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4658B1 - 모니터의 자체 영상신호 처리회로 - Google Patents

모니터의 자체 영상신호 처리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4658B1
KR900004658B1 KR1019870011546A KR870011546A KR900004658B1 KR 900004658 B1 KR900004658 B1 KR 900004658B1 KR 1019870011546 A KR1019870011546 A KR 1019870011546A KR 870011546 A KR870011546 A KR 870011546A KR 900004658 B1 KR900004658 B1 KR 9000046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output
nand
unit
mon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1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7574A (ko
Inventor
윤주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최근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최근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1019870011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4658B1/ko
Publication of KR890007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75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46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4658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모니터의 자체 영상신호 처리회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자체 영상신호 처리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위칭부 2 : 발진부
3 : 기억부 4 : 출력제어부
VS : 수직동기신호 HS : 수평동기신호
MS : 모드선택신호 R, G, B : 영상신호
본 발명은 컴퓨터의 보조기기로 사용되는 모니터에 있어서, 사용자가 컴퓨터를 사용하는 도중에 잠시 자리를 떠날 경우나 또는 필요시에 스위치를 조작하면, 모니터가 "사용중"이라는 문자신호 또는 소정의 영상신호는 출력하여 브라운관에 나타내게 한 모니터의 자체영상신호 처리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사용자가 컴퓨터를 사용하는 도중에 잠시 다른 일등을 처리하기 위하여 자리를 떠날 경우에 다른 사람이 컴퓨터가 사용중임을 알지 못하고 사용을 하여 사용자가 컴퓨터에 기억시켜 둔 소정의 데이터신호 및 프로그램을 소거시키는 일이 종종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모니터에 "사용중"이라는 문자신호 또는 소정의 영상신호를 기억시켜 두고, 스위치를 조작함에 따라 그 기억시켜 놓은 문자신호 또는 소정의 영상신호를 출력하여 브라운관에 나타냄으로써 컴퓨터가 사용중임을 다른 사람에게 인식시킬 수 있도록 창안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자체 영상신호 처리회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SW) 및 저항(R1), 콘덴서(C1), 인버터(I1)로된 스위칭부(1)와, 상기 스위칭부(1)의 출력신호 및 수평동기신호(HS), 수직동기신호(VS), 모드선택신호(MS)에 따라 발진되어 발진신호를 출력하는 낸드게이트(NAND1) 및 저항(R2-R7), 콘덴서(C2, C3), 트랜지스터(TR1, TR2), 다이오드(D1), 인버터(I2, I3)로 된 발진부(2)와, 상기 스위칭부(1) 및 발진부(2)의 출력신호, 수직동기신호(VS)에 따라 기억되어 있는 문자신호 또는 소정의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낸드게이트(NAND2) 및 카운터(31), 메모리(32)로된 기억부(3)와, 상기 스위칭부(1)의 출력신호에 따라 컴퓨터로부터 입력된 영상신호(R, G, B) 또는 상기 기억부(3)의 출력신호를 선택하여 영상출력부(5)에 입력시키는 낸드게이트(NAND3-NAND8) 및 저항(R8-R11)으로 된 출력제어부(4)로 구성한 것으로, 도면의 설명중 미설명부호 Vcc는 전원단자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원단자(Vcc)에 전원이 인가되고, 스위치(SW)를 개방시키면, 전원단자(Vcc)의 전원이 저항(R8)을 통해 콘덴서(C1)에 충전되어 인버터(I1)의 입력단자 및 낸드게이트(NAND6-NAND8)의 일측입력단자에 고전위가 인가되므로 인버터(I8)는 저전위를 출력하여 낸드게이트(NAND1-NAND5)의 일측 입력단자에 인가되고, 이에 따라 낸드게이트(NAND1-NAND5)는 그의 타측입력단자에 인가되는 신호에 관계없이 계속 고전위를 출력하게 되고, 낸드게이트(NAND6-NAND8)는 컴퓨터로부터 그의 타측입력단자에 인가되는 영상신호(R, G, B)를 출력단자로 출력하여 영상출력부(5)에 입력되므로 모니터의 브라운관에는 컴퓨터에서 출력된 영상신호(R, G, B)가 나타나게 된다.
그리고, 스위치(SW)를 단락시키면, 콘덴서(C1)의 충전전위 및 저항(R8)을 통한 전원단자(Vcc)의 전원이 저항(R1) 및 스위치(SW)를 통해 접지로 흐르게 되고, 인버터(I1)의 입력단자 및 낸드게이트(NAND6-NAND8)의 일측 입력단자에는 저전위가 인가되므로 낸드게이트(NAND6-NAND8)는 그의 타측입력단자에 인가되는 신호에 관계없이 계속 고전위를 출력하고, 인버터(I1)는 고전위를 출력하여 낸드게이트(NAND1-NAND5)의 일측입력단자에 인가되므로 낸드게이트(NAND1)는 그의 중간 및 타측입력단자에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고전위 및 저전위를 출력하고, 낸드게이트(NAND2-NAND5)는 그의 타측입력단자에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고전위 및 저전위를 출력하며, 낸드게이트(NAND3-NAND5)의 출력신호는 영상출력부(5)에 입력된다.
이때, 낸드게이트(NAND1)의 중간 및 타측 입력단자에 인가되는 수직동기신호(VS) 및 수평동기신호(HS)중에서 어느 하나라도 저전위가 되면, 낸드게이트(NAND1)는 고전위를 출력하여 저항(R3)을 통해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에 인가되므로 트랜지스터(TR1)가 온되고, 인버터(I2)의 입력단자에는 저전위가 입력되어 인버터(I2, I3) 및 다이오드(D1), 저항(R4, R5), 콘덴서(C3)로 된 구형파 발진기는 발진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이때 수평동기신호(HS) 및 수직동기신호(VS)가 모두 고전위로 되면, 낸드게이트(NAND1)의 입력단자에는 모두 고전위가 인가되어 그가 저전위를 출력하므로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에는 저전위가 인가되어 그가 오프되고, 구형파발진기는 발진되어 구형파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즉, 인버터(I2)에서 고전위가 출력될 경우에는 그 출력된 고전위가 다이오드(D1) 및 저항(R4)과 저항(R5)을 통해 콘덴서(C3)에 충전되면서 인버터(I2)의 입력단자에 인가되고, 콘덴서(C3)의 충전전압이 인버터(I2)의 드레시홀드 전압이상이 되면, 인버터(I2)는 저전위를 출력하여 콘덴서(C3)의 충전전압이 저항(R8)을 통해 인버터(I2)의 출력단자로 방전되며, 일정시간 동안 방전되어 인버터(I2)의 입력단자에 저전위가 인가되면, 인버터(I2)는 다시 전위를 출력하는 것을 반복하게 되며, 이와 같이 인버터(I2)에서 출력된 구형파신호는 인버터(I3)를 통해 반전되어 출력되며, 이때 구형파신호의 주파수는 저항(R4)(R5) 및 콘덴서(C3)의 시정수로 결정된다.
또한, 이때 고전위의 모드선택신호(MS)가 입력되면, 그 고전위의 모드선택신호(MS)는 저항(R6)을 통해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에 인가되어 그가 온되므로 저항(R5)(R7)은 등가적으로 병렬접속되고, 이에 따라 인버터(I2)에서 저전위가 출력되어 콘덴서(C3)의 충전전압이 방전될 경우 저항(R5, R7)을 통해 빠른 속도로 방전하게 되므로 출력되는 구형파신호의 주파수는 상기의 트랜지스터(TR2)가 오프될 경우보다 높게 된다.
그리고, 수직동기신호(VS)가 저전위일 경우 즉, 수직귀선기간일 경우에는 낸드게이트(NAND2)가 고전위를 출력하여 카운터(31)의 리세트단자(RST)에 인가되므로 카운터(31)는 리세트되고, 수직동기신호(VS)가 고전위일 경우에는 낸드게이트(NAND2)에서 고전위를 출력하여 카운터(31)가 리세트되지 않고, 발진부(2)에서 출력되어 그의 클럭단자(CK)에 인가되는 구형파신호를 카운트 즉, 카운트(31)는 발진부(2)의 출력신호를 카운트하면서 수직귀선기간에 리세트되고 이와 같이 카운터(31)가 카운트한 신호는 메모리(32)의 어드레스단자(AD)에 인가되어 어드레스를 지정하게 되므로 메모리(32)는 기억되어 있는 "사용중"이라는 문자신호 또는 소정의 영상신호를 출력하고, 그 출력한 문자신호 또는 영상신호는 낸드게이트(NAND3-NAND5)를 통해 영상출력부(5)에 입력되므로 모니터의 브라운관에는 메모리(32)에 기억되어 있는 "사용중"이라는 문자신호 또는 소정의 영상신호를 나타내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컴퓨터를 사용하는 도중에 잠시 자리를 떠날 경우에 스위치를 단락시키면, 브라운관에 "사용중" 또는 소정의 영상신호가 나타나 사용중임을 다른 사감에게 알리게 되므로 사용자가 컴퓨터에 입력시킨 소정의 데이터신호 및 프로그램을 다른 사람이 무단히 소거시키는 것을 방지하게 됨은 물론 메모리에 아름다운 풍경등의 영상신호를 기억시켜 놓고, 사용자가 컴퓨터를 장시간 사용하여 피로할 경우에 스위치를 단락시켜 브라운관에 그 기억시켜 놓은 아름다운 풍경이 나타나게 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그 아름다운 풍경을 시청하면서 잠시 피로를 풀 수 있게 하는 효과도 있다.

Claims (1)

  1.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칭부(1)와, 상기 스위칭부(1)의 출력신호 및 수직동기신호(VS), 수평동기신호(HS), 모드선택신호(MS)에 따라 발진신호를 출력하는 발진부(2)와, 상기 스위칭부(1) 및 발진부(2)의 출력신호, 수직동기신호(VS)에 따라 저장된 문자신호 또는 소정의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기억부(3)와, 상기 스위칭부(1)의 출력신호에 따라 컴퓨터로부터 입력된 영상신호(R, G, B) 또는 상기 기억부(3)의 출력신호를 선택하여 영상출력부(5)에 입력시키는 출력제어부(4)로 구성함을 특징으로하는 모니터의 자체 영상신호 처리회로.
KR1019870011546A 1987-10-17 1987-10-17 모니터의 자체 영상신호 처리회로 KR9000046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11546A KR900004658B1 (ko) 1987-10-17 1987-10-17 모니터의 자체 영상신호 처리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11546A KR900004658B1 (ko) 1987-10-17 1987-10-17 모니터의 자체 영상신호 처리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7574A KR890007574A (ko) 1989-06-20
KR900004658B1 true KR900004658B1 (ko) 1990-07-02

Family

ID=19265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1546A KR900004658B1 (ko) 1987-10-17 1987-10-17 모니터의 자체 영상신호 처리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465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7574A (ko) 1989-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50004672A (ko) 표시 제어 장치
KR930003668A (ko) 확장된 그리드 차단 시정수를 갖는 키네스코우프 스폿번 보호 회로를 갖춘 텔레비젼 장치
KR900004658B1 (ko) 모니터의 자체 영상신호 처리회로
JPH04204993A (ja) 表示装置の駆動回路
US6075420A (en) Oscillators with charging and discharging circuits
US4187469A (en) Limited channel television receiver with organized memory
KR910013877A (ko) 문자 발생기
JPS58157267A (ja) テレビジヨン受像機の表示装置上に文字を表示させる装置
KR950008715B1 (ko) 문자발생기의 구간삭제 제어회로
US4020484A (en) Segmented character generator for use with a television receiver
JP3134408B2 (ja) 周波数検出回路
JP3584552B2 (ja) 発振装置、表示データ処理装置、マトリックス型表示装置、発振信号生成方法及び表示データ処理方法
KR900010342Y1 (ko) 리버스 화이트회로
KR0113186Y1 (ko) 다중모드 모니터의 모드 선택회로
KR960036566A (ko) 자동 오프 기능을 갖춘 텔레비젼 수상기
KR920006946B1 (ko) 수직동기신호 자동조절회로
KR900004878Y1 (ko) 음량 표시회로
KR910010289A (ko) Pll를 이용한 모니터의 스텐-바이 회로
SU624297A1 (ru) Посто нное запомин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JPS5857948B2 (ja) 電磁偏向装置
KR900006712Y1 (ko) 정전 검출회로
KR930016860A (ko) 화면 수직사이즈 자동 제어회로
KR860001703B1 (ko) 펄스 킬러(Killer) 장치
KR950010393Y1 (ko) 디지탈 인터페이스 회로
GB2300773A (en) LCD display memory using access delay time simulat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12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