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5970B1 - 콘크리트관체 제조용 거푸집 - Google Patents

콘크리트관체 제조용 거푸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5970B1
KR900005970B1 KR1019840002430A KR840002430A KR900005970B1 KR 900005970 B1 KR900005970 B1 KR 900005970B1 KR 1019840002430 A KR1019840002430 A KR 1019840002430A KR 840002430 A KR840002430 A KR 840002430A KR 900005970 B1 KR900005970 B1 KR 9000059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inner formwork
concrete
screw
detach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2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9246A (ko
Inventor
기이찌 야마시다
쥰페이 다니지와
다까오 이와사끼
Original Assignee
니혼프레스콘크리트 가부시끼가이샤
니혼제니스파이프 가부시끼가이샤
이와사기 기요다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7967183A external-priority patent/JPS59204508A/ja
Priority claimed from JP58079672A external-priority patent/JPS59204506A/ja
Priority claimed from JP7967083A external-priority patent/JPS59204507A/ja
Priority claimed from JP59023376A external-priority patent/JPS60166407A/ja
Application filed by 니혼프레스콘크리트 가부시끼가이샤, 니혼제니스파이프 가부시끼가이샤, 이와사기 기요다까 filed Critical 니혼프레스콘크리트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40009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9246A/ko
Priority to KR1019900008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59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5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59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21/00Method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tubular articles
    • B28B21/76Moulds
    • B28B21/82Moulds built-up from several parts; Multiple moulds; Moulds with adjustabl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24Unitary mould structures with a plurality of moulding spaces, e.g. moulds divided into multiple moulding spaces by integratable partitions, mould part structures providing a number of moulding spaces in mutual co-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21/00Method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tubular articles
    • B28B21/70Method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tubular articles by building-up from preformed elements
    • B28B21/74Producing pipe bends, sockets, sleeves; Mould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21/00Method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tubular articles
    • B28B21/76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21/00Method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tubular articles
    • B28B21/86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29Moulds or moulding surfaces not covered by B28B7/0058 - B28B7/36 and B28B7/40 - B28B7/465, e.g. moulds assembled from several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Cores, Or Mandrels (AREA)
  • Manufacturing Of Tubular Articles Or Embedded Moulded Art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콘크리트관체 제조용 거푸집
제1도는 콘크리트관체의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의 제1실시의 예시도로서 우측절반을 단면으로 표시한 평면도.
제3도는 제2도의 III-III선에 따르는 단면도.
제4도는 제2도의 IV-IV선에 따르는 단면도.
제5도는 상기 거푸집의 좌측절반을 단면으로 표시한 측면도.
제6, 7, 8, 9, 10및 11도는 상기 거푸집의 조립과정을 공정순으로 표시한 사시도.
제12도는 콘크리트관체의 다른 예를 표시한 단면도.
제13도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의 제2실시예의 예시도로서 우측절반을 단면으로 표시한 평면도.
제14도는 제2실시예와 유사한 거푸집의 우측절반을 단면으로 표시한 평면도.
제15도는 제2실시예와 유사한 거푸집의 좌측절반을 단면으로 표시한 평면도.
본 발명은 하수구, 지하도 및 기타 구조물, 특히 아아치형을 가지는 말굽형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이와같은 종류의 프리캐스트 제품은 내부에 공동부(空洞部)를 가지기 때문에 그 거푸집은 상기의 공동부를 형성하는 내부 거푸집과 외형을 형성하는 외부 거푸집으로 구성되는 것에 의해서 제조된다. 거푸집의 조립과 또한 거푸집을 제품으로부터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위하여 이와같은 거푸집 부분들은 적절한 구성부분품으로 분할하여 볼트등을 이용하여 조립하도록 되어있다. 그러나 거푸집 부분품의 단순한 분할은 거푸집의 조립과 해체를 그렇게 용이하게 하지는 않는다. 실제로 이와같은 종류의 종래의 거푸집은 특히 내측 거푸집의 해체가 곤란하였던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고, 조립과 해체가 용이하며, 거푸집의 조립 및 위치시키는데 용이하게 하므로서 종래의 난점을 제거하여 주는 콘크리트관체 제조용 거푸집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 있어서 콘크리트관체(1)는 말발굽형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제품으로서 아아치부분(1A), 측면부분(1B) 및 저면부번(1C)으로 이루어진다. 제2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콘크리트관체(1)는 말발굽형의 내측거푸집부분(2)과 외측거푸집부분(3)으로 이루어지는 거푸집을 이용하여 제조된다.
내측 거푸집(2)은 아아치형을 이루는 내측 거푸집부분(5)과 일단부가 내측 거푸집부분(5)의 단부에 부착되어 움직일 수 있게 측면부분(1B), (1B)으로부터 저면부분(1C)에 걸쳐서 배치하고 있는 한쌍의 대략한 L자형의 측면내측 거푸집부분(6)(6)과 그 L자형 측면 내측거푸집부분(6)(6)들의 사이에 착탈자재하게 끼워 맞춘 분리식 내측 거푸집부분(7)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로 마주보고 있는 측면내측 거푸집부분(6)(6)들은 제2도 및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스페이서(Spacer)(21)에 의하셔 서로 접속된다. 이 스페이서(21)는 거푸집을 조립하고 해체할때에 측면내측 거푸집부분(6)(6)들을 자유롭게 진퇴시켜 콘크리트를 부어 넣을 때 측면내측 거푸집부분(6)(6)들을 지지하여 준다.
스페이서(21)는 내측 거푸집(2)의 대략중앙에 세워져 설치하여 숫나사(22)가 형성되어 있는 한개의 로드(23)와 그 숫나사(22)에 채워진 로드(23)의 회전에 따라 상하로 움직이게 되어있는 한개의 암나사(24)와 그리고 한쪽끝이 암나사(24)에 피봇트 연결되고 다른쪽 끝은 아아치형의 측면내측 거푸집부분(6)에 접속시킨 접속부재(25)로 이루어져 있다.
분리식 내측 거푸집부분(7)은 안쪽으로 넓어진 쐐기모양으로 이루어져있고 양쪽단부는 경사결합면(8)(8)을 가지고 있다. 상기 결합면(8)(8)들은 측면내측 거푸집부분(6)(6)의 다른쪽단부에는 경사결합면(8)(8)이 계합하는 경사결합면(9)(9)이 형성되어 있다.
외측 거푸집(3)은 아아치부분(1A) 및 측면내부(1B)을 둘러싸는 주외측 거푸집부분(10)과 이 주외측 거푸집(10)의 양쪽단부들 사이를 연결하여 저면부분(1C)을 둘러싸는 보조외측(11)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3도 및 제4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기대(12)위에는 콘크리트관체 구멍의 주위에 결합돌조를 형성 시키기 위한 마무리부재(13)가 공간(S)에 설치되며, 이 마무리부재(13)를 양쪽으로 잡아주는 내측 거푸집부분(5)(6)(7)들과 외측 거푸집(10)(11)들이 배치된다. 내측 거푸집부분(5)(6)(7)들과 외측 거푸집부분(10)(11)들은 내측 거푸집의 하부에 고정되어있는 너트(14)와 외측 거푸집의 외측으로부터 공간(S)을 관통하여 연장되어 있는 볼트(15)에 의하여 서로 체결되어 있다.
또한 외측 거푸집부분(10)(11)의 상단부에는 콘크리트관체의 구멍의 주위에 결합홈을 형성시키기위한 또 하나의 마무리부재(16)가 부착되여 제2도 및 제5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거푸집 상부의 사이는 착탈이 용이하고 또 폭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체결부재(17)에 의하여 접속되어 있다. 이 체결부위(17)는 선단에 너트(18)가 채워지고 또 기단(基壇)이 내측 거푸집부분(5)(6)(7)의 상면에 피봇트 연결되어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는 결착로드(19)와 외측 거푸집부분(10)(11)의 상면에 부착되어 너트(18)를 걸어줄 수 있는 걸림부재(2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실시예의 거푸집은 다음과 같이 조립되는 것이다. 즉, 분리식 내측 거푸집부분(7)을 분리한 상태의 내측 거푸집부분(5)(6)(7)들을 내측으로 오므린 상태로 제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기대(12)위에 늘어뜨려서 설치한 다음 내측 거푸집(2)를 벌리고 분리식 내측 거푸집부분(7)을 제7도에서와 같이 집어넣어서 측면내측 거푸집부분(6)(6)들의 다른쪽 단부에 접속한다. 그리고 보강철근(도시되지 않았음)을 설치한다.
그다음 제8도 및 제9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주외측 거푸집부분(10)과 보조외측 거푸집부분(11)들을 조립한 다음 내측 거푸집(2)와 외측 거푸집(3)을 접속하고, 내측 거푸집(2)의 구멍을 뚜껑(4)으로 막는다(제10 및 제11도 참조). 다음에 콘크리트를 집어 넣는다.
콘크리트 제품으로부터 거푸집을 탈영하기 위해서는 내측 거푸집(2)과 외측 거푸집(3)을 접속한 채 체결부제(17)을 해체하고 외측 거푸집(3)을 콘크리트제품으로부터 분리시킨다. 그리고 분리식 내측 거푸집부분(7)을 분리하는 동시에 측면내측 거푸집부분(6)(6)들을 안쪽으로 움직이면 내측 거푸집(2)을 콘크리트제품으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는 말발굽형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제품을 생산하는데 관하여 기술하였으나, 외측 거푸집(3)을 간단히 교체하여 제1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말발굽의 내부공동을 형성하는 사각형의 외부구조를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제품의 제조에도 똑같이 적용할 수 있다.
제13도 내지 제15도는 본 발명에 따르는 다른 제2실시예로서 말발굽형의 내측 거푸집(2)과 말발굽형의 외측 거푸집(3)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는 그 축이 수평으로 연장되어 있고 아아치형 부분이 아래쪽으로 향하고있는 콘크리트관체(1)을 제조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내측 거푸집(2)은 아아치형 부분을 형성하기 위한 내측 거푸집부분(5)과 그 내측 거푸집부분(5)의 양쪽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움직이도록 되어 있고 측면부분(1B)을 지나서 저면부분(1C)까지 연장되어 대략L자형을 이루고 있는 한쌍의 측면내측 거푸집부분(6)(6)및 그 측면내측 거푸집부분(6)(6)들의 단부사이에 접속되는 분리식 내측 거푸집부분(7)으로 구성되어 있다.
분리식 내측 거푸집부분(7)은 양쪽 단부에 경사진 결합면(8)(8)이 형성되고 안쪽으로 향하여 벌어진 쐐기 모양을 하고 있다. 측면내측 거푸집부분(6)(6)의 다른쪽 단부에는 경사결합면(8)(8)과 결합하기 위한 경사결합면(9),(9)이 형성되어 있다.
외측 거푸집(3)은 아아치형부분(1A)과 양측부분(1B)을 덮어주는 외측 거푸집부분(10)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제2실시예에 있어서 저면부분(1C)의 상면을 개방되어 있다.
또한 내측 거푸집(2)과 외측 거푸집(3)으로 구성되는 수평방향의 양쪽구멍 부분은 내측 거푸집(2)의 외형에 대응하는 구멍을 갖는 격판(27)으로 폐쇄되어 있다. 이와같은 격판(27)의 내면에는 콘크리트관체의 구멍 주위에 결합돌조와 결합홈을 형성하는 마무리부재(13)(16)들을 부착시키고 있다.
아아치형을 형성하기 위한 내측 거푸집부분(5)과 분리식 내측 거푸집부분(7)들은 분리식 내측 거푸집(7)의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접속부재(28)들에 의하여 접속되어 있다. 접속부재(28)들은 턴버클형식으로 되어 있고 수평방향으로 한쌍씩 배치되어 있다.
이 접속부재(28)는 우회전나사와 좌회전나사를 가지고 있는 한개의 스크류로드(29)와 이 스크류로드(29)의 양쪽끝에 각각 나착되어 지지되는 조절부재(30)(31)들로 구성되어 있다. 조절부재(30)(31)들은 각각 아이치형의 내측 거푸집부분(5)의 후면 중앙부분과 분리식 내축 거푸집부분(7)의 후면에 고정되어 있다. 이때 스크류로드(29)를 회전하면 분리식 내측 거푸집부분(7)이 내측 거푸집부분(6)(6)에 접속되거나 반대로 거 거푸집부분(6)(6)으로부터 분리되도록 장치되어 있다.
내측 거푸집(2)의 형태를 유지하기위한 지지부재(32)는 내측거푸집(2)의 내부공간부 양쪽의 수평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이 지지부재(32)는 내측 거푸집(2)의 형태와 일치하는 모양을 갖는 환상프레임(33)과 이 프레임(33)의 중앙을 수평으로 지지하여 주는 연결부재(34)로 구성되어 있다.
연결부재(34)는 양쪽에 우회전나사와 좌회전나사가 형성된 스크류보드(35)와 그 스크류보드(35)의 양쪽단부에 각각 나합된 조절부(36)(36)로 구성되어 있다. 이 조절부재(36)(36)들은 프레임(33)에 고정되어 있어 스크류보드(35)를 회전시켜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와같이 장치하므로서 콘크리트 제픔으로부터 거푸집을 분리할때는 지지부재(32)와 격판(27)을 제거하고, 그 다음 스크류보드(29)을 회전시켜 분리식 내측 거푸집부분(7)을 뜯어내는 한편 측면내측 거푸집부분(6)(6)들을 안쪽으로 움직이게 한다. 그렇게 하므로서 거푸집을 콘크리트제품으로 부터 쉽게 탈형할 수 있게 된다.
거푸집의 조립은 반대의 순서로 행하여진다. 내측 거푸집(2)은 연결부재(34)들과 지지부재(32)로 이루어지는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되어 있어서 쉽게 그리고 견고하게 위치시켜 고정할 수 있다.
이상 실시예에서는 표준으로 말발굽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제품을 특별히 예시하여 설명되었으나, 사각형의 외부구조와 말발굽형 내부공동을 형성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제품의 제조에도 똑같이 적용할 수 있다.
위 설명에서 명백히 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장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내측 거푸집(2)은 아아치형 부분을 위한 하나의 내측 거푸집부분(5)(6)(7)과 그 내측 거푸집부분들의 양쪽 단부에 각각 피봇트 연결되어 선회할 수 있고, 측면부분(B)을 지나 저면부분(C)까지 연장되어 대략 L자형을 이루고 있는 대략 L자형 측면내측 거푸집부분(6)(6)과 이 측면내측 거푸집부분(6)(6)의 양쪽 단부들 사이에 접속되는 한개의 분리식 내측 거푸집부분(7)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내측 거푸집(2)의 분리 및 전체 거푸집의 조립 및 설치가 매우 용이하다.

Claims (10)

  1. 하나의 내측 거푸집(2)과 하나의 외측 거푸집(3)으로 이루어져 아아치형부분(1A)이 형성되는 말발굽형 콘크리트 관체의 제조에 사용되는 거푸집에 있어서, 상기 내측 거푸집(2)은 아아치형 부분(1A)을 위한 내측 거푸집부분(5)과 이 일단부가 상기 내측 거푸집부분(5)의 단부에 각각 피봇트 연결되어 측면부분(1B)에서부터 저면부분(1C)까지 배치하고 있는 대략 L자형의 측면내측 거푸집부분(6)(6)들과 이 측면내측 거푸집부분(6)(6)들의 다른쪽 단부들 사이에 착탈자재하게 끼워맞춘 분리식 내측 거푸집부분(7)으로 구성되는 콘크리트관체 제조용 거푸집.
  2. 제1항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측면내측 거푸집부분(6)(6)들에 이들의 측면내측 거푸집부분(6)(6)을 서로 진퇴자재하게 움직일 수 있는 스페이서(21)가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관체 제조용 거푸집.
  3. 제2항에 있어서, 스페이서(21)는 서로 대향하는 측면내측 거푸집부분(6)(6)들 사이의 중앙에 수직으로 설치하여 숫나사(22)가 형성되어 있는 한개의 로드(23)와 그 숫나사(22)에 채워진 로드(23)의 회전에 따라 상하로 움직이게 되어있는 암나사(24)와 한쪽끝이 상기 암나사(24)에 피봇트 연결되어 있고, 다른쪽 끝은 측면내측 거푸집부분(6)(6)에 접속되어 있는 접속부재(25)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관체 제조용 거푸집.
  4. 제1, 2항 및 3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내측 거푸집(2)과 외측 거푸집(3)은 콘크리트관체의 축이 수직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관체 제조용 거푸집.
  5. 하나의 내측 거푸집(2)과 하나의 뇌측 거푸집(3)으로 이루어져 아아치형부분(1A)이 형성되는 말발굽형 콘크리트관체의 제조에 사용되는 거푸집에 있어서, 상기 내측 거푸집(2)은 아아치형부분(1A)을 위한 내측 거푸집부분(5)과 이 일단부가 상기 내측 거푸집부분(5)의 단부에 각각 피봇트 연결되어 측면부분(1B)에서부터 저면부분(1C)까지 배치하고 있는 대략 L자형의 측면내측 거푸집부분(6)(6)들과 이 측면내측 거푸집부분(6)(6)들의 다른쪽 단부들 사이에 착탈자재하게 끼워맞춘 분리식 내측 거푸집부분(7)으로 구성되고, 상기 아아치형부분(1A)의 내측 거푸집부분(5)과 분리식 내측 거푸집부분(7)을 그 분리식 내측 거푸집부분(7)의 착탈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접속부재(28)로 접속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관체 제조용 거푸집.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재(28)는 우회전나사와 좌회전나사를 가지고 있는 한개의 스크류보드(29)와 그 양쪽끝이 각각 접속되어 지지되는 조절부재(30)(31)들로 구성되고, 이 조절부재들은 각각 아아치형부분(1A)의 내측 거푸집부분(5)의 후면 중앙부분과 분리식 내측 거푸집부분(7)의 후면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관체 제조용 거푸집.
  7. 제5항에 있어서, 내측 거푸집(2)의 외형을 유지하기 위한 지지부재(32)는 상기 내측 거푸집(2)의 개구부 양쪽단부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관체 제조용 거푸집.
  8. 제7항에 있어서, 각 지지부재(32)들은 내측 거푸집(2)의 형태와 일치하는 모양을 갖는 환상프레임(33)과 이 프레임의 중앙을 수평으로 지지하여 주는 연결부재(3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관체 제조용 거푸집.
  9. 제8항에 있어서, 연결부재(34)는 우회전나사와 좌회전나사가 형성되어있는 스크류보드(35)와 이 스크류보드의 양쪽끌에 각각 나합된 조절부재(36)(36)들로 이루어져 있고, 이 조절부재들은 상기 환상프레임(33)에 피봇트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관체 제조용 거푸집.
  10. 제5, 6, 7, 8항 및 9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내측 및 외측 거푸집(2)(3)들은 콘크리트관체의 축이 아아치형부분(1A)을 아래쪽으로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관체 제조용 거푸집.
KR1019840002430A 1983-05-07 1984-05-04 콘크리트관체 제조용 거푸집 KR9000059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08567A KR900005971B1 (ko) 1983-05-07 1990-06-12 콘크리트 만곡관체 제조용 거푸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79671 1983-05-07
JP7967183A JPS59204508A (ja) 1983-05-07 1983-05-07 コンクリ−ト管体製造用型枠
JP58079672A JPS59204506A (ja) 1983-05-07 1983-05-07 コンクリ−ト曲管製造用型枠
JP79672 1983-05-07
JP????58-79670 1983-05-07
JP58-79670 1983-05-07
JP7967083A JPS59204507A (ja) 1983-05-07 1983-05-07 コンクリ−ト管体製造用型枠
JP58-79671 1984-02-10
JP59023376A JPS60166407A (ja) 1984-02-10 1984-02-10 コンクリ−ト製曲管製造用型枠
JP58-79672 1984-02-10
JP59-23376 1984-02-10
JP?59-23376 1984-02-10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8567A Division KR900005971B1 (ko) 1983-05-07 1990-06-12 콘크리트 만곡관체 제조용 거푸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9246A KR840009246A (ko) 1984-12-28
KR900005970B1 true KR900005970B1 (ko) 1990-08-18

Family

ID=27457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2430A KR900005970B1 (ko) 1983-05-07 1984-05-04 콘크리트관체 제조용 거푸집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614324A (ko)
KR (1) KR900005970B1 (ko)
GB (1) GB214196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722329C1 (de) * 1987-07-07 1988-11-24 Mtu Muenchen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pulvermetallurgischen Herstellung eines Sammelrohrabschnitts eines Waermetauscherblocks
US5212925A (en) * 1991-11-21 1993-05-25 Mcclinton John Wall corner composite, mold and method for producing glazed unit for such
US5410848A (en) * 1991-11-21 1995-05-02 The Burns & Russell Company Composite for turning a corner or forming a column, mold and method for producing glazed unit for such
DE4405700C1 (de) * 1994-02-23 1995-09-21 Brust Arnold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Stahlbetonvortriebsrohres
KR20030084502A (ko) * 2002-04-27 2003-11-01 박성옥 기성 콘크리트구조물의 제조장치
US20060058092A1 (en) * 2004-09-13 2006-03-16 Pokertek, Inc. Electronic card table and method
US9109342B1 (en) 2009-12-23 2015-08-18 Monobend Technologies LLC Manhole
US10214893B2 (en) 2014-11-20 2019-02-26 Press-Seal Corporation Manhole base assembly with internal lin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AU2015349880B2 (en) 2014-11-20 2019-10-17 Press-Seal Corporation Manhole base assembly with internal lin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D863454S1 (en) * 2017-12-22 2019-10-15 Create A Castle, LLC Castle window cutter
CN106965312A (zh) * 2017-05-16 2017-07-21 广东中建新型建筑构件有限公司 一种快速拆装的预制管道内模
CN108481522A (zh) * 2018-05-17 2018-09-04 黄天回 能够调整尺寸及形状的模具
CN111319127A (zh) * 2018-12-14 2020-06-23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用于制造轨道梁的模具系统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7093A (en) * 1899-06-20 Apparatus for making glass pipe
US938024A (en) * 1908-11-02 1909-10-26 Winfield Steiner Sigler Mold for curved pipe-sections.
US1126131A (en) * 1913-03-17 1915-01-26 Albert Trayman Mold.
US1103664A (en) * 1913-06-25 1914-07-14 Charles F Draper Collapsible core.
US1236410A (en) * 1916-11-06 1917-08-14 William H Dougherty Molding apparatus.
US1778003A (en) * 1928-06-30 1930-10-07 Tuerck Mackenzie Company Pipe-tipping apparatus
US1927256A (en) * 1932-05-31 1933-09-19 Bates & Rogers Construction Co Tunnel construction apparatus
US3269688A (en) * 1964-06-16 1966-08-30 United Step Of Wallingford Inc Stoop form with pivotal co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141966B (en) 1988-01-27
GB2141966A (en) 1985-01-09
US4614324A (en) 1986-09-30
GB8411465D0 (en) 1984-06-13
KR840009246A (ko) 1984-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5970B1 (ko) 콘크리트관체 제조용 거푸집
CN1119578A (zh) 用于形成混凝土预制板的模子
KR200375723Y1 (ko) 공동구용 덮개 거푸집 구조
KR900005971B1 (ko) 콘크리트 만곡관체 제조용 거푸집
CN213440259U (zh) 一种grc端子箱模具
GB2285948A (en) A mould for a vented ridge tile
JPS5811226A (ja) マンホ−ル用調整リング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品
CN110756730B (zh) 汽车发动机排气系统热端混合器蜡模组树结构
CN213174785U (zh) 一种用于建筑工程的便于组合安装的建筑模板
JPS6362618B2 (ko)
JPH02242Y2 (ko)
JPH0326642B2 (ko)
NO901007L (no) Innretning for fremstilling av en gitterkonstruksjon og en gitterkonstruksjon.
JPH072175Y2 (ja) コンクリートトラフ製造用母型枠
SU674919A1 (ru) Форма дл изготовлени трубчатых изделий
SU1248830A1 (ru) Форма с регулируемыми размерами дл изготовлени изделий из полимерных материалов
JP4392772B2 (ja) 可撓プレキャストカルバートの製造方法
JPS6118981Y2 (ko)
JP2906262B2 (ja) 組立て水槽用frp製底板パネルの製法
JPS586667Y2 (ja) コンクリ−トブロツク用型枠
SU1085830A1 (ru) Форма дл изготовлени изделий из бетонных смесей
JPH0310007Y2 (ko)
JP2572496B2 (ja) 型枠によるトンネル曲線部の六角形コンクリートセグメントの製造方法
JPH04208403A (ja) ボックスカルバート製造用型枠
JPH0159606U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81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