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5194B1 - 전폭 선재캇타를 겸비한 만능 옵세트형 절단가위 - Google Patents

전폭 선재캇타를 겸비한 만능 옵세트형 절단가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5194B1
KR900005194B1 KR1019840004355A KR840004355A KR900005194B1 KR 900005194 B1 KR900005194 B1 KR 900005194B1 KR 1019840004355 A KR1019840004355 A KR 1019840004355A KR 840004355 A KR840004355 A KR 840004355A KR 900005194 B1 KR900005194 B1 KR 9000051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pivot
cut
scissors
offs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4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0130A (ko
Inventor
알.오케페 제임스
피터슨 개리
리.버너 버렐
Original Assignee
프로스닙 코포레이숀
앨린 디.피터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로스닙 코포레이숀, 앨린 디.피터슨 filed Critical 프로스닙 코포레이숀
Publication of KR860000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01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5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51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26Hand shears; Scissors with intermediate links between the grips and the blades, e.g. for remote actu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29/00Hand-held metal-shearing or metal-cutting devices
    • B23D29/02Hand-operated metal-shearing devices
    • B23D29/026Hand-operated metal-shearing devices for cutting she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Scissors And Nippers (AREA)
  • Shearing Machines (AREA)
  • Nonmetal Cutting Devices (AREA)
  • Kniv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폭 선재캇타를 겸비한 만능 옵세트형 절단가위
제1도는 개방상태에 있음을 보인 본 발명의 옵세트형 절단가위의 한 실시형태를 보인 것으로 일부를 절개표시한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에서 보인 옵세트형 절단가위가 폐쇄상태에 있음을 보인 측면도.
제3도는 제2도의 3-3선 단면도.
제4도는 제1도-제3도에서 보인 옵세트형 절단가위의 상측 절단익을 보인 측면도.
제5도는 제4도의 5-5선 단면도.
제6도는 제4도의 6-6선 단면도.
제7도는 제1도-제3도에서 보인 옵세트형 절단가위의 하측 절단익을 보인 측면도.
제8도는 제7도의 8-8선 단면도.
제9도는 제7도의 9-9선 단면도.
제10도는 개방상태에 있음을 보인 본 발명의 옵세트형 절단가위의 다른 실시형태를 보인 것으로 일부를 절개표시한 측면도.
제11도는 제10도에서 보인 옵세트형 절단가위가 폐쇄상태에 있음을 보인 측면도.
제12도는 제11도의 12-12선 단면도.
제13도는 제10도-제12도에서 보인 옵세트형 절단가위의 상측 절단익을 보인 측면도.
제14도는 제13도의 14-14선 단면도.
제15도는 제13도의 15-15선 단면도.
제16도는 제10도-제12도에서 보인 옵세트형 절단가위의 하측 절단익을 보인 측면도.
제17도는 제16도의 17-17선 단면도.
제18도는 제16도의 18-18선 단면도.
제19a도와 제19b도는 만약 필요한 경우 핀치 캇타대신에 사용될 수 있는 전형적인 캇타의 두 대향된 절단부를 보인 부분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절단가위 12,14 : 절단익
16 : 주 피봇트볼트 18,20 : 핸들
22 : 판재 24 : 선재
26 : 피봇트볼트 40,42 : 피봇트볼트
70,72 : 절단면 88 : 받침부
90 : 쐐기형 절단부 92,94 : 피봇트보스
본 발명은 금속판 또는 유사한 재료를 직선방향 또는 좌우측 방향으로 절단하거나 2.0인치-2.5인치 직경의 원을 오려낼 수 있는 수동조작 가능한 옵세트(offset)형의 절단가위에 관한 것이다.
금속판 또는 유사한 재료가 종래의 절단가위로 절단될 때에 절단된 판재의 일측 또는 양측 변부가 절단가위의 동체에 닿아 절단가위의 전진을 어렵게 하고 절단변부가 변형되게 한다. 이와 같은 간섭은 절단부가 불규칙한 형태인 경우, 특히 가파른 곡선이나 소형의 원형을 절단할 때에 가장 심하다. 따라서 종래의 절단가위는 좌측 또는 우측으로 절단방향을 바꿀 수 있도록 대칭형이 되게 구성되기도 한다. 또한 종래의 절단가위가 두껍고, 거칠거나 단단한 재료를 절단할 때에 사용되는 경우 절단될 판재는 절단익이 미끌어져 절단효율을 저하시킨다. 더우기 종래의 절단가위는 많은 판재를 절단하기 위하여 손잡이가 길어야 하고 큰 힘이 가하여져야 한다.
미국특허 제2,264,840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절단된 판재부분과 절단가위의 동체가 간섭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절단가위의 동체부분에 대하여 절단면을 편의(偏倚)되게, 즉 옵세트되게 함으로서 절단된 판재부분이 동체부분의 일측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한 시도가 있었다. 또한 이 특허문헌에는 절단익이 그 동체로부터 직각이 되게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절단된 판재가 하측 절단익의 상하부를 지나도록 수직으로 벌어지는 범위를 줄임으로서 절단가위가 판재로의 전진을 용이하게 하여 절단면으로부터 판재가 미끌어져 나가는 경향을 줄여준다. 또한 최근의 미국특허 제3,587,173호에서 보인 바와 같은 연결구조가 두꺼운 판재를 절단하는데 필요한 힘을 줄일 수 있도록 제안된 바 있다.
대부분 종래의 옵세트형 절단가위는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만곡되게 절단하는데에만 사용될 수 있어 다른 방향으로 향한 곡선을 따라 절단할 때에는 대칭형의 구조를 갖는 다른 옵세트형 절단가위를 필요로 하였다. 또한 옵세트형 절단가위의 측방향으로 연장된 절단익은 제작 중에 조심스럽게 연마되고 배열되어야하며 무디어졌을 때에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재연마가 불가능하였다. 또한 선재를 절단함으로서 절단익을 상하게 하는 경우 이 절단가위는 판재를 절단하는데 사용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절단익이 무디어졌을 때에 용이하게 재연마하여 날카롭게 할 수 있고 핀치(pinch), 즉 선재절단용 캇타를 겸할 수 있는 개선된 옵세트형 절단가위가 필요하게 되었다. 또한 두꺼운 판재를 절단하는데 편리하고 옵세트형 절단가위를 보다 강력하게 할 수 있는 개선된 핸들과 토글(toggle)의 구조를 필요로 하였다.
본원 출원인의 미국 특허출원 제386,049호(1982년 7월 7일자 출원)에 있어서는 핀치형 캇타가 상측 절단익의 일부분이 받침대로서 이용되고 하측 절단익의 일부분이 선재를 절단하기 위한 쐐기형 절단부로서 이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는 관련된 제작공정에 따라서 절단부재의 기부에 형성된 "요입부"에 절단될 선재가 놓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직경이 작은 선재가 캇타의 기부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 이 "요입부"에 의하여 선재는 받침대와 쐐기형 절단부로서는 절단할 수가 없다. 이러한 "요입부" 쐐기형 절단부의 대향면을 연마하기 위하여 요구된 여러 연마공정에 의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특허출원에 있어 쐐기형 절단부의 형성에 있어 연마공정은 양측면 사이의 각도가 약 70°인 넓은 V-형 절단부를 형성한다. 이러한 쐐기형 절단부의 각도는 대부분의 경우 적합하기는 하나 제작이 어려우므로 생산비를 현저히 증가시킨다. 또한 쐐기형 절단부가 넓은 절단각도를 가지며 직경이 보다 작거나 큰 선재라 할지라도 "요입부"의 영역에서 캇타의 기부에 끼이거나 갇히게 되므로 선재를 절단하는데 큰 힘이 들게 된다. 선재의 절단이 곤란하고 선재를 중심에 오도록 손으로 바로 잡아야하므로 쐐기형 절단부는 선재의 전폭을 가로질러 절단하거나 물어주게 되어 받침대부분과 쐐기형 절단부의 전체폭 사이에 선재가 물리게 된다.
상기 언급된 본원 출원인의 특허출원에 있어서 다른 결점은 비록 옵세트되어 있으나 하측 절단익에 적당한 간극이 주어지지 않음으로서 작은 직경의 원을 오려낼 수가 없다. 이러한 결점은 이러한 옵세트형 절단가위가 어느 방향으로나 절단할 수 있는, 즉 직선, 좌우측방향으로나 절단할 수 있는 만능형의 절단가위라 할 수 없으므로 좌측 및 우측형의 절단가위를 제작토록 한다. 대부분의 경우 원호, 곡선 또는 약 2.0-2.5인치 직경의 소형의 원을 절단할 수 있는 절단가위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절단된 부분에 의하여 간섭받지 아니하고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판재를 절단할 수 있고 직경이 매우 작은 원이라할지라도 오려낼 수 잇는 개선된 만능 옵세트형 절단가위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절단력이 크고 절단면이 무디어지거나 손상을 입었을 때에 편리하고 경제적으로 재연마하여 날카롭게 할 수 있으며 선재 캇타의 절단부를 재연마하여 날카롭게 하는 것이 그 절단익의 보스(boss)를 단 1회 연마함으로서 행하여질 수 있는 개선된 만능 옵세트형 절단가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선재를 절단하기 위한 핀치나 절단수단을 겸비함으로서 별도로 선재를 절단하기 위한 공구를 필요로 하지 않고 판재 절단면이 손상입는 것을 줄일 수 있는 개선된 만능 옵세트형 절단가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옵세트형 절단가위가 폐쇄되었을 때에 토글피봇트점(toggle pivot points)이 일직선이 되어 2중연결/3피봇트점 토글연결의 중심 토글피봇트에 큰 힘을 내게 하는 토글구조에 의하여 강력한 절단력을 갖는 개선된 만능 옵세트형 절단가위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절단가위가 개방되었을 때에도 용이하게 쥘 수 있고 이를 용이하게 폐쇄할 수 있도록 하는 강력한 힘의 토글 연결구조로 된 핸들을 갖는 "만능" 옵세트형 절단가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핀치 또는 선재절단용 캇타가 겸비되어 있고 캇타의 형태에 관계없이 상측 절단익에 핀치캇타의 받침부가 구성되고 하측 절단익에 쐐기형 절단부가 구성된 만능 옵세트형 절단가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절단익의 보스를 단 1회 연마함으로서 날카롭게 할 수 있고 받침부의 진폭에 걸쳐 선재가 절단될 수 있는 쐐기형 절단부를 갖는 만능 옵세트형 절단가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판재와 선재등을 절단할 수 있는 전폭 선재절단수단을 갖는 수동용 만능 절단가위를 개선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본 발명의 한 관점에 따라서, 제1 및 제2절단익은 피봇트보스를 가지며 이를 통하여 피봇트수단이 절단익을 연결하여 피봇트보스에 수직인 측선을 중심으로하여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각 절단익은 각 피봇트보스의 평면에 대하여 옵세트된 제1 및 제2절단면을 갖는다. 절단익이 피봇트수단에 대하여 회전할 때에 제1 및 제2절단면은 이들 사이에서 판재가 절단되도록 개방위치와 폐쇄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피봇트보스와 절단면은 이들을 연마하여 절단면을 날카롭게 할 수 있는 반면에 각 피봇트보스와 절단면 사이의 옵세트는 그대로 유지된다. 선재캇타의 쐐기형 절단부를 연마할 때에도 피봇트보스는 요구된 크기로 연마된다. 피봇트보스에 대한 절단면의 옵세트는 최소한 약 0.250-0.375인치로서 간섭없이 이미 절단된 부분이 절단익을 통과할 수 있고 직경이 매우 작은 원형이라도 오려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라서, 제1 및 제2절단익은 동체부분을 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동체부분의 하나에는 절단될 판재의 평면에 요부가 형성되어 있다. 각 절단익은 동체부분에 대하여 옵세트되어 연장되고 이들 사이에서 판재를 절단하기 위하여 개방위치로부터 폐쇄위치사이로 회전시 이동 가능하게 된 제1 및 제2절단면을 갖는다. 절단된 판재의 절단변부는 요구내에 삽입될 수 있어 좌측 또는 우측으로의 판재절단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옵세트형 절단가위는 "만능"이라 할 수 있으며 불규칙적인 절단이 요구될 때에 별도로 좌측 및 우측방향 절단용 절단가위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라서, 핸들은 절단스트로크를 통하여 특별히 유리한 토글레바작용이 제공되도록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절단가위의 강력한 잠금이 이루어지도록 힘이 발생되는 중심 토글점이 핸들에 대하여 절단익의 관절운동을 제공하는 피봇트볼트와 "중심을 넘어선" 토글위치에 대하여 동일선상에 위치함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선재를 절단하기 위한 개선된 일체의 절단수단과 절단익이 폐쇄위치에서 잠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일체의 잠금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제3도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형태의 절단가위(10)가 도시되어 있다. 이 절단가위(10)는 상측 및 하측 절단익(12)(14)으로 구성되고 상하측 핸들(18)(20)로 주 피봇트볼트(16)에서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1도에서 보인 개방위치와 제2도에서 보인 폐쇄위치 사이에서 절단익(12)(14)의 운동으로 제1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이들 절단익(12)(14) 사이에 놓인 판재(22) 또는 선재(24)가 절단된다.
핸들(18)(20)은 이들 핸들(18)(20)의 단부 중간에 위치하는 핸들 피봇트볼트(26)을 중심으로하여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들 핸들(18)(20)의 후단부(28)(30)에는 각각 상측 및 하측 손잡이(32)(34)가 씌워져 있다. 이들 손잡이(32)(34)는 외향 돌출부(36)(38)가 구성되어 절단가위(10)의 사용중 사용자의 손이 앞으로 미끌어지지 않도록 디핑(dipping) 또는 모울딩하여 구성되는 것이 좋다. 손잡이(32)(34)의 재료로서는 미주리주 센트루이스에 소재하는 신클레어 러쉬사에서 제조되는 핫-디프 플라스티졸(hot-dip plastisol)이 좋다.
핸들(18)(20)은 핸들 피봇트볼트(26)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고 상호 멀리 떨어지게 연장되어 피봇트볼트(40)(42)에서 절단익(12)(14)이 축설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1도에 보인 바와 같은 개방위치에서 피봇트볼트(26)(40)을 연장한 가상선과 피봇트볼트(26)(42)를 연장한 가상선 사이에는 예각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핸들(18)(20)은 제3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웨브부분(48)으로 연결된 두 측부(44)(46)로 구성되는 U자형의 단면을 갖는 좋다. 핸들 피봇트볼트(26)에 의하여 위치가 고정된 오메가 스프링(50)은 핸들(18)(20)의 웨브부분(48)에 결합되어 절단가위(10)가 개방되게 한다. 유사한 효과를 위하여 다른 편중수단이 이용될 수도 있다. 핸들 피봇트볼트(26)와 오메가 스프링(50) 사아에는 슬리이브(51)가 개재되어 핸들 피봇트볼트(26)에 대하여 오메가 스프링(50)의 중심과 간격이 유지되도록 한다. 이 슬리이브(51)는 절단가위(10)의 작동에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나 본원 출원인은 이 슬리이브(51)가 오메가 스프링(50)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킴을 알게 되었다.
개방위치에서, 상측 절단익(12)은 제1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주 피봇트볼트(16)로부터 피봇트볼트(40)측으로 상향후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하측 절단익(14)은 주 피봇트볼트(16)로부터 피봇트볼트(42)측으로 후향연장되어 있다. 핸들(18)(20)을 폐쇄토록 근접시킴으로서, 피봇트볼트(40)(42)는 핸들 피봇트볼트(26)에 대하여 회전하여 절단익(12)(14)의 후측부(54)(56)가 전개되도록 한다. 제3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이 후측부(54)(56)는 상측 및 하측 절단익(12)(14)이 정렬될 수 있도록 핸들(18)(20)의 측부(44)(46)에 의하여 근접되게 삽입될 수 있는 충분한 두께를 갖는다. 측부(44)(46)와 후측부(54)(56)사이의 유동은 피봇트볼트(40)(42)상의 조절니트(58)에 의하여 조절된다. 주 피봇트볼트(16)는 상측 절단익(12)의 동체(62)에 형성된 나선공(60)에 나착되고 하측 절단익(14)의 동체(66)에 형성된 통공(64)에는 관통되어 있다. 고정니트(68)가 주 피봇트볼트(16)의 조절된 길이를 유지하도록 동체(62)에 대하여 고정된다. 절단익(12)(14)의 각 절단면(70)(72)은 제3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각 절단익의 결합된 동체(62)(66)에 평행한 평면내에 있으나 이로부터 측방향으로 옵세트, 즉 치우쳐 있다. 이러한 치우침으로 판재(22)의 절단된 부분이 동체(66)의 측부를 충분히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출원인은 제4도와 제7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절단면(70)(72)이 측부가 만곡되어 공작물에 대하여 블록한 절단면을 형성토록하는 경우 판재(22)의 절단이 보다 효과적임을 발견하였다. 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측 절단면(70)의 반경은 8인치이고 하측 절단면(72)의 반경도 역시 8인치이다. 그러나 도시된 구조는 단순히 유사한 효과를 갖는 여러가지 만곡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4도-제8도에서 명확히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절단익(12)(14)의 선단부(84)(86)는 동체(62)(66)에 대하여 측방향으로 거의 수직이 되게 연장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테이블과 같은 평면상에 놓인 판재의 절단을 용이하게 하고 이들이 하측 절단익(14)의 상하측부를 통과할 때에 절단된 면이 전개되는 정도가 최소가 되도록 한다.
절단익(12)(14)은 표면(78)(80)을 따라 요입된 형상을 가지므로 상하측 절단익(70)(72)이 측면에서 동일한 폭을 가지며 이후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절단익의 재연마를 가능하게 한다. 하측 절단익(72)의 후측부에는 절단면(72)의 연마를 용이하게 하고 절단 중에 절단익(70)(72)의 원활한 맞물림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요입부(82)가 형성되어 있다. 절단익(12)(14)의 선단부(84)(86)는 제6도와 제9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내측으로 만곡되어 블록면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선단부(84)(86)의 구조는 절단면(70)(72)을 위한 충분한 강도를 제공하는 반면에 좁은 공간에서도 절단가위(10)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선재(24)는 상측 절단익(12)에 형성된 받침부(88)와 하측 절단익(14)에 형성된 쐐기형 절단부(90)에 의하여 절단된다. 받침부(80)와 쐐기형 절단부(90)의 위치는 이들이 절단가위(10)가 제2도에서 보인 바와 같은 폐쇄위치에 있을 때에 절단익의 회동을 제한하는 정지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접하게 된다. 쐐기형 절단부(90)는 절단가위(10)가 제1도에서 보인 개방위치에서 제2도에서 보인 폐쇄위치로 폐쇄될 때에 받침부(80)상에 놓인 선재를 절단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들 대향된 절단면은 예를 들어 "대각선" 캇타와 같은 다른 대향된 절단면이 유사한 효과를 갖도록 받침부(88)와 쐐기형 절단부(90)를 대신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절단면(70)(72)이 마모되거나 손상을 입었을 때에 재연마될 수 있는 것이 본 발명의 중요한 특징이다. 제3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상측 절단면(70) 또는 하측 절단면(72)을 연마함으로서 절단면 사이에 측방향의 공간이 형성되어 판재(22)를 절단할 수 없으리라고 판단되는 것이 상태일 것이다. 동체(62)에 대한 절단면(70)의 옵세트, 즉 치우침은 이러한 연마에 의하여 감소되고 동체(66)에 대한 절단면(72)의 옵세트는 이러한 연마로 증가될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종래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옵세트형 절단가위는 이들이 마모되거나 손상을 입었을때에 재연마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절단가위(10)의 재연마는 동체(62)(66)의 인접면에 형성되어 있는 피봇트보스(92)(94)에 의하여 용이하게 된다. 이들 피봇트보스(92)(94)는 주 피봇트볼트(16)에 대하여 수직인 동체(62)(66)의 표면으로부터 평면상으로 돌출되어 있다. 피봇트보스(92)는 특별한 구조일 필요는 없으나 예를 들어 제4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주 피봇트볼트(16)와 동심원상의 반원형 선단부(96)와 장방형 후단부(98)로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피봇트보스(94)도 제7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주 피봇트볼트(16)와 동심원상인 반원형 선단부(100)와 삼각형의 후단부(102)로 구성된다. 이들 피봇트보스(92)(94)는 절단익(12)(14) 사이에 개선된 지지면을 제공하는 반면에 절단면(70)(72)의 정렬이 유지되게 한다. 후단부(98)(102)는 절단면(70)(72)이 절단스트로크 중에 벌어지지 않도록 상호작용한다.
절단가위(10)에 있어서, 절단면(70)(72)의 옵세트, 즉 치우침은 피봇트보스(92)(94)에 의하여 결정된다. 따라서 절단가위(10)의 재연마는 절단면(70)(72)과 각 피봇트보스(92)(94) 모두를 연마함으로서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측 절단면(70)과 피봇트보스(92)를 동일두께 만큼 연마한다면 상측 절단면(70)의 옵세트에는 변화가 없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하측 절단면(72)과 피봇트보스(94)를 동일두께 만큼 연마한다면 역시 하측 절단면(72)의 옵세트에도 변화가 없을 것이다. 따라서 절단익(12)(14)중 어느 한쪽이든지 양쪽 모두는 절단면(70)(72) 사이의 측방향간격이 형성됨이 없이 필요에 따라 재연마되어 날카롭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각 절단익의 재연마는 만곡면이 없으므로 더욱 간단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측 및 하측 절단면(70)(72)은 각 피봇트보스(92)(94)에 대하여 평행한 평면내에서 연마된다. 피봇트보스(92)(94)는 먼저 연마되어 절단면(70)(72)의 연마를 위한 기준면을 형성할 수 있다. 각 절단익(12)(14)의 요입된 면(78)(80)은 재연마하여 날카롭게하는 공정중에 다룬 면을 연마할 필요성을 배제한다. 본 발명의 출원인은 피봇트보스(92)(94)의 높이가 인접한 동체(62)(66)에서 1/32인치가 되는 경우에도 충분한 재연마 가능성이 있음을 알았다. 핸들(18)(20)에 대한 절단익(12)(14)의 관절연결은 주 피봇트볼트(16)만을 분리하고 피봇트볼트(26)(40)(42)는 그대로 고정시킨 상태에서 절단면(70)(72)을 연마할 수 있도록 한다.
판재(22)의 절단은 상하측 절단면(70)(72)이 피봇트보스(92)(94)에 대하여 정확히 평행하지 않더라도 절단익이 폐쇄되었을 때에 점진적인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가볍게 각을 이루기만 한다면 가능함을 알게 되었다. 비록 다양한 정도의 접촉으로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는 있었으나 전체 접촉의 약 1/2도를 형성하도록 각 절단면(70)(72)에 약 15분의 각도가 바람직하였다. 이러한 접촉은 절단익이 절단스트로크의 후반부에 상호 강하게 밀착되게 함으로서 절단작용이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요구된 각도와 옵세트는 절단익(12)(14)을 최초 연마하거나 다시 날카롭게 하기 위하여 재연마할 때에 편리하고 경제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피봇트보스(92)(94)의 연마는 절단면(70)(72)의 재연마를 허용하도록 상측 및 하측절단익(12)(14)의 인접한 동체(62)(66)로부터 단순히 그 일부를 제거하는 개념으로만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연마는 절단익(12)(14)의 경도를 저해하므로 밀링 또는 다른 절삭수단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제2도에서 보인 폐쇄상태로부터 절단가위(10)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잠금수단에 있다. 피봇트볼트(40)에는 동체와 그 헤드부분에 견부(肩部)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대(104)가 상하측핸들(18)(20)의 측부(44)(46)의 외측에서 피봇트볼트(42)에 회동가능하게 착설되어 있다. 고정대(104)의 자유단부에는 후크(106)를 형성토록 요구가 형성되어 있다. 이 고정대(104)는 절단가위(10)를 사용할 수 있는 제1도에서 보인 바와 같은 제1위치로부터 절단가위(10)를 폐쇄위치에서 잠글 수 있는 제2도의 제2위치로 피봇트볼트(40)와 핸들 피봇트볼트(26) 사이에서 수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2위치에서 고정대(104)의 자유단부에 형성된 후크(104)는 피봇트볼트(40)의 견부에 결합하여 고정대(104)가 오메가 스프링(50)에 의하여 압측 고정되게 한다. 이 고정대(104)는 한손으로 이를 분리 또는 결합토록 할 수 있다.
본 발명 절단가위(10)의 다른 중요한 특징은 절단된 판재(22)가 하측 절단익(14)의 선단부(86) 상측을 지날 수 있는 진로상에 직선상으로 하측 절단익(14)의 동체(66)에 삼각형의 요구(110)가 형성되어 있는 점이다. 이 요구(110)는 절단가위(10)가 우측 또는 좌측방향으로 절단토록 방향을 바꿀 수 있도록 한다. 이 실시형태에서 절단가위(10)의 구조는 직선과 좌측방향 절단에 특히 적합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요구(110)를 형성함으로서 4인치 정도의 직경을 갖는 우회전 절단이 가능하므로서 우측방향 절단을 위한 별도의 절단가위를 필요로 하지 않게 된다. 유사한 절단가위가 대칭의 구조로 구성되는 경우에도 위치 4인치정도의 직경을 갖는 좌회전 절단이 가능한 직선 및 우측방향 절단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 절단가위(10)의 또 다른 중요한 특징은 핸들(18)(20)이 특히 편리하고 절단익(12)(14)의 운동범위 전체를 통하여 힘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이다. 종래의 옵세트형 절단가위와는 다르게 핸들 피봇트(26)가 손잡이(32)(34)에 비교적 근접되어 있다. 따라서, 절단가위(10)가 제1도에서 보인 바와 같은 개방위치에 있을 때에 손잡이(32)(34)사이에 형성된 각도가 종래 절단가위의 각도보다 크다. 개방위치에서 손잡이(32)(34)의 선단부는 돌출부(36)(38)에 인접하여 핸들(18)(20)을 쥐어 최대의 레바작용이 이루어지도록 간격이 벌어지게 된다. 하측 핸들(20)은 하측 손잡이(34)의 개방위치가 판재(22)가 절단되도록 놓이는 작업대에 간섭을 주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측 및 하측 절단익(12)(14)이 제2도에서 보인 폐쇄위치로 폐쇄될 때에 상하측 손잡이(30)(34)의 후단부는 역시 최대 레바작용이 이루어지도록 점진적으로 접근한다. 아울러, 절단익(12)(14)과 핸들(18)(20)은 4개의 연결구조로 구성되어 손으로 잡는 힘이 증폭되어 절단면(70)(72)에 가하여져 작업자의 노력과 피로를 줄일 수 있다.
절단될 판재에 따라서 절단익과 핸들이 여러가지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절단익은 합금공구강으로 단조되고 도시된 형태로 연마된 것이다. 이러한 구조는 강판을 절단하는데 충분한 강도를 제공한다. 그러나, 절단될 판재에 따라서는 다른 재질과 비용이 적게 소요되는 제작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핸들(18)(20)은 여러가지 스탬핑 공정에 의하여 마일드강으로 간편하고 경제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고정대(104)는 강판으로 간편하고 경제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제10도-제19도는 선재캇트를 갖는 개선된 만능 옵세트형 절단가위(10')의 다른 실시형태를 보인 것으로, 이 절단가위(10')는 상하측 절단익(12')(14')로 구성되고, 이들 각각은 상하측 핸들(18')(20')에 의하여 주 피봇트볼트(16')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10도에서 보인 개방위치와 제11도에서 보인 폐쇄위치사이에서 절단익(12')(14')의 운동으로 제10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이들 절단익(12')(14')사이에 놓인 판재(22') 또는 선재(24')가 절단된다.
핸들(18')(20')은 이들 핸들(18')(20')의 단부중간에 위치하는 핸들 피봇트볼트(26')를 중심으로하여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다. 각 핸들(18')(20')의 후단부(28')(30')에는 상측 하측 손잡이(32)(34)가 씌워져 있다. 이들 손잡이(32')(34')는 외향돌출부(36')(38')가 구성되어 절단가위(10')의 사용중 사용자의 손이 앞으로 미끌어지지 않도록 디핑 또는 모울딩하여 구성되는 것이 좋다.
핸들(18')(20')은 핸들 피봇트볼트(26')로부터 진방으로 연장되고 상호 멀리 떨어지게 연장되어 피봇트볼트(40')(42')에서 절단익(12')(14')이 축설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10도에서 보인 바와 같은 개방위치에서 피봇트볼트(26')(40')를 연장한 가상선과 피봇트볼트(26')(42')를 연장한 가상선사이에는 예각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예각은 본 발명의 양 실시형태에서 약 70°정도이다. 그러나 폐쇄위치에서 두 가상선사이의 상기 각도는 약 10°-15°정도 증가하는 것이 좋으며(114°-119°), 이 결과로 옵세트형 절단가위가 폐쇄위치에 있을 때에 보다 얕은 토글 "연결"과 토글피봇트점이 거의 직선에 가까와 파지력이 보다 강하게 된다. 피봇트볼트(40')(42')가 핸들 피봇트볼트(26')에 보다 접근함으로 핸들 피봇트볼트(26')는 토글연결구조에 대하여 힘이 최대가 되는 사점(死點)에 보다 접근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 실시형태에서 핸들 피봇트볼트(26')와 피봇트볼트(40')(42') 사이의 거리는 약 1/4인치 이하로 제1도-제8도에서 보인 실시형태보다 절단력이 현저히 강한 개선된 옵세트형 절단가위가 제공되는 것이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폐쇄위치에서는 삼각형의 "중심을 넘어선" 토글연결구조의 두 대향된 동일한 각도는 피봇트볼트(40')와 (42')를 연결하는 다른 가상선과 함께 약 30°-33°정도의 각도를 이룬다. 핸들(18')(20')은 제12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웨브부분(48')으로 연결된 두 측부(44')(46')로 구성되는 U-자형의 단면을 갖는 것이 좋다.
핸들 피봇트볼트(26')에 의하여 위치가 고정된 오메가 스프링(50')은 핸들(18')(20')의 웨브부분(48')에 결합되어 절단가위(10')가 개방되게 한다. 본 발명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다른 편중수단이 사용될 수 있으며, 비록 "중심조절" 슬리이브(51')가 절단가위(51')의 작동에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슬리이브(51')는 오메가 스프링(50')의 사용수명을 연장한다.
개방위치에서 상측 절단익(12')은 제10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주 피봇트볼트(16')로부터 피봇트볼트(4')측으로 상향후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하측 절단익(14')은 주 피봇트볼트(16')로부터 피봇트볼트(42')측으로 후향 연장되어 있다. 핸들(18')(20')의 폐쇄에 따라서 피봇트볼트(40')(42')는 핸들 피봇트볼트(26')에 대하여 회전하여 절단익(12')(14')의 후측부(54')(56')가 전개되도록 한다. 제12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이 후측부(54)(56)는 상측 및 하측 절단익(12')(14')이 정렬될 수 있도록 핸들(18')(20')의 측부(44')(46')에 의하여 근접하게 삽입될 수 있는 충분한 두께를 갖는다. 측부(44')(46')와 후측부(54')(56') 사이의 유동은 피봇트볼트(40')(42')상의 조절너트(58')에 의하여 조절된다.
주 피봇트볼트(16')는 상측 절단익(12')의 동체(62')에 형성된 나선공(60')에 나착되고 하측 절단익(14')의 동체(66')에 형성된 통공(64)에 관통되어 있다. 고정너트(68)가 주 피봇트볼트(16')의 조절된 길이를 유지하도록 동체(62')에 대하여 고정된다. 절단익(12')(14')의 각 절단면(70')(72')은 제13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각 절단익의 결합된 동체(62')(66')에 평행한 평면내에 있으나 이로부터 측방향으로 옵세트, 즉 치우쳐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러한 치우침은 판재(22')의 절단된 부분이 동체(66')의 측부를 충분히 통과할 수 있도록 연장되어 있으며, 특히 약 2.0인치-0.25인치의 소형원을 오려낼 수도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로 본 발명의 절단가위는 그 절단익이 "심하게"옵세트되어 있어 이 하나의 절단가위만으로 직선방향의 절단은 물론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의 절단도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 구체화된 실시형태에서 절단면(70')(72')도 역시 제13도와 제16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측부가 만곡되어 공작물에 대하여 블록한 절단면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각 절단익(12')(14')의 선단부(84')(86')는 제1도-제9도의 실시형태와 같이 동체(62')(64')에 거의 수직이 되게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절단익(12')(14')은 표면(78')(80')을 따라 요입된 형상을 가짐으로서 상하측 절단익(70')(72')이 측면에서 동일한 폭을 가지며 이후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절단익의 재연마를 가능하게 한다. 하측 절단면(72')의 후측부에는 절단면(72')의 연마를 용이하게 하고 절단중에 절단익(70')(72')의 원활한 맞물림이 이루어질수 있도록 요입부(82')가 형성되어 있다. 절단익(12')(14')의 선단부(84')(86')는 제15도와 제18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내측으로 만곡되어 블록면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선단부(84')(86')의 구조는 절단면(70')(72')를 위한 충분한 강도를 제공하는 반면에 좁은 공간에서도 절단가위(10')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선재(24')는 상측 절단익(12')에 형성된 받침부(88')와 하측 절단익(14')에 형성된 쐐기형 절단부(90')에 의하여 절단된다. 받침부(80')와 쐐기형 절단부(90')의 위치는 이들이 절단가위(10')가 제11도에서 보인 바와 같은 폐쇄위치에 있을 때에 절단익의 회동을 제한하는 정지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접하게 된다. 쐐기형 절단부(90')는 절단가위(10')가 제10도에서 보인 개방위치에서 제11도에서 보인 폐쇄위치로 폐쇄될 때에 받침부(80')상에 놓인 선재를 절단하게 되는 것이다. 대향된 절단면은 다른 절단수단일 수도 있는 펀치에 의하여 선재를 절단할 수 있으며 별도의 제한하는 정지구가 필요치 않게 된다. 대향된 절단익의 부분사이에 "가위형" 절단익의 형태로 절단면을 형성하는 경우 이 절단가위는 절단익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하여 핸들 사이에 한쌍의 접속부(89)(91)(제한정지구)가 요구된다(제10도 및 제11도에서 가상선으로 보임). 이러한 제한정지구는 선재캇타가 핀치형 선재캇타를 대신하는 제19a도 및 제19b도의 실시형태에서도 필요하다. 제19a도에서 보인 형태의 캇타를 사용하는 경우 받침부(88')는 절단면 또는 절단부(90')를 연마하도록 간단히 연마하고 이 받침부(90')의 운동(가상선으로 보임)은 반대측 절단변부(93')를 지나면서 선재를 절단하게 된다(역시 가상선으로 보임). 제19b도에서, 대향된 절단변부(93')는 외측으로 치우쳐 있어 절단부(90')의 제19a도에서 보인 절단부(90')와 반대되는 각도를 갖는다.
이러한 핀치캇타 또는 절단캇타로 절단부재의 기부에 요입부를 필요로 하지 않고 절단부 모두는 절단부재의 전면을 연마함으로서 다시 날카롭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 개선된 절단가위는 단 한번의 연마로서 절단부의 직선변부가 경사지게 연마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이러한 절단변부는 각도가 작으므로 종래 V형 핀치캇타보다 더 날카롭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도-제9도의 절단부에서는 약 70°의 각도인 반면에 이 실시형태에서는 40°-60°만으로도 만족스럽다. 종래 핀치캇타에 비하여 본 발명의 작은 각도를 갖는 캇타는 절단중에 마찰이 적다. 이와 같은 경우, 절단익은 절단변부의 유지를 위하여 보다 강한 강철로 만들어져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약 50°의 각도가 적합하였다. 제1도-제9도의 V형 핀치캇타를 위한 70°의 각도는 넓은 쐐기형 절단부가 절단에 대한 마찰저항이 보다 큰 것으로 믿어지므로 절단시에 큰 힘이 요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전면폭캇타로서 비록 기부에 "요입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더라도 매우 작은 선재라도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다. 소형의 선재는 절단변부 또는 절단부를 따라 어느 위치에라도 놓일 수가 있으므로 소형선재가 캇타 또는 절단부의 기부에 형성된 "요입부"에 길고 절단하여야 하는 문제점을 해소한다. 이에 따라서 선재는 캇타의 중앙에 정확히 배치한 다음 "제2"바이트로 절단을 완료할 필요없이 단번에 절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중요한 특징은 절단면(70')(72')이 마모되거나 손상을 입었을 때에 재연마될 수 있는 것이다. 제12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상측 절단면(70') 또는 하측 절단면(72')를 연마함으로서 절단면사이에 측방향의 공간이 형성되어 판재(22')를 절단할 수 없으리라고 판단되는 것이 상태일 것이다. 동체(62')에 대한 절단면(70')의 옵세트, 즉 치우침은 이러한 연마에 의하여 감소되고 동체(66')에 대한 절단면(72')의 옵세트는 이러한 연마로 증가될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종래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옵세트형 절단가위는 이들이 마모되거나 손상을 입었을 때에 재연마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절단가위(10')의 재연마는 동체(62')(66')의 인접면에 형성되어 있는 피봇트보스(92')(94')에 의하여 용이하게 된다. 이들 피봇트보스(92')(94')는 주 피봇트볼트(16')에 대하여 수직인 동체(62')(66')의 표면으로부터 평면상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의 피봇트보스(92')는 제13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주 피봇트볼트(16')와 동심원상인 부분(96')과 가늘고 긴 장방형의 상향연장부(97)로 구성되는 특별한 구조로 되어 있다. 피봇트보스(94')는 제16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주 피봇트볼트(16')과 동심원상인 원형부(100')와 상향 연장부(101)로 구성된다. 피봇트보스(92')(94')는 절단익(12')(14') 사이에 개선된 지지면을 제공하는 동시에 절단면(70')(72')의 정렬이 유지되도록 한다. 또한 상향 연장부(97)(101)는 절단부(90')와 마찬가지로 받침부(88')를 보강한다.
절단가위(10')에 있어서, 절단면(70')(72')의 옵세트, 즉 치우침은 피봇트보스(92')(94')에 의하여 결정된다. 따라서 절단가위(10')의 재연마는 절단면(70')(72')과 각 피봇트보스(92')(94') 모두를 연마함으로서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이들의 상향 연장부(97)과 (101)도 마찬가지임). 상측 절단면(70')과 피봇트보스(92)를 동일두께만큼 연마한다면 상측 절단면(70')의 옵세트에는 변화가 없을 것이다. 또한 하측 절단면(72')과 피봇트보스(94')도 동일한 두께만큼 연마한다면 역시 하측 절단면(72')의 옵세트에도 변화가 없을 것이다. 따라서 절단익(12')(14')중 어느 한쪽이든지 양쪽 모두는 절단면(70')(72') 사이의 측방향 간격이 형성됨이 없이 필요에 따라서 재연마되어 날카롭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각 절단익의 재연마는 만곡면이 없으므로 더욱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다. 상측 및 하측 절단면(70')(72')은 각 피봇트보스(92')(94')에 대하여 평행한 평면내에서 연마된다. 피봇트보스(92')(94')를 먼저 연마하여 절단면(70')(72')의 연마를 위한 기준면을 형성할 수 있다. 각 절단익(12')(14')의 요입된 면(78')(80')은 재연마하여 날카롭게하는 공정중에 다른 면을 연마할 필요성을 배제한다. 본 발명의 출원인은 피봇트보스(92')(94')의 높이가 인접한 동체(62')(66')에서 1/32인치가 되는 경우에도 충분한 재연마 가능성이 있음을 알았다. 핸들(18')(20')에 대한 절단익(12')(14')의 관절연결은 주 피봇트볼트(16')만을 분리하고 피봇트볼트(26')(40')(42')는 그대로 고정시킨 상태에서 절단면(70')(72')를 연마할 수 있도록 한다.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판재(22')의 절단은 상하측 절단면(71')(72') 피봇트보스(92')(94')에 대하여 정확히 평행하지 않더라도 절단익이 폐쇄도었을 때에 점진적인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가볍게 각을 이루기만 한다면 가능한 것이다. 비록 다양한 정도의 접촉으로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나 전체 접촉의 약 1/2도를 형성하도록 각 절단면(70')(72')에 약 15분의 각도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접촉은 절단익이 절단스트로크의 후반부에서 상호 강하게 밀착되게 함으로서 절단작용이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요구된 각도와 옵세트는 절단익(12')(14')을 최초 연마하거나 다시 날카롭게 하기 위하여 재연마할 때에 편리하고 경제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1도에서 보인 폐쇄상태로부터 절단가위(10')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적당히 잠금수단이 결합될 수 있다. 피봇트볼트(40')에는 동체와 그 헤드부분에 견부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대(104')가 상하측 핸들(18')(20')의 측부(44')(46')의 외측에서 피봇트볼트(42')에 회동가능하게 착설되어 있다. 고정대(104')는 절단가위(10')를 사용할 수 있는 제10도에서 보인 바와 같은 제1위치로 부터 절단가위(10')를 폐쇄위치에서 잠글 수 있는 제2도의 제2위치로 피봇트볼트(40')와 핸들 피봇트볼트(26') 사이에서 수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2위치에서 고정대(104')의 자유단부에 형성된 후크(104')는 피봇트볼트(40')의 견부에 결합하여 고정대(104')가 오메가 스프링(50')에 의하여 압측 고정되게 한다. 이 고정대(104')는 한손으로 이를 분리하거나 결합할 수 있다.
약 2.0인치-약 2.5인치 정도의 직경인 작은 원형을 오려낼 수 있는 만능 옵세트형 절단가위를 제공하도록 비록 절단익(12')(14')의 절단면(70')(72')의 피봇트보스로부터 현저하게 치우쳐 있다. 하측 절단익(14')의 동체(66')는 하측 절단부(14')의 선단부(86')상을 절단된 판재(22')가 통과하는 선상에 삼각형의 요구(110')가 형성될 수 있다. 이 요구(110)는 절단가위(10')가 우측 또는 좌측방향으로 절단토록 방향을 바꿀 수 있도록 한다. 도시된 양 실시형태의 구조는 직선과 좌측방향 절단에 특히 적합하도록 되어 있으나 제10도-제19도에서 보인 절단가위는 정상적인 절단방향에 반대방향으로 작은 직경의 원 또는 심한 곡선을 절단하는 경우에 있어서나 우측방향으로 절단하는 경우에 동일하게 절단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제10도-제19도의 실시형태는 특별히 우측방향 절단을 위한 별도의 절단가위를 필요로 하지 않고 거의 2.0인치-2.5인치 반경의 우측반경 절단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절단가위(10')의 다른 특징은 핸들(18')(20')이 특별히 간편하고 절단익(12')(14')의 전운동범위치를 통하여 힘을 가하기에 적합한 점이다. 종래의 옵세트형 절단가위와는 다르게 핸들 피봇트볼트(26')가 손잡이(32')(34')에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으나 동시에 이는 제1도-제9도에 비하여 피봇트볼트(40')(42')에 약 1/4인치 더 접근하여 있다. 따라서, 절단가위(10')가 제10도에서 보인 개방위치에 있을 때에 손잡이(32')(34') 사이의 각도는 제1도-제9도의 각도와 마찬가지로 종래의 절단가위보다 크다. 피봇트볼트(40')(42')가 피봇트볼트(26')에 보다 더 균일하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피봇트볼트(26')와 각 피봇트볼트(40')(42') 사이에서 "가상적인 토글 연결구조" 사이의 각도는 약 115°-120°이고 좋기로는 폐쇄위치에 있을 때에 약 117°이다. 이러한 구조로 3개의 "토글" 연결구조의 중심점이 3개의 피봇트점이 직선을 이루는 사점에 보다 접근함으로서 절단가위의 절단력이 보다 강력하게 될 수 있다.
개방위치에서 손잡이(32')(34')의 선단부는 상호 멀리 떨어져 있어 핸들(18')(20')이 사용자의 손에 의하여 돌출부(36')(38')에 인접한 부분에서 최대 레바작용을 위하여 쥐어질 수 있다. 하측 핸들(20')은 하측 손잡이(34')의 개방위치가 절단을 위하여 판재(22')가 놓이는 작업대에 닿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하측 절단익(12')(14')이 제11도에서 보인 폐쇄위치를 향하여 이동될 때에 상측 및 하측 손잡이(32')(34')의 후단부는 최대 레바작용을 위하여 점진적으로, 그리고 이상적으로 간격이 유지된다.
본 발명의 있어서는 상기 언급된 실시형태가 변경 또는 수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단가위의 작용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면 4개의 볼트대신 리벳트나 다른 피봇트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2)

  1. 쌩크부분과 편평한 절단익-대-절단익 피봇트보스와 제1절단면을 가진 상측 절단익부재와 쌩크부분과 편평한 절단익-대-절단익 피봇트보스와 제2절단면을 가진 하측 절단익부재를 가지고 제1과 제2절단면이 절단익-대-절단익 피봇트보스의 평면에 관해 이격되어 있고, 전수한 피봇트수단을 중심으로 마주보게 배열되어 상하측 절단익 부재들을 회동시키는 핸들수단에 의해 피봇트보스에 수직한 측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편평한 보스에서 상하 절단익부재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절단익-대-절단익 피봇트수단을 가져, 제1과 제2절단면이 열린위치와 닫힌위치사이로 움직여 그 사이에 끼인 금속쉬이트를 절단하기 위한 금속 판재절단용 및 선재절단용(24)의 만능 옵세트형 가위(10)에 있어서, 상측 절단익부재(12)의 절단익-대-절단의 피봇트보스(92)의 위로 연장하는 전방쌩크부분(62)이, 연마중에 편평 피봇트보스(92)로부터 재료를 연마하면 쐐기형 절단날(90')을 연마하는 것이 되도록 위치된 선재어캇타의 쐐기형 절단날(90')을 형성하고; 하측 절단부재상의 위로 연장하는 전방쌩크부분은 핸들을 닫음에 따라 쐐기형 절단날(90')과 정합하는 반대측 받힘면(88')으로 사용되며, 오프셋형 가위의 재연마중에 절단익-대-절단익 피봇트보스와 절단면 둘다로부터 동시에 재료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피봇트보스가 오프셋 가위의 연마중에 기준면으로 작용함에 따라 이들 사이의 이격이 유지되며, 서로 마주보는 받힘(anvil)면(88')과 쐐기형 날(90')이 펀치-타입 선재캇타를 형성함에 있어 절단익부재(12, 14)의 모든 오배열을 막도록 하고 또, 상하 절단익부재의 절단면의 이동에 대한 제한 정지구는 작용하여 오프셋 가위가 약 2-2.5인치 직경까지의 작은 원도 어느 방향으로나 잘라낼 수 있도록 만드는 만능 옵세트형 가위.
  2. 제1항에 있어서, 제1피봇트보스에서 상향연장된 부분이 받침부이고, 상기 선재캇타는 상기 상하측 절단익의 제1 및 제2절단면의 이동에 대한 제한 정지구로서 동시에 이용될 수 있는 받침부와 쐐기형 절단부를 갖는 핀치형캇타인 바의 절단가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형 절단부가 약 40-60°의 절단변부로 구성된 바의 절단가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형 절단부가 약 50°의 절단변부로 구성된 바의 절단가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된 핸들수단이 이들 사이에 퍼봇트 결합과 상기 상하측 절단익과의 피봇트 연결을 포함함으로서 상기 대향된 핸들수단과 절단익 사이에 3개점 토글 연결구조가 형성되고, 절단익이 폐쇄되어 있을 때에 피봇트 결합과 피봇트 연결에 의하여 형성된 피봇트 결합각도가 약 115°-120°이며, 피봇트 연결사이의 사점으로 피봇트 결합이 접근함으로서 강력한 절단력을 얻을 수 있는 바의 절단가위.
  6. 제5항에 있어서, 피봇트 각도가 약 117°인 바의 절단가위.
  7. 제1항에 있어서, 제1피봇트보스의 상향 연장부가 대향된 절단변부를 지나 절단이 될 수 있도록 상기 쐐기형 절단부에 대향된 절단변부를 형성하여 선재캇타기 절단형 캇타로 이용되는 바의 절단가위.
  8. 제7항에 있어서, 절단익의 제1 및 제2절단면의 이동에 대하여 제한 정지구를 제공하기 위하여 양측 핸들 수단에 접촉부가 구성된 바의 절단가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형 절단부의 절단변부 각도가 약 40°-60°인 바의 절단가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형 절단부의 절단변부 각도가 약 50°인 바의 절단가위.
  11. 제10항에 있어서, 대향된 상기 핸들수단이 이들 사이의 피봇트 결합과 상기 상하측 절단익과는 피봇트 연결을 포함함으로서 양 핸들수단과 절단익 사이에 3개점 토글 연결구성이 형성되고 상기 절단익이 폐쇄위치에 있을 때에 각 피봇트결합과 피봇트연결에 의하여 형성된 각도가 피봇트 결합이 피봇트 연결사이의 사점으로 접근함으로서 절단가위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바의 절단가위.
  12. 제11항에 있어서, 피봇트 결합각도가 약 117°인 바의 절단가위.
KR1019840004355A 1984-06-11 1984-07-23 전폭 선재캇타를 겸비한 만능 옵세트형 절단가위 KR9000051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1919184A 1984-06-11 1984-06-11
US619,191 1984-06-11
US619191 1984-06-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0130A KR860000130A (ko) 1986-01-25
KR900005194B1 true KR900005194B1 (ko) 1990-07-21

Family

ID=24480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4355A KR900005194B1 (ko) 1984-06-11 1984-07-23 전폭 선재캇타를 겸비한 만능 옵세트형 절단가위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JP (1) JPS60263611A (ko)
KR (1) KR900005194B1 (ko)
AT (1) AT385225B (ko)
AU (1) AU564859B2 (ko)
BE (1) BE900220A (ko)
BR (1) BR8403583A (ko)
CH (1) CH663921A5 (ko)
DE (1) DE3426241A1 (ko)
DK (1) DK167744B1 (ko)
ES (1) ES534713A0 (ko)
FR (1) FR2565516B1 (ko)
GB (1) GB2160140B (ko)
IT (1) IT1176564B (ko)
MX (1) MX160270A (ko)
NL (1) NL8402266A (ko)
NZ (1) NZ208881A (ko)
ZA (1) ZA84547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545757A1 (de) * 1985-12-21 1987-07-02 Schraubenwerke Gaisbach Gmbh & Blechschere
AUPM470894A0 (en) * 1994-03-25 1994-04-21 Cartwright, Colin Edward Shearing tool
GB2432134A (en) * 2005-11-09 2007-05-16 Ho Cheng Garden Tools Co Ltd Gardening shears and wire cutters having dual pruning functions
CN104028833A (zh) * 2013-05-27 2014-09-10 昆山夏福特五金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铁皮剪
DE102018128312B4 (de) * 2018-11-13 2022-05-05 Krenn Gmbh & Co. Kg Stahlbandschneider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4977C (de) * L. Hussong in Stuttgart, Rönnestr. 4. Scheere mit nachstellbarem Schlufs
FR749064A (fr) * 1933-01-14 1933-07-18 Perfectionnements apportés aux cisailles à métaux
FR816007A (fr) * 1936-02-12 1937-07-28 Fabriksaktiebolaget Haldataxam Perfectionnements apportés aux dispositifs pour cisailler ou découper des tôles ou autres pièces
US2264840A (en) * 1940-07-15 1941-12-02 Janzen Moore Cutlery Company Tin snips
US2286874A (en) * 1940-07-18 1942-06-16 Samuel Briskman Method of making pinking shears
GB571429A (en) * 1944-03-07 1945-08-23 Sydney Charles Caddy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hears, pruners and like cutting tools
FR969327A (fr) * 1948-07-13 1950-12-19 Perfectionnements aux cisailles à main
CH351481A (de) * 1956-03-24 1961-01-15 Veith Adam Blechschere
US3587173A (en) * 1968-10-21 1971-06-28 Andrew M Hexdall Metal-cutting shears
US3740846A (en) * 1970-09-21 1973-06-26 Wiss & Sons Co J Shears having clearance adjusting means between pivotal cooperating memb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8505281A1 (es) 1985-06-01
DK343584D0 (da) 1984-07-12
FR2565516A1 (fr) 1985-12-13
IT8422237A0 (it) 1984-08-06
NZ208881A (en) 1987-03-31
MX160270A (es) 1990-01-24
JPS60263611A (ja) 1985-12-27
NL8402266A (nl) 1986-01-02
DE3426241A1 (de) 1985-12-12
BE900220A (fr) 1984-11-16
AU564859B2 (en) 1987-08-27
BR8403583A (pt) 1986-02-18
CH663921A5 (de) 1988-01-29
DK343584A (da) 1985-12-12
JPH021606B2 (ko) 1990-01-12
FR2565516B1 (fr) 1987-10-30
GB2160140B (en) 1988-01-20
GB2160140A (en) 1985-12-18
ZA845476B (en) 1985-05-29
ES534713A0 (es) 1985-06-01
IT1176564B (it) 1987-08-18
DK167744B1 (da) 1993-12-13
ATA235684A (de) 1987-08-15
AU3056584A (en) 1985-12-19
KR860000130A (ko) 1986-01-25
GB8419141D0 (en) 1984-08-30
AT385225B (de) 1988-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67774A (en) Resilient lock for a hand tool
US4967475A (en) All-way offset snips cutting tool with full width wire cutter
US5979522A (en) Knife holder for a chipper disc
US4463497A (en) Offset snips
US4709480A (en) Scissors
KR900005194B1 (ko) 전폭 선재캇타를 겸비한 만능 옵세트형 절단가위
US2264840A (en) Tin snips
DE10192090B4 (de) Handbetätigtes Drahtschneidewerkzeug sowie Mehrzweckwerkzeug mit einem derartigen Drahtschneidewerkzeug
RU2245779C2 (ru) Клещи
US6088920A (en) Cable cutter with insert blades
US2532359A (en) Pruning shears
US2292271A (en) Hand tool
US2074239A (en) Hand tool
US4753011A (en) Hand operated metal shear
US3057063A (en) Hand tools
US333830A (en) Compound tool
US2823565A (en) Glass nipping pliers with floating jaw
US20240190030A1 (en) Bolt Cutters
CA1242070A (en) Offset snips
IE55544B1 (en) All-way offset snips cutting tool with full width wire cutter
CN219311326U (zh) 曲线剪刀
US1083871A (en) Shears.
CN213613852U (zh) 一种钢筋切断机刀头及钢筋切断机
CN213532705U (zh) 一种万能剪
JPH024683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6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