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6195Y1 - 카아트리지 테이프의 음재생장치 - Google Patents

카아트리지 테이프의 음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6195Y1
KR900006195Y1 KR2019870010090U KR870010090U KR900006195Y1 KR 900006195 Y1 KR900006195 Y1 KR 900006195Y1 KR 2019870010090 U KR2019870010090 U KR 2019870010090U KR 870010090 U KR870010090 U KR 870010090U KR 900006195 Y1 KR900006195 Y1 KR 9000061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tape
center
housing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100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1416U (ko
Inventor
리 리칭
Original Assignee
리 리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 리칭 filed Critical 리 리칭
Priority to KR20198700100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6195Y1/ko
Publication of KR8900014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141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61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6195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75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 G11B15/68Automatic cassette changing arrangements; automatic tape chang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 G11B15/66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Landscapes

  • Automatic Tape Cassette Chang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카아트리지 테이프의 음재생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관한 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그 내부에 회전할 수 있도록 축이 장치되는 카아트리지 호울더의 사시도.
제3도는 제1도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
제4도는 재생수단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제5도는 제1도의 Ⅲ-Ⅲ선에 따른 모우드(mode)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우징(housing) 2 : 카아트리지 호울더
3 : 재생수단 10 : 선택단추
12 : 재생단추 14 : 엔트리(entry)
20 : 슬리이브 25 : 스토퍼
26 : 중심구멍 28 : 카아트리지 누름쇠
304 : 재생 헤드 자리 3042 : 재생헤드
305 : 테이프 주행모우터 344 : 스테핑(stepping) 모우터
본 고안은 카아트리지 테이프의 음재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여러개의 카아트리지 테이프를 동시에 보관하는 동시에 재생을 하는 카아트리지 테이프를 자동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음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음성 재현용의 재생 장치로서는 하나의 재생용 자기 헤드에 대해서 하나의 녹음이 끝난 테이프(주로카아트리지 테이프, 카셋트 테이프)를 배치한 것이 주류를 이루고 있었다.
최근 유행되는 더블 카셋트라 호칭되는 녹음 재생장치로 재생시에는 두개의 카셋트 테이프가 서로 엇갈리게 전환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나 하나의 자기 헤드에 대해서 하나의 녹음 테이프라는 기본적인 구조에는 변함이 없다.
이와같은 하나의 자기헤드, 하나의 녹음 테이프 방식의 재생장치에 있어서 음성을 재생하려고 할 때는 내부에 하나의 자기 헤드가 설치된 녹음 테이프 호울더에 하나의 녹음 테이프를 셋트한 다음 재생단추를 눌러서 자기헤드에 이미 녹음이 끝난 자기 테이프를 접촉시키는 동시에 캡스턴과 펀치 로울러에 의해서 테이프를 마찰주행시켜서 기록되어 있는 음성을 우선 전기적 신호로서 꺼낸 다음 증폭등을 거쳐서 음성으로서 재현하도록되어 있다.
그런데 이상과 같은 하나의 자기헤드 하나의 녹음 테이프 방식에 있어서는 재생장치에는 하나의 자기 헤드에 대해서 하나의 녹음 테이프 호울더밖에 설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녹음 테이프를 교환하려고 할 때에는 셋트되어있는 녹음 테이프를 꺼낸 다음, 다음 녹음 테이프를 호울더 내에 다시 셋트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와같은 테이프 교환은 생각보다 번거로운 동시에 특하 카아스테레오 등의 경우, 자동차를 운전하면서 녹음테이프의 교환을 해야 하므로 매우 위험하기도 하다.
또한 하나의 재생장치내에는 하나의 녹음 테이프밖에 셋트할 수 없다는 이유로 녹음 테이프의 정리 보관은 별도로 하지 않으면 안되는 동시에 자동차 내부 등에서는 공간에 한계가 있으므로 녹음 테이프가 계기판 아래쪽에 설치된 글로브 박스(glove box) 등에 아무렇게나 쌓아두기 쉬우므로 녹음 테이프가 먼지나 진동에 의해서 손상되는 등의 폐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카아트리지 테이프의 재생 장치에 있어서 여러개의 카아트리지 테이프를 내부에 함께 보관하는 동시에 재생하려는 카아트리지 테이프를 자동적으로 선택할 수있는 재생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카아트리지 테이프의 재생장치에 있어서, 그 외면에 카아트리지 테이프 선택용 선택단추와 테이프재생용 재생단추와 카아트리지 테이프를 넣었다 꺼내는 카아트리지 엔트리(entry)를 설치해서 된 하우징(housing)과 그 하우징내에 축을 장치시키는 동시에 윗면 중심에 중심구멍이 있으며 또한 카아트리지테이프를 끼워 넣는 슬리이브(sleeve)를 여러개의 중심 구멍을 중심으로 해서 방사상으로 일체적으로 배치되는 카아트리지 호울더와 동일하게 하우징 내에 설치되고 그 카아트리지 호울더의 중심부위를 아래쪽에서 그 출력축으로 지지하는 스텝모우터와 전술한 재생단추를 포함하여 이 재생단추를 1차적으로 누르게 되면 연이어서 작동하는 재생헤드 및 테이프 주행 모우터를 구비해서 된 재생수단에 의해서 구성되는 구조에 있어서, 전술한 카아트리지 호울더에는 여러개의 카아트리지 테이프를 동시에 끼워 넣는 여러개의 슬리이브가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전술한 선택단추와 스테핑 모우터의 다른 회전 각도와의 조립에 의해서 임의의 카아트리지 테이프를 선택해서 재생수단에 의해서 음성을 재현시키도록 되어 있다.
전술한 재생수단은 그 재생 헤드 부분을 카아트리지 호울더 윗면에 개설된 중심 구멍으로부터 카아트리지 호울더내로 수직으로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이 카아트리지 호울더에 여러개의 슬리이브가 설치되어 있음으로 여러개의 카아트리지테이프를 재생장치내에 보관할 수 있다.
카아트리지 호울더내에 끼워진 카아트리지 테이프는 재생수단중 재생헤드에 의해서 음성이 재생되나 이 재생헤드는 카아트리지 호울더의 윗면 중심구멍으로부터 카아트리지 호울더 내부로 테이프면과 대향하도록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 중심구멍을 향해서 방사상으로 설치된 슬리이브내에 끼워진 각 카아트리지 테이프내의 테이프는 어느것이나 재생헤드와 맞닿을 수 있게 되어있다.
선택단추는 슬리이브 수에 상당하는 수만큼만 설치되어 있으며 가령 슬리이브를 8개 설치되어 있으며 가령슬리이브를 8개 설치했을 경우 선택 단추의 No. 1을 누르게 되면각도 만큼만 스테핑 모우터가 회전해서 No. 1의 슬리이브가 재생헤드에 대향하는 위치까지 이동하게 되고 선택단추의 No. 5를 누르게 되면만큼만 스테핑 모우터가 회전해서No. 5의 슬리이브가 재생헤드에 대향하는 위치까지 이동하게된다.
이와같이 선택단추에 의해서 스테핑 모우터를 슬리이브 위치에 맞추어서 회전시켜서 카아트리지 테이프를 재생헤드와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므로 재생하려는 카아트리지 테이프를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스테핑 모우터는 그 회전 특성으로서 회전을 하지 않을 때에는 전(前) 정지 위치를 유지하므로 슬리이브에 끼워넣어진 카아트리지 테이프는 재생헤드와 어긋날 수가 없게 된다.
[실시예]
본 고안의 바람직한 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설명기로 한다.
제1도에 있어서 본 고안에 관한 카아트리지 테이프의 음재생 장치는 특징으로서 속이 비어있는 상자모양의 장방형체를 이루는 하우징(1)과 이 하우징(1)의 한쪽면에 튀어나오게 설치된 여러개의 카아트리지 선택단추(10)(본 고안에서는 8개의 카아트리지 테이프를 장치내부에 보관하므로 선택단추(10)도 8개 설치되어있다)와, 카아트리지 테이프(도시하지 않음)을 재생모우드로 하기 위해서 동일한 측면의 중앙 윗쪽에 튀어나오게 설치된 재생단추(12)와, 이 재생단추(12)의 아래쪽에 세로로 길게 개설된 카아트리지 엔트리(14)와, 엔트리(14)를 사이에 두고 전술한 선택단추(10)의 반대위치에 전원단추(16)를 구비하게 된 것이다.
전술한 엔트리(14)는 좌우에 각각 절단부(140)(140)를 설치해서 카아트리지 테이프를 끼워 넣거나 빼어내는데 편리하도록 되어 있는 동시에 그 엔트리(14)로부터는 하우징(1) 내부에 회전할 수 있도록 축이 장치된 카아트리지 호울더(2)의 일부가 보이고 있다.
제2도에 있어서 이 고안에 관한 카아트리지 호울더(2)는 전술한 하우징(1)내에 회전할 수 있도록 장치되는 동시에 각 카아트리지 테이프(도시하지 않음)를 끼워 넣기 위한 슬리이브(20)를 방사상으로 설치한 모양을 하고 있다.
각 슬리이브(20)의 선단은 트여져 있어서 카아트리지 삽입구(22)로 되어 있는 동시에 각 삽입구(22)의 양쪽중앙에는 절단부(24)(24)가 설치되어서 카아트리지 테이프를 넣었다 꺼냈다 하는데 편리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방사상으로 떨어진 각 슬리이브(20)의 내부끝쪽의 윗면에는 중심구멍(26)이 개설되어 있고 슬리이브윗면의 대략 중앙에는 장방형의 작게 트여진 곳이 있는데 카아트리지 테이프가 걸려서 멈추도록 하기 위해서 평스프링을 비스로 고정시킨 카아트리지 누름쇠(28)이다.
제3도에 있어서 하우징(1)의 내부는 상부(30), 중간부(32) 하부(34)로 나뉘어져 있다.
상부(30)는 얇은 판재로 되어 있으며 또한 하우징(1)의 윗쪽 내면은 대략 틈없이 밀접되고 속이 비어있는 윗쪽이 개방된 상자모양으로 되어 있으며 하부(34)는 얇은 판재로 되어 있으며 또한 하우징(1)의 아래쪽 내면에서 대략 틈없이 밀접되고 속이 비어있는 아래쪽이 상자모양을 하고 있어서 어느것이나 비스(302)(340)에 의해서 하우징(1)과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중간부(32)에는 전술한 카아트리지 호울더(2)가 하우징(1)의 내벽면, 상부(30)의 저면, 하부(34)의 상면과 각각 약간의 공간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이 카아트리지 호울더(2)의 저면 중앙부위의 하부(34) 윗면 중앙에 오목하게 설치된 모우터룔 고정시키는 자리(342)에 고정된 스테핑 모우터(344)의 출력축(346)의 선단에 축이 지지되어 있으므로 스테핑 모우터(344)의 회전에 따라서 카아트리지 호울더(2)가 회전하도록 되어있다.
상부(30)의 저면으로부터 중간부(32)의 중앙부분의 상하 방향에 걸쳐서 재생수단(3)이 L자형으로 연장설치되어 잇는데 이 재생수단(3)은 재생헤드 자리(304) 테이프 주행 모우터(305), 연결봉(306), 전환스위치(308), 재생단추(12) 등으로 되어 있다.
더구나 재생헤드자리(304)는 상부(30)로부터 중간부(32)의 자리면 즉 카아트리지 호울더(2)의 중심구멍(26)내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다.
도면중 36은 카아트리지 테이프이며, 하우징(1)의 한쪽면에 있는 카아트리지 엔트리(14)로부터 카아트리지호울더(2)속의 각 슬리이브(20)에 끼워지는 동시에 카아트리지 테이프(36)의 선단 하부가 카아트리지(2)의 하면 중앙에 볼록하게 설치된 스토퍼(25)에 맞닿아서 소정의 위치까지 끼울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슬리이브(20) 윗면에 부설된 카아트리지 누름쇠(28)에 의해서 슬리이브(20)내의 소정의 위치에 걸려멈춰지도록 되어 있다.
제4도에 있어서 전술한 재생수단(3)은 상단이 수평 방향으로 절곡(折曲)된 J자형의 재생헤드자리(304)를 수직으로 설치하는 동시에 이 재생헤드자리(304)의 한쪽면 위에는 재생헤드(3042),(3042)가 각각 받침자리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있다.
재생헤드자리(304)의 다른쪽면 윗쪽에는 선단이 L자형으로 된 연결봉(306)이 수평방향으로 용접으로 부착되어 있으나 연결봉(306)의 도중에는 얇은 판재로 된 지지아암(307)이 설치되어 있다.
연결봉(306)의 타단은 전환스위치(308)와 연결되어 있어서 재생단추(12)를 가볍게 누르기만하면 수평방향의 큰 움직임으로 확대된다.
따라서 복귀시키는 평스프링(3052)의 중앙부위에 설치되어 있는 걸림구멍(3053)에 끼워져 있는 재생헤드자리(304)의 상단이 복귀시키는 평스프링(3052)을 전방으로 밀어서 구부러지게 된다.
이와같이 복귀시키는 평스프링(3052)이 밀려서 구부러지게 되면 이 복귀시키는 평스프링(3052)의 걸링구멍(3053)의 약간 아래쪽에 원추형으로 접합되어 복귀시키는 코일 스프링(3054)에 의해서 힘이 가하여진 아암(3055)(3055)도 전방으로 밀려나게 되므로 이 아암(3055)(3055)의 선단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축이 고정되고 또한 어느정도 탄력성이 있는 벨트(3056)를 거치고 테이프 주행 모우터(305)에 의해서 회전 구동되는 캡스턴(3057)도 전방으로 밀려나서 카아트리지 테이프의 테이프아 테이프를 하면에서 지지하는 가이드로울러(제5도의 테이프(362), 가이드 로울러(3364)를 참)에 탄력성이 있는 형태로 눌려진다.
전술한 아암(3055)(3055)의 선단부분에는 ㄷ자형의 가이드 손톱(3058)의 트여진 부분이 카아트리지테이프(36)의 방향으로 향해서 부착되어 있다.
이 가이드 손톱(3058)은 스테핑 모우터(344)(제3도 참조)에 의해서 한번에 적어도 45°의 각도가 회전되는 카아트리지 호울더(2) 중의 각 슬리이브(20)에 끼워넣어진 카아트리지 테이프의 테이프 폭의 중심과 전술한 재생헤드(3042)의 폭 중심과의 사이에 생기는 약간의 차이를 보정하기 위해서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이 차이는 스테핑 모우터(344) 회전 타성(惰性) 및 특히 차량 탑제시의 진동등에 의해서 발생하는 것이며 타성회전이 거의 없는 스테핑 모우터의 특성으로 약간의 차이가 생길 염려가 있으나 이 가이드 손톱(3058)에 의해서 상기의 차이를 없앨 수 있다.
그리고 이하 제1도 내지 제5도를 참조로 하면서 본 고안의 조작 및 작동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제1도와 제2도에 있어서 하우징(1)의 한쪽면에 설치된 전원단추(16)를 누름으로써 본 고안의 재생장치의 전원이 연결된다.
카아트리지 엔트리(14)에서 하우징(1)안에 설치되어 있는 카아트리지 호울더(2)의 슬리이브(20)가 열려져 있으므로 카아트리지 테이프(도시하지 않음)를 그 슬리브내로 끼워 넣는다.
이어서 선택단추(10)의 하나를 눌러서 카아트리지 호울더(2)를 회전시켜서 다음의 슬리이브(20)에 다른 카아트리지 테이프를 끼워 넣는다.
이와같은 조작을 반복해서 8개의 카아트리지 테이프를 8개의 슬리이브(20)에 끼워 넣은 후 선택단추(10)의 No. 1의 단추를 누르게 되면 No. 1의 슬리이브(20)내의 카아트리지 테이프가 No. 5의 단추를 누르면 No. 5의 슬리이브(20)안의 카아트리지 테이프가 각각 카아트리지 엔트리(14)와는 반대쪽을 향해서 설치된 재생헤드(3042)와 대향하는 위치까지 회전하게 된다(제3도를 참조).
다음에 재생단추(12)를 한번 누르면 지정된 카아트리지 테이프가 재생단추(12)를 두번째 누르면 재생이 정지된다.
더구나 재생정지 또는 전원 OFF 상태에서는 본 고안이 채택하는 스테핑 모우터의 특성에 의해서 카아트리지 호울더(2)가 OFF시의 위치를 유지한다.
제3도에 있어서 카아트리지 호울더(2)의 슬리이브(20)의 소정의 위치까지 끼워 넣어진 카아트리지테이프(36)는 스토퍼(25)에 의해서 일정한 깊이 이상으로 끼워지는 것이 방지되는 동시에 슬리이브(20) 상면에 설치된 카아트리지 누름쇠(28)에 걸리게 되므로 슬리이브(20)내의 소정위치에 끼위지게 된다.
재생수단(3)중 하우징(1)내의 상부(30)로부터 중간부(32)에 측이 장치된 카아트리지 호울더(2) 윗면 중앙의 중심구멍(26)내에 수직으로 설치된 재생헤드(3042)는 하우징(1)의 한쪽면에 설치된 카아트리지 엔트리(14)하고는 반대방향을 향하고 있어서 카아트리지 테이프(36) 중의 테이프(362)가 노출되는 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같이 재생단추(12)가 OFF 상태에서는 선택단추(10)에 의해서 하우징(1)내의 하부(34) 중앙에 끼워진 스테핑 모우터(344)를 회전시켜서 자유롭게 재생하려는 카아트리지 테이프(36)를 선택할 수 있다.
제4도, 제5도에 있어서, 재생하려는 카아트리지 테이프(36)를 선택단추(10)에 의해서 전술한 재생헤드(3042)와 대응하는 위치까지 회전시킨 후에는 재생단추(12)를 한번 누르게 되면 전환스위치(308)에 의해서 연결봉(306)이 일정한 거리로 밀려나와서 재생헤드(3042)와 카아트리지 테이프(36)의 테이프(362)가 맞닿게 되는 동시에 밀려나온 재생헤드 자리(304)의 상단이 평스프링(3052)을 전방으로 밀어서 구부려지게 하므로 평 스프링(3052)의 아랫쪽의 아암(3055)을 거쳐서 축이 지지된 캡스턴(3057)이 테이프(362)를 사이에 두고 카아트리지 테이프(36)내의 가이드 로울러(364)에 눌려서 접촉된다.
따라서 재생단추(12)를 한번 누르면 테이프 주행 모우터(305)가 회전구동됨으로 벨트를 거쳐서 캡스턴(3052)이 회전되어 테이프를 주행시켜 재생헤드(3042)에 의해서 카아트리지 테이프(36)의 테이프(362)에 기록된 음성이 재생된다.
이때 전술한 캠스턴(3052)을 사이에 끼우도록 아암(3055)위에 부설된 가이드 손톱(3058)이 카아트리지테이프(36)의 케이싱을 사이에 두고 테이프(362)와 재생헤드(3042)와의 사이에 생기는 차이를 보정하므로 음성의 재생이 정확하게 이루어진다.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이 카아트리지 테이프를 바꾸어 끼우는 일없이 재생하려는 카아트리지 테이프로 자동교환되므로 편리한 동시에 특히 차량운전시에는 선택 단추에 의해서 희망하는 카아트리지 테이프를 선택할 수있으므로 안전성에서도 유용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전원단추, 스테핑 모우터, 선택단추, 재생수단이라는 간단 명확한 구조임으로 재료, 제조원가를 저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외면에 카아트리지 테이프 선택용 선택단추(10)와, 테이프 재생용 재생단추(12)와, 카아트리지 테이프를 넣었다 꺼냈다 하는 카아트리지 엔트리(14)를 설치해서 된 하우징(1)과, 그 하우징(1)내에 축이 장치되는 동시에 윗면 중심에 중심구멍이 있으며 또한 카아트리지 테이프를 끼우는 슬리이브(20)를 여러개 중심구멍을 중심으로 해서 방사상으로 일체적으로 배치해서 된 카아트리지 호울더(2)와 동일하게 하우징(1)내에 설치되어 그 카아트리지 호울더(2)의 중심부위를 아래쪽으로 그 출력축으로 축을 지지하는 스테핑 모우터(344)와 전술한 재생단추(12)를 포함하며 이 재생단추(12)를 한번 누르게 되면 연달아 작동되는 재생헤드(3042) 및 테이프주행 모우터(305)를 구비해서 된 재생수단에 의해서 구성되는 구조에 있어서, 전술한 카아트리지 호울더(2)에는 여러개의 카아트리지 테이프를 동시에 끼우는 여러개의 슬리이브(20) 가 배설되어 있는 동시에 선택단추(10)와 스테핑 모우터(344)의 다른 회전 각도와의 조합에 의해서 임의의 카아트리지 테이프를 선택하고 재생수단에 의해서 음성을 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아트리지 테이프의 음재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재생헤드부분이 카아트리지 호울더(2) 윗면 중심에 개설된 중심구멍에서 카아트리지호울더(2)내로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아트리지 테이프의 음재생장치.
KR2019870010090U 1987-06-24 1987-06-24 카아트리지 테이프의 음재생장치 KR9000061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0090U KR900006195Y1 (ko) 1987-06-24 1987-06-24 카아트리지 테이프의 음재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0090U KR900006195Y1 (ko) 1987-06-24 1987-06-24 카아트리지 테이프의 음재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1416U KR890001416U (ko) 1989-03-18
KR900006195Y1 true KR900006195Y1 (ko) 1990-07-09

Family

ID=19264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10090U KR900006195Y1 (ko) 1987-06-24 1987-06-24 카아트리지 테이프의 음재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619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1416U (ko) 1989-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307050A (ja) ミニディスク兼用コンパクトディスクプレーヤー
EP0389199B1 (en) Automatic cassette tape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JPS63191450U (ko)
JPH0510280Y2 (ko)
JP3033225B2 (ja) テーププレーヤ
KR900006195Y1 (ko) 카아트리지 테이프의 음재생장치
JPH04103376U (ja) 記録担体用カセツト
JPH01243201A (ja) 複数録音溝を有するレコード盤のための音響再生機
US6041032A (en) Disk changer with trays movable between retaining and drawn-out positions
JPH0150024B2 (ko)
JP3067302B2 (ja) テーププレーヤ
US3542371A (en) Combination player for discs and tape-cartridges
JP2806412B2 (ja) ディスク収納マガジン
JPH067484Y2 (ja) デイスクプレ−ヤ
JPS6211435B2 (ko)
JP2893987B2 (ja) テーププレーヤ
JPH0348781Y2 (ko)
JPH0216450Y2 (ko)
JPH0574034A (ja) デイスク再生装置
JP3421392B2 (ja) フローティングロック機構
JPH0516644Y2 (ko)
JPS6237462B2 (ko)
KR850002498Y1 (ko) 디스크 재생장치의 상태표시 회로
JPS6337856A (ja) インデックスキャリアの選択再生機
JPH0256741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