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4287B1 - 알람 기구 - Google Patents

알람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4287B1
KR900004287B1 KR1019870007782A KR870007782A KR900004287B1 KR 900004287 B1 KR900004287 B1 KR 900004287B1 KR 1019870007782 A KR1019870007782 A KR 1019870007782A KR 870007782 A KR870007782 A KR 870007782A KR 900004287 B1 KR900004287 B1 KR 9000042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arm
hand
hour hand
cam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7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2057A (ko
Inventor
게이이찌 요시자와
가쯔야 모리따까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세이꼬샤
요꼬야마 유우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세이꼬샤, 요꼬야마 유우이찌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세이꼬샤
Publication of KR880002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20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4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42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23/00Arrangements producing acoustic signals at preselected times
    • G04B23/02Alarm clocks
    • GPHYSICS
    • G04HOROLOGY
    • G04CELECTROMECHANICAL CLOCKS OR WATCHES
    • G04C21/00Producing acoustic time signals by electrical means
    • G04C21/16Producing acoustic time signals by electrical means producing the signals at adjustable fixed times
    • G04C21/20Producing acoustic time signals by electrical means producing the signals at adjustable fixed times by closing a contact to ring an electromechanical alarm
    • G04C21/205Producing acoustic time signals by electrical means producing the signals at adjustable fixed times by closing a contact to ring an electromechanical alarm by the hand(s) or handlike members closing the contac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echanical Clock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알람 기구
제 1 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단면도.
제 2 도는 알람 침의 확대 정면도.
제 3 도는 그 평면도.
제 4 도는 시침의 확대 정면도.
제 5 도는 그 정면도.
제 6a 도 내지 제 6c 도는 각각 시침과 알람 침의 고리부에 있어서의 캠홈과 캠돌기의 끼움 동작을 도시한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9 : 알람 침 9a : 고리부
9b : 지침부 9c : 알람 피니온
9f, 9g : 캠돌기 14 : 시침
14a : 고리부 14b : 지침부
14c, 14d : 캠홈
본 발명은 자명종 시계의 알람 기구에 관한 것이다.
공지의 알람 기구는 동축으로 위치하는 시침 치차와 알람 치차와의 한쪽에 캠홈에, 다른쪽에 캠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알람 설정 시각에 스프링의 스프링력에 의해 캠돌기가 캠홈에 맞게 하고, 이로써 알람 스위치를 개방하여 알람 설정시각을 검출하는 구성이었다. 그리고 알람 치차의 파이프부 선단에 알람 침이 압입되고 시침 치차의 파이프부 선단에 시침이 압입된다.
이와같은 알람 기구에 있어서, 지침의 부착은 침돌리개 손잡이를 조작하여 캠홈과 캠돌기를 끼우고 이 상태를 유지하여 알람 치차의 파이프부와 시침 치차의 파이프부에 각각 소정위치 관계로 알람 침과 시침을 압압하고, 그후 또 침 회전조작을 행하여 알람 침과 시침과의 위치 관계의 조정을 행할 필요가 있었다. 이 조정작업은 예를 들면 시침을 다시 부착하는 작업을 수반하므로 조정작업이 아주 번잡하여 시간을 요하며 시계조립 공정에서 큰 장해가 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래서 본원 출원인은 먼저 일본국 특허원 소 60-298713호에 있어서 조정작업이 극히 용이하고 알람 정밀도 높은 알람 기구를 제안하였는데, 이 선원 발명에서는 동축으로 설치한 알람 침과 시침과의 스커트부의 맞닿는 부분 한쪽에 캠홈을, 그 다른쪽에 캠돌기를 형성하고, 양 스커트부에 있어서의 캠홈과 캠돌기가 대향한 때에 끼워져서 알람 시각을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 개량된 선원 발명에 있어서도, 알람 침 및 시침은 모두 그 스커트부에서 각각의 파이프부에 압입되어 있으며, 캠돌기가 스커트부의 표면을 미끄럼 이동하기 때문에 알람 침 측의 스커트부와 파이프부의 압입은 시침의 회전에 연동하지 않도록 견고하게 해야 한다. 이때문에 스커트부에 갈라짐이 발생될 우려가 있으며, 또 알람 침의 압입작업이 필요하다는 등의 문제가 있으며, 아직 개량의 여지가 있었다.
거기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알람기구의 조립성의 향상과 부품 갯수의 삭감을 또 도모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적합한 일실시예를 기초로하여 설명한다.
제 1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판(1)과 중판(2)사이에는 구동원으로부터의 회전력이 전달되는 초침 휘일(3)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초침차의 회전력은 또 중간휘일(4)을 거쳐 분침치차(5a)를 회전 구동하는 것이다. 분침치차(5a)와 분침 파이프(5b)는 슬립기구(도시 않음)를 거쳐 연결되어 있다. 또 전동치차(6)는 하판(7)에 일체로 형성된 지지기둥(7a)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힌지되어 있으며, 이 전동치차는 분침 파이프(5b)의 피니온(5c)과 맞물리는 동시에 시침차(8)와도 맞물려 이 분침 파이프의 회전을 시침차에 전달하고 있다. 분침 파이프(5b)는 초침차(3)의 축부(3a)에 동축적으로 끼워져 있으며, 분침 파이프(5b)는 초침차(3)의 축부(3a)에 동축으로 끼워져 있으며, 분침 파이프 외주에는 시침차(8)의 시침 파이프(8a)가 끼워져 있다. 시침파이프(8a)의 외주면 단부의 상부는 하판(7)에 설치되어 있는 파이프부(7b)에 끼워져 있으며 이로써 시침차(8)는 제 1 도 상방에의 이동이 규제되고, 그 위치 결정을 행하는 동시에 시침파이프(8a)는 수직상태로 유지된다.
시침 파이프(8a)의 외주에는 제 2, 3 도에 도시한 알람 침(9)의 고리부(9a)가 동축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알람 침(9)은, 고리부(9a)의 일단부(상단부)에 지침부(9b)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고리부(9a)의 타단부 외주부에 알람 피니온(9c)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고리부(9a)의 내주면(9d)은 시침 파이프(8a)의 외주면에 회전 및 미끄럼 가능하게 끼우고 알람 피니온(9c)측의 내주면(9e)은 하판(7)과 일체의 파이프부(7b)의 외주면에 회전 및 미끄럼 가능하게 끼우고 알람 피니온(9c)측의 내주면(9e)은 하판(7)과 일체의 파이프부(7b)의 외주면에 회전 및 미끄럼 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환형부(9a), 즉 알람침(9)의 후단면에는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밀리고 있는 상승 레버(10)의 일부가 맞닿고, 이로써 환형부(9a)는 하판(7)의 외측 방향(제 1 도 상방)으로 밀리고 있다.
알람 피니온(9c)에는 알람 전달차(11)가 맞물려 있다. 알람 전달차(11)에는 선단부에 칼라부(11b)를 갖는 축부(11a)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축부에는 갈라짐홈(11c)이 설치되어 있다. 축부(11a)는 하판(7)에 설치한 관통구멍(7c)에 스냅식으로 끼워지고, 이로써 알람 전달차(11)는 하판(7)에 이탈 불능하게, 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하판에는 알람 전달차(11)에 마주 접하는 돌기(7d)가 돌출 설치되어 있으며, 알람 전달차는 이 돌기상을 마찰 미끄럼 하면서 회전한다. 알람 전달차(11)는 알람설정 피니온(12)에 맞물려 있으며, 알람 설정 피니온은 침 회전축(13)의 회전에 의해 한쪽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제 4, 5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시침(14)은 시침 파이프(8a)의 선단에 압입하는 고리부(14a)와 이에 일체로 형성된 지침부(14b)를 갖고 있다. 알람 침(9)과 시침(14)의 고리부(9a, 14a)의 대향하는 부분에는 제 2,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환형부(9a)의 상면에 캠돌기(9f, 9g)가 돌출 설치되어 있으며, 제 4 도, 제 5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고리부(14a)의 하면에 캠홈(14c, 14d)이 형성되어 있다.
캠돌기(9f, 9g) 및 캠홈(14c, 14d)과는 각각 축 중심으로부터의 직경을 달리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이 예에서는 시침의 진행방향의 전면은 수직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캠돌기(9f, 9g)와 캠홈(14c, 14d)은 지침부(9b, 14b)가 서로겹치는 위치관계하에서 동시에 대향하여 끼워지는 것이다.
조립에 있어서는 우선 알람 침(9)을 제외한 부품을 상판(1), 중판(2), 하판(7) 사이에 조립한 다음, 알람 침(9)이 최후에 조립된다. 즉, 하판(7)의 외측으로부터 알람 피니온(9c)측을 내측으로 향해 고리부(9a)가 시침 파이프(8a)의 외주부에 끼워진다. 알람 피니온(9c)측의 내주면(9e)은 파이프부(7b)의 외주에 끼워지고, 알람 피니온(9c)가 알람 전달차(11)에 맞물린다. 이후에 시침(14)이 시침 파이프(8a)에 압입된다. 즉, 지침부(14b)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고리부(14a)가 시침 파이프(8a)에 압입된다. 이에 의해 조립이 완료된다. 시침(14)은 그 지침부(14a)의 방향을 마음대로 부착할 수 있고, 분침(도시 않음)은 시침(14)의 지침부(14a)와의 관계에서 위치맞추기 하여 부착하고, 최후에 초침(도시 않음)이 초침측에 부착된다.
알람 설정 시각이 가까워지면 제 6a 도에 도시한 형태로부터 제 6b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캠홈(14c(14d))은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하여 캠돌기 9f(9g)에 대향한다. 알람 침(9)의 고리부(9a)는 상승레버(10)에 의해 밀려서 화살표 방향으로 밀리고 있으므로 캠돌기는 캠홈에 끼워맞추고, 이로써 알람 스위치(도시 않음)가 폐쇄된다. 그후는 시간의 경과와 함께 제 6c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캠돌기(9f(9g))와 캠홈(14c(14d))은 각각 경사면을 미끄럼 이동하고, 고리부(9a)는 상승레버(10)의 스프링력에 대향하여 화살표 c방향으로 변위하고, 알람 스위치가 개방된다.
또, 알람 시각을 설정하는데 있어서는, 침 회전축(13)을 소정 방향으로 회전시켜 알람 설정 피니온(12)을 회전시킨다. 이 회전은 알람 전달차(11)를 거쳐서 알람 피니온(9c)에 전달되므로 알람 침(9)이 회전하여 소망의 알람 시각이 설정된다. 알람 전달차(11)는 관통구멍(7c)과 축부(11a)사이 및 축부(1la)의 길이와 돌기(7d)의 높이등에 의해, 하판(7)사이의 슬립 토오크를 소정 크기로 설정하고 있으므로, 고리부(9a)가 시침(14a)의 회전에 추종하여 회전하는 일이 없다. 즉, 알람 전달차(11)는 알람 침(9)을 소망 위치에 유지하는 위치 결정 작용도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상의 구성을 갖는 것이며, 알람 침은 지침부와 알람 피니온이 고리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부품 갯수가 감소하고, 알람 침의 압입 작업을 폐지할 수 있고, 종래와 같은 알람 침의 스커트부와 알람차의 파이프부 사이의 끼워맞춤 치수의 관리가 불필요해지며, 제조 및 조립상의 효과는 크다. 또, 구조가 간단하며, 비용 저감을 달성할 수 있고, 게다가 알람 정밀도가 높아진다.

Claims (1)

  1. 동축으로 설치한 알람 침과 시침이 각각 고리부와 이 고리부에 일체로 형성된 지침부를 갖고 있으며, 상기 양 고리부에는 그 서로 대향하는 부분 한쪽에 캠홈이, 그 다른쪽에 이 캠홈에 끼워 맞추어지는 캠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알람 침의 고리부에는 그 후단부에 또 알람 피니온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람기구.
KR1019870007782A 1986-07-18 1987-07-18 알람 기구 KR9000042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169179A JPS6325584A (ja) 1986-07-18 1986-07-18 アラ−ム機構
JP169179 1986-07-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2057A KR880002057A (ko) 1988-04-28
KR900004287B1 true KR900004287B1 (ko) 1990-06-20

Family

ID=15881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7782A KR900004287B1 (ko) 1986-07-18 1987-07-18 알람 기구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4748602A (ko)
JP (1) JPS6325584A (ko)
KR (1) KR900004287B1 (ko)
CN (1) CN1015026B (ko)
CH (1) CH669884GA3 (ko)
DE (1) DE3723432C2 (ko)
FR (1) FR2601789B1 (ko)
GB (1) GB2192738B (ko)
HK (1) HK5893A (ko)
MY (1) MY101870A (ko)
SG (1) SG116692G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58701B2 (en) 1998-02-23 2011-03-16 Stepan Company Low viscosity polyester polyols and methods for preparing same
EP2073076B1 (fr) * 2007-12-20 2012-06-13 Montres Breguet S.A. Mécanisme de commande d'un réveil
CN201477375U (zh) * 2009-09-19 2010-05-19 许金锔 闹钟机芯的改进结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52537A (en) * 1981-11-30 1984-06-05 Rhythm Watch Co., Ltd. Alarm setting apparatus for timepieces
US4460280A (en) * 1982-05-14 1984-07-17 Rhythm Watch Co., Ltd. Alarm setting device for timepieces
JPS62156589A (ja) * 1985-12-27 1987-07-11 Seikosha Co Ltd アラ−ム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419516B2 (ko) 1992-03-30
CN1015026B (zh) 1991-12-04
FR2601789A1 (fr) 1988-01-22
JPS6325584A (ja) 1988-02-03
GB2192738B (en) 1990-01-04
GB2192738A (en) 1988-01-20
GB8716922D0 (en) 1987-08-26
DE3723432A1 (de) 1988-01-21
FR2601789B1 (fr) 1991-01-25
CN87104980A (zh) 1988-02-03
HK5893A (en) 1993-02-05
KR880002057A (ko) 1988-04-28
CH669884GA3 (ko) 1989-04-28
MY101870A (en) 1992-01-31
US4748602A (en) 1988-05-31
SG116692G (en) 1993-01-29
DE3723432C2 (de) 1988-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313297U (ko)
KR900004287B1 (ko) 알람 기구
US2966810A (en) Two-speed drives for sewing machines
KR900004286B1 (ko) 알람 기구
KR900015206A (ko) 타이머
US2360762A (en) Motion transforming device
US5673590A (en) Drive device for a movable part of a motor vehicle
JPH0418547Y2 (ko)
JPH03200458A (ja) 変速機のパーキング機構
JPH0419331Y2 (ko)
FR2510213B1 (ko)
KR200223461Y1 (ko) 차량용 도어록 액츄에이터
US3944795A (en) Setting mechanism for digital display devices
JPH0315155B2 (ko)
JPS5819868Y2 (ja) Vhfチユ−ナ微調機構
JPH045035Y2 (ko)
SU1441369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блокировки органа управлени
JPS5937177Y2 (ja) ミシン
CN2056203U (zh) 间歇旋转传动装置
SU813010A1 (ru) Муфта
KR860003519Y1 (ko) 자명시계의 자명저지 스위치장치
JPH0230168Y2 (ko)
JPH0138546Y2 (ko)
JPH0641002Y2 (ja) 船外機の前・後進切換機構
JPS63505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08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