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5056Y1 - 파이프 만곡기의 압접로울러 이동장치 - Google Patents

파이프 만곡기의 압접로울러 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5056Y1
KR900005056Y1 KR2019870016289U KR870016289U KR900005056Y1 KR 900005056 Y1 KR900005056 Y1 KR 900005056Y1 KR 2019870016289 U KR2019870016289 U KR 2019870016289U KR 870016289 U KR870016289 U KR 870016289U KR 900005056 Y1 KR900005056 Y1 KR 9000050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roller
plate
pipe
movabl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162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6473U (ko
Inventor
지종복
Original Assignee
지종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종복 filed Critical 지종복
Priority to KR20198700162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5056Y1/ko
Publication of KR8900064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647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50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505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7/00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 B21D7/02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over a stationary forming member; by use of a swinging forming member or abutment
    • B21D7/024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over a stationary forming member; by use of a swinging forming member or abutment by a swinging forming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파이프 만곡기의 압접로울러 이동장치
제1도는 본 고안 장치의 요부를 분해한 상태의 사시도.
제2도는 조립 사시도.
제3도는 일부를 단면으로 나타낸 정면도.
제4a,b,c도는 본 고안 장치의 개략 평면도로서 작동 상태를 보인 것이며,
제5도는 종래의 파이프 만곡기의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반원형의 성형로울러 2' : 성형 로울러
4 : ㄱ자형 통공 5 : 회동판
6 : 압접로울러 7,12 : 핀축
9 : 가동판 10,13 : 통공
10',12' : 돌출부 11 : 장통공
14 : 인장 스프링
본 고안은 수동 파이프 만곡기의 개량 고안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만곡성형 로울러의 중심축에 일단을 축설한 회동판에 별도의 가동판을 설치하고 그 가동판에는 정위치에 압접 로울러를 설치하는 동시에 그 가동판에 후퇴 관성을 부여한 것을 요지로 하는 것이다.
종래의 수동파이프 만곡기에 있어서도, 제5도에 예시한 바와 같이 주위에 반원홈이 형성된 만곡성형 로울러(2')를 대판(1)상에서 밑면이 뜬 상태로 설치하고 그 성형로울러(2)의 중심축(3)에는 외단부측에 ㄱ자형 통공(4)을 형성한 회동판(5)의 타단을 유설하는 동시에 상기한 ㄱ자형 통공(4)에는 압접로울러(6)가 핀축(7)에 의하여 유동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예의 설비를 취급하는데 있어서는 가공코저하는 파이프(P)를 도면과 같이 성형로울러(2')와 압접로울러(6) 사이에 끼우고 그 파이프(P)의 단부를 걸게판(8)으로 걸어서 고정시킨 연후에 상기한 압접로울러(6)를 손 작업에 의하여 성형로울러(2)측으로 밀면 그 핀축(7)이 ㄱ자형통공(4)의 만곡부측으로 이동하게 되는 동시에 압접로울러(6)는 파이프(P)에 접촉된다. 그와 동시에 핸들(H)을 화살표(a)방향으로 돌리면 핀축(7)이 ㄱ자형통공(4)의 수직부측으로 진입하여 부동상태가 되고 압접로울러(6)는 가상선 표시위치(6')에서 파이프(P)의 외측면에 압접되는 동시에 성형로울러(2)의 주위를 회동하게 되므로 파이프(P)는 성형로울러(2)의 곡면에 따라 만곡된다. 이와 같이 만곡작업이 끝난 다음에는 압접로울러(6)를 손으로 잡고 ㄱ자형통공(4)을 역행하여 가상선 표시위치(6')에서 원위치 즉, 신선표시 위치로 후퇴시키면 양 로울러(2'), (6)의 사이가 벌어지게 되므로 이때에 가공된 파이프를 들어낸다.
이와 같이 취급되는 종래예의 파이프 만곡기는 파이프를 만곡할 때마다 일일이 압접로울러(6)를 손으로 잡고 내,외측으로 밀었다 당겼다 하는 수고를 반복해야 하기 때문에 번거롭게 되고 또한 작업능률이 뒤떨어지게 되는 결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핸들 조작시 압접로울러(6)가 자동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개량한 것으로 제1도 내지 제4도에 의하여 설명하건데 종래와 같은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넣어서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 장치의 개량요부를 분해한 사시도로서 종래의 원형체의 만곡성형로울러(2')의 일단을 절개하여 만곡성형로울러(2)를 반원형체로 하고, 기존의 회동판(5)의 밀면에 핸들(H')이 고정된 별도의 가동판(9)을 설치하되 그 가동판(9)에 통공(10), 장통공(11)을 뚫어서 통공(10)에는 상기한 압접로울러(6)를 정위치에 설치하기 위한 핀축(7)을 ㄱ자형통공(4)에 관통시켜서 그 말단을 끼워 용접으로 고정하고 장통공(11)에는 그 밀면으로부터 핀축(12)을 관통시켜서 그 상단을 상기한 회동판(5)에 뚫은 통공(13)에 끼워 용접으로 고정한다(제3도 참조).
한편, 상기한 가동판(9)의 선단부 밑면에는 돌출부(10')를 형성하고 핀축(12)의 측면에는 돌출부(12')를 돌설하여 그 돌출부(10'),(12') 사이에 인장스프링(14)을 걸어서 그 스프링의 수축력에 의하여 가동판(9)이 후퇴관성을 갖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이 취급요령에 있어서는 이를 제4a,b,c 도순에 따라 설명하건데 (a)도에서 직선파이프(P)를 반원형체의 성형로울러(2)와 압접로울러(6)의 벌어진 사이에 끼우고 그 파이프(P)의 단부를 걸게판(8)으로 걸어서 고정시키는 것은 종래 방식과 같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b)도와 같이 핸들(H')을 화살표(b) 방향으로 밀면 가동판(9)은 그 자체에 형성한 장통공(11)의 안내에 따라 내측으로 이동되는 동시에 그 선단부상에 고정된 핀축(7)이 ㄱ자형통공(4)의 만곡부로 진입되고 핀(10')은 인장스프링(14)을 당기어서 신장시키는 동시에 압접로울러(6)는 파이프(P)에 접촉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핸들(H')을 (c)도의 화살표 (C) 방향으로 돌리면 핀축(7)은 ㄱ자형 통공(4)의 수직부 측으로 밀려들어가서 원위치로의 복귀력이 억제되는 동시에 압접로울러(6)는 파이프(P)의 외측면에 압력을 가하면서 반원형체의 성형 로울러(2)의 주위를 회동 파이프(P)를 만곡시킨다.
이때 본 고안의 성형로울러(2)의 한단이 절개되어 반원형체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축(3)으로부터 걸게판(8)의 거리가 짧아져서 파이프(P)의 끝단부터 용이하게 절곡 가능하겠다.
이와 같이 하여 만곡 작업이 끝나면 핸들(H')을 반시계 방향(화살표d)으로 역회동 하면 압접로울러(6)는 반시계방향(화살표e방향)으로 회동하는 동시에 가동판(9)이 가상선 표시와 같이 핀축(12)을 축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각도를 틀리게 되므로 핀축(7)은 ㄱ자형통공(4)의 곡면측으로 이동하게 되는 측시 신장되었던 스프링(14)의 탄발력에 의하여 가동판(9)은 장통공(11)의 안내로 후퇴하는 동시에 압접로울러(6)는 원위치로 복귀한다.
이에 따라서 성형로울러(2)와 압접로울러(6)와의 사이가 자동적으로 벌어지게 되므로 이때에 가공된 파이프를 들어내면 된다.
상기한 바와 실시되는 본 고안은 종래의 원형체의 성형로울러(2')를 반원형체의 성형로울러(2')를 반원형체의 성형로울러(2)로 하여 걸게판(8)의 고정을 용이하게 하고 또한 절개된 부분만큼의 거리가 축(3)으로부터 짧아져 있게 때문에 파이프(P) 끝단의 절곡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또한 가존의 회동판(5)에 별도의 가동판(9)을 설치하고 그 가동판(9)의 정위치에 압접로울러(6)를 설치하는 동시에 그 가동판(9)이 인장스프링(14)의 수축력에 의하여 후퇴관성을 갖게하므로서 핸들(H') 조작시 압접로울러(6)가 ㄱ자형통공(4)의 안내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이동되게 하여 파이프 가공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주위에 반원홈이 형성된 만곡성형로울러(2')를 대판(1)상에서 밑면이 뜬 상태로 설치하고 상기 성형 로울러(2)의 중심축(3)의 외단부측에 ㄱ자형통공(4)을 형성한 회동판(5)의 타단을 유설하고 상기 ㄱ자형통공(4)에 압접로울러(6)가 핀축(7)에 의하여 유동되도록 하는 통상의 파이프 만곡기에 있어서, 상기 종래의 원형체의 만곡성형로울러(2')의 일단을 절개하여 반원형체의 만곡성형로울러(2)의 중심축(3)에 일단을 축설한 회동판(5)에 별도의 가동판(9)을 설치하되 그 가동판(9)에 통공(10), 장통공(11)을 뚫고 기존의 압접로울러(6)를 축설하는 핀축(7)을 상기한 회동판(5)에 형성한 기존의 ㄱ자형통공(4)에 관통시켜서 그 핀축(7)의 말단을 상기한 통공(10)에 끼워서 정하고 상기한 장통공(11)에는 그 밑면으로부터 돌출부(12')를 가진 핀축(12)을 관통시켜서 그 상단을 상기한 회동판(5)에 뚫은 통공(13)에 끼워 고정하며 상기한 가동판(9)의 선단부 밑면에 돌설한 돌출부(10')와 상기한 돌출부(12')와의 사이에 인장스프링(14)을 걸어서 가동판(9)에 후퇴관성을 부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만곡기의 압접로울러 이동장치.
KR2019870016289U 1987-09-25 1987-09-25 파이프 만곡기의 압접로울러 이동장치 KR9000050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6289U KR900005056Y1 (ko) 1987-09-25 1987-09-25 파이프 만곡기의 압접로울러 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6289U KR900005056Y1 (ko) 1987-09-25 1987-09-25 파이프 만곡기의 압접로울러 이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6473U KR890006473U (ko) 1989-05-13
KR900005056Y1 true KR900005056Y1 (ko) 1990-06-08

Family

ID=19268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16289U KR900005056Y1 (ko) 1987-09-25 1987-09-25 파이프 만곡기의 압접로울러 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505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6473U (ko) 1989-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82735A (en) Brake for sheet metal or the like
KR100449314B1 (ko) 플라스틱 집게
US4132100A (en) Hand-operated tool for bending pipes
US3194038A (en) Tube bender
EP0059211A1 (en) Apparatus for dispensing sheet-like material.
USRE40461E1 (en) Pipe cutter
KR960011594A (ko) 세척수단을 구비한 화상형성기
KR900005056Y1 (ko) 파이프 만곡기의 압접로울러 이동장치
WO2005072914A2 (en) Attaching device for gutter-sectional strip
US2620879A (en) Tool for perforating radiator hangers
US4562618A (en) Paper clamp
CN210475103U (zh) 一种新型弯管器
US4092775A (en) Manual window shade roller cut off knife
KR960000342Y1 (ko) 지관 파이프의 절단장치
CN215943038U (zh) 一种医疗软管裁剪装置
CN220837679U (zh) 一种手持式钢筋弯曲机
CN215543974U (zh) 一种便于装夹的热管折弯设备
KR890005272Y1 (ko) 파이프 절곡기
CN210253704U (zh) 一种自动弯管机
KR960005354Y1 (ko) 밴딩장치
CN215937194U (zh) 玻璃擦
CN111014479B (zh) 翻转机构和扣缝装置
JP2000104709A (ja) 挟持具
KR890002978Y1 (ko) 파이프 굽힘장치
JP3060245U (ja) 蛍光燈用清掃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O032 Opposition [utility model]: request for opposi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O071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utility model]: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06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