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5276B1 - 차량용 커버 - Google Patents

차량용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5276B1
KR900005276B1 KR1019890019518A KR890019518A KR900005276B1 KR 900005276 B1 KR900005276 B1 KR 900005276B1 KR 1019890019518 A KR1019890019518 A KR 1019890019518A KR 890019518 A KR890019518 A KR 890019518A KR 900005276 B1 KR900005276 B1 KR 9000052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spring
cover
shaf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9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윤
Original Assignee
이재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윤 filed Critical 이재윤
Priority to KR1019890019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52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5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52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1/00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or parts of vehicles, e.g. parking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차량용 커버
제1도는 본 발명인 차량용 커버에 사용되는 커버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인 차량용 커버를 나타낸 것으로서, 뚜껑을 열어놓은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제3도 및 제4도는 본 발명인 차량용 커버의 로크기구와 회전걸림고리를 나타낸 것으로서, 제3도는 뚜껑을 닫았을 경우, 제4도는 뚜껑을 열었을 경우를 나타내는 상태도.
제5도는 제4도의 A-A선 단면도.
제6도는 제4도의 B-B선 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인 차량용 커버에 있어서 뚜껑의 개폐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a)은 열었을 때, (b)는 닫았을 때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제8도는 본 발명인 차량용 커버에 있어서 램프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a )은 소등시, (b)는점등시를 나타내는 일부절결 측단면도.
제9도는 본 발명인 차량용 커버에 있어서 회전축의 축받이를 나타내는 일부절결 분해사시도.
제10도는 작동기구에 있어서 접동기구의 작동상태도.
제11도는 회전축의 일측에 위치한 조정기구의 작동상태도.
제12도는 회전축을 나타낸 단면도.
제13도는 본 발명인 차량용 커버를 장착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제14도는 회전축의 길이를 조정하여 최소화 하는 직결상태를 나타낸 일부절결상태도.
제15도는 회전축의 길이를 조정하여 굽혀진 상태에 있게한 일부절결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커버체 2 : 외측케이스
3 : 작동기구 4,30 : 본체
4a,5a,49 : 매직 테이프 5 : 보조체
5b,31 : 개공 6 : 케이스 본체
7 : 뚜껑 8 : 로크기구
9 : 회전걸림고리 9a : 수직단부
10 : 램프 12 : 안내공
13 : 안내 함체 14 : 자물쇠
14a : 키이홈 15,44 : 와이어
16,24,38,38',39,52 : 스프링 17 : 걸림공
18 : 요동구 19 : 탄지판 스프링
20 : 지지간 20a : 슬롯
20b : 걸림홈 21 : 탄지핀
22,40 : 핀 23 : 스프링 내장케이스
25 : 작동봉 26 : 스위치
27 : 회전축받이 28 : 회전축
28a,28b : 좌우 양축 29 : 접동기구
30a : 축공 30b,69 : 베어링
30c : 상하회동핀 32,32' : 지지구설치홈
33,33' : 상하 지지구설치홈 34 : 지지프레임
36,36' : 핀공 37 : 스크류
42 : 이음관 45 : 캡
46 : 중심공 47 : 클램프
48 : 고정튜브 53 : 클러치
54 : 작동간 55 : 작동홈
56 : 구동축 57 : 조정기구
58 : 브라켓 59,60 : 제1,2조정판
61 : 나사봉 62 : 로울러
63 : 지지부재 64 : 원통부재
65 : 베어링 66 : 연결봉
67 : 고정구 68 : 돌출접동부재
70 : 로크너트 71 : 접동부재
71a : 장홈
본 발명은 차량용 커버에 판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전,후 범퍼중 어느 곳에도 내장이 가능하게 이루어진 차량용 커버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차량용 커버는 단순히 합성인조섬유나 다른 천조직을 사용하여 별도로 제작한 커버로서 사용시엔 이를 펼쳐 차량의 외측을 감싸 덮어 씌워놓고, 불필요시엔 일일이 커버를 벗기고 비교적 넓은 면적을 차지하는 커버를 일정하게 접은 다음 차량의 트렁크에 집어넣고 보관하는 방식을 택하고 있었던바, 이러한 종래의 방식은 설치위치를 정확하게 맞추기 위하여 커버체의 모양을 파악하여 덮어 씌우는데 장시간이 소요되고 걷어낼 때에도 일일이 접어야 하므로 사용이 불편하였으며, 사용후엔 통상적으로 차량의 트렁크 내부에 수납보판하게 되므로 트렁크 내부에 일정공간을 점유하게 되어 타물품을 적재할 수 있는 공간을 잠식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여 왔던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 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작동축에 커버체의 일측을 고정하여 모터의 동력을 이용하여 권취시켜 말아넣을 수 있고, 필요시엔 뚜껑을 열고 잡아당겨 펼치면서 손쉽게 차량을 덮을 수 있도록 구성된 본체를 차량의 전,후범퍼중 어느곳에 내장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서 권취된 커버체가 내장된 상태에서 차량이 운행하게 되므로, 종래의 범퍼와 동일한 효과와 함께 권취된 커버체가 갖는 특성으로 인한 부가적인 충격완화효과를 가질 수 있으며, 사용시엔 차량의 외부를 완전히 감싸놓을 수 있어 외부적인 환경, 예를 들면 비, 바람, 먼지, 태양광선, 동절기에 있어서는 차량의 창문에 끼는 성에등으로부터 차량을 보호할 수 있는 차량용 커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알아보고자 한다.
본 발명인 차량용 커버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체(1), 외측 케이스(2) 및 이 커버체(1)를 작동시킬 수 있게 이루어진 작동기구(3)로 이루어 진다.
커버체(1)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연에 여러개의 매직 테이프(4a)가 부착된 본체(4)와 이 본체(4)의 일측에 고정설치된 보조체(5)로 이루어지되, 보조체(5)는 일측단에 매직 테이프(5a)가 부착되어 후술될 회전축(28)의 외주면에 마련된 매직 테이프(49)와 서로 고정부착될 수 있게 이루어지고, 복수의 개공(5b)이 뚫려져 후술될 뚜껑(7)의 회전걸림고리(9)가 통과할 수 있게 이루어져 상기 본체(4)의 일측에 서로 부착설치 된다.
외측 케이스(2)는 제2도 내지 제8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서로 경첩으로 연결고정된 케이스 본체(6)와 뚜껑(7)으로 이루어지되, 케이스 본체(6)는 상부 외주연 내측에 고무패팅(11)이 부착되어 있고 전술한 커버체(1)와 후술될 작동기구(3) 및 전방상부의 로크기구(8)가 내장될 수 있게 이루어지며 뚜껑(7)에는 복수개의 회전걸림고리(9)가 일체로 축설되는 한편, 램프(10)와 아아치형 지지간(20)이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외측 케이스(2)의 로크기구(8)와 회전걸림고리(9)는 제3도 내지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바, 로크기구(8)는 케이스 본체(6)의 상부 내측에 고정 설치되고, 복수개의 안내공(12)이 형성된 중공의 안내 함체(13), 상기 중공의 안내함체(13)의 내부에서 통상의 자물쇠(14)의 회전작동편 외주연에 고정된 와이어(15)에 의하여 작동이 이루어지고, 일측이 스프링(16)에 탄지되며 다수의 걸림공(17)이 형성된 요동구(18), 중심에 키이홈(14a)이 형성된 자물쇠(14) 및 상기 요동구(18) 일측과 자물쇠(14)의 내측 외주연 사이에 고정된 와이어(15)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며, 회전걸림고리(9)는 뚜껑(7)의 상단에 축설되고, 양단엔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단부(9a)와 탄지판 스프링(19)이 지지설치되어 회전걸림고리(9)를 전방 및 하방으로 회전시킬때 마다 항상 정위치에 있게 한다.
제7도는 외측 케이스(2)의 일측에 설치된 아아치형 지지간(20)과 탄지핀(21)을 나타내는 바, 아아치형 지지간(20)은 뚜껑(7)의 일측에 힌지고정되고 중간부엔 아아치형 슬롯(slot)(20a)과 이 슬롯(20a)의 하단일측에 걸림홈(20b)이 형성되어 케이스 본체(6)의 일측에 고정된 핀(22)이 상기 슬롯(20a)을 타고 작동되면서 걸림홈(20b)에 걸려 있을 수 있도록 하며, 탄지핀(21)은 스프링 내장케이스(23)내부의 스프링(24)에 탄지될 수 있게 설치되어 뚜껑(7)의 개폐시에 상하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있다.
제8도는 뚜껑(7)의 일측에 설치된 램프(10)와 스프링에 탄지된 작동봉(25)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케이스 본체(6)의 전방일측에 내설된 스위치(26)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8도의(a)과 같이 뚜껑(7)을 닫았을 경우에는 작동봉(25)이 하강하여 스위치(26)는 off되고 램프(10)는 소등되며 제8도의(b)와 같이 뚜껑(7)을 열었을 경우에는 내장된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하여 작동봉(25)이 상승하고 스위치(26)는 on되어 램프(10)는 점등이 이루어지게 되어 있다.
또한 미도시 되어 있으나 케이스 본체(6)의 저면 후부엔 배수구가 마련되어 외부자연현상에 의하여 커버체(1)가 젖은 상태에서 내장되더라도 자연적으로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고 통풍이 될 수도 있게 되어 있으며, 배면 양측에는 가열공기 공급공이 마련되어 차량본체의 히터를 가동시키면 히터에서 발생되는 가열공기중 일부가 케이스 본체(6)내부로 들어갈 수 있게 이루어져 있다.
작동기구(3)는 제2도, 제9도 내지 제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의 회전축받이(27), 회전축받이(27)에 끼워 설치되는 회전축(28) 및 접동기구(71)로 구성된다.
회전축받이(27)는 좌우양측에 설치되는 바, 그 구조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하나에 대하여만 설명하기로 한다.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받이 본체(30)로 설치하기 위한 개공(31)과 지지(32,32')를 고정시키기 위한 상하지지구 설치홈(33,33')이 마련된 지지프레임(34)이 전술한 케이스 본체(7)에 지지프레임 (34)에 삽착된 나사부(35) 및 통상의 너트와 스크류(35')에 의하여 고정설치되고, 중앙에 축공(30a)이 마련된 축받이 본체(30)가 베어링(30b)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끼워 설치되고, 상,하부엔 회동핀(30c)이 고정되어 상하지지구(32,32')의 핀공(35.36')에 회동핀(30c)을 끼워 이들 상하지지구(32.32')를 지지프레짐(34)의 상,하지지구 설치홈(33,33')에 다수의 스크류(37)에 의하여 나착고정되며, 이때 회동핀(30c)과 회동핀공(36,36)사이엔 스프링(38,38')이 각각 게재되어 축받이 본체(30)가 상하요동이 이루어지면서 좌우로 회동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회전축(28)은 스프링(39) 및 이음관(42)에 의하여 연결되는 좌우 양측(28a,28b), 일측단에 설치된 클러치(53) 및 타측단에 설치된 조정기구(57)로 이루어지되, 좌우양측(28a,28b)이 중간의 스프링(39)에 의하여 어느정도 요동이 가능하게 고정연결되고 스프링(39)은 스프링고정핀(40,40')에 의하여 양측이 고정되며 양측의 회전축받이(27)에 일측(28b)은 축방향 이동이 가능하나 타측(28a)은 축방향이동이 불가능하게 고정 축설되며 구동모터(M)에 의하여 회전구동이 이루어지게 되어 있는 바, 제12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중앙엔 경사단부(42a)가 마련된 이음관(42)이 일측의 축(28a)의 단부에 끼워 핀(40)에 의하여 고정되고, 일측단부가 고정보올(43)에 연결된 와이어(44)가 나착된 캡(45)의 중심공(46)을 통과하여 후술될 조정기구(57)의 로울러(62)외주연을 거친다음 다시 이음관(42)의 통공을 거쳐 이음관(42)의 내축과 축(28a)의통공을 경유, 축(28a)외주연에 고정설치된 클램프(47)의 일측에 연결설치되어 클램프(47)의 조절스크류(47a)를 돌리면 조절판(47b)이 좌우 이동하여 와이어(44)의 인장력을 조절할 수 있고 축(28a)의 외주연엔 고정튜브(48)와 매직 테이프(49)가 감겨지며 일측단부엔 베어링(50)이 내설되는 동시에 축(28)의 외주연엔 약간 이격되어 헐렁하게 설치된 보호튜브(51)와 그 외주연엔 매직 테이프(49)가 감겨 부착되는 한편, 타측엔 스프링(52)에 탄지된 클러치(53)가 축설되어 작동간(54)을 조작하여 작동간(54)이 작동홈(55)을 따라 수직 및 수평이동이 이루어져 구동모터(M)의 구동축(56)과 맞물려 연결되거나 분리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일측인 회전축(28)의 전체 길이나 굽힘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조정기구(57)나 설치되는 바, 이 조정기구(57)는 브라켓(58), 중심에 나공이 형성된 제1조정판(59), 제2조정판(60) 및 전술한 브라켓(58)과 제2조정판(60)사이에 연결고정설치되는 길이조정 나사봉(61)으로 이루어져 후술될 접동기구(71)의 장홈(71a)사이에서 요동이 가능한 상태에서 작동될 수 있게 되어 있다.
브라켓(58)은 일측에 로울러(62)가 회동이 자유롭게 로울러 지지부재(63)에 축설되어 와이어(44)가 로울러(62)의 외주요홈을 타고 움직일 수 있게 되어 있고, 타측엔 중공의 원통부재(64)내에 베어링(65)이 내장되어 로울러 지지부재(63)의 연결봉(66)과 연결되며 원통부재(64)의 후부엔 후술될 나사봉(61)의 일측과 고정설치된 고정구(67)가 나합고정되어 나사봉(61)과 함께 원통부재(64)가 회전하더라도 로울러 지지부재(63)는 베어링(65)에 의하여 회전하지 아니하고 원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제1조정판(59)은 중심에 나공이 각각 형성된 돌출접동부재(68)가 내측으로 돌출하도록 일체로 고정설치되어 베어링(69)에 내설되고 중심의 나공을 통과하여 나사봉(61)이 나합될 수 있게 이루어지고, 제2조정판(60)은 중심에 나공이 형성되어 후술될 접동기구(71)의 후면에 접하도록 나사봉(61)에 나합고정되며, 제2조정판(60)의 후부엔 로크너트(70)가 나사봉(61)의 단부에 스프링와셔와 함께 고정설치된다.
접동기구(71)는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활모양으로 형성되어 중간부의 장홈(71a)내에 나사봉(61)이 통과할 수 있도록 케이스 본체(6)의 내측양단에 고정설치되어 이루어지는 바, 접동기구(71)를 활모양으로 원호를 갖도록 함으로서 축(28a)과 축(28b)의 연결부위를 중심으로 축(28a,28b)이 서로 굽혀지는 경우에 회전축(28)의 중간부와 나사봉(61)이 접동기구(71)내에서 접동하는 부분사이의 거리를 곡률반경으로 하여 만들어내는 원호와 일치하여 회전축(28)의 길이나 굽힘정도를 조정하는 경우에도 회전축(28)이 원활하게 접동하면서 작동될 수 있도록 하였고, 특히 제2조정판(60)이 배면에 접하면서 작동될 수 있게 이루어져 있다.
미설명부호로서 72는 모터(M)구동용스위치이고, 73은 차체이며, 74,75는 앞,뒤 범퍼를 각각 나타낸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차량용 커버(100)는 다음과 같은 작용 및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인 차량용 커버(100)는 제1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앞범퍼(74)의 중앙에 내장하여 사용하거나 도시되어 있지는 아니하지만 뒤범퍼(75)에도 내장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바, 이때 내장방법은 차량의 형태나 종류에 따라 설치되는 범퍼에 직합하게 제작할 수 있으며, 이를 테면 플라스틱제의 범퍼인 경우엔 케이스본체(6)를 외부로부터 덮어씌워 일체로 제작하거나 케이스본체(6)의 길이보다 범퍼(74)의 소요길이가 더 큰 경우엔 케이스본체(6)를 중심으로 좌우양측에만 나머지부분을 별도로 재작하고 조립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차량과 조립한 상태에서 자물쇠(14)의 키이홈(14a)에 열쇠를 꼽고 회전시키면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와이어(15)에 의하여 안내함체(13)내의 요동구(18)가 우측으로 당겨지고 회전걸림고리(9)와 걸림공(17)이 일치되면서 제7도의( a )에 도시된 바와같이 탄지핀(21)이 상향으로 이동하고 뚜껑(7)은 열리게 되며 뚜껑(7)을 뒤로 제끼면 핀(22)은 걸림홈(20b)에 걸려 제껴진 상태에서 뚜껑(7)은 정지고정되는 동시에, 또한 제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뚜껑(7)이 열리고 스위치(26)의 작동봉(25)이 상승하면서 ON되어 램프(10) 가 점등된다.
회전축(28)이 구동모터(M)의 구동축(56)과 연결되어 있는 경우엔 작동간(54)을 조작하여 클러치(53)의 연결상태를 분리시키고 커버체(1)의 본체(4) 단부를 당겨 회전축(28)을 회전시키면서 차량의 상부를 거쳐맨끝까지 당긴 다음 차량의 외측을 감싼 상태에서 매직 테이프(4a)를 서로 집어부착시키고 커버체(1)의 본체(4)중 타측을 케이스본체(6)로부터 꺼낸후 보조체(5)의 일측단이 회전축(28)에 부착되고 보조체(5)의 일부가 케이스본체(6) 내부에 있는 상태에서(제13도참조) 뚜껑(7)을 닫고 상기 본체(4)의 타측을 차량외측 중 커버체(1)가 씌워지지 아니한 부분(제13도에 있어서는 차량의 앞부분)상부에 덮어 매직테이프(4a)를 서로 접어부착시키면 차량의 커버를 씌우는 작업을 마칠 수 있다. 이때, 뚜껑(7)을 닫게되면 회전걸림고리(9)는 보조체(5)의 개공(5b)을 통과하면서 스프링에 탄지된 요동구(18)가 움직이고 걸림공(17)에 끼워 고정되며 스위치(26)의 작동봉(25)이 하강하면서 램프(10)는 소등된다.
커버체(1)를 감싼 상태에서 다시 커버체(1)를 회전축(28)외주연에 감아 원위치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전후방에 서로 집어두었던 매직 테이프(4a)를 분리하고 뚜껑(7)을 연 다음 클러치(53)을 조작하여 구동모터(M)의 구동축(56)과 회전축(28)을 연결하고 케이스본체(6)내에 설치된 스위치(72)를 누르면 구동모터(M)는 작동하고 처음에 회전축(28)의 외주연에 보조체(5)가 감기고나서 본체(4)가 겹쳐지면서 계속해서 말려지게 되며 완전히 감겨진 다음엔 스위치(72)를 off시켜 구동모터(M)의 작동을 멈추게 한후 뚜껑을 닫으면 된다.
이와같은 작동순서는 한가지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편리한 방법이면 어떠한 순서에 의하여 작동시킨다 하더라도 무방하다 하겠다.
또한, 동절기나 비가오는 경우와 같이 외부요인에 의하여 커버체(1)가 얼거나 젖는 경우에는 외측 케이스(2)에 마련된 배수구를 통하여 내부에 고일수도 있는 물을 배출시키고 또한 가열공기공급공을 통하여 커버체(1)을 가열하여 이를 적절하게 녹이거나 건조시켜 사용에 알맞은 상태에 있게 할 수 있다.
특히, 회전축(28)의 경우 양측(28a,28b)으로 분리하여 스프링(39)을 중앙외주연에 설치하고 내부엔 이음관(42)과 와이어(44)를 설치함으로써 제14도 및 제1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회전축(28)의 길이를 조정기구(57)를 사용하여 단축시키거나 길게 할수 있고 또한 양측(28a,28b)이 갖는 굽혀지는 각도를 조정하여 만곡형태의 범퍼에 내장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내부의 와이어(44)는 외부충격이나 축(28)자체가 하부로 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인 차량용 커버(100)는 차량의 앞범퍼(74)나 뒤범퍼(75)에 내장하여 사용하거나 케이스(2)의 형태를 일부 변경하여 만곡형 범퍼에도 내장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시엔 언제나 뚜껑(7)을 열고 커버체(1)를 잡아당겨 차체(73)의 외측을 간편하게 감싸서 커버의 본래기능인 차량용 외부환경, 예를들면 비, 바람, 먼지, 태양광선, 성에 등으로부터 보호하여 차량의 부식이나 훼손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차량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동시에 차량내부의 도난방지와 차량의 청결성 유지를 도모할 수 있는 한편, 통상의 범퍼가 갖는 빈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운행시엔 케이스(2)내부에 커버체(1)를 말아놓아 적층형태를 유지하고 회전축(28)은 스프링(39), 이음관(42) 및 와이어(44)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므로 차량의 충돌시엔 케이스(2), 커버체(1), 회전축(28), 스프링(39), 이음관(42) 및 와이어(44)에 이르는 중첩적인 층격완화효과를 충분히 발휘하여 인명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끝으로, 본 발명이 갖는 기술내용은 예를 들면 작동모터(M)를 차량의 트렁크나 본니트에 내설하거나 작동스위치(72)를 케이스(2)내부에 설치하지 아니하고 차량의 실내에 설치하여 구성하는 바와같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나 이러한 기술적인 변경내용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 속하는 것인 한, 본 발명의 기술적인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임으로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1)

  1. 커버체(1)는 외주연에 여러개의 매직테이프(4a)가 부착된 본체(4)와 매직테이프(5a)가 일측단에 부착되고 복수개의 개공(5b)이 형성된 보조개(5)가 서로 부착설치되어 이루어지고, 외측케이스(2)는 서로 경첩으로 연결고정된 케이스본체(6)와 뚜껑(7)으로 이루어지되 로크기구(8)는 복수개의 안내공(12)이 형성된 중공의 안내함체(13), 이 안내함체(13)의 내부에서 작동이 이루어지고 스프링(16)에 탄지되며 다수의 걸림공(17)이 형성된 요동구(18), 중심에 키이홈(14a)이 형성된 자물쇠(14) 및 상기 요동구(18)일측과 상기 자물쇠(14)의 내측외주연 사이에 고정된 와이어(15)로 이루어져 케이스본체(6)의 상부내측에 설치되고, 뚜껑(7)은 양단에 수직단부(9a)와 탄지판스프링(19)이 지지설치된 회전걸림고리(9)가 상단에 측설되며, 중간부엔 아아치형 슬롯(20a)과 걸림홈(20b)이 형성되고 핀(22)에 끼워져 이루어진 아아치형지지간(20)과 스프링내장케이스(23)내부 스프링(24)에 탄지된 탄지핀(21)이 외측케이스(2)의 일측에 설치되는 동시에, 케이스본체(6)의 전방일측엔 작동봉(25)이 노출된 스위치(26)가 설치되는 한편, 뚜껑(7)의 일측엔 램프(10)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며, 작동기구(3)는 양측의 회전축받이(27), 회전축(28) 잊 접동기구(71)로 이루어지되, 회전축받이(27)는 케이스본체(7)에 고정설치되고 개공(31) 및 상,하지지구설치홈(33,33')이 마련된 지지프레임(34), 핀공(36,36')에 끼워지며 축공(30a), 베어링(30b) 및 상,하회동핀(30c)이 마련된 축받이 본체(30), 다수의 스크류(37)에 의하여 지지구설치홈(33,33')에 나착고정되고 핀공(36,36')이 각각 형성된 상,하지지구(32,32') 및 상기 회동핀(30)과 회동핀공(36,36')사이에 개재된 스프링(38,38')으로 이루어지고, 회전축(28)은 스프링(39) 및 이음관(42)에 의하여 연결되는 좌,우양측(28a,28b), 일측단에 설치된 클러치(53) 및 4타측단에 설치된 조정기구(57)로 이루어지되, 이음관(42)은 축(28a)의 단부에 핀(40)에 의하여 고정되고, 와이어(44)가 캡(45)의 중심공(46), 로울러(62)의 외주연, 상기 이음관(42)내측 및 축(28a)을 경유 클램프 (47)에 연결설치되며, 양축(28a,28b)의 외주연엔 고정튜브(48), 보호튜브(51) 및 매직테이프(49)가 감겨지는 한편, 클러치(53)는 스프링(52)에 탄지되고 작동간(54)을 작동홈(55)을 따라 수평 및 수직운동하게 하여 구동모터(M)의 구동축(56)과의 연결분리작동시킬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조정기구(57)는 브라켓(58), 제1,2조정판(59,60) 및 나사봉(61)으로 이루어지되, 브라켓(58)은 로울러(62)가 회동이 자유롭게 축설된, 로울러 지지부재(63)와 베어링(65)이 내장되고 연결봉(66)과 연결되며 나사봉(61)의 일측과 고정설치된 고정구(67)가 나합된 원통부재(64)로 이루어지며, 제1조정판(59)은 중심에 나공이 형성된 돌출접동부재(68)가 일체로 고정설치되어 베어링(69)에 내설되고 나사봉(61)이 나합되며. 제2조정판(60)은 중심에 나공이 형성되어 나사봉(61)에 나합되고 후부에 로크너트(70)가 고정설치되어 이루어지는 동시에, 접동기구(71)는 활모양으로 형성되어 중간부의 장홈(71a)내에 나사봉(61)이 통과할 수 있도록 케이스본체(6)의 내측양단에 고정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커버.
KR1019890019518A 1989-12-26 1989-12-26 차량용 커버 KR9000052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19518A KR900005276B1 (ko) 1989-12-26 1989-12-26 차량용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19518A KR900005276B1 (ko) 1989-12-26 1989-12-26 차량용 커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8029 Division 1988-05-30 1988-05-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5276B1 true KR900005276B1 (ko) 1990-07-27

Family

ID=19293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9518A KR900005276B1 (ko) 1989-12-26 1989-12-26 차량용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5276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45299A (en) Arrangement in doors
US5056839A (en) Automobile cover assembly
CN108049130B (zh) 一种可自动开盖的波轮洗衣机
ES2277063T3 (es) Un electrodomestico y una puerta de electrodomestico.
GB2164690A (en) Door hinge guard
KR900005276B1 (ko) 차량용 커버
US5649339A (en) Door closing device
KR100558987B1 (ko) 트럭 적재함의 커버 설치구조
US5337818A (en) Rollaway extendable planar fabric closure
KR200340543Y1 (ko) 도어프레임과 도어간 간극커버장치
US2524442A (en) Retractable cover for vehicle head lamps
KR102094176B1 (ko) 오토 플러시 도어 핸들 장치 및 이의 작동 방법
KR940000237Y1 (ko) 도어클로우저
KR102507321B1 (ko) 전기 골프 카트
KR200281191Y1 (ko) 창틀
KR0115601Y1 (ko) 스페어타이어 캐리어의 고정장치
CN217755220U (zh) 一种用于物流仓库的防风雨型物流柜
CN210528123U (zh) 一种充电桩及其具有锁止功能的电缆收纳结构
CN215971881U (zh) 一种具有一体式外收纳盒的电动车和摩托车防晒装置
KR200196641Y1 (ko) 차량 덮개
KR200342801Y1 (ko) 차량용 방충창
KR200263074Y1 (ko) 차양막 개폐장치
KR19980036042U (ko) 차양지지장치
KR20230026623A (ko) 자동차 보호덮개장치
KR200144121Y1 (ko) 온실의 하향열림식 환기, 보온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71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