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6100Y1 - 자동차 경고 표시등의 자동 점검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경고 표시등의 자동 점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6100Y1
KR900006100Y1 KR2019870004377U KR870004377U KR900006100Y1 KR 900006100 Y1 KR900006100 Y1 KR 900006100Y1 KR 2019870004377 U KR2019870004377 U KR 2019870004377U KR 870004377 U KR870004377 U KR 870004377U KR 900006100 Y1 KR900006100 Y1 KR 9000061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nd gate
vehicle
warning light
warning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043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9537U (ko
Inventor
강금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이양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이양섭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700043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6100Y1/ko
Publication of KR8800195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953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61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610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1/00Arrangement of monitoring devices for devices provided for in groups B60Q1/00 - B60Q9/00
    • B60Q11/005Arrangement of monitoring devices for devices provided for in groups B60Q1/00 - B60Q9/00 for lighting devices, e.g. indicating if lamps are burning or no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80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 경고 표시등의 자동 점검 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구성 회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타임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R1-R5 : 저항 A1-A3 : 낸드 게이트
C1-C2 : 콘덴서 D1-D3 : 다이오드
ZD1, ZD2 : 제너다이오드 Q1 : 트랜지스터
PL1-PL3 : 경고 표시등 Ry : 릴레이
SW1-SW2 : 스위치
본 고안은 자동차 계기판에 설치되는 각종 경고표시등의 전고 소손 여부를 확인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이 가동하기 전에 스스로 일정시간동안 점검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의 기술 진보와 전자산업의 발달로 인해 첨단 전자 기술이 자동차의 자동화 시대를 가속화 시키면서 각종 자동차 시스템의 보급이 자동차에 보급 적용되고 있으며, 그 일예로서 자동차의 경고 표시등점검 장치도 점차 자동차 추세로 적용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경고표시등 점검 장치는 보턴 스위치를 이용하여 운전자가 점검의사가 있을때 스위치를 눌러확인하는 방법이 보편적이나 이의 단점은 경고 표시등의 점검스위치를 각각 눌러서 확인하는 불편함과 또는 인지하고 있지 않게 되면 점검해야 하는 동작을 있어 지나지게 되는 패단이 있어 일부 차량에 있어서는 상기 불편한 점을 감안하여 여러가지 기능을 조합한 복합제어 장치인 마이크로 컴퓨터를 이용하여 그 일부에 자동점검장치가 도입적용되는 경우가 있으나 이의 단점은 구조가 복잡하고 특정된 자동차 이외에는 호환성이 없기때문에 적용이 불가할뿐 아니라 가격의 고가로 인해 일부의 고급 차량 이외는 적용예가 없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자동차의 경고 표시등 자동 점검 장치에 있어서, 상기의 불편함을 해소하고 구조를 간단히 함으로씨 원가를 낮추고 또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도록 운행전에 스스로 일정시간 동안 전구소손 여부를 판단하여 안전운행에 기여하고 제어회로에는 집적회로를 이용한 구성을 간단히 함으로서 어느 차량에도 쉽게 적용될 수 있는 자동으로 점검하는 자동차 경고 표시등의 자동점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로서 시동키 스위치(SW4)의 시동 온 단자(ON)에 분배저항(R1,R2)을 직렬 연결하고 그 사이에 제너다이오드(ZD1)와 낸드 게이트(A1, A2) 입력단을 공통접속하며 낸드 게이트(A1)의 출력단은 다이오드(D4)와 콘덴서(C1) 및 저항(R3)으로된 지연회로를 통해 낸드 게이트(A2)의 일측 입력단에 접속하고 그 출력단을 낸드 게이트(A3)와 저항(R4,R5)을 거쳐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연결하며,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에는 다이오드(D5)와 릴레이(Ry)를 병렬 접속하고 그 단에 서지전압 방지용 콘덴서(C2)와 제너다이오드(ZD2)를 병렬 접속하여 다이오드(D6)와 휴즈(F)를 통해 축전지 전원(B+)에 연결하며 경고표시등 스위치(SW1-SW3)에는 경고표시등(PL1-PL3)을 각각 직렬접속하되 그 사이에 다이오드(D1-D3)를 병렬 연결하여 릴레이(Ry1)의 온 단자(ON)에 접속하여서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자동차가 통상 주차 상태에서는 시동키 스위치(SW4)의 가동접점이 오프단자(OFF) 위치에 있게 되는데 이때에는 축전지 전원(B+)이 시동키 스위치(SW4)에 의해 차단되어진 상태이므로 낸드 게이트(A1)의 양측입력단자는 로우레벨의 신호가 입력되어져 그의 출력은 하이 신호가 된다.
따라서 출력된 하이신호가 다이오드(D4)를 통해 일단은 지연회로인 콘덴서(C1)와 저항(R3)을 거쳐 낸드게이트(A2)의 타측 입력단에 인가되어진다.
이에 낸드 게이트(A2)는 일측 입력단에 인가되는 로우레벨의 신호에 의해 하이신호가 출력되어 낸드게이트(A3)의 양측 입력단에 인가되므로 그의 출력은 로우신호가 되어진다.
그러므로 낸드 케이트(A3)에서의 로우신호에 의해 트랜지스터(Q1)가 구동되지 않게 됨으로 릴레이(Ry)또한 동작하지 않게 되어 경고표시등(PL1-PL3)은 소등 상태를 유지한다.
단 여기서 경고등 점등스위치(SW1-SW3)는 오프되어 있는 상태로 있게 되며 이의 경고등 점등스위치(SW1-SW3)는 자동차가 주행중 안전계통에 이상이 발생되었을 대만 턴온되어지는 안전스위치이다.
이와 같은때 자동차를 운행하기 위해 시동키 스위치(SW4)의 가동 접점을 온단자(ON) 위치에 놓게 되면 즉 제2도의 T1의 시간부터 축전지 전원(B+)은 시동키 스위치(SW4)의 온 단자(ON)와 저항(R1) 및 과전압 바이패스 제너다이오드(ZD1)를 통해 낸드 게이트(A1)의 양축 입력단자에 저항(R2)에 의해 분배되어진 하이레벨의 신호가 입력되어 진다.
이에 낸드게이트(A1)는 로우 신호가 출력되어 짐으로서 지연회로인 콘덴서(C2)에 충전되었던 충전 전압이 저항(R3)과의 시정수에 의해서 일정 시간동안 방전을 하게 된다.
따라서 낸드게이트(A2)의 타측단에 하이신호가 T1시간부터 입력되어지고 일측단에는 저항(R1,R2)에 의해 분배된 축전지 전원(B+)이 입력이 되어 그의 출력은 로우 신호가 되어진다.
이 로우 신호가 낸드게이트(A3)의 양측 입력 단자에 인가되어 그의 출력은 다시 하이신호가 됨으로 저항(R4)을 통해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시켜 턴온된다.
그러므로 축전지 전원(B+)이 다이오드(D6)를 통해 릴레이(Ry)를 동작시켜 그의 자동차가 온 접점(ON)에 놓이게 된다.
이에 축전지 전원(B+)은 경고표시등(PL1-PL3)과 다이오드(D1-D3) 및 릴레이(Ry)의 온 접점(ON)을 통해 접지축으로 흐르게 됨으로선 경고 표시등(PL1-PL3)은 점등하게 된다.
이때 점등되지 않는 경고 표시등은 전구가 소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게 됨으로서 자동차의 운행이전에 교체 및 적절한 대처를 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지연회로의 콘덴서(C1)에 충전된 전하가 방전됨으로서 그의 설정된 시간(T1-T12)이 지나게 되면 낸드게이트(A2)에 입력되는 신호가 로우가 됨으로 시동키 스위치(SW4)가 온 접점(ON) 상태를 유치 하더라도 그의 출력 신호는 타측에 입력되는 신호에 관계없이 하이 신호가 출력되어 다시 낸드 케이트(A3)의 양측 입력단에 인가되어져 로우 신호가 출력되어 트랜지스터(Q1)가 오프 됨으로써 릴레이(Ry) 또한 비동작하여 가동자가오프 접점(OFF)에 놓이게 된다.
이에 경고표시등(PL1-PL3)은 소등되어 자동접점 동작을 마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제2도의 (b)에 나타낸 바와같이 시동키 스위치(SW4)가 T4의 시간에서 온 접점(ON)으로 되어져 지연 회로의 콘덴서(C1)가 방전하고 있는 시간(T4) 도중에 시동키 스위치(SW4)의 자동차가 스타아트접점(ST)이나 흑은 오프접점(OFF)의 위치로 놓이게 되는 경우에는 그의 시간(T5)부터는 낸드게이트(A2,A3)에 의해 트랜지스터(Q1) 및 릴레이(Ry)기 비동작 함으로 경고표시등(PL1-PL2)은 소등되어 점검의사가 없을때는 점등되지 않도록 함은 물본 자동점검 장치가 동작하지 않을 때는 릴레이(Ry)가 비동작되게 하여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게 하였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종래의 각 경고 표시등을 필요에 따라 각각 점검해야 하는 불편함이 제거되고 일부 고가인 차량에만 적용되던 제어시스템을 간단히 함으로서 어느 차량에도 쉽게 적용될 수 있어 기존자동차 경고 표시등의 자동점검 장치의 기능을 한층더 높여주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시동키 스위치(SW4)의 자동차에 경고표시등 스위치(SW1-SW3)와 경고표시등(PL1-PL3)를 접속하고 그 사이에 다이오드(D1-D3)가 병렬 접속되어 릴레이(Ry)의 온 접점(ON)에 접속되어 구성된 자동차 표시등의 점검장치에 있어서 공지의 시동키 스위치(SW4)의 온 단자(ON)에 분배저항(R1, R2)을 직렬 연결하며, 트랜지스터(Q1) 동작에 따른 릴레이(Ry) 구동으로 경고표시등을 점검할 수 있도록 구성한 통상의 회로에 있어서, 상기 분배저항(R1, R2)사이에 회로 안정을 위한 제너다이오드(ZD1)를 병렬로 접속하여 낸드게이트(A1)의 입력원으로함과 동시에 다른 낸드케이트(A2)의 일측 입력원으로 하고, 타측 입력단에는 상기 낸드케이트(A1)의 출력측 다이오드(D4)에 지연회로의 콘덴서(C1)와 저항(R3)을 병렬로 한 것을 연결하고, 이의 출력측은 또 다른 낸드게이트(A3)의 입력단에 연결하며, 상기 낸드케이트(A3)의 출력측 저항(R5)을 공지된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연결하고, 콜렉터측으로, 서지 전압 바이패스용 콘덴서(C1)와 제너다이오드(ZD2)를 병렬 접속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경고 표시등의 자동 점검장치.
KR2019870004377U 1987-04-01 1987-04-01 자동차 경고 표시등의 자동 점검 장치 KR9000061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4377U KR900006100Y1 (ko) 1987-04-01 1987-04-01 자동차 경고 표시등의 자동 점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4377U KR900006100Y1 (ko) 1987-04-01 1987-04-01 자동차 경고 표시등의 자동 점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9537U KR880019537U (ko) 1988-11-28
KR900006100Y1 true KR900006100Y1 (ko) 1990-07-06

Family

ID=19261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04377U KR900006100Y1 (ko) 1987-04-01 1987-04-01 자동차 경고 표시등의 자동 점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610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0802B1 (ko) * 2001-08-21 2003-12-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클러스터용 led 램프 회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5470B1 (ko) * 1998-12-31 2006-05-03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의 경고등 구동 회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0802B1 (ko) * 2001-08-21 2003-12-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클러스터용 led 램프 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9537U (ko) 1988-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13277A (en) Low fuel indicator system
US4435648A (en) Automotive accessory control system
US3764879A (en) Battery charging systems for road vehicles
US4323837A (en) Power supply circuit for automotive vehicles
GB2064238A (en) Automatic switching unit for vehicle driving lights
US3391302A (en) Warning circuit for headlamps that remain connected after the ignition circuit is disconnected
KR900006100Y1 (ko) 자동차 경고 표시등의 자동 점검 장치
US5353007A (en) Automotive turn signal warning device
US4125824A (en) Alarm circuit
US4034369A (en) Check circuit for checking vehicle warning system
US4871945A (en) Automatic brake light flashing electric module and circuit
KR200214212Y1 (ko) 배터리 방전 방지 및 미등과 안개등 제어장치
US4446507A (en) Automobile headlight control system
US3876904A (en) Light switch control
GB2165109A (en) Stop-lamp circuit failure detection system
KR0182471B1 (ko) 자동차의 배터리방전 차단장치
CA1339282C (en) Automatic brake light flashing electric module and circuit
KR19980053885A (ko) 자동차의 배터리 방전 방지장치
KR0137733Y1 (ko) 자동차 조명등 점소등 경보장치
KR100227492B1 (ko) 자동차밧데리 방전 방지장치
KR850002614Y1 (ko) 자동차용 경보지시기 자동점검회로
GB2177515A (en) Warning lamp checking circuit
KR200298590Y1 (ko) 엔진 지게차 계기판의 경고 램프 자동 점검장치
KR100197144B1 (ko) 자동차의 등화단선 검출장치
JPS5845943Y2 (ja) 車輛用灯器の故障点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