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6059B1 - 자동도어의 브레이크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도어의 브레이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6059B1
KR900006059B1 KR1019850002565A KR850002565A KR900006059B1 KR 900006059 B1 KR900006059 B1 KR 900006059B1 KR 1019850002565 A KR1019850002565 A KR 1019850002565A KR 850002565 A KR850002565 A KR 850002565A KR 900006059 B1 KR900006059 B1 KR 9000060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brake
speed
pulse signal
bra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2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7295A (ko
Inventor
고또 데루오
다까다 요시로우
무라지 겐지
히가시 미끼오
Original Assignee
다이하쯔 디젤 가부시끼가이샤
마사히로 오까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59077432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815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4095768U external-priority patent/JPS6112101U/ja
Priority claimed from JP59183147A external-priority patent/JPS6162375A/ja
Application filed by 다이하쯔 디젤 가부시끼가이샤, 마사히로 오까다 filed Critical 다이하쯔 디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50007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72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6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60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도어의 브레이크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자동도어의 브레이크 장치를 포함하는 자동도어 장치의 구성 설명도.
제2도는 모우터의 작동 및 브레이크 작동의 타임챠트.
제3도는 제동력 선택기준의 설명도.
제4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자동도어의 브레이크 장치를 포함하는 자동도어 장치의 구성 설명도.
제5도는 모우터의 작동 및 브레이크 작동의 타임챠트.
제6도는 도어의 이동 특성도.
제7도는 듀티 비(duty比)조절회로의 일예를 보인 회로도.
제8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자동도어의 브레이크 장치를 포함하는 자동도어 장치의 구성 설명도.
제9도는 제8도에 도시한 자동도어 장치의 중앙제어부의 회로도.
제10a,b,c-n도는 컴퓨터의 작동과정을 보인 플로우 챠트.
본 발명은 자동도어의 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도어의 폐쇄동작을 안전하고 원활하게 하기 위한 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도어의 동작은 우선 모우터에 의하여 이동하는 도어를 완전 개방 또는 완전 폐쇄되기 바로 전의 소정 위치까지는 비교적 고속으로 이동시키고, 이어서 브레이크 수단을 적어도 1회 작동시켜 속도를 떨어뜨린 다음 비교적 저속으로 도어를 완전 개방 또는 폐쇄 위치까지 이동시킴으로써 도어를 개방 또는 폐쇄 시키는 3단계 동작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인 바, 예를들면 일본특개소 58-90082호의 공보에 이와같은 3단계 방식으로된 바람직한 브레이크 수단의 작동 제어방법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자동도어의 도어중량이 다를 경우나 자동도어의 장착상태에 변화가 있을 경우 등에는 브레이크 수단의 제동력을 적절하게 조절할 필요가 있으며, 그렇게 하지 않으면 동작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들면, 브레이크 수단의 어느 일정의 제동력에 적합한 도어의 중량보다 도어가 무거운 경우에는 도어의 속도를 충분히 떨어뜨리지 못하게 되므로 도어가 문턱과 충돌하면서 닫혀지게 되고, 반대로 도어가 너무 가벼운 경우에는 도어의 속도가 급격히 저속으로 변하게 되므로 도어가 완전히 닫혀질때까지의 소정시간이 필요 이상으로 길어지게 된다.
또한, 브레이크 수단의 작동에 장해가 생기면 상기 3단계중 감속단계가 행해지지 않게 되므로 도어는 고속에서 급격히 저속으로 이행하거나 또는 고속의 상태로 완전 개방 또는 완전 폐쇄의 위치에 도달하게 됨으로써 도어기구에 충격을 가하여 브레이크 수단 이외의 구성에도 장해를 파급시키게 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므로 브레이크 수단의 불량을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종래의 자동도어 장치에는 브레이크 수단의 불량을 검출하는 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사람이 브레이크 수단의 불량을 발견하는 시기는 항상 늦어지기 쉽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브레이크 수단의 제동력을 적절히 자동조절하여 항상 도어의 동작을 원활하게 유지하는 자동도어의 브레이크 장치를 제공하고저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브레이크 수단의 작동불량을 즉시 검출하여 알릴 수 있는 자동도어의 브레이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리하여 본 발명은 자동도어의 도어속도에 반비례하는 시간간격으로 속도 펄스신호를 출력하는 속도 펄스신호 출력수단과, 도어감속용 브레이크 수단과, 그 브레이크 수단이 작동하는 위치를 검출하는 브레이크 위치 검출수단, 그리고 브레이크 수단의 효과를 측정하는 제동효과 측정수단 및 측정한 제동효과에 따라 브레이크 수단의 제동력의 크기를 조정하는 브레이크 제동력 조정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자동도어의 브레이크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자동도어의 도어속도에 반비례하는 시간 간격으로 속도 펄스신호를 출력하는 속도 펄스신호 출력수단과, 도어감속용 브레이크 수단과, 그 브레이크 수단이 작동하는 위치를 검출하는 브레이크 위치 검출수단과,브레이크 수단의 효과를 측정하는 제동효과 측정수단, 그리고 측정한 제동효과에 따라 브레이크 수단의 작동불량을 검출하여 브레이크 불량신호를 출력하는 브레이크 불량신호 출력수단 및 상기한 브레이크 불량신호가 출력 되었을때 경보를 발신하는 정보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자동도어의 브레이크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 도시한 자동도어장치(1)에 있어서, 도어(2)는 벨트(3)의 일축에 고정부착 되어 있고, 그 벨트(3)를 개재하여 모우터(4)의 구동에 따라 이동될 수 있게 되어 있다.
모우터(4)의 회전샤프트(5)에는 슬릿(slit) 원판(6)이 축설되어 있고, 그 슬릿원판(6)에 설치된 다수의 슬릿을 포토센서(7)가 검출하여 펄스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그리하여 도어(2)의 이동속도에 반비례하는 시간간격으로 속도 펄스신호가 출력된다. 이러한 슬릿원판(6)과 포토센서(7) 등이 속도 펄스신호 출력수단(8)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속도 펄스신호 출력수단은, 예를들어 도어의 이동에 따라 회전하는 기어의 이를 자기적(磁氣的) 또는 광학적으로 검출하여 펄스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가 있다. 또한 도어를 구동시키는 모우터의 회전에 동기(同期)하여 펄스를 출력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또 그외의 공지수단을 사용하여 구성해도 좋다. 요컨대 도어의 속도가 클수록 펄스를 더 많이 출력하는 것이면 좋다. 또한 펄스의 파형은 계수 가능한 파형이면 좋으나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속도 펄스신호 출력수단(8)에서 출력된 속도 펄스신호는 카운터(9)에 입력되어 클리어 된다. 이 카운터(9)가 펄스수 검출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속도 펄스신호수의 계수는 상기와 같이 카운터회로를 사용하여 디지탈화 할 수도 있다. 그밖에 이러한 하드웨어에 의하지 않고 컴퓨터에 의하여 소프트웨어적으로 할 수도 있다.
컴퓨터(10)는 모우터 제어회로(11)를 통해 모우터(4)의 작동을 제어하여 도어(2)의 개폐를 제어함과 동시에 모우터(4)의 발전제동에 의하여 브레이크 작동을 수행한다.
그리고 브레이크 수단은 이 분야에 사용되는 종래의 공지된 브레이크 수단을 사용할 수도 있다.
브레이크 수단의 제동력 절환은, 예를들어 브레이크 수단을 작동시키는 듀티 비의 절환에 의하여 행할 수도 있다.
이제 도어(2)의 폐쇄동작을 예로하여 컴퓨터(10)의 통상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모우터(4)를 비교적 고속 회전시켜 도어(2)를 비교적 고속으로 폐쇄하면서 도어가 소정의 제동위치 A에 도달되었음이 카운터(9)의 계수치에 의해 검지되면, 제2b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소정의 제동시간 Tb만을 발전제동 모우드로 하고, 다음 소정의 비제동시간 Tf만을 자유회전 모우드로 하여 이들을 번갈아 반복하여 모우터(4)의 회전을 제어함으로써 도어속도가 비교적 저속으로 되었음이 카운터(9) 계수치의 변화에 의하여 검지되면, 그 위치 B에서 모우터(4)를 비교적 저속회전 시키어 도어(2)를 비교적 저속으로 완전히 폐쇄하게 된다.
또한 컴퓨터(10)는 제동의 듀티 비 즉, Tb(Tb+Tf)의 적절한 값을 선택함으로써 적절한 제동력을 선택하는 브레이크 제동력 선택수단이다.
초기에 전원이 공급되거나 또는 운전사의 지시가 있으면 도어(2)를 비교적 저속으로 이동시켜 도어(2)를 완전히 폐쇄한다. 도어(2)를 비교적 저속으로 하는 것은 도어(2)의 스트로크와 현재 위치가 미지인 경우에 도어(2)가 문턱에 강하게 부딪히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어(2)가 완전히 폐쇄되었는지의 여부는 카운터(9)의 계수치 변동여부에 따라 분별할 수 있다. 즉 도어가 완전히 폐쇄되면 카운터의 계수치는 변하지 않는다.
다음, 클리어신호 펄스를 출력시켜 카운터(9)를 클리어 한후, 도어(2)를 비교적 저속으로 개방하면서 도어(2)를 완전히 개방한다. 여기에서 얻어지는 카운터(9)의 계수치는 도어(2)의 스트로크를 나타낸다. 카운터(9)에 있어서 1카운트에 상당하는 거리는 슬릿원판(6)의 치수등에 의하여 정하여지므로, 컴퓨터(10)는 계수치와 도어위치의 관계를 정확히 인식하게 된다.
설명의 편의상 구체적인 예로서, 1카운트가 2mm에 상당하고 계수치가「100」이었다면, 이때 도어(2)의 스트로크를 2m임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컴퓨터(10)는 브레이크 수단을 작동시키는 펄스신호 값을 설정한다. 예컨대 브레이크 수단이 작동하는 위치가 완전 폐쇄전 200mm라고 사전 지정되어 있다면 완전 개방 위치에서의 카운터(9)의 보유 값에「900」을 가산한 값이 상기의 펄스신호 값으로서 설정된다. 물론, 이것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브레이크 수단을 작동시킬 수 있는 펄스신호 값의 설정은 폐쇄동작에 있어서 도어가 비교적 고속으로 도달할 수 있는 위치에서부터 완전 폐쇄전 소정거리의 위치까지의 범위의 임의위치에 대응하는 값을 정하여도 좋다.
다음으로 도어(2)를 비교적 고속으로 폐쇄해가며 카운터(9)의 계수치가 상기 펄스신호 값으로 되었을때에 제동을 행한다. 브레이크의 제동력은 상기 듀티 비의 값으로서 선택 가능하며, 예를들어 "15", "12", "8", "6", "2"의 5단계로 선택할 수 있다고 하면, 이때의 듀티 비는 "15"로 한다. 즉, 최강의 제동력으로 제동을 행한다. 이 최강의 제동력은 예상되는 최대 중량의 도어를 상기한 완전 폐쇄전 소정거리에서 정지 가능하게 할 수 있는 큰 제동력이어야 한다.
카운터(9)의 계수치가 변화되지 않음에 따라 도어(2)가 정지되었음이 검지되면 클리어신호 펄스를 출력시켜 카운터(9)를 클리어한다. 이어서 도어(2)를 비교적 저속으로 폐쇄하면서 완전히 폐쇄한다. 여기에서 얻어지는 카운터(9)의 계수치는 비교적 저속으로 폐쇄동작이 행해지는 구간 거리에 상당하지만, 이것은 다른 관점에서는 완전 폐쇄전 200mm의 위치에서 제동거리를 제외한 나머지 거리에 상당하게 되어 간접적으로 제동거리에 대응하게 된다.
더우기 도어의 제동거리에 대응하는 펄스신호수는 브레이크 수단을 작동시켜 도어가 정지할때까지의 펄스신호수가 직접적인 것으로 되나, 상기와 같이 이것을 간접적으로 표시하는 속도 펄스신호수를 측정하여도 좋다.
컴퓨터(10)는 상기의 비교적 저속의 폐쇄동작 중에 얻어진 카운터(9)의 계수치에 따라 이후의 듀티 비를 선택한다. 구체적인 예로서 그 계수치가「55」이고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선택기준이 메모리에 테이블(表)로서 기억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하면, 계수치「55」는 110mm에 대응하므로 듀티 비 "8"이 선택된다.
따라서, 다음번의 제동은 듀티 비 "8"에서 행하여지는바 이것은 듀티 비 "15"보다 제동력이 적으므로, 제동거리는 상기한 경우보다 길어지게되며, 역으로 비교적 저속으로 폐쇄동작이 행해지는 구간거리는 짧아지게 된다.
그러나 이때 제동력이 일정하다면 도어(2)의 중량이 가벼우면 가벼울수록 제동효과는 커지며, 도어(2)는 즉시 정지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계수치는 커지게 된다. 그렇지만 제3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계수치가 크면 클수록 듀티 비는 적어지므로 제동력은 약화되어 다음번의 제동효과는 적어지게 된다.
이와같이 도어(2)의 중량에 대응하여 제동력이 보정되어지므로 결국 제동거리는 도어(2)의 중량에 따르지 않고 거의 일정해지게 되는 것이다. 즉, 본 자동도어장치(1)에서는 상기와 같이 제동력의 자기 보정에 의하여 도어 중량 또는 기타의 조건에 관계없이 도어(2)의 소정의 원활한 동작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변형 실시예로서, 처음에 적당한 하나의 기준 범위를 정하여 놓고 제동거리가 그 기준 범위보다 크다면 일단 강한 제동력을 선택하고, 그 기준 범위내에 있다면 그 소정 크기의 제동력을 유지하며, 기준범위보다 작다면 일단 약한 제동력을 선택하는 것으로, 제동력의 크기를 선택하는 것이 거론될 수 있다.
제4도에 도시한 자동도어장치(31)는 본 발명 브레이크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 구성요소중 도어(2), 벨트(3), 모우터(4), 회전 샤프트(5), 슬릿원판(6), 포토센서(7), 속도 펄스신호 출력수단(9)은 상기의 자동도어 장치(1)에 있어서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같은 번호를 적용하였다.
속도 펄스신호 출력수단(8)에서 출력된 속도 펄스신호는 게이트(32)를 통하여 카운터(33)에 입력되어 게수된다. 게이트(32)는 컴퓨터(36)에서의 스타트 신호로 온되어 소정시간후에 오프되는 타이머(34)가 온인 동안에만 개방된다. 한편, 카운터(33)는 상기의 스타트 신호로 클리어된다.
따라서, 카운터(33)의 계수치는 컴퓨터(36)가 카운터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형성되는 소정시간의 펄스신호수이다.
이러한 게이트(32), 카운터(33) 및 타이머(34)가 펄스 검출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컴퓨터(36)는 모우터(4)의 회전을 제어함으로써 도어(2)의 개폐를 제어하는 것으로, 모우터(4)의 발전제동에 의하여 제동을 행하는 브레이크 작동수단이기도 하다. 즉, 도어(2)의 폐쇄동작을 예로써 설명하면, 우선 모우터(4)를 비교적 고속회전시키어 도어(2)를 비교적 고속으로 폐쇄하여 가며 제4도의 도어위치센서(37)로 도어(2)의 단부를 검지하면, 제5b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모우터(4)를 소정의 제동시간 Tb만을 발전제동 모우드로 하고 다음 소정의 비제동시간 Tf만을 자유회전 모우드로하여, 이것들을 교대로 반복하여 제4도의 도어위치센서(38)로 도어(2)의 단부를 검지하면 모우터(4)를 비교적 저속회전 시키어 도어(2)를 저속으로 완전히 폐쇄시키게 된다.
또한 컴퓨터(36)는 제4도의 도어위치센서(37)로 도어(2)의 단부를 검지하였을때 카운터(33) 및 타이머(34)에 스타트신호를 출력한다.
제6도는 제동의 듀티 비 즉, Tb/(Tb+Tf)를 일정치 이하로 하였을 경우에 있어서 과대중량도어, 적정중량도어 및 과소중량도어의 이동특성을 각각의 특성곡선 1,m 및 n으로 표시하고 있다. 먼저 제6도 종축의 O-A구간은 비교적 고속으로 도어(2)가 폐쇄되는 구간으로, 이때에 모우터(4)는 컴퓨터(36)에서 회전수를 일정하게 제어하고 있으므로 도어의 중량에 관계없이 속도 회전하게 되므로 즉, 곡선의 기울기는 일정하고, 제4도의 도어위치센서(37)에 도달하는 시간은 t0로 일정하다.
다음 A-B구간은 제동구간으로, 도어(2)는 단속적으로 제동되나 제동효과는 도어중량이 클수록 적기 때문에 무거운 도어는 속도가 충분히 떨어지지 않은채로 단시간에 제 2 의 도어위치센서(38)에 도달하게 되며 한편, 가벼운 도어는 즉시 속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제 2 의 도어위치센서(38)까지 쉽사리 도달되지 않는다. 이 결과 제 2 의 도어위치센서(38)에 도달하는 시간은 t1, t2, t5의 순으로 도어의 중량이 무거울수록 빨라지게 된다.
다음의 B-C구간은 비교적 저속으로 도어(2)가 폐쇄되는 구간으로 모우터(4)는 컴퓨터(36)에 의해 그 회전수가 일정하게 제어되므로, 도어중량에 관계없이 속도 즉, 곡선의 기울기가 일정하며 이 구간에서의 쇼오시간도 일정하다. 따라서 도어가 완전히 폐쇄되는 시간 t4, t4, t6은 상기 시간 t1, t2, t3과 동일한 순이된다.
특성곡선 1의 시간 t1에 있어서의 기울기의 불연속성으로부터 알수 있듯이 과대중량도어의 경우에는 제동구간에서 저속도 구간으로의 이행이 원활하지 못하다. 한편, 특성곡선 n에 있어서는 시간 t6이 최대로 늦어지는 것으로부터 알수 있듯이, 과조중량도어의 경우에는 도어가 완전히 폐쇄될 때까지 소용되는 시간이 길어지게 된다. 이에 대하여 특성곡선 m은 이동이 원활하며 도어가 완전히 폐쇄될때 까지의 소요시간도 길지가 않다.
여기에서 타이머(34)가 게이트(32)를 개방하는 시간을 제6도에 표시한 시간 p라고 한다면, 과대중량도어에 있어서는 도어가 제6도에 표시한 거리 N1만큼 이동하는 동안의 펄스수 K1을 카운터(33)가 계수하는 것이 된다. 같은 방법으로 적정중량도어에 있어서는 도어가 거리 N2만큼 이동하는 동안의 펄스수 K2를 계수하게 되며, 과소중량 도어에 있어서는 도어가 거리 N3만큼 이동하는 동안의 펄스수 K3를 계수하는 것이 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펄스신호는 도어속도에 반비례하는 간격으로 출력되기 때문에 그 계수치는 결국 도어 이동량을 나타내는 것으로, 따라서 K1>K2>K3의 관계가 성립된다.
컴퓨터(36)에는 미리 정해진 설정치 D가 입력되어 있기 때문에 1회의 폐쇄동작이 종료할 때마다 그때 얻어진 카운터(33)의 계수치 K와 설정치 D를 비교한다. 그리하여 K>D이면, Tb/(Tb+Tf)의 값을 다소 크게 하고, K<D이면, Tb/(Tb+Tf)의 값을 다소 작게한다. 이제, 설정치를 D로 하고 K2와 같은 값이 입력되어 있다고 한다면, 계수치 K1이 얻어졌을 때에는 K1>D가 되므로, 예를들어 제동시간 Tb를 다소 연장하는 동시에 비제동시간 Tf를 다소 단축하여 합계시간 Tb+Tf는 변하지 않게되며 이에 따라 Tb/(Tb+Tf)의 값을 다소 크게한다.
제5c도는 이를 표시한 것으로, 연장된 제동시간을 Tb', 단축된 비제동시간 Tf'로 표시하고 있다. 다음번의 폐쇄동작 제동은 이와같이 다소 높여진 듀티 비로 행하여 지므로 제동효과는 먼저번보다 다소 강화되어, K2에 더욱 근접된 계수치가 얻어지게 된다. 한편, 계수치 K3가 얻어졌을 때에는 K3<D로 되므로, 상기와 역으로 제동시간 Tb가 다소 단축되고 비제동시간 Tf가 연장된다. 제5d도는 이를 나타낸 것으로, 단축된 제동시간을 Tb", 연장된 비제동시간을 Tf"로 표시하고 있다. 제동효과는 다소 약화되어 K2에 더욱 가까워진 계수치가 얻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폐쇄동작때마다 컴퓨터(36)는 제동의 듀티비를 자동조절하여 계수치 K가 설정치 D에 근접되게 하므로, 수회의 폐쇄동작에 의하여 도어중량 또는 기타의 조건에 불구하고 도어(2)는, 예를들어 제6도에 특성곡선 m으로 도시한 바와같은 소정의 원활한 동작을 행하게 된다.
상기 구성은 듀티 비의 조정을 컴퓨터에 의하여 소프트웨어 적으로 행하는 구성 이었으나, 비교회로 등을 사용하여 하드웨어 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요컨대, 어떠한 듀티 비에 있어서 브레이크 수단을 작동시켰을때, 검출된 펄스신호수가 소정의 설정치보다 많으면 듀티 비를 높이고, 반대로 적으면 듀티 비를 낮추어 브레이크 수단을 단속 작동시키는 것이면 좋다.
제7도는 듀티 비의 조절을 행하는 수단을 하드웨어회로로 구성한 일예를 도시한 것으로, 컴퓨터(36)와 모우터(4)의 사이에 설치하여 컴퓨터(36)의 작업량을 감소시킬 수가 있다. 이에 우선 회로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듀티 비 조절수단(20)에 제동신호가 입력되면 그 제동신호의 입상(立上)으로 플립플롭(21)이 세트되어 앤드게이트(22)를 통하여 브레이크 수단의 브레이크 드라이브 신호가 온된다. 제동신호의 입상으로 온시간 카운터(23)는 시간설정 카운터(25)의 반전출력을 세트하게 되므로, 시간설정 카운터(25)의 보유값만큼 클럭을 계수하였을때 캐리신호를 출력하여 그 캐리신호는 플립플롭(21)를 리세트한다. 그리하여 브레이크 드라이브 신호가 오프되게 된다. 온시간 카운터(23)의 캐리신호는 오프시간 카운터(24)에 시간설정 카운터(25)의 비반전 출력을 세트하게 되므로, 시간설정 카운터(25)의 보유값의 보수(補數)만큼 클럭을 계수하였을때 오프시간 카운터(24)는 캐리를 출력하여 플립플롭(21)이 재차 세트되는 동시에 온시간 카운터(23)는 다시 시간설정 카운터(25)의 반전출력을 세트하게 된다.
이하, 같은 사항이 반복되어 펄스상의 브레이크 드라이브 신호가 출력되게 된다. 브레이크 드라이브 신호의 온시간은 제5도에 있어서의 Tb시간이고, 시간설정 카운터(25)의 보유값에 대응하는 것이다.
또한 브레이크 드라이브 신호의 오프시간은 제5도에 있어서의 Tf시간이다. 이는 시간설정 카운터(25)의 풀카운트 값에서 보유값을 빼낸 값(즉, 상기의 보수)에 대응하는 것이다. 이때 업 카운트 신호가 입력되어 시간설정 카운터(25)의 보유값이 증가되면 온시간은 길어지고, 역으로 오프시간은 단축된다. 즉, 듀티 비가 커진다. 한편, 다운 카운트 신호가 입력되어 시간설정 카운터(25)의 보유값이 증가되면 온시간은 짧아지고 오프시간이 길어진다. 다시 말해서 듀티 비가 작아진다.
따라서, 예를 들자면 제4도에 도시한 컴퓨터(36)는 이러한 회로(20)에 제동신호와 업카운트신호 및 다운카운트 신호를 출력함에 의하여서도 듀티 비를 조절할 수가 있다. 또한 파우어 온시에는 초기설정 스위치(26)로 설정한 값이 시간설정 카운터(25)에 세트된다. 또 다른 실시예로는, 일회의 폐쇄동작 중에 듀티 비의 조절을 일회이상 행하도록 한 것을 들수가 있다.
또한, 전술한 자동도어(1) 장치에 있어서와 같이 속도 펄스신호수로부터 도어위치를 판정하도록 하여 도어위치센서를 생략할 수도 있다. 다시, 완전 개방 위치에서 정지되어 있는 도어를 시동시키는 폐쇄동작의 시동으로부터 일정시간내에 있어서의 펄스를 검출하여 이에 따라 제동의 듀티 비를 자동 조절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 관성의 움직임보다 무거운 도어일수록 펄스수가 작게 계수된다.
더우기, 상기 브레이크 장치의 제어는 자동도어의 개방동작 중의 브레이크 제어에도 적용되고, 또한 폐쇄동작에서 얻어진 듀티 비를 다음의 개방동작에 적용할 수 있고, 그 역으로 행할수도 있음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이상과 같이하여 본 자동도어장치(31)에서는 브레이크 수단의 작동이 상황변화에 적응하여 자동조절 되므로 항시 바람직한 원활한 도어의 동작을 얻을 수가 있게 된다.
제8도에 도시한 자동도어장치(41)에 있어서는, 도어(42)가 벨트(43)에 고정부착되어 있어 도어를 벨트(43)의 개재하에 모우터(44)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도면의 좌측 방향으로의 이동이 도어(42)의 개방방향이며, 우측방향으로의 이동이 도어(42)의 폐쇄방향이다. 도어(42)가 완전개방되기 직전으로부터 완전 개방 위치까지의 사이에 도어(42)가 있을때 제 1 리미트 스위치 LS1이 온되고, 한편 도어(42)가 완전폐쇄되기 직전으로부터 완전폐쇄시 까지의 사이에 도어(42)가 있을 경우 제 2 리미트 스위치 LS2가 온된다. 이들 리미트 스위치 LS1또는 LS2가 온되면 도어 위치신호 L1또는 L2가「1」이 된다.
매트 스위치 MS는 왕래객에 의하여 밟히게 되면 매트신호 M1=「1」을 출력시키게 된다.
속도 펄스신호 출력수단은 모우터(44)의 회전에 동기하여 속도 펄스신호 Q1를 출력하게 되는 것으로, 바꾸어 말하자면 소정의 도어 이동량이 있을때마다 속도 펄스신호 Q1을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속도 펄스신호 Q1의 시간간격은 도어(42)의 이동속도에 반비레하는 값이 된다. 이때의 자동도어장치(41)에 있어서는 속도 펄스신호 Q1에 인접한 펄스의 간격이 도어(42)의 3mm의 이동에 대응한다.
속도 펄스신호 출력수단(45)은 다시 속도 펄스신호 Q2를 출력한다. 이 속도 펄스신호 Q2는 기본적으로는 상기 속도 펄스신호 Q1과 같은 신호로서, 단지 그 위상(位相)만이 다르게 되어 있어, 모우터(44)가 도어개방방향으로 회전하고 있을 경우에는 속도 펄스신호 Q1의 입상보다 먼저 입상되어「1」로 된다.
모우터 구동제어부(46)는 중앙제어부(50)로부터 모우터 회전방향신호 f1과 속도신호 f2를 받아들여 이에 따라 모우터(44)를 고속개방(도어속도 V1), 저속개방(도어속도 V2), 고속폐쇄(도어속도 V3), 저속폐쇄(도어속도 V4), 누름(폐쇄방향으로 미약한 누름 토오크 T를 발생시킨다), 혹은 해제(토오크 O)중의 어느 모우드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모우터 드라이브 신호 d를 출력하게 된다. 이때의 이 자동도어장치(41)에 있어서는, V1=200mm/sec, V2=67mm/sec, V3=143mm/sec, V4=48mm/sec, T=16kgcm에 설정되어 있어 이 결과 속도 펄스신호 Q1의 시간간격은 고속개방시에 있어서는 15msec, 저속개방시에 있어서는 45msec, 고속폐쇄시에 있어서는 21msec, 저속폐쇄시에 있어서는 63msec로 된다. 그리고 모우터 구동제어부(46)는 중앙제어부(50)로부터 제동신호 f3을 받아들여 이에따라 제동신호 b를 출력하여 모우터(44)의 회전을 제동하는 제동기능을 가지고 있다.
얼람(Alam)(47)은 중앙제어부(50)로부터 얼람신호 a1을 받아들여 램프의 점멸과 부저의 단속에 의하여 운전자에게 경보를 발하게 하는 수단이다.
제9도는 중앙제어부(50)의 상세한 회로를 도시한 것으로, 이 회로에 있어서 속도 펄스신호 Q1이 입력되는 입상의 원쇼트회로(52) 및 그 입상의 원쇼트회로(52)의 출력이 딜레이회로(66),(67)를 통하여 입력되는 속도카운터(53)는 속도 펄스신호 Q1의 시간간격을 검출하는 펄스간격 검출수단을 구성하고 있고, Q1의 시간간격을 클럭주기로 나눈 몫이 속도카운터(53)의 최대출력치로 된다. 그래서 클럭주기가 1msec로 설정되어 있다고 한다면 고속개방시에는「15」, 저속개방시에는「45」, 고속폐쇄시에는「21」, 저속폐쇄시에는「63」이 속도카운터(53)에서 최대치로서 출력되게 된다.
디코더(54)(55) 및 (56)는 속도카운터(53)의 출력치가 각기「45」,「63」및 「300」으로 되었을때의 출력을「1」로 하고, 각각에 대응하는 플립플롭, 즉 저속개방 플래그(57), 저속 폐쇄플래그(58) 및 정지 플래그(59)를「1」로 세트한다. 이들 3쌍의 디코더와 플래그는 각기 도어가 저속개방, 저속폐쇄 혹은 실질적으로 정지된 것을 검출하는 저속신호 출력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즉, 저속개방플래그(57)가「1」로 세트되었다는 사실은 도어 속도가 저속개방의 속도 이하로 되어 있다는 사실을 나타내고 있다. 마찬가지로, 저속폐쇄플래그(58)의「1」은 도어속도가 저속폐쇄의 속도이하로 되어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정지플래그(59)의「1」은 도어속도가 100mm/sec이하로 되었음을 나타내고 있으나, 정상적인 이동중의 도어속도는 10mm/sec 이하로 되는 일은 없으므로, 이에 의하여 도어(42)이동의 정지에 대한 검출을 행한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같이 정지플래그(59)는 이상저속검지(異常低速檢知)플래그 기능도 수행하며 컴퓨터(51)와 함께 이상저속검지신호 출력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속도카운터(53)의 출력은 현치(現値)래치(68)에 입력되며, 그 현치래치(68)의 출력은 전치(前値)래치(69)에 입력됨과 함께 입상 원 쇼트회로(52)의 출력신호는 먼저 전치래치(69)의 래치 입력으로 되고, 다음 딜레이회로(66)로 약간 늦게 현치래치(68)의 래치 입력으로 되며, 다시 딜레이회로(67)로 약간 늦게 속도카운터(53)의 리세트 입력된다. 이 결과 현치래치(68)는 직전의 속도카운터(53)의 최대 출력치를 기억하고, 전치래치(69)는 그 하나 앞의 속도카운터(53)의 최대출력을 기억하게 된다. 이러한 의미에서 이들 래치(68), (69)는 시간간격 기억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시간간격 기억수단을, 예를들어, 래치회로로서 구성하여도 좋고 또는 컴퓨터의 메모리 일부를 사용하여 구성하여도 좋다.
콤퍼레터(70)는 현치래치(68)의 출력치 Y1과 전치래치(69)의 출력치 Y2를 비교하여 Y1<Y2인 경우에「1」을 출력한다. 이것은 속도 펄스신호 Q1의 시간간격이 작아진것 즉, 도어(2)의 속도가 증가한 것을 의미하고 있다. 후술하는 바와같이 이 콤퍼레터(70)는 컴퓨터(51)와 함께 브레이크 불량신호 출력수단을 구성하게 된다.
브레이크 불량신호 출력수단은 이와같이 비교회로와 게이트회로를 조합시켜 하드웨어적으로 구성하여도 좋으나 컴퓨터에 의하여 소프트웨어적으로 구성하여도 좋다.
절단카운터(71)는 업·다운 카운터로서, 회전방향플래그(74)의 출력이「0」인 경우 속도 펄스신호 Q1을 카운트업하는 한편, 회전방향 플래그(74)의 출력이「1」인때에는 속도 펄스신호 Q1을 카운트 다운한다.
전술한 바와같이 모우터(44)가 도어 개방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을때에는 Q1의 입상보다도 지연되어 Q가 입상하기 때문에 회전방향 플래그(74)의 출력은「0」이 되고 역으로 모우터(44)가 도어 폐쇄방향으로 회전하고 있을때에는 Q1보가 먼저 Q2가 입상하게 되므로 회전방향 플래그(74)의 출력은「1」이 된다. 이를 바꾸어 말하자면, 절단카운터(71)는 모우터(44)의 개방방향 회전중에 속도 펄스신호 Q1을 카운트 업하면, 폐쇄방향 회전 중에는 카운트 다운하는 펄스계수 수단인 것이다.
디코더(72)(72')는 절단카운터(71)의 출력치가 각각에 대응하는 소정치가 되었을때 출력을 발생하여 절단카운터(73)를「1」로 세트한다. 디코더(72)에 대응하는 소정값은 도어(42)가 완전폐쇄에서 완전개방까지 이동한때의 절단카운터(71)의 출력치보다 큰 값으로 설정된다. 또한 디코더(72')에 대응하는 소정값은 디코더(72)에 대응하는 소정값의 보수(음(-)의 부호를 취한다는 의미)로 설정된다. 구체적인 예로서 도어(42)의 완전폐쇄에서 완전개방까지의 스트로크가 예를들어 3000mm이고 이에 속도 펄스신호 Q1이 도어(2)의 3mm이동시마다 출력된다고 하면 절단카운터(71)의 카운트 값은 "1000"이 되므로, 디코더(72),(72')의 소정값은 예를들어 "1200"과 "-1200"으로 각기 설정된다. 절단카운터(71)는 도어의 개방이동시에 카운트 업되고 폐쇄이동때에는 카운트 다운되므로 그 출력치는 상기한 구체적인 예의 경우에 반드시 "-1000∼1000"의 값이 된다. 따라서, 만약 "-1200"으로 된다든지 "1200"이 된다고 하면, 그것은 도어(2)의 이동과 관계없이 모우터(44)가 회전하고 있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그 원인은 벨트(43)의 절단에 있다고 생각할 수 있게 된다. 이와같이 디코더(72),(72') 및 절단 플래그(73)는 벨트의 절단등과 같은 이상이 있을때 신호를 출력하는 이상신호 출력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즉, 일반적으로 말해 브레이크 수단이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다면 도어속도가 저하될 것이고 속도 펄스신호의 시간간격은 길어질 것이다. 따라서 속도 펄스신호의 시간간격을 비교하여 만약 제동 기간중에 시간간격이 짧아진다면 브레이크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할 수가 있다. 이 자동도어의 브레이크 장치는 이러한 판단을 적절히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더우기, 절단카운터(71)의 출력치는 컴퓨터(51)에 입력되고 컴퓨터(51)는 그 출력치로부터 후술하는 바와같은 벨트(43)의 슬립을 검출한다. 즉, 절단카운터(71) 및 컴퓨터(51)는 벨트의 슬립을 검출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이상신호 출력수단을 구성한다.
왕래객 플래그(60)는 매트신호 M1=「1」로 세트되는 플립플롭으로서, 입하(立下)원 쇼트회로(61) 및 딜레이회로(62)를 개재함으로서 매트신호 MS가「0」로 된 다음 소정시간, 예컨대 2초 늦게 리세트된다.
상기 속도카운터(53) 및 각 플래그(57), (58), (59)와 절단카운터(71) 및 절단플래그(73)는 콤퓨터(51)의 출력펄스 m 및 u에 의하여 임의로 리세트된다. 또한, 상기 출력펄스 m에 의하여 왕래객 플래그(60)는 임의로 리세트된다. 또 컴퓨터(51)의 출력펄스 n에 의하여 왕래객 플래그(60) 및 딜레이회로(62)는 임의로 리세트된다.
컴퓨터(51)는 자동도어장치(41)의 중추로써, 상기 주변회로와의 입출력 외에 도어위치신호 L1, L2를 읽어내어 다시 모우터 구동제어부(46)의 모우터 회전방향신호 f1, 속도신호 f2, 제동신호 f3의 출력을 행한다. 또한, 도어(42)의 폐쇄동작이 방행 받음을 계수하는 이상 카운터(51a), 도어의 완전 폐쇄위치에서의 절단카운터(71)의 출력치를 기억하는 폐쇄 레지스터(51c) 및 도어의 완전개방 위치에서의 절단카운터(71)의 출력치를 기억하는 개방 레지스터(51b)가 내장되어 있다. 또한, 얼람(47)에 얼람신호 a1을 출력한다. 이하, 컴퓨터(51)의 작동을 제10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어(42)의 초기위치를 완전폐쇄의 위치로 하고, 제10a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자동도어의 작동이 개시되면, 컴퓨터(51)는 개방 레지스터(51b)에 충분히 큰값, 예를들면 "2000"을 리세트함과 더불어 그의 보수"-2000", 다시 말해서 충분히 적은 값을 폐쇄 레지스터(51c)에 세트한다. 다음으로 모우터(44)의 회전방향을 신호 f1에 의하여「개방방향」으로 하며, 속도를 신호 f2에 의하여「0」으로 하는 동시에, 브레이크를 신호 f3에 의하여「오프」로 하고 초기상태의 도어(42)를 해제상태로 한다. 이어서, 출력펄스를 출력하여 왕래객 플래그(60) 및 딜레이회로(62)를 리세트한후 이 상태에서 왕래객 플래그(60)가 세트되는 것을 대기한다.
왕래객에 의하여 매트 스위치 MS가 밝혀져 매트신호 M1이「1」로 되면 왕래객 플래그(60)가 세트되고, 이를 검지하면 출력신호 m 및 u를 출력하여 속도카운터(53) 및 플래그(57)(58)(59)와, 절단카운터(71) 및 절단플래그(73)을 리세트한다. 이때에 오어게이트(64)에도 출력신호 m이 입력되지만, 매트신호「MS」가「1」이므로 어떠한 영향도 주지 못하게 된다.
출력신호 m의 출력후 도어위치신호 L1을 읽어내어 L1=0이면 고속개방 모우드로 이행되며, L1=1이면 이미 도어(42)가 제 1 리미트 스위치 LS1보다도 완전개방에 가까운 위치에 있는 것이므로 저속개방 모우드로 이행된다. 단, 최초에는 완전폐쇄 위치에서 도어(42)가 스타트하게 되므로 반드시 고속개방 모우드가 된다.
제10b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고속개방 모우드로서는 모우드 회전방향을「개방방향」으로 하고, 속도를「V1」으로 하며 브레이크를「오프」로 한다. 이에 따라 도어(42)는 속도 V1으로 개방동작을 시작하게 된다. 고속개방 모우드의 종류는 도어(42)가 제 1 리미트 스위치 LS1까지 개방된 것을 L1=1로 검지하였을 경우나, 왕래객이 매트 스위치 MS를 지나친 다음 2초가 경과한 것을 왕래객 플래그(60)의「0」에 의하여 검지한 경우, 정지플래그(59)가「1」이 된 경우, 절단플래그(73)가「1」이 된 경우등 4가지 경우의 어느 것인가에 의하여 행하여진다.
첫번째의 경우에는 도어(42)의 개방 스트로크가 끝에 가까운 관계로, 또한 두번째의 경우에는 왕래객이 지나간 이상 개방동작을 계속할 필요가 없으므로 개방 제동 모우드로 이행하게 된다. 세번째의 경우에는 고속 개방 모우드중에 도어(42)의 속도가 10mm/sec이하로 되는 것은 이상이 잇는 것으로, 무엇인가가 도어(42)의 이동을 방해하고 있다고 판정되므로, 이상 해제 모우드로 이행하게 된다. 네번째의 경우는 벨트(43)가 절단되어 있어 모우터(44)가 공전하고 있다고 판정되므로 절단이상 모우드로 이행하게 된다.
제10c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개방 제동 모우드에서는 모우터(44)의 상태에는 변경을 가하지 않은 채로 브레이크를 온으로 하게된다. 개방 제동모우드의 종료는 저속개방 플래그(57)가「1」로 되었을 경우나, 절단플래그(73)가「1」로 되었을 경우, 콤퍼레터(70)가「1」로 되었을 경우등 세가지 경우의 어느 것인가에 의하여 행하여 진다. 첫번째의 경우는 브레이크가 정상으로 작동하였을 때이고, 이에 의하여 속도가 저하되나 도어속도가 V2로 된것을 저속 개방 플래그(57)로 검지하면, 왕래객 플래그(60)로 왕래객의 유무를 첵크하여 왕래객이 있으면 저속개방으로 이행하고, 없으면 개방동작을 계속할 필요가 없음로 반전 폐쇄 제동 모우드로 이행하게 된다. 두번째의 경우는 벨트(43)가 절단되어 있다고 판정되므로 절단이상 모우드로 이행한다. 세번째의 경우는 제동중에 도어(42)의 속도가 증가한 것을 의미하고 있어, 이는 브레이크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되므로 브레이크 이상 모우드로 이행하게 된다.
한편, 브레이크의 제어는 다음과 같이 행하여 진다. 즉, 컴퓨터(51)가 소정의 듀티 비로 제동신호 f3를 출력하여 그 상태에서 절단카운터(71)의 출력치를 읽고, 소정시간 후에 다시 절단카운터(71)의 출력치를 읽어 그 차이로써 미리 설정되어 있던 기준치와 비교하여 전자가 후자보다 크다면 제동효과가 작은 것으로 판정하여 듀티 비를 크게하고, 역으로 전자가 후자보다 작다면 제동효과가 크다고 판정하고 듀티 비를 작게한다. 이에 따라 제동효과는 상황의 변화가 있어도 적절하게 자동조절 되므로, 항상 원하는 원활한 도어(42)의 동작을 얻을 수가 있다.
그리하여 제10d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저속개방 모우드에서는 브레이크를「오프」로 하고, 도어(42)가 속도 V2로 개방되도록 모우터(44)를 제어한다. 한편, 반전 폐쇄제동 모우드에서는 모우터(44)를 정지시키고 브레이크의「온」을 계속하게 된다. 이결과, 정상적인 경우에는 저속개방 모우드에서 도어(42)의 개방 스트로크가 종료하게 되는 반면, 반전폐쇄 제동 모우드에서는 브레이크에 의하여 도어(42)의 이동이 정지된다. 이를 정지플래그(59)로 검지하면 정상해제 모우드로 이행하게 된다. 그러나, 벨트(43)가 절단되어 있으면 모우터(44)가 공회전을 계속하여 절단카운터(71)의 출력치가 커져서 정지플래그(59)가「1」로 되지않고 절단플래그(74)가「1」로 된다. 이때에는 절단이상 모우드로 이행하게 된다.
제10e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정상해제 모우드에서는 모우터(44)를 정지시키고 브레이크를 오프로 하여 도어(42)를 해제상태로 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는 도어(42)가 정상적으로 완전개방의 위치에 도달하기 때문에, 절단카운터(71)의 출력치는 도어(42)의 완전폐쇄에서 완전개방까지의 풀스트로크에 대응하는 속도 펄스신호 Q1의 수를 나타낸다.
그래서 이때의 절단카운터(71)의 값을 판독하고, 이를 개방 레지스터(51b)에 먼저 기억되어 있던 값과 비교하여 판독된 값이 작으면 그 판독된 값보다 소정치 만큼 큰 값을 개방 레지스터(51b)에 세트하게 된다. 이 소정치는 벨트(43)의 허용될 수 있는 슬립 길이에 의하여 정해질 수 있는 것으로, 예를들어 허용할 수 있는 슬립의 길이가 9mm이고 속도 펄스신호 Q1이 도어(42)가 3mm이동할때마다 출력된다고 한다면 "3"이 된다. 따라서 절단카운터(71)가 읽어낸 값이 "1000"이라면 "1003"이 개방 레지스터에 세트된다.
개방 레지스터(51b)에 최초로 기억되어 있는 값은 전술한 바와같이 충분히 큰값이므로, 최초로 판독한 값은 반드시 그 값보다 작다. 따라서 기억하고 있던 개방 레지스터(51b)의 값과 판독된 절단카운터(71)의 값의 비교는 첫번째에는 의미가 없게된다. 그러나, 두번재의 비교에서는 먼저 기억하고 있던 개방 레지스터(51b)의 값, 예를 들자면 상기의 예시치 "1003"과 절단카운터(71)의 값이 비교되지만, 이때 벨트(43)가 9mm이상 슬립되고 있다고 하면 절단카운터(71)의 값은 "1003"이상이 되어 개방시 슬립이상 모우드로 이행하게 된다.
이와같이 개방 레지스터(51b)의 값과 절단카운터(71)값의 비교에 의하여 벨트(43)의 슬립 이상을 검출할 수 있게 된다.
벨트 슬립이 없으면 개방 레지스터(51b)의 값은 판독된 절단카운터(71)의 값보다 소정치 만큼 큰 값으로 갱신된다. 그리고 왕래객 플래그(60)가「1」인 동안에는 왕래객이 매트 스위치 MS상에 아직 머물러 있는 것이 되므로 도어(42)의 해제상태가 계속되게 된다.
왕래객 플래그(60)가「0」으로 됨에 따라 왕래객이 사라진 것이 검지되면, 출력펄스를 m, u, n의 순으로 출력하여 플래그(57)(58)(59)(60)과 속도카운터(53), 절단카운터(71)와 절단플래그(73) 및 딜레이회로(62)를 리세트하게 된다.
이어서, 도어위치신로 L2를 읽어내어 L2=0이면 고속폐쇄 모우드로 이행하고, L2=1이면 도어(42)가 제 2 리미트 스위치 LS2의 위치보다 폐쇄되어 있는 상태에 있으므로 저속 폐쇄 모우드로 이행하게 된다. 단, 최초에는 개방 레지스터(51b)의 설정을 위하여 완전개방 위치까지 개방하여야 하기 때문에 반드시 고속 폐쇄 모우드가 된다.
제10f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고속 폐쇄 모우드에서는 모우터 회전방향을「폐쇄방향」으로 하고, 속도를「V3」로 하며 브레이크를「오프」로 한다. 이에 따라 도어(42)는 속도 V3에서 폐쇄동작을 시작하게 된다. 고속 폐쇄 모우드의 종료는 도어(42)가 제 2 리미트 스위치 LS2까지 폐쇄된 것을 L2=1로 검지한 경우나, 왕래객이 매트 스위치 MS를 밟은 것을 왕래객 플래그(60)의「1」에 의하여 검지한 경우, 정지 플래그(59)가 1로 되었을 경우, 절단플래그(73)가 1로된 경우등의 네가지 경우의 어느 경우에 행하여 진다.
첫번째의 경우에는 도어(42)의 폐쇄 스트로크가 끝부분에 가깝기 때문이고, 두번째의 경우에는 왕래객이 오면 도어(42)를 개방하기 때문에 폐쇄 제동 모우드로 이행한다.
세번째의 경우에는 고속 폐쇄 모우드중에 도어(42)의 속도가 10mm/sec이하로 되는 것은 이상이므로, 무엇인가가 도어(42)의 이동을 방해하고 있다고 판정되어 이상 반전 모우드로 이행하게 된다.
네번째의 경우는 벨트(43)가 절단되어 있고 모우터(44)가 공회전하고 있다고 판정되므로 절단이상 모우드로 이행하게 된다.
제10g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폐쇄 제동 모우드에서는 모우터(44)의 상태에는 변경을 가하지 않은채 브레이크를「온」으로 한다.
폐쇄제동 모우드의 종료는 저속폐쇄 플래그(85)가「1」로 되었을 경우나, 절단플래그(73)가「1」로 되었을 경우, 콤퍼레터(70)가「1」로 되었을 경우등의 3가지 경우의 어느것인가에 의하여 행해지게 된다.
첫번째의 경우는 브레이크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을때 이고 이로 인하여 도어속도가 저하되나, 도어속도가 V4로 된것을 저속폐쇄 플래그(58)로 검지하면 왕래객 플래그(60)로 왕래객의 유무를 첵크하여, 왕래객이 없으면 저속폐쇄로 이행하고, 왕래객이 있으면 도어(42)를 개방할 필요가 있으므로 반전 개방제동 모우드로 이행하게 된다.
두번째의 경우는 벨트(43)가 절단되어 있다고 판정되므로 절단이상 모우드로 이행하게 된다.
세번째의 경우는 제동중에 도어(42)의 속도가 증가하고 있는 것을 의미하고 있어, 이는 브레이크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되므로 브레이크 이상 모우드로 이행하게 된다.
제10h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저속폐쇄 모우드에서는 브레이크를「오프」로 하여 도어(42)가 속도 V4로 폐쇄되도록 모우터(44)를 제어한다. 한편, 반전 개방제동 모우드에서는 모우터(44)가 정지되고 브레이크의 온상태가 계속 유지된다. 이 결과 정상인 경우에 저속폐쇄 모우드에서는 도어(42)의 폐쇄 스트로크이 종료로 인해, 또 한편 반전 개방제동 모우드에서는 브레이크에 의하여, 도어(42)의 이동이 정지하게 된다.
이들 정지플래그(59)로 검지하려면 왕래객 플래그(60)로 왕래객의 유무를 첵크하여 왕래객이 없으면 누름 모우드로 이행하고, 왕래객이 있으면 다시 도어(42)를 열기 위해 제10a도에 도시한 도중 개방 모우드로 이행하게 된다.
그러나, 벨트(43)가 절단되어 있으면 모우터(44)가 공회전을 계속하여 절단카운터(71)의 출력치가 커져서 정지플래그(59)가「모우드」로 되지 않고 절단플래그(73)가「1」로 된다. 이때에는 절단이상 모우드로 이행하게 된다. 또한, 도중 개방 모우드는 스타트 모우드에서 왕래객을 검지한 때와 꼭같은 처리를 반복 수행하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0i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누름 모우드에서는 모우터 회전방향을「폐쇄방향」으로 하고, 토오크를「T」로 하며 브레이크를「오프」로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모우터 구동제어부(46)는 모우터(44)의 공급전압을 낮추거나 하여 모우터(44)에 도어 폐쇄방향의 미약한 토오크 T를 발생시킨다. 이결과 도어(42)는 손으로 용이하게 열 수 있는 정도의 힘으로 문턱에 눌러 맞닿은 상태로 되어, 도어(42)에 의한 밀폐상태가 유지된다. 이때에 모우터(44)는 회전되지 않으나, 미약한 토오크를 발생시킬 수 있는 전력 밖에 공급되지 않으므로, 과부하로 인하여 소손되는 등이 우려는 전혀 없게 된다. 이 상태에서 도어(42)는 정상적으로 완전 폐쇄의 위치에 도달하게 됨으로써 절단카운터(71)의 출력치는 도어(42)의 완전 개방에서 완전 폐쇄까지의 풀스트로크에 대응하는 속도 펄스신호 Q의 수를 표시한다. 단, 카운트다운을 위한 부(-)의 수로되고 보수표현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때의 절단카운터(71)의 값을 읽어두고 이를 폐쇄레지스터(51)에 먼저 기억하고 있던 값과 비교하여, 판독된 값이 작지 않으면 그 판독된 값보다 소정치 만큼 작은 값을 폐쇄레지스터(51)에 세트하게 된다. 이 소정치는 벨트(43)의 허용할 수 있는 슬립길이로부터 정할 수가 있으므로 예를들면 허용할 수 있는 슬립의 길이가 9mm이고, 동시에 속도 펄스신호 Q1이 도어(42)의 3mm이동시마다 출력된다고 하면 "3"이 된다. 따라서 절단카운터(71)가 판독한 값이 "-1000"이라면 "-1003"이 폐쇄레지스터(51c)에 세트된다.
폐쇄레지스터(51c)에 최초로 기억되고 있는 값이 전술한 바와같이 충분히 작은 값이므로, 최초에 판독된 값은 반드시 그 값보다 크다. 따라서 먼저 기억하고 있던 폐쇄레지스터(51c)의 값과 판독된 절단카운터(71)값의 비교는 첫번째에는 의미가 없다. 그러나 두번째 이후에는 그 의미를 가지게 된다. 즉 두번째의 비교에서는 먼저 기억하고 있던 폐쇄레지스터(51c)의 값, 예를들자면 상기 예시치 "-1003"과 절단카운터(71)의 값이 비교되지만, 이때 벨트(43)가 9mm이상 슬립하고 있다고 하면 절단카운터(71)의 값은 "-1003"이하로 되어 폐쇄시 슬립 이상 모우드로 이행하게 된다. 이와같이 페쇄 레지스터(51c)의 값과 절단카운터(71)의 값의 비교에 의하여 벨트(43)의 슬립 이상의 검출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벨트 슬립이 없으면 폐쇄 레지스터(51c)의 값보다 소정값 만큼 작은 값으로 바뀌어 제10e도에 도시된 개방대기 모우드로 이행하게 된다.
개방대기 모우드는 스타트 모우드로 왕래객을 대기하는 처리과정과 같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0j도는 이상해제 모우드 및 이상반전 모우드의 처리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상해제 모우드에서는 모우터 회전방향을「개방방향」으로 하고, 속도를「0」으로 하며, 브레이크를「오프」로 하여 도어(42)를 해제상태로 한다.
이어서 얼람신호 a1을 출력하여 얼람(47)으로 경보음 "삣삣"을 반복하여 발신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왕래객 플래그(60)가 한번 세트될때까지 기다려 리세트되면 제10a도의 도시된 개방대기 모우드로 이행하게 된다. 이는 이상이 있을 경우 안전을 위하여 매트 스위치 MS로부터 왕래객에게 한걸음 물러서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이상번전 모우드에서 이상카운터(51a)를 증가 조정하고 만약 이상회수가 소정회수, 예를들자면 3회 미만이면 출력펄스 m을 출력하여 제10a도에 도시된 도중 개방 모우드로 이행되게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도어(42)는 반전하여 개방동작하게 된다.
출력펄스 m은 순식간에 입하되므로, 그다음의 딜레이회로(62)에서의 지연시간후에 도어(42)는 재차 폐쇄동작되나, 이때 먼저 이상 원인이 해소되어 있지 않으면 다시 이상반전 모우드로 되어 같은 일이 반복된다. 그 반복이 소정회수에 달하게 되면 그 이상의 개페반복은 무의미하므로 이상해제 모우드로 이행하게 된다. 즉, 이상반전이 소정회수 반복된후 도어(42)는 해제상태로 된다. 만약 소정회수에 달하기 전에 이상원인이 해소되면, 도어(42)가 정상적인 폐쇄동작을 거쳐 제10a도의 개방대기 모우드로 이행되며, 이때에 이상카운터(51a)가 리세트 되므로 초기의 정상적인 대기상태로 되는 것이다.
제10k도는 절단이상 모우드의 처리를 보인 것으로 모우터(44)를 즉시 정지시키고 브레이크를「오프」한다. 이어서, 얼람신호 a1을 출력하여 얼람(47)으로 경보음 "삐-삣"을 반복하여 발신시키며, 이 상태에서 자동도어장치(41)의 운전을 정지하게 된다.
제10l도는 브레이크 이상 모우드의 처리를 나타낸 것으로, 모우터(44)를 즉시 정지시키고 브레이크를 오프로 한다. 이어서 얼람신호 a을 출력하여 얼람(47)으로 경보음 "삐-"을 반복하여 발신시키어 이 상태에서 자동도어장치(41)의 운전을 정지하게 된다.
제10m도는 개방시 슬립이상 모우드의 처리를 보인 것으로, 경보음 "삐-삣삣"을 소정시간 발신하지만 자동도어장치(41)의 운전을 정지할 필요는 없으므로, 제10e도에 도시한 폐쇄대기 모우드로 이행하게 된다.
제10n도는 폐쇄시 슬립이상 모우드의 처리를 보인 것으로 경보음 "삐-삣삣삣"을 소정시간 발신하지만, 자동도어장치(41)의 운전을 정지할 필요는 없으므로 제10a도에 도시한 개방대기 모우드로 이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도어의 브레이크 장치에서는 벨트(43)의 절단을 검출하여 운전을 정지하는 동시에 경보를 발신하게 된다. 또한 벨트(43)의 슬립을 조기에 검출하여 경보를 발신한다. 발신음은 이상의 원인에 따라 특정의 패턴이 정해져 있으므로 운전자는 용이하게 그 이상 원인을 알 수가 있게 된다.
더우기 경보수단으로 예를들자면 램프나 부저와 시알티 디스플레이를 들 수가 있다. 특히 브레이크가 불량인 것을 식별 가능하게 알려줄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예로서는 속도 펄스신호로부터 도어위치를 판정하도록 하여 도어위치센서 LS1, LS2를 생략한 것, 매트 스위치 MS대신에 열선식(熱線式)센서나 레이다센서등을 사용한것, 컴퓨터(11)를 사용하지 않고 하드웨어 회로로 중앙제어부(10)를 구성한 것 등을 들 수가 있다.
결국, 상기 자동도어의 브레이크 장치에 의하면, 브레이크에 불량작동이 발생할 경우 즉시 경보가 발신되므로 조기에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여 자동도어 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Claims (12)

  1. 자동도어의 도어속도에 반비례하는 시간간격으로 속도 펄스신호를 출력하는 속도 펄스신호 출력수단, 도어감속용 브레이크 수단, 그 브레이크 수단이 작동하는 위치를 검출하는 브레이크 위치 검출수단, 브레이크 수단의 효과를 측정하는 제동효과 측정수단 및 측정한 제동효과에 따라 브레이크 수단의 제동력의 크기를 조정하는 제동력 조정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도어의 브레이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속도 펄스신호 출력수단이 자동도어 구동 모우터의 회동에 의하여 회전되는 슬릿원판과 그 슬릿원판의 슬릿을 검출하는 프로센서를 구비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도어의 브레이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브레이크 위치 검출수단이 자동도어 장착틀의 소정위치에 고정설치된 위치센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도어의 브레이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브레이크 위치 검출수단이 먼저 도어를 비교적 저속으로 폐쇄동작시켜 완전폐쇄하고, 다음에 비교적 저속으로 도어를 개방동작시켜 완전개방하여, 상기의 완전폐쇄에서 완전개방간에 상기 펄스출력수단이 출력하는 펄스신호수를 계수하여 도어 스트로크를 검출하는 도어 스트로크 검출수단과, 그 검출한 도어 스트로크에 대응하는 펄스 신호수에 의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도어의 브레이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제동효과 측정수단이 브레이크 수단을 작동시킬 수 있는 펄스신호에 이를때까지 도어를 비교적 고속으로 폐쇄동작시키고, 소정 크기의 제동력으로 브레이크수단을 작동시켜 도어를 정지시킨 후 이때의 도어의 제동거리에 대응하는 펄스신호수를 측정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도어의 브레이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제동효과 측정수단이 브레이크 수단의 작동중의 소정 기간동안의 펄스신호수를 검출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도어의 브레이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제동효과 측정수단이 속도 펄스신호의 시간간격을 검출하는 펄스간격 검출수단, 그 펄스간격 검출수단으로 검출한 시간간격을 기억하는 시간간격 기억수단, 어느 시간에 얻은 펄스신호의 시간간격과 그 이전에 얻어 기억하여 둔 펄스신호의 시간간격과의 비교를 브레이크를 작동시키고 있는 기간동안에 행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도어의 브레이크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제동력 조정수단이 도어의 브레이크 수단을 단속작동시키는 듀티 비를 변화시켜 제동력을 조정하는 수단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도어의 브레이크 장치.
  9. 자동도어의 도어속도에 반비례하는 시간간격으로 속도 펄스신호를 출력하는 속도 펄스신호 출력수단, 제동력을 절환시키는 도어 감속용 브레이크 수단, 먼저 도어를 비교적 저속으로 폐쇄동작시켜 완전폐쇄하고 다음에 비교적 저속으로 도어를 개방작동시켜 완전개방하여, 상기의 완전폐쇄로부터 완전개방에 상기 펄스출력수단이 출력하는 펄스신호수를 계수하여 도어 스트로크를 검출하는 도어 스트로크 검출수단과, 그 검출한 도어 스트로크에 대응하는 펄스신호수에 따라서 브레이크 수단을 작동시키는 펄스신호치를 설정하는 브레이크 위치 설정수단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브레이크 위치 검출수단, 상기 브레이크 수단을 작동시키는 펄스신호치까지 도어를 비교적 고속으로 폐쇄동작시킨 다음 소정의 크기의 제동력으로 브레이크 수단을 작동시켜 도어를 정착시킨후, 이때의 도어의 제동거리에 대응하는 펄스신호수를 측정하는 제동효과 측정수단 및 이때의 도어 제동거리에 대응하는 펄스신호수에 따라 다음부터의 브레이크 수단의 제동력의 크기를 선택하는 브레이크 제동력 선택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도어의 브레이크 장치.
  10. 자동도어의 도어속도에 반비례하는 시간간격으로 속도 펄스신호를 출력하는 속도 펄스신호 출력수단, 브레이크 수단의 작동중의 소정 기간동안의 상기 펄스신호를 검출하는 제동효과 측정수단 및 그 제동효과 측정수단의 출력을 소정의 설정치에 일치시키기 위해 듀티 비를 변화시켜 도어의 브레이크 수단을 단속작동시키는 브레이크 제동력조정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도어의 브레이크 장치.
  11. 자동도어의 도어속도에 반비례하는 시간간격으로 속도 펄스신호를 출력하는 속도 펄스신호 출력수단, 도어감속용 브레이크 수단, 그 브레이크 수단이 작동하는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수단,브레이크 수단의 효과를 측정하는 제동효과 측정수단, 측정한 제동효과에 따라 브레이크 수단의 작동불량을 검출하여 브레이크 불량신호를 출력하는 브레이크 불량신호 출력수단 및 상기 브레이크 불량신호가 출력된 다음 경보를 발신하는 경보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도어의 브레이크 장치.
  12. 도어속도에 반비례하는 시간간격으로 속도 펄스신호를 출력하는 속도 펄스신호 출력수단, 상기 속도 펄스신호의 시간간격을 검출하는 펄스간격 검출수단과 그 펄스간격 검출수단으로 검출한 시간간격을 기억하는 시간간격 기억수단과 어느 시간에 얻은 펄스신호의 시간간격과의 비교를 브레이크를 작동시키고 있는 기간동안에 행하는 제동효과 측정수단과, 어느시간에 얻은 펄스신호의 시간간격이 그 이전에 얻어 기억하고 있던 펄스신호의 시간간격 보다 작을때 또는 같은 상태일때 브레이크 불량신호를 출력하는 브레이크 불량신호 출력수단 및 상기 브레이크 불량신호가 출력되었을때 경보를 발신하는 경보수단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도어의 브레이크 장치.
KR1019850002565A 1984-04-16 1985-04-16 자동도어의 브레이크 장치 KR9000060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9077432A JPH078159B2 (ja) 1984-04-16 1984-04-16 オ−トドアのブレ−キ制御装置
JP77432 1984-04-16
JP1984095768U JPS6112101U (ja) 1984-06-25 1984-06-25 オ−トドアのブレ−キ不良検出装置
JP95768 1984-06-25
JP59183147A JPS6162375A (ja) 1984-08-31 1984-08-31 オートドアのブレーキ制御方法
JP183147 1984-08-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7295A KR850007295A (ko) 1985-12-02
KR900006059B1 true KR900006059B1 (ko) 1990-08-20

Family

ID=27302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2565A KR900006059B1 (ko) 1984-04-16 1985-04-16 자동도어의 브레이크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900006059B1 (ko)
DE (1) DE3563766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4605B1 (ko) * 2000-11-16 2004-01-07 주식회사 두성하이텍 자동문의 소프트 정지 조정 장치
KR100383071B1 (ko) * 2000-11-16 2003-05-12 주식회사 두성하이텍 자동문의 정지 제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563766D1 (en) 1988-08-18
KR850007295A (ko) 1985-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581723B2 (en) Control and drive for sliding wing
US4401929A (en) Control apparatus of automatic door
JPH079127B2 (ja) 自動ドアの開閉制御方法
EP0162799A1 (en) Automatic door control system
EP0162280B1 (en) A brake apparatus for automatic door
JP3135788B2 (ja) 電気駆動ユニットの開閉過程を電子的に監視して制御する方法
JPH0776973A (ja) 回動的据え付け部分の位置、回転方向そして回転速度、或はその何れかを検出する方法
KR900006059B1 (ko) 자동도어의 브레이크 장치
JP2003027832A (ja) 車両用開閉体の自動開閉装置
JPH0665838B2 (ja) 自動扉の電源投入時制御方法
JP2954471B2 (ja) 開閉体の開閉制御方法
JPS6223296B2 (ko)
JPH0455178Y2 (ko)
KR940008974B1 (ko) 엘리베이터출입문의 제어장치
CZ39892A3 (en) device for speed regulation of an electric motor, particularly for opening door such as elevator car sliding door
JP2000102277A (ja) パルスカウントによる位置検出方法
KR20010001049A (ko) 파워 윈도우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H0734154Y2 (ja) 電動シヤツターの上限位置検出装置
JPH1054178A (ja) 窓ガラス開閉装置
JPH06463B2 (ja) サンル−フ制御装置
JP2959282B2 (ja) 退場ゲート装置
JPH0240224Y2 (ko)
JPH0595694A (ja) 車両用開閉装置
JPS6356391B2 (ko)
JP3056934B2 (ja) 開閉体の開閉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5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