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6015Y1 - 마스터/슬레이브 폴링방식의 에러 자동 복구회로 - Google Patents

마스터/슬레이브 폴링방식의 에러 자동 복구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6015Y1
KR900006015Y1 KR2019870022151U KR870022151U KR900006015Y1 KR 900006015 Y1 KR900006015 Y1 KR 900006015Y1 KR 2019870022151 U KR2019870022151 U KR 2019870022151U KR 870022151 U KR870022151 U KR 870022151U KR 900006015 Y1 KR900006015 Y1 KR 9000060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multivibrator
data
predetermined
log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221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5116U (ko
Inventor
정인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700221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6015Y1/ko
Publication of KR8900151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511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60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6015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16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 G06F11/1675Temporal synchronisation or re-synchronisation of redundant processing components
    • G06F11/1687Temporal synchronisation or re-synchronisation of redundant processing components at event level, e.g. by interrupt or result of po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마스터/슬레이브 폴링방식의 에러 자동 복구회로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마이크로프로세서 2 : 유사트
5, 6, 11 : 제1-3MMV 9, 10, 25 : 제1-3앤드게이트
17 : 인버터 19 : 타이버
본 고안은 마스터/슬레이브(Master/Slave) 폴링(Polling) 방식의 에러자동 복구 회로(Error Auto Recovery Circuit)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마스터 시스템의 프로그램 에러등이 발생하였을때 이를 감지하여 자동 복구토록하는 회로에 관한 것이다
마스터/슬레이브 폴링방식의 시스템이라 함은 여러개의 단말장치가 있을 경우에 마스터에서 각 슬레이브단말장치에 순차적으로 송신을 시작토록 지령을 하여 마스터에 인터럽트를 요구하게 하며 없을시에는 다음의 단말장치에게 송신요구의 문의를 하여 이의 여부에 따라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하게 되는 전송체어방식을 말한다.
단말장치의 지정은 단말장치의 어드레스로 지정하여 지정된다.
상기와 같이 동작 되어지는 마스터/슬레이브 폴링 방식은 주국시이트 (Site)가 마이크로프로세서(Mitcroprocessor : 이하 MPU라함)와 상기 MPU에 의해 제어를 받아 데이터를 직렬로 변환 입출력하는 유사트로 구성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주국사이트에서 소정데이타를 직렬데이터로 하여 직렬 송신라인으로 송출하고, 부국사이트로 부터 송신되어 직렬 수신라인을 통해 수신데이터로 입력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마스터 즉 주국과 슬레이브(부국)이 상호 통신중에 부국사이트로 부터 송출이 완료되어지면 이를 감지하는 회로에 의해서 수신데이터가 없음을 감지하고, 이의 감지신호로써 주국사이트의 MPU에 인터럽트(NMI : Non Maskable INT) 또는 리세트를 주어 조정프로그램의 초기루틴시작 또는 시스템 초기동작을 수행하도록 하여 슬레이브측 단말기와의 송수가 가능토록 되어 있다.
그러나 마스터측의 MPU가 외부의 영향에 의해 메인프로그램(Main Program)수행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임의의 스텝(Step)에서 계속 루프가 되는 프로그램 다운(Program down)현상이 발생되며, 상기와 같은 경우에는 메인루틴 또는 송신루틴을 수행하지 못하게 되며 결국은 자체 송신테이터를 송신치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와 같이 메인프로그램의 프로그램다운등에 의해 송신데이터가 출력되지 않을때에는 시스템운용자(System User)가 시스템을 리셋트 시키어야만 복구되므로 사용상에 불편함이 있는 동시에 시스템 효율면에서도 좋지 않은 문제를 갖고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마스터측의 MPU의 프로그램 에러에 의해 송출되어지는 데이타가 송출 정지되어질 경우 이를 감지하여 상기 MPU의 프로그램을 자동 복구토록 하는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회로도로써, 소정 내장된 프로그램에 의해서 시스템을 제어함과 동시에 데이터를 송수신 하는 MPU(1)와, 상기 MPU(1)의 제어를 받은 동시에 상기 MPU(1)의 송신데이터를 직렬로 변환 송출하고, 직렬데이터를 병렬 데이터로 하여 상기 MPU(1)에 입력시키는 유사트(Universal Asynchronous 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 : USART)(2)와, 상기 유사트(2)의 송신데이터 출력단에 접속되어 송신데이터의 에지의 상태천이(Edge Change)에서 트리거되어 소정의 논리를 출력하고 소정기간의 연속적인 트리거에 의해 리트리거(Retriggerable) 되어 지는 제1모노스테이블 멀티바이브레이터(Mono Stable Muiti Vibrator : 이하 MMV라함)(4)와, 상기 유사트(2)의 수신라인에 접속되어 수신데이타의 에러상태천이에 의해서 소정의 논리를 출력하고 소정기간의 연속적인 트리거에 의해 리트거 되는 제2MMV(6)와, 일측단자로는저항(7)을 통해, "하이"상태의 논리를 입력하고 또 다른 일측단자(b)로는 상기 제1-제3MMV(5)(6)의 출력을 입력하는 동시에 이 입력을 논리곱 출력하는 제1-2앤드게이트(9)(10)와, 상기 제1-2앤드게이트(9)(10)의 일단(a)과 접지 사이에 접속되어 스위칭 소정 논리를 출력도되도록 하는 표시시험스위치(8)와, 상기 제2MMV(6)의 출력단의 논리 천이에 의해 트리거 되어 소정 논리되어 펄스를 출력하는 제3MMV(11)와, 각각의 에노드로는 전류 제한 저항(15)(16)을 통하여 소정 바이어스 전압을 입력하고 캐소드가 상기 제1-2앤드게이트(9)(10)의 각 출력단에 접속되어 상기 제1-2앤드게이트(9)(10)의 출력이 소정 논리일때 발광되어 현재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발광다이오드(13)(14)와, 상기 제1MMV(5)의 출력을 반전하는 인버터(17)와, 상기인버터(l7)의 출력을 제한하는 저항(18)과, 타이머(19)와 상기 타이머(19)의 그라운드(GND)와 트리거단(T)와 리세트단(RES)와 전원단(VCC)와 드레쉬 홀드(Threshold : THR)과 디스차아지단(Discharge : DIS)단에 각각 접속된 저항(20)(21), 바이패스 캐패시터(22), 충방전 캐패시터(23)로 구성된 비안전 멀티 바이브레이터와. 상기 저항(20)(21)과 트리거단(T)에 접속점의 전압을 일방향으로 출력하기 위하여 상기 저항(18)에 캐소드가 접속되고 상기 접속점에 애노드가 접속된 일방향 다이오드(23)와, 상기 타이머(19)의 출력과 상기 제3MMV(11)의 출력을 논리곱하여 상기 MPU(1)의 인터럽트단(NMI)에 출력하는 제3앤드게이트(25)로 구성된다.
지금 상기와 같이 구성된 회로에서 MPU(1)가 소정 프로그램에 의해 부국(Slave)에 소정 데이타를 출력하기 위하여 시스템 메인버스(BUS)로 소정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동시에 데이터를 유사트(2)에 입력시키면, 유사트(2)는 MPU(1)의 제어에 의해 입력되는 송신데이타를 직렬 데이터로 변환하여 송신라인(3)을 통해 부국시스템에 출력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는 송신데이타가 최소한의 시간에 데이터의 비트가 논리 천이하는 상태가 발생한다. 따라서 송신데이터가 송신라인(3)으로 출력되면, 송신라인(3)의 논리가 "하이"에서 "로우"로 되어질때마다 제1MMV(5)는 트리거되어 "하이"상태에서 신호를 앤드게이트(9)의 입력단(b)로 출력한다.
상기와 같이 제1MMV(5)가 "하이"상태의 신호를 소정시간 동안 출력하는 도중 송신라인(3)의 논리가 "하이"에서 "로우"로 또 한번 천이되어지는 상태가 되어지면 제1MMV(5)는 리트리거되어 계속 하이상태의 신호를출력 한다.
이때 제1MMV(5)의 출력을 입력하는 제1앤드게이트(9)의 또다른 일측(a)은 저항(7)을 통하는 신호를 입함으로 "하이"의 논리를 발광다이오드(13)의 캐소드로 출력하여 상기 발광다이오드를 오프시킨다.
한편 상기 제1MMV(5)의 출력을 반전하는 인버터(l7)는 "하이"상태의 출력을 반전하여 저항(18)을 통하여 다이오드(23)의 캐소드로 출력하며, 이로 인해 타이머(19) 드레쉬 홀드(THR)와 그라운드단(GND)양단에 접속된 충전캐패시터(23)를 충전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타이머(19)는 "하이"신호를 일측 입력라인(12)으로 "하이"상태의 신호를 입력한느 앤드케이트(25)에 입력시킨다.
그러므로 MPU(1)의 프로그램이 정상동작 할때에는 MPU(1)의 인터럽트단(NMI)에도 액티브상태의 인터럽트가 걸리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정상동작중 MPU(1)의 프로그램다운 또는 시스템에러등에 의하여 유사트(2)로 부터 송출테이터가 출력되지 않으면, 송신데이터 출력라인(3)의 "하이"상태로 되어진다.
이때 제1MMV(5)는 더이상 트리거 되지 않고 최종트리거 시점부터 정하여진 소정시간이 지나면 출력단(1Q)로 "로우"의 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제1앤드게이트(9)는 "로우"를 출력하여 발광다이오드(13)를 발광시키어 솔출데이터가 중지되었음을 알리며, 상기 제1MMV(5)의 출력 "로우"를 입력하는 인버터(17)는 이를 반전하여 저항(18)을 통해 일방향 다이오드(23)의 캐소드에 입력시킨다.
상기 인버터(17)의 출력 "하이"에 의해 다이오드(23)이 "오픈"되어 차단되어짐으로써 타이머(19)의 주변회로정수 RC에 의한 비안정멀티 바이브레이터는 저항(20)(21)과 캐패시터(23)에 대한 RC시정수 충전을 실행하며 충전이 입력전압(VCC)의 2/3전압에 해당하게 되면 방전을 실시하게 된다.
이때 상기 타이머(19)의 출력단(OUT)에서 출력되는 논리는 캐패시터(23)에 충전시간에 논리 "하이"가 출력하고 방전시간에는 논리 "로우"를 출력되며, 충전시간을 T1이라 하고 방전시간을 T2라 하면 하기와 같은 시간을 갖는다.
T1 = 0.693 (RA+RB) C ……………………………… (1)
T1= 0.693(RB)C ……………………………… (2)
단 RA는 저항 20, RB는 저항 21, C는 캐패시터 23이다.
따라서 제1MMV(5)의 출력이 "로우"로 되면 캐패시터(23)가 상기 식(1)와 같이 충전하기 시작하여 논리"하이"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제(1)식에 의한 충전시간이 완료되면, 타이머(19)의 출력단(OUT)에서는 제2식과 같은 주기를 제3앤드게이트(25)에 입력한다.
이때 제3앤드게이트(25)는 상기 식(1)과 같은 시간동안 "로우"를 출력하여 MPU(1)를 인터럽트시키어 내장송신 프로그램의 초기루틴을 재실행하게 한다.
상기 제(1)식에 의한 충전시간(T1)은 프로그램 수행시간을 감안하여 충분히 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데이터를 송출도중 어떠한 에러에 의해서 시스템 프로그램이 할트(HALT)내 빠지거나 임의 스텝에서 루프(Loop)를 계속하여 메인루틴을 수행하지 못할 경우에는 자동 복귀됨을 알수 있다.
한편 수신상의 동작을 살펴보면, 부국으로 부터 송출되는 수신데이터가 라인(4)으로 입력되어지면. 이 역시 송신과정과 같이 데이터의 논리천이가 제2MMV(6)를 계속적으로 리트리거한다.
따라서 제2MMV(6)는 수신데이터가 수신라인(4)으로 입력되는 동안은 "하이"상태를 출력하여 발광다이오드(14)를 "오프"한다.
상기와 같이 동작도중 수신라인(4)에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으면 유사트(2)에 의해 수신라인(4)은 "하이"상태로 되어지며, 이로 인해 제2MMV(6)는 최종 트리거 되어진 사긴이 지나면 출력단자(2Q)로 "로우"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때 제3MMV(11)는 트리거되어 "로우"신호를 입력라인(20)으로 "하이"신호를 입력하는 상기 제3앤드게이트(25)의 입력라인(12)으로 출력하여 MPU(1)를 인터럽팅 하는 동시에 제2앤드게이트(10)의 출력을 "로우"로 하여 데이터의 수신이 없음을 나타내는 발광다이오드(14)를 구동한다.
따라서 수신시에도 데이터가 차단되어지면 MPU(1)는 자동복구됨을 알수 있다.
또한 상기 앤드게이트(25)의 신호를 리세트 신호로써 사용하여 시스템 전체를 초기화하여 복구시킬 수도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마스터/슬레이브 폴링시스템의 송수신라인의 데이터 송수신라인의 데이터 송수신 상태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의 프로그램 수행 에러 즉 임의의 스텝에서 루프되어 빠져나오지 못하는 경우 자동으로 인터럽트를 주어 특정프로그램의 초기 루틴을 수행토록 하거나 리세트 신호를 줄수 있어 시스템의 에러동작을 자동 복귀시킬수 있는 동시에 시스템의 동작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시스템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1)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의 제어에 의해 데이터의 통신을 제어하는 유사트(2)를 구비한 마스터/슬레이브 폴링방식의 에러 자동 복구회로에 있어서, 상기 유사트(2)의 송수신라인(3)(4)에 각 트리거단이 접속되어 상기 직렬 송수신라인(3)(4)의 송수신데이터의 소정논리 천이에따라 리트리거 되어 소정 논리를 출력하는 제2-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5)(6)와, 일측단자로는 소정 레벨의신호를 각각 입력하고 또 다른 입력단자로는 상기 제2-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5)(6)의 각각의 출력을 입력하여 논리곱 출력하는 제1-2게이트(9)(10)와, 애노드로는 소정 레벨의 신호를 각각 입력하고 캐소드가 상기제1-2게이트(9)(10)에 각각 접속되어 송수신 데이터의 송수신상태를 디스플레이 하는 발광다이오드(13)(14)와, 상기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6)의 출력단에 트리거단이 접속되어 수신테이터가 없을때 소정 논리 천이에 의해 소정 타임으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의 인터럽트(NMI)를 출력하는 제3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11)와, 전원전압 공급시 발진저항(20)(2l)과 타이밍 캐패시터(23)에 의한 RC시정수로 발진하여 소정 듀티를 가지는 펄스를 출력하는 비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와 상기 비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출력과 제3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11)의 출력중 하나의 신호가 액티브상태의 인터럽트 신호가 발생시 이를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의 인터럽트단()에 입력시키는 제3게이트(25)와, 상기 제1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5)의 출력을 반전함과 동시에 이의 반전논리에 따라 상기 비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의 발진 여부를 결정하는 발진제어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제1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5)의 출력이 송신테이터가 없는 상태의 논리일때 상기 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발진을 실행토록 제어하여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를 인터럽팅하게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KR2019870022151U 1987-12-15 1987-12-15 마스터/슬레이브 폴링방식의 에러 자동 복구회로 KR9000060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22151U KR900006015Y1 (ko) 1987-12-15 1987-12-15 마스터/슬레이브 폴링방식의 에러 자동 복구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22151U KR900006015Y1 (ko) 1987-12-15 1987-12-15 마스터/슬레이브 폴링방식의 에러 자동 복구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5116U KR890015116U (ko) 1989-08-11
KR900006015Y1 true KR900006015Y1 (ko) 1990-06-30

Family

ID=19270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22151U KR900006015Y1 (ko) 1987-12-15 1987-12-15 마스터/슬레이브 폴링방식의 에러 자동 복구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601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5116U (ko) 1989-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56594B1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with energy saving clocking device
KR920005169B1 (ko) 통신제어시스템
US4441031A (en) Power source voltage change discrimination circuit
US4414623A (en) Dual deadman timer circuit
US4367423A (en) Reset signal generator
AU612090B2 (en) Power source control apparatus
KR900006015Y1 (ko) 마스터/슬레이브 폴링방식의 에러 자동 복구회로
US4635257A (en) Fail safe circuit for multi-signal transmission system
US6232678B1 (en) Electronic appliance
US4365203A (en) Multi-frequency clock generator with error-free frequency switching
CN212289727U (zh) 一种车辆上下电控制电路
CN109491823B (zh) 一种不可逆的看门狗切换电路及其切换方法
JPH0618019B2 (ja) マイクロプロセッサのメモリー安全装置
JP7001011B2 (ja) ディジタル形保護継電器の電源シーケンス制御装置
JPH1174763A (ja) 発振回路
JPH0342761Y2 (ko)
KR920004388B1 (ko) 이중화 시스템의 주변장치 절체회로
JP2595520B2 (ja) Ac入力電源装置
JP3158413B2 (ja) アブソリュートエンコーダへの電源電圧供給装置
JPH029361Y2 (ko)
KR910005807Y1 (ko) Vtr의 비데오 카메라 (video camera)수신장치
JPS61262828A (ja) 端末機の自動電源起動装置
CN111834983A (zh) 一种soc芯片io控制防止误触发的电路、方法及装置
JP2650671B2 (ja) 伝送電源ユニット
EP0458303A2 (en) Microcomputer with power failure det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525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