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5059B1 - 석유버어너용 점화장치 - Google Patents

석유버어너용 점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5059B1
KR900005059B1 KR1019860011434A KR860011434A KR900005059B1 KR 900005059 B1 KR900005059 B1 KR 900005059B1 KR 1019860011434 A KR1019860011434 A KR 1019860011434A KR 860011434 A KR860011434 A KR 860011434A KR 900005059 B1 KR900005059 B1 KR 9000050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gnition
window
door
ignition window
wi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11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6357A (ko
Inventor
유다까 나까니시
도시히꼬 야마다
유지 사나다
다까시 가와이
Original Assignee
도요도미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가쯔마다 유끼하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458685U external-priority patent/JPH0238226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6099745U external-priority patent/JPS62112465U/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6099746U external-priority patent/JPH0345025Y2/ja
Application filed by 도요도미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가쯔마다 유끼하루 filed Critical 도요도미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06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63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5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50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QIGNITION; EXTINGUISHING-DEVICES
    • F23Q7/00Incandescent ignition; Igniters using electrically-produced heat, e.g. lighters for cigarettes; Electrically-heated glowing plugs
    • F23Q7/06Incandescent ignition; Igniters using electrically-produced heat, e.g. lighters for cigarettes; Electrically-heated glowing plug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fluid-fuel bur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5/00Stoves or ranges for liquid fuels
    • F24C5/14Arrangement or mounting of ignition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QIGNITION; EXTINGUISHING-DEVICES
    • F23Q2/00Lighters containing fuel, e.g. for cigarettes
    • F23Q2/02Lighters with liquid fuel fuel which is fluid at atmospheric pressure
    • F23Q2/04Lighters with liquid fuel fuel which is fluid at atmospheric pressure with cerium-iron alloy and wick with friction ignition
    • F23Q2/06Lighters with liquid fuel fuel which is fluid at atmospheric pressure with cerium-iron alloy and wick with friction ignition with friction wheel
    • F23Q2/08Lighters with liquid fuel fuel which is fluid at atmospheric pressure with cerium-iron alloy and wick with friction ignition with friction wheel with ignition by spring action of the co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ick-Type Burners And Burners With Porous Materi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석유버어너용 점화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점화장치를 부착하도록된 석유버어너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부분수직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점화장치의 일실시예의 일부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점화장치를 도시한 확대사시도.
제4도는 제2도의 점화장치에 사용되는 점화창구조체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5도는 작동아암이 심지로부터 분리된 상태에 있는 제2도에 도시한 점화장치의 작동방식을 도시하는 평면도.
제6도는 작동아암이 점화를 위하여 심지에 접근한 상태에 있는 제2도의 점화장치의 작동방식을 도시한 평면도.
제7도는 본 발명에 의한 석유버어너용 점화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석유버어너 12 : 석유탱크
14 : 심지수용구조체 16 : 연소실린더구조체
18 : 이중연소실린더 20 : 내측실린더부재
22 : 외측실린더부재 24 : 공간
본 발명은 석유버어너용 점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연소실린더구조체를 작동시키지 않고 점화를 행하도록된 점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연소실린더를 작동시키는 일 없이 점화를 행하도록된 종래의 점화장치는 점화심지를 동작시켜 점화를 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은 연소심지의 수리를 필요로할 뿐만 아니라 연소심지의 열화로 인하여 연소성능이 쉽게 저하되는 결점이 있었다. 이러한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연소심지에 직접 점화하도록된 점화장치가 제안된바 있으며, 그 예로는 일본국 실용신안공보 54-13226호와 동 54-26901호를 들 수 있다.
상기 일본국 실용신안공보 54-13226호에 개시된 점화장치는 석유버어너의 심지수용구조체의 외측실린더 상부에 점화창을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이 점화장치는 어떠한 덮개수단에 의해서도 점화창을 닫을 수 밖에 없다. 이러한 구성의 점화장치에 의하면 점화히이터의 필라멘트상부에 형성된 간극을 통해서만 점화에 필요한 공기를 공급할 수 있고, 이로인하여 충분한 양의 공기를 공급할 수 없게 되는 결과. 점화성능이 악화되는 결점이 있다.
또, 상기 일본국 실용신안공보 54-26901호에 개시된 점화장치는 심지수용구조체의 외측실린더상부에 연소심지로부터 먼거리를 두고 기립벽을 형성시키고, 점화히이터가 심지에 접근할 수 있도록 점화창을 형성시키는 한편, 이 점화창은 셔터로 닫을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점화장치는 만족스러운 연소가 이루어지도록 충분한 양의 공기를 심지에 공급할 수는 있으나, 외측실린더상부의 기립벽때문에 석유버어너의 전체높이가 너우 높아져서 석유버어너를 소형화 할 수 없는 중대한 결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연소실린더구조체를 작동시키는 일 없이 간단한 방식으로 확실하게 점화를 행할 수 있는 석유버어너용 점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소실린더구조체의 하부에서 점화를 행하므로써 석유버어너의 전체높이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석유버어너용 점화장치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만족할만한 점화성능을 장기간 동안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석유버어너용 점화장치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각종기구를 내장하기에 충분한 공간을 석유버어너에 형성시킬 수 있는 석유버어너용 점화장치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연소실린더구조체를 작동하는 일 없이 점화를 행할 수 있는 석유버어너용 점화창구조체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점화시를 제외하고는 점화창을 견고히 닫을 수 있는 석유버어너용 점화창구조체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석유버어너의 점화성능을 상당히 개선할 수 있는 석유버어너용 점화창구조체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심지수용구조체의 내측실린더와 외측실린더사이에 배치되고 그 상당부가 심지수용구조체상에 위치한 연소실린더구조체의 하부를 향해 기립한 심지로 이루어진 석유버어너용 점화장치가 제공된다.
이 점화장치는 심지수용구조체의 외측실린더의 상부에 형성된 점화창을 가진다. 상기 점화창을 그 반대쪽에 이동자재로 설치된 폐쇄도어에 의해서 견고히 닫혀있다. 또, 본 발명의 점화장치는 폐쇄도어를 작동시켜서 점화창을 개폐하는 도어작동수단과 선회운동할 수 있게된 작동아암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작동아암에는 점화히이터가 점화창에 접근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도어작동수단은 작동아암에 동적으로 연결되어서 당해 작동아암을 폐쇄도어와 동시에 작동하므로써 점화히이터가 점화창으로 접근할때에는 점화창을 열어준다. 작동아암의 선회운동은 작동조절기에 의해 소정의 범위내로 조절되어서 점화히이터가 심지로 적절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심지수용구조체의 외측실린더와 내측실린더사이에 배치되고, 그 상단부가 심지수용구조체상에 위치한 연소실린더구조체의 하부를 향해 기립한 심지를 구비한 석유버어너용 점화창구조체가 제공된다. 이 점화창구조체는 심지수용구조체의 외측실린더의 상부에 형성되고 폐쇄도어에 의해 굳게 닫힌 점화창으로 이루어진다. 폐쇄도어는 점화창의 반대쪽에 동적으로 배치되어서 당해 점화창을 개폐한다. 도어 작동수단은 작동아암을 폐쇄도어와 동시에 작동하므로써 점화허이터가 점화창으로 접근할때에는 점화창을 열어준다. 또, 도어작동수단은 폐쇄도어를 점화창쪽으로 밀어서 그것을 굳게 닫아 주기도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점화장치를 부착하도록된 석유버어너의 일예를 도시한다. 참조번호(10)으로 표시한 이 석유버어너는 석유 연소식 적열난로이지만, 본 발명의 점화장치를 사용할 수 있는 석유버어너가 이것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점화장치를 설명하기전에 제1도에 도시한 석유버어너에 관해서 약술한다.
석유버어너 그 자체는 공지의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석유버어너(10)는 석유등과 같은 연료를 저장하기 위한 석유탱크(12)와, 이 석유탱크(12)상에 배치된 심지수용구조체(14) 및 이 심지수용구조체(14)상에 배치된 연소실린더구조체(16)를 구비하고 있다. 석유탱크(12)상에는 기릉통(도시하지 않음)이 거꾸로 부착되어서 당해 석유탱크(12)에 연료를 공급한다.
연소실린더구조체(16)는 사이에 공간(24)을 형성하도록 배치된 내측실린더부재(20) 및 외측실린더부재(22)로 구성된 이중연소실린더(18)를 구비하고 있다. 내측 및 외측실린더부재(20) (22)는 각각 복수개의 통공을 가지며, 석유버어너가 연소동작을 할때에는 적열상태로 된다 또. 연소실린더구조체는, 또한 외측실린더부재(22)로부터 일정한 공간을 두고 이격배치되어서 적열상태의 이중연소실린더 (18)로부터 방출된 열선(heat rays)을 석유버어너의 외부로 방출하는 열투과성실린더(26)를 포함한다.
제2도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심지수용구조체(14)는 대략 동심적으로 배치되어서 심지가 가동가능하게 수용하기 위한 공간(32)을 형성하는 내측실린더(28)와 외측실린더(30)로 구성된다. 심지수용공간(32)은 내측 실린더부재 (20)와 외측실린더부재(22)사이의 공간(24) 및 석유탱크(12)와 연통되어 있다. 연소를 행할 경우 심지(34)의 상단부는 손잡이(37)에 의해 작동되는 심지작동기구(36)에 의해 공간(24)의 하단부쪽으로 올라간다. 심지작동기구(36)는 공지의 구조로 할 수 있다. 심지(34)의 하단부는 석유탱크(12)에 저장된 연료중에 항상 잠겨있다. 내측실린더(28)는 그 상단부가 안쪽으로 연장되어서 이중연소실린더(18)의 내측실린더부재(20)를 지지하기 위한 플랜지 (38)를 형성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외측실린더(30)에도 고 상단부에서 외측실린더부재(22)를 지지하기 위한 외향플랜지(40)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점화장치는 제2도에서 참조번호(50)으로 표시한 바와같이 심지수용공간의 상부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이 점화장치(50)는 폐쇄도어로 점화창(ignition window)을 개폐하도록 되어 있다. 더상세하게 말하면, 상기 점화장치(50)는 제1도 내지 제4도에 참조번호(51)로 나타난 점화창구조체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점화창구조체(51)는 심지수용공간(32)의 외측실린더(30)에 형성된 점화창(52)을 가진다. 점화창(52)은 점화히이터(54)가 후술하는 바와 같은 방식으로 작동해서 심지(34)의 상단부로 접근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점화창(52)은 외측실린더 (30)의 방부에서 당해 외측실린더 (30)의 실린더부의 상부로부터 그것의 플랜지부(40)쪽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배치구조에 의하여 플랜지부(40)를 통한 공기의 상향흐름이 즉각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점화에 만들어진 화염이 상향공기흐름을 따라 상승하게되어 석유버어너의 점화성능은 크게 개선된다.
또, 점화창구조체(51)는 도어작동수단 또는 도어작동기(56)에 의해 구동되어 점화창(52)을 개폐하는 폐쇄도어(55)를 구비하고 있다. 도어작동기(56)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방형의 판형상을 한 작동기본체(58)를 가진다. 상기 폐쇄도어(55)는 도어작동기(56)상에서 가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폐쇄도어(55)는 그 베이스부가 작동기본체의 끝단부상에 폐쇄도어의 기저부가 가동장착되어서 당해 작동기본체(58)에 대하여 대략 수직 방향으로 운동하게 된다. 상기 작동기본체(58)는 폐쇄도어(55)의 본체쪽으로 연장된 돌출부(60)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60)는 봉상(rod-like shape)으로 되어 있으며. 제4도에서와 같이 폐쇄도어(55)의 본체쪽으로 경사지게 상방으로 연장된다. 봉상의 돌출부(60)상에는 코일스프링(62)이 당해 돌출부(60)와 폐쇄도어(55)의 본체사이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느슨하게 조립되어 있다. 코일스프링(62)의 일단은 돌출부(60)의 베이스부상에 지지되고. 그 타단은 페쇄도어(55)의 본체에 당접하여 폐쇄도어를 상방으로 경사지게 밀어붙이고 있다. 이 결과 폐쇄도어 (55)는 외측실린더(30)의 상부쪽으로, 특히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외측실린더 (30)의 실린더부의 상부와 플랜지부(40)쪽으로 밀리게 되어서 점화창(52)를 견고히 폐쇄한다.
또, 도시된 실시예의 점화장치는 상술한 점화히이터 (54)를 구비한 점화히이터구조체를 가지고 있다. 점화 히이터구조체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회핀(68)을 통하여 석유버어너 지지부재(66)상에 선회운동가능하게 부착된 작동아암(64)으로 구성된다. 상술한 점화히이터(54)는 작동아암(64)의 먼쪽끝단부에 장착되어서 작동아암(64)의 선회운동에 따라 심지(34)로 접근한다. 작동아암(64)은 연결수단(70)에 의하여 점화창구조체(51)의 도어작동수단(56)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어서 후술하는 바와같이 작동아암(64)의 선회운동에 따라 도어작동수단(56)과 폐쇄도어(55)가 점화창(52)으로부터 이탈하도록 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연결수단(70)은 판상으로 되어 있으며 작동아암(64)과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석유버어너의 지지부재(66)는 가이드 수단 또는 가이드핀(72)을 구비하고, 이에 대응하는 도어작동수단(56)은 가이드핀(72)과 느슨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작동기본체(58)의 세로방향으로 형성된 긴 가이드흠(74)을 가지므로, 도어작동수단(56)이 작동아암(64)의 선회운동에 따라 가이드핀(72)상에서 직선왕복운동달 수 있게 된다.
작동아암(64)은 레버등의 작동수단(76)에 의해 선회운동하고, 작동아암(64)의 선회운동은 작동조절기(78)에 의해 제어된다 작동조절기(78)는 작동아암(64)이나 이 작동아얌(64)에 위치적으로 대응하는 석유버어너 일부에 부착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작동조절기(78)는 돌출부의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석유버어너, 특히 석유버어너의 지지부재(66)상에 형성되어 있으며. 작동아암(64)이 작동조절기 (78)에 선택적으로 당접하는 결과 그 선회운동이 소정의 범위내로 제한된다.
이외는 달리 가이드핀(72)과 가이드홈(74)을 조합해서 작동조절기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하면 제3도에 도시한 것과 같은 별도의 조절기(78)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 다시말해서, 도시된 실시예는 선회핀(68)을 중심으로한 작동아암(64)의 선회운동이 가이드홈(74)외 어느 단부가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가이드핀(72)에 당접할때에 정지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따라서, 가이드홈(74)의 길이를 직절히 정하기만 하면 작동조절기로서의 조합작용이 수행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작동수단(76)의 적어도 일부는 판스프링 등과 같은 탄성부재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작동레버(76)가 과도한 힘으로 작동될 경우에도 작동조절기(78)의 변형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다음은 제1도 내지 제6도를 참조하여 상술한 실시예의 작동방식에 관하여 설명한다.
먼저, 심지수용공간(32)에 수용된 심지 (34)는 손잡이 (37) 및 심지작동기구(36)에 의해 내측실린더부재 (20)와 외측실린더부재(22)사이의 공간의 하부쪽으로 상승한다. 이어서, 작동아암(64)이 제3도에 화살표로 도시한 것과 같이 작동수단(76)에 의하여 심지구용구조체 (14)의 외측실린더 (30)쪽으로 선회운동한다. 이에 따라 연결수단(70)은 도어작동수단(56)을 제3도에 화살표로 도시한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폐쇄도어(55)가 점화창(52)으로부터 이탈하여 그것을 개방하도록 한다. 그리고나서, 작동아암(64)은 같은 방향으로 더욱 이동해서 점화히이터 (54)가 개구된 점화창(52)을 통하여 심지 (34)로 접근하도록 하여. 심지(34)가 점화된다.
점화히이터(54)와 심지(34)간의 위치관계는 석유버어너의 점화성능에 상당한 영향을 준다. 특히, 점화히이터가 심지에 너무 가까이 근접하거나 심지로부터 과도하게 이탈하면 점화가 곤란해진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도시된 실시예의 점화장치는 위치관계를 일정하게 유지하게하므로써 늑실한 점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작동제어기(78)를 구비하고 있다.
작동아암(64)이 점화후 원래의 위치로 귀환하면, 점화히이터 (54)는 심지에서 후퇴하고, 도어작동수단(56)이 이동하여 폐쇄도어 (55)로 점화창(52)을 견고히 폐쇄시킨다. 그리하여, 연소실린더구조체(16)내에서는 연소가 시작된다. 이 연소에 따라 이중연소실린더(18)는 열선을 발산하기에 충분한 정도로 적열되고, 상기 열선은 열투과성 실린더(26)를 통하여 외부로 방출된다.
제7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점화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7도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작동아암(64)의 선단에서 점화히이터(54)에 인접해서 작동조절기(78)가 배치된다. 이러한 구겅에 의하면 작동조절기(78)는 작동아암(64)의 운동을 적당히 조절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작동수단(76)은 푸쉬버튼(80)에 의해서 수동으로 작동되지만 이와는 달리 캠등과 같은 기타 적절한 수단을 사용해서 작동을 할 수도 있다. 제7도에 도시한 실시예의 기타 구성은 상술한 실시예의 구성과 거의 동일하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본 발명의 점화장치에 사용되는 점화창구조에 의하면, 연소실린더구조체를 작동시키는 일 없이 용이하게 점화작동을 행할 수 있다 또, 상기 점화창구조에 있어서는 스프링이 폐쇄도어를 경사지게 상방으로 계속해서 밀고 있기 때문에 당해 개폐도어는 점화창을 견고히 폐쇄하게 된다. 고리고, 외측실린더의 상부에는 실린더부의 상부로부터 플랜지에 이르기까지 점화창을 형성시켰으므로 플랜지부를 통한 공기의 상향흐름이 발생한다. 이 결과, 점화 히이터가 심지의 측부에서 점화를 행하더라도 화염이 즉각적으로 상승하게되어 석유버어너의 점화성능이 상당히 개선된다.
또, 본 발명의 점화장치는 연소실릴더구조체의 하부위치에서 점화를 행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석유버어너의 전체높이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점화장치에 있어서는, 점화히이터, 작동아암, 연결수단 및 도어작동수단이 거의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기 때문에 심지작동기구, 자동소화장치등을 내장할 공간이 충분히 확보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범위 및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는 다양하게 변경실시할 수 있다.

Claims (14)

  1. 심지수용구조체(14)의 외측실린더(30)와 내측실린더(28)사이에 배치되어서 그 상단부에서 상기 심지수용구조체(14)상의 연소실린더구조체(16)의 하부쪽으로 상승하도록된 심지 (34)를 구비한 석유버어너용 점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심지수용구조체(14)의 외측실린더(30)의 상부영역에 형성된 점화창(52)과, 상기 점화창의 반대쪽에 가동할 수 있게 배치되어서 상기 점화창을 개폐하는 것으로 당해 점화창을 견고히 폐쇄하고 있는 폐쇄도어(55)와, 상기 폐쇄도어를 작동해서 상기 점화창을 개폐하는 도어작동수단(56)과, 선회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된 작동아암(64)과, 상기 점화창에 접근할 수 있도록 상기 작동아암상에 장착된 점화히이터(54)와, 상기 작동아암을 상기 도어작동수단에 동적으로 연결해서 상기 폐쇄도어와 상기 작동아암클 동시에 작동하므로써 상기 점화히이터가 상기 점화창으로 접근할때 상기 점화창을 열어주는 연결수단(70)과 상기 작동아암의 선회운동을 소정의 범위내로 한정시키는 작동조절기(78)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버어너용 점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실린더(30)는 실린더부와 상기 실린더부의 상단에 형성된 외향플랜지부(40)로 구성되고, 상기 점화창(52)은 상기 실린더부의 상부로부터 상기 외향플랜지부를 향해 뻗어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버어너용 점화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아암(64)을 선회운동시키는 작동수단(76)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버어너용 점화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수단(76)의 적어도 일부는 탄성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버어너용 점화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작동수단(56)은 상기 폐쇄도어(55)를 상기 점화창(52)쪽으로 항상 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버어너용 점화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조절기(78)는 상기 작동아암(64)과 당접하여 당해 작동아암의 선회운동을 정지시키는 돌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버어너용 점화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조절기는 상기 도어작동수단(56)의 운동을 소정의 범위내로 제한하도록 해치된 가이드핀(72)-가이드홈(74)조합체로 구성되어서 당기 가이드핀과 가이드홈간의 당접에 의해서 상기 연결수단(70)을 통한 상기 작동아암(64)의 선회운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버어너용 정화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핀(72)은 상기 석유버어너의 본체에 부착되고. 상기 가이드홈(74)은 상기 도어작동수단(56)에 형성되어서 상기 가이드핀과 느슨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버어너용 점화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조절기 (78)는 상기 외측실린더 (30)와 당접하여 상기 작동아암(64)의 선회운동을 정지시키도록 상기 작동아암의 위치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버어너용 점화장치.
  10. 심지수용구조체(14)의 외측실린더 (30)와 내측실린더(28)사이에 배치되어서 그 상단부가 상기 심지수용구조체(14)상의 연소실린더구조체(16)의 하부쪽으로 기립해있는 심지 (34)를 구비하여서된 석유버어너용 점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측실린더 (30)의 상부영역에서 상기 외측실린더의 실린더부의 상부로부터 상기 외측실린더의 상단에 형성된 외향플랜지(40)쪽으로 뻗어있는 점화창(52)과, 상기 점화창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점화창의 반대쪽에 가동가능하게 배치되어서 상기 점화창을 견고히 폐쇄하는 폐쇄도어(55)와, 상기 폐쇄도어를 작동하여 상기 점화창을 개폐하는 것으로 상기 폐쇄도어를 작동하여 상기 점화창을 개폐하는 것으로 상기 폐쇄도어를 상기 점화창쪽으로 경사지게 상방으로 미는 도어작동수단(56)과, 선회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된 작동아암(64)과, 상기 점화창에 접근할 수 있도록 상기 작동아암상에 장착된 점화히이터(54)와. 상기 작동아암(54)을 상기 도어작동수단(56)에 동적으로 연결해서 상기 폐쇄도어(55)와 상기 작동아암(64)을 동시에 작동하므로써 상기 점화히이터가 상기 점화창에 접근할때 상기 점화창을 열어주는 연결수단(70)과. 상기 작동아암(64)의 선회운동을 소정의 범위내로 제한하는 작동조절기(78)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버어너용 점화장치.
  11. 심지수용구조체(14)의 외측실린더 (30)와 내측실린더(28)사이에 배치되어서 그 상단부가 상기 심지수용구조체(14)상의 연소실린더구조체(16)의 하부를 향해 기립해 있는 심지(34)를 구비하여서된 석유버어너용 점화창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심지수용구조체(14)의 외측실린더 (30)의 상부영역에 형성된 점화창(52)과, 상기 점화창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점화창의 반대쪽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어서 상기 점화창을 견고히 폐쇄하고 있는 폐쇄도어(55)와, 상기 폐쇄도어를 작동해서 상기 점화창을 개폐하는 도어작동수단(56)을 구비하고. 상기 도어작동수단(56)은 상기 폐쇄도어와 점화히이터구조체를 동시에 작동해서 상치 점화히이터 구조체의 점화히이터(54)가 상기 점화창(52)에 접근할때 상기 점화창을 열어주고, 또 상기 도어작동수단(56)은 상기 폐쇄도어(55)를 상기 점화창(52)쪽으로 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버어너용 점화창구조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실린더(30)는 실린더부와 이 실린더부의 상단에 형성된 외향플랜지부(40)로 구성되고, 상기 점화창(52)은 상기 실린더부의 상부로부터 상기 외향플랜지부쪽으로 연장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버어너용 점화창구조체.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작동수단(56)은 상기 폐쇄도어(55)를 상기 점화창(52)에 대하여 상방으로 경사지게 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버어너용 점화창구조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도어(55)는 그 자신과 상기 도어작동수단(56)사이에 끼워진 스프링에 의해 상기 점화창(52)쪽으로 밀리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버어너용 점화창구조체.
KR1019860011434A 1985-12-28 1986-12-29 석유버어너용 점화장치 KR9000050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458685U JPH0238226Y2 (ko) 1985-12-28 1985-12-28
JP204586 1985-12-28
JP60-204586 1985-12-28
JP1986099745U JPS62112465U (ko) 1986-06-28 1986-06-28
JP99745 1986-06-28
JP61-99745 1986-06-28
JP1986099746U JPH0345025Y2 (ko) 1986-06-28 1986-06-28
JP99746 1986-06-28
JP61-99746 1986-06-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6357A KR870006357A (ko) 1987-07-10
KR900005059B1 true KR900005059B1 (ko) 1990-07-19

Family

ID=27309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11434A KR900005059B1 (ko) 1985-12-28 1986-12-29 석유버어너용 점화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714426A (ko)
KR (1) KR900005059B1 (ko)
DE (1) DE3644647C2 (ko)
NL (1) NL193200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847Y2 (ko) * 1987-07-31 1993-01-29
ES2112681B1 (es) * 1993-01-29 1998-11-16 Toyotomi Kogyo Co Ltd Dispositivo de encendido del tipo de descarga para quemador de fueloil.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3226A (en) * 1977-07-01 1979-01-31 Hitachi Ltd Braun tube display unit
JPS5426901A (en) * 1977-08-01 1979-02-28 Hara Kouichirou Vibration free crusher
US4428729A (en) * 1981-03-25 1984-01-31 Sharp Kabushiki Kaisha Discharge type ignitor for oil stove
JPS5945894B2 (ja) * 1981-04-17 1984-11-0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液体燃料燃焼器
JPS60218534A (ja) * 1984-04-13 1985-11-01 Sharp Corp 液体燃料燃焼器の点火装置
JPS60243425A (ja) * 1984-05-18 1985-12-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石油燃焼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L193200C (nl) 1999-02-02
NL193200B (nl) 1998-10-01
US4714426A (en) 1987-12-22
DE3644647A1 (de) 1987-07-02
KR870006357A (ko) 1987-07-10
DE3644647C2 (de) 1994-10-20
NL8603313A (nl) 1987-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5059B1 (ko) 석유버어너용 점화장치
US6378516B1 (en) Damper-controlled gas supply system
JPH0449488Y2 (ko)
KR200389546Y1 (ko) 파라핀 연료 렌지
JPH0740883Y2 (ja) ガスこんろの温度センサー作動装置
US1062755A (en) Lantern.
US4767318A (en) Catalyst moving structure for oil burner
JPH0345025Y2 (ko)
JPS60243425A (ja) 石油燃焼器
JP2551171Y2 (ja) 灯芯式燃焼装置の点火装置
CN217540810U (zh) 一种点火装置
JPH0354643Y2 (ko)
JP2639145B2 (ja) 石油燃焼器の点火装置
JPS6319742Y2 (ko)
JPS6118319Y2 (ko)
JP2685993B2 (ja) 石油燃料燃焼器
KR0157355B1 (ko) 가스기기의 화력증감기구
JPH045897Y2 (ko)
JPH0740884Y2 (ja) ガスこんろの安全装置
KR200158935Y1 (ko) 이동식 가스렌지
JPH0354644Y2 (ko)
KR920002076Y1 (ko) 보일러용 연소장치
JPH0412360Y2 (ko)
NO772307L (no) Spjeldautomatikk med sikkerhetsanordning for oljefyrte fyrkjeler
JPH043144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05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