강도 U는 제어규칙 "오래 기다리게 된다면 할당을 행하지 않는다"으로 나타내지는 지시"할당을 행하지 않는다"에 대한 비중부여의 정도를 나타낸다.
이상으로 "오래 기다리게 된다면 할당을 행하지 않는다"라는 제어 규칙에 따라서 조건이 성립하는 정도및 지시의 비중부여의 결정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동양으로 하여 추론연산을 행하여 다른 제어규칙에 관해서도 조건이 성립하는 정도 및 지시의 비중부여를 결정한다. 각 제어규칙마다 구한 지시의 비중부여, 즉 지시의 강도 U로 제어지령의 강도를 결정한다. 여기에서 말하는 제어지령은 "홀호출을 A호기에 할당한다"는것이다. 동양으로 하여 B호기에 대해서는 "홀호출을 B호기에 할당한다"라는 할당지령의 강도의 결정을 행하고 도 C호기에 대해서는 "홀호출을 C호기에 할당한다"라는 할당지령의 강도의 결정을 행한다. 이상으로단계 4f가 종료됨과 더불어 제11도에 나타낸 단계 4가 종료된다.
다음에 단계 5에 있어서는 단계 4에서 각 호기에 대해서 구한 제어지령의 강도로 최종적으로 어느 호기에 할당을 행할 것인가를 결정한다. 새릅게 발생한 홀호출에 대해서 어느 호기를 할당하느냐를 결정한 후에 그호기에 "할당한다"라는 제어지령을 출력한다.
단계 5를 종료함으토써 홀호출에 대한 할당제어가 완료된다·
단계 4에 있어서, 제2의 추론연산을 행하기 전에 제1의 추론연산에 의해서 할당지령을 선택하기 위하여 모든 엘레베이터 호기에 대해서 제2의 추론연산을 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추론연산을 고속으로 행할 수 있다.
할당제어의 추론연산에 사용되는 제21도에 나타낸 귀속도함수 및 제22도에 나타낸 에러 E와 그 증분 △E와 지시 △U와의 관계는 인위적으로 결정되는 것이다.
즉, 귀속도함수는 전문가의 경험칙을 사용하여 결정된다. 또 제22도에 나타낸 에러 E와 그 증분 △E에대해서 어느 지시를 사용하느냐도 전문가의 경험칙을 사용하여 결정된다. 따라서 할당제어에 있어서 전문가의 경험칙의 직접적인 표현에 의한 추론을 행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항당을 행할 수 있다, 흘호출등은 확률적으로 발생하는 것이고, 그 확률을 고려한 수학적 공식으로 할당연산을 정확하게 행하는 것은 매우 어려우나 상술의 추론연산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종 데이타에 비중부여를 하고 인간의 경험칙의 직접적 표현을 사용함으로써 정확한 할당제어를 행할 수 있다.
또 할당제어에 있어서 예측 미응답시간의 "확신도"를 고려하고 있으므로 동일의 예측 미응답시간이라도그 값의 "확신도"가 높은 호기에 할당할 수 있으므로 오래 기다리는 호출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어지령을 졀정할 때에 복잡한 평가식을 사용하지 않고, 전문가의 직접적인 알고리즘 표현을 사용하기때문에 예보정도(豫報精度)의 향상이 용이하게 행해지고 또 알고리즘의 표현인 규칙의 추가, 변경이 용이하게 행할 수 있으므로 교통수요가 상이한 각종 빌딩에 용이하고 신속하게 적응시킬 수 있다. 엘레베이터 군관리제어에 있어서는 아래 목표를 생각할 수 있다,
(1) 오래 기다리는 호출을 줄인다.
(2) 양호한 호출을 증가시킨다.
(3) 최고로 기다리는 호출을 줄인다.
(4) 고수요층의 서비스를 양호하게 유지한다
(5) 만원통과를 줄인다
(6) 승강실 호출 선착을 줄인다.
(7) 빠른 호출을 증가시킨다.
상기 군관리 제어의 할당제어에 있어서 목표마다 상술한 추론연산의 루틴이 리스트 형식으로 표현되어 있다. 그러므로 각 루틴의 추가, 변경이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엘레베이터의 군관리 제어에 있어서는 교통수요에 대응하여 운행모델을 결정함으로써 수송력의 증강을 행한다. 이 운행모델에는 발산모델, 집중모델 및 복합모델동이 있으나 이들의 운전모델의 절환의 결정에 있어서도 본 발명에 의한 추론연산을 사용할 수 있다. 상술의 운전모델에 대해서 각각 소정의 할당제어가 행해진다. 이 할당제어에 있어서도 추론연산이 사용되지만 각 할당제어의 목표는 각각 상기의 (1)-(7)의 목표로부터 선택된다.
또 UP 피크나 점심때에 생기는 주기적인 집중발산의 고수요나 회의실등이 있는 층으로의 일시적인 고수요에 대해서 그들의 미크로, 마이크로의 교통의 흐름을 모델화하고 그 고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운행모드의 결정에 있어서도 본 발명을 적용시킬 수 있다.
전문가의 제어전략을 조건과 지시에 의해서 나타낸 복수의 제어규칙의 조건이 성립되는 정도 및 지시의 비중부여를 제어규칙마다 결정하고 이 제어규칙마다 비중부여된 지시로부터 군관리 제어에 있어서의 제어지령을 결정함으로써 효율이 높은 군관리제어를 행할 수 있고, 앨레베이터의 이용자에 대한 서비스를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우기 제1의 추론기능으로 제2의 추론연산을 행하기 전에 제어지령의 후보를 결정함으로써 추론연산을 고속화 할 수 있다.

Claims (2)

  1. 복수의 서비스층에 대해서 복수의 엘레베이터를 취역시켜 엘레베이터의 운행을 제어하는 군관리 제어방법에 있어서, 조건과 지시에 의해서 나타내지고 비중부여된 복수의 제어규칙을 사용하여 제1의 추론기능으로 복수의 제어지령으로부터 제어지령의 후보를 졀정하고, 상기 제1의 추론기능에 의해서 결정된 제어지령의 후보에 준하여 전문가의 제어전략을 조건과 지시고 나타낸 복수의 제어규칙을 사용하여 제2의 추론기능으로 상기 제어규칙의 조건의 성립정도 및 지령의 비중부여를 제어규칙마다 결정하고 이 제어규칙마다 비중부여된 지시로부터 제어지령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레베이터의 군관리 제어 방법.
  2. 조건이 성립하는 정도를 예측 미응답시간의 확률 분포로부터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 기재의 엘레베이터 군관리 제어 방법.
KR1019870010877A 1986-10-01 1987-09-30 엘레베이터의 군관리 제어 방법 KR9000063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31265 1986-10-01
JP61231265A JPS6387484A (ja) 1986-10-01 1986-10-01 エレベ−タの群管理制御方法
JP61-231265 1986-10-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4975A KR890004975A (ko) 1989-05-11
KR900006377B1 true KR900006377B1 (ko) 1990-08-30

Family

ID=16920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0877A KR900006377B1 (ko) 1986-10-01 1987-09-30 엘레베이터의 군관리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387484A (ko)
KR (1) KR9000063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13737A (ja) * 1986-10-31 1988-05-18 Fuji Electric Co Ltd ファジィ推論装置
JPH0768013B2 (ja) * 1988-10-25 1995-07-26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4975A (ko) 1989-05-11
JPS6387484A (ja) 1988-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60896A (en) Apparatus for performing group control on elevators
KR960011574B1 (ko) 엘리베이터의 군관리 제어방법 및 장치
EP1638878B1 (en) Method and elevator scheduler for scheduling plurality of cars of elevator system in building
JP4870863B2 (ja) エレベータ群最適管理方法、及び最適管理システム
US5750946A (en) Estimation of lobby traffic and traffic rate using fuzzy logic to control elevator dispatching for single source traffic
JPH0351272A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装置及び群管理方法
US5841084A (en) Open loop adaptive fuzzy logic controller for elevator dispatching
KR920001299B1 (ko) 엘리베이터의 군관리장치
GB2246210A (en) Elevator control apparatus
US5233138A (en) Elevator control apparatus using evaluation factors and fuzzy logic
US5714725A (en) Closed loop adaptive fuzzy logic controller for elevator dispatching
KR900006397B1 (ko) 엘리베이터의 군관리(群管理) 제어장치
US5786550A (en) Dynamic scheduling elevator dispatcher for single source traffic conditions
US5767460A (en) Elevator controller having an adaptive constraint generator
US5808247A (en) Schedule windows for an elevator dispatcher
US5786551A (en) Closed loop fuzzy logic controller for elevator dispatching
JP2577161B2 (ja) 建物内の複数のエレベータかごの運行を制御する方法
US5767462A (en) Open loop fuzzy logic controller for elevator dispatching
KR900006377B1 (ko) 엘레베이터의 군관리 제어 방법
JPH0449183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H01261176A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
KR910004620B1 (ko) 엘레베이터의 군관리 제어장치
JPH0790996B2 (ja) エレベ−タの群管理制御方法
JPH0790997B2 (ja) エレベ−タの群管理制御方法
JPH0432472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31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