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3888Y1 - 스테이터 요크가 없는 디스크형 브러시러스 축류 팬 모터 - Google Patents

스테이터 요크가 없는 디스크형 브러시러스 축류 팬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3888Y1
KR900003888Y1 KR2019860008616U KR860008616U KR900003888Y1 KR 900003888 Y1 KR900003888 Y1 KR 900003888Y1 KR 2019860008616 U KR2019860008616 U KR 2019860008616U KR 860008616 U KR860008616 U KR 860008616U KR 900003888 Y1 KR900003888 Y1 KR 9000038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motor
axial fan
disc
magnetic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086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1411U (ko
Inventor
마나부 시라기
가즈히도 예가미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시코기겡
마나부 시라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시코기겡, 마나부 시라기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시코기겡
Priority to KR20198600086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3888Y1/ko
Publication of KR8800014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141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38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388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9/00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 H02K9/02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ambient air flowing through the machine
    • H02K9/04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ambient air flowing through the machine having means for generating a flow of cooling medium
    • H02K9/06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ambient air flowing through the machine having means for generating a flow of cooling medium with fans or impellers driven by the machine shaf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rushless Mo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스테이터 요크가 없는 디스크형 브러시러스 축류 팬 모터
제1도는 본 고안을 적용코져 하는 일예로 표시한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축류 팬 모터의 종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팬 모터의 케이스의 사시도.
제3도는 제1도의 팬이 달린 캡체의 사시도.
제4도는 6극의 마그넷 회전자를 이용한 경우의 2개의 전기자 코일로된 스테이터 전기자의 평면도.
제5도는 6극의 원환상의 마그넷 회전자의 하면도.
제6도는 제4도의 스테이터 전기자와 제5도의 6극의 마그넷 회전자와의 전개도.
제7도는 자기 시일드재 시이트의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FM :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축류 팬 모터 1 : 스테이터 전기자
2 : 마그넷 회전자 3 : 프린트 기판
4-1, 4-2 : 전기자 코일 5 : 자전 변환소자(위치 검지 소자)
9 :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축류 팬 모터용 각형 케이스
10 : 모터 케이싱 13 : 회전축
15 : 자기저항 발생용의 자성체로된 나사
27 : 모터 요크 44 : 자기 시일드층
45 : 자기 시일드 재 사이트 46 : 이크릴제 점착제
47 : 박리지
본 고안은 스테이터 요크가 없는 디스크형 축류 브러시리스 모터(이하 단순히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팬 모터라 한다)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있어서는, 사무기등 여러 가지 장치가 출현한 것에 따라 이에 적합한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팬 모터가 요구되는 것인바, 이러한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팬 모터는, 적용될 장치에 있어서는 극히 저렴하며, 소형으로 더욱이 초경량하고 또 극히 평평한(극히 두께가 얇은 것)것이 요구되는 것이다.
여기서 이러한 조건을 더욱 만족시키는 것은 위치검지 소자가 1개의 1상 통전되는 디스크형 브러시리즈 팬 모터이다.
그러나 이러한 위치 검지 소자가 1개의 1상 통전되는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팬 모터에 의하면 모터 가동시에 있어서, 이 소자가 계자 마그넷(마그넷 회전자)의 N극과 S극과의 경계부, 즉, 디드포인트를 검출하고 있으면 자기동을 할수 없다는 결점을 갖고 있다.
그러므로 1상 통전되는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팬 모터에 있어서는 자기저항 토크를 이용하고, 위치 검지 소자가 마그넷 회전자의 정지시 혹은 기동시에 있어서 디드 포인트를 검출하고 있는 상태를 없게 하고, 항상 마그넷 회전자가 정지시 자기저항을 발생함으로써 기동할 수 있는 상태로 이동하여 정지 하도록 구성하여져 있다.
이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팬 모터는 코어리스 모터로 되어 있으므로 원통상의 유철심형 브러시리스 팬 모터에 비교하여 구성이 간단하고 극히 두께를 얇게 형성할수 있을뿐 아니라, 경량이란 이점이 있다.
여기서 이러한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팬 모터를 다시 저렴, 경량으로 하기 위하여는,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팬 모터용 케이스를 수지로 형성함과 동시에 스테이터 요크를 배제한 스테이터 요크가 없는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팬 모터로 하면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하면 확실하게 저렴, 경량으로 되나, 반면 마그넷 회전자와 면 대향하는 고정축 위치에는 스테이터 요크가 없기 때문에 자기가 샐 염려가 있다.
이 경우, 계자 마그넷과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팬 모터용 케이스와의 사이가 충분할 경우에는 문제점은 없어지나, 두께 15㎜정도 경우의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팬 모터의 경우에는 새는 자속을 처리하는 OA기기등에 있어서는 이러한 자속의 누실 대책을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경량화를 위해서는 상기 스테이터 요크를 사용할 수가 없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팬 모터의 문제점을 해소함과 동시에 극히 두께가 얇고 또 가볍고, 구성이 간단하고 저렴하게 양산할수 있고 또한 자속의 누실이 극히 적은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축류 팬 모터를 얻도록 한 것으로 본 고안의 과제는 적어도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팬 모터용 케이스의 모터 케이스부를 수지로 형성함과 동시에 스테이터 요크를 갖지 않고 자기저항 토크를 이용하여 자기동 할수 있도록된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팬 모터로 하고 상기 수지로된 상기 모터 케이스의 내면 또는 외면에 극히 두께를 얇게 할수 있는 자기 시일드층을 형성하므로써 달성된다.
기타의 본 고안 과제 및 그 달성을 위한 수단은 이하 실시예에서 상술한다.
먼저 본 고안을 적용하여 유용한 코어리스 타입의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팬 모터에 대하여 상술하면, 제1도는, 위치 검지소자 1개, 전기자 코일 2개, 6극의 마그넷 회전자를 갖는 1상의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팬 모터로써 제1도는 제4도의 X-X'선을 종단면한 도면이다.
부호 8은 공간부로써, 이 공간부(8)를 이용하여 통전 제어회로용의 전기부품(6,7)을 조합할수 있도록 되어 있다.
축 방향은 평평한, 예를 들면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캡상의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팬 모터용 각형케이스(9)(제2도 참조)는, 그내부에 같은 플라스틱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된 캡형 모터 케이싱(10)이 형성되어 있으며, 모터 케이싱(10)의 대체로 중심부에는, 축수하우징(16)이 형성되고, 이 축수하우징(16)의 내주부 상하 양단 개구부에는, 베어링축수(11,1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축수(11,12)에 의하여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팬 모터(FM) 본체의 대체로 중심부에 회전축(13)이 회동자재로 축지 되어 있다.
회전축(13)의 하부에는 빠짐 방지용 E링(14)이 장착된다.
부호 21은 케이스(9)와 케이싱(10)사이의부 (제2도 참조), 22는 케이스(9)의 저부에 형성되는 에어통과공, 23은 스테이, 24-1, 24-2는 각각 플러스 전원 코오드, 마이너스 전원 코오드이다.
17은 케이싱(10)에 일체로 형성된 지주로서, 180도 대칭한 위치에도 도시 없는 지주(17)가 설치되어 있다.
이 지주(17)의 정부와는 프린트 기판(3)이 자성체로된 나사(15)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프린트 기판(3)의 하면에는 스테이터 요크를 형성하면 큰 자속이 얻어지게 되는 것이나, 후술하는 위치 검지소자(5)에서의 출력이 방형파로 되고, 전기자 코일(4)에 방형파인 통전이 이루어지므로 통전의 절환이 조급하기 때문에 부근에서 큰 회전음을 발생한다.
그러므로, 스테이터 요크를 사용치 않고 프린트 기판(3)만을 사용 위치 검지 소자(5)의 출력을 하여 사인파로 하고, 전기자 코일(4)에 사인파 통전을 하여 큰 회전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져 있다.
스테이터 요크가 없기 때문에 강한 자속을 얻을 수 없는 염려가 있으므로 전기자코일(4)의 권선 사양을 변화시켰던바, 통전 전류는 낮은 것으로 족하며 또 회전수가 높은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팬 모터(FM)을 얻을수 있었다.
또 스테이터 요크가 없으므로 그 만큼 저렴하고 조립도 용이하며 저렴한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팬 모터(FM)를 얻을 수 있다.
프린트 기판(3)위에는, 제4도에서와 같이 2개의 전기자코일(4-1,4-2)을 180도 대칭으로 배설하고 있다.
이 2개의 전기자코일(4-1,4-2)에 의하여 스테이터 전기자(1)를 형성하고 있다.
이 스테이터 전기자(1)는, 제3도에 표시한 바와 같은 축방향에 평평한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펜이 달린 캡체(20)와 면 대향하고 있다.
25는 펜이 달린 캡체(20)의 외주부에 이 캡체(20)와 일체로 형성된 펜이다.
상기 캡체(20)의 내면, 대체로 중심부에는 보스부(26) (제1도 참조)가 일체로 형성되고 이 보스부(26)에 회전축(13)의 상단부가 고정되어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캡체(20)의 내면부에는 원상 로터 요크(27)이 고정되며, 로터 요크(27)의 하면에는 제5도에서와 같은 N,S의 자극을 교호로 갖는 원상의 6극 마그넷 회전자(계자 마그넷)(2)를 고정설치하여 스테이터 전기자(1)에 면 대향시켜져 있다.
프린터기판(3)의 마그넷 회전자(2)와 대향한 면에 제4도에서와 같이 발생토크에 기여할 반경 방향의 도체부(4a-1,4a-2)와의 개각이 마그넷 회전자(2)의 자극 폭과 대체로 같이 권회 형성된 전기자코일(4-1,4-2)를 2개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상기한 바와 같이 180도 대칭으로 배치되어있다.
프린터기판(3)의 상기 전기자코일(4-1,4-2)과 대향하고 있지 않은 부분의 하면에는 제1도에서와 같이 통전 제어회로용 전기 부품(7,6)(트랜지스터, 저항)등이 배설 하여져 있다.
또 상기 전기자코일(4-1,4-2)의 둘레 방향의 도체부(4b)는 발생토크에 기여하지 않기 때문에, 이 도체부(4b)의 폭분 만큼 반경이 작은 마그넷 회전자(2)를 사용해도 무방하게 되어 있다.
또 마그넷 회전자(2)는 6극의 것을 사용함으로서 전기자코일(4-1,4-2)은 발생 토크에 기여할 반경 방향의 도체부(4a-1,4a-2)와의 개각을 160도의 것으로 형성하고 있다.
위치 검지 소자로서의 호일 소자나 호일 IC등의 자전 변환소자(5)는 위치적으로 발생토크에 기어할 도체부(4a-1)또는 도체부(4a-2)위에 배설하면 적합하다.
이와 같이 하여 소자(5)의 분만큼 두께가 증가함으로 마그넷 회전자(2)와 전기자코일(4)과의 사이의 에어캡이 증가하고, 큰 토크를 얻을수 없고, 배설상 까다롭고 양산에도 적합치 않게 된다.
따라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위치 검지 소자(5)는, 전기자코일(4-1)의 일방의 발생 토크에 기여하는 도체부(4a-1)와 균등조건에 있는 프린트기판(3)의 상면부에 배설한다.
제4도를 참조하여 2개의 전기자 코일(4-1,4-2)을 180도 대칭으로 배설한 것은, 회전 균형을 좋게 하고 회전전동이 적게 하기 위한 배려이다.
상기 나사(15-1, 15-2)는 마그넷 회전자(2)의 회전방향(화살표 A방향--제5도 참조)을 향하여 전기자코일(4-1,4-2)의 발생토크에 기여하는 도체부(4a-2)에서 대체로 4분의 1의 자극폭(15도)만큼 그 앞에서 프린트기판(3)부에 대향한 지지부(17)에 나착하여 고정하는 것으로, 이위치에 자성체로된 돌기를 형성하고 있다.
이 경우 나사(15-1, 15-2)는 마그넷 회전자(2)의 회전방향을 향하여 전기자코일(4-1,4-2)의 발생토크에 기여하는 도체부(4a-2)에서 대체로 2분지 1의 자극폭(30도) 만큼의 앞의 프린트기판(3)부와 대향한 위치에 자기저항을 발생시키면, 팬 모터(FM)는 충분히 자기동 할수 있으나, 여기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더욱 바람직한 위치인 4분지1자극폭 만큼 앞의 위치에 상기 나사(15-1, 15-2)를 나착하고 있다.
이 돌기를 형성함에 있어서 나사(15-1, 15-2)를 사용한 것은, 상기한 바와 같이 나사(15-1, 15-2)에 의하여 프린트기판(3)을 지주(17)의 정상면에 고정하기 위함과 동시에 나사(15-1, 15-2)의 나착 가감에 의하여 발생 자기저항의 가감 조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이러한 나사(15-1, 15-2)에 의하여 자기저항을 발생시켜 예를 들면 위치검지소자(5)가 1개 이어도 회전자(마그넷 회전자(2))를 자기동 가능하게 하고 있다.
즉 나사(15-1, 15-2)에 의한 자성체로된 돌기를 프린트기판(3)위에 형성하는 것으로, 마그넷 회전자(2)가 상기 돌기(나사(15-1, 15-2))에 붙어서 당해 마그넷 회전자(2)를 자기동 할수 있는 위치, 즉 모터 기동시에 있어서 위치검지소자(5)가 디드 포인트를 검지하지 않는 위치에 정지하도록 상기한 위치에 돌기(나사(15-1, 15-2))를 형성하는 것으로, 위치검지소자(5)가 예컨데 1개 이어도 2코일 1상의 디스크형 축류 브러시리스 팬모터(FM)는 자기동 할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나사(15-1, 15-2)의 위치를 다시 제4도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전기자코일(4-1,4-2)의 발생토크에 기여하는 도체부(4a-2)의 점선으로 표시한 중심선(43)으로부터 마그넷 회전자(2)의 약 4분지 1의 자극폭, 즉 약 15도 정도의 개도 만큼, 전기자코일(4-1,4-2)의 발생토크에 기여할 도체부(4a-2)에서 회전(화살표 A)방향을 향하여 그 앞위치에 상기 나사(15-1, 15-2)가 형성해져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나사(15-1)와 나사(15-2)와는 180도 대칭인 프린트기판(3)의 위치에 형성하여 보다 한층 회전자의 자기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나, 나사(15)는 1개 이어도 충족된다.
또 상기와 같은 조건 위치, 즉 전기자코일(4-1)또는 / 및 전기자 코일(4-2)의 발생 토크에 기여할 도체부(4a-1)에서 회전(화살표 A)방향에 대하여 대체로 4분지 1자극 만큼 앞 위치인 점선으로 둘러싼부(18) 또는 / 및 점선으로 둘러싼부(19)위치에 상기 돌기를 형성하는 나사(15-1, 15-2)를 형성해도 무방하다.
다음에 나사(15-1, 15-2)에 의한 자성체로 된 돌기를 상기한 위치에 형성한 이유를 설명하면, 최대 기동토크가 발생하는 위치는 전기자코일(4-1,4-2)의 발생 토크에 기여할 도체부(4a-1)또는 도체부(4a-2)의 위치이다.
따라서, 이 위치에 상기 나사(15-1, 15-2)을 형성하면 되나, 위치에 배치하는 것은 곤란하며 또 기동시에 미리 최대 기동 토크가 작동하게 하면, 기동시의 로스로 최고 효율의 것이 얻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마그넷 회전자(2)가 적게라도 작동하면, 최대 토크를 발생시킬수 있도록 발생토크에 기여할 도체부(4a-1,4a-2)로부터 상기한 조건 만큼의 앞 위치에 나사(15-1, 15-2)에 의한 자성체로 된 돌기를 형성해져 있다.
이 위치가 나사(15-1) 또는 나사(15-2)가 마그넷 회전자(2)의 N극 또는 S극의 자극 중심에 위치하도록 마그넷 회전자(2)의 정지 위치를 항상 최고의 기동 위치에 있도록 하기 위한 위치이다.
또 나사(15-1, 15-2)는 그 두부가 마그넷 회전자(2)의 자극중심에서 항상 정지할수 있고 또 용이하게 기동할수 있는 크기, 강도의 것을 사용하면 편리하다.
제6도는 6극, 2코일, 1상의 축류 브러시리스 팬 모터(FM)에서의 마그넷 회전자(2)와 스테이터 전기자와의 전개도이다.
전기자코일(4-1)의 발생토크에 기여할 도체부(4a-2)의 단자와 전기자코일(4-2)의 발생 토크에 기여할 도체부(4a-2)의 단자는 공통접속되며, 전기자코일(4-1)의 발생 토크에 기여할 도체부(4a-1)의 단자는, 통전 제어회로(28)내의 트랜지스터(29)의 콜렉터와 트랜지스터(30)의 콜렉터와의 접속점(33)에 접속되어, 전기자코일(4-2)의 발생 토크에 기여하는 도체부(4a-1)의 단자는 트랜지스터(31)의 콜렉터와 트랜지스터(32)의 콜렉터와의 접속점(34)에 접속되어 있다.
통전 제어회로(28)는 1상의 왕복 통전 제어회로로 형성되어 있다.
트랜지스터(29,31)의 에미터는 각각 플러스 전원 단자(35)에 접속되고, 트랜지스터(30,32)의 에미터는 각각 접지(36)에 접속되어 있다.
자전반전소자(5)의 도시 없는 전원 단자 및 출력단자(37-1,37-2)는 통전 제어회로(28)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위치검지소자(5)는 마그넷 회전자(2)의 N극을 검출하면, 출력단자(37-1)를 통하여 트랜지스터(29,32)를 도통하여 전기자 코일(4-1,4-2)에는 화살표 방향의 전류를 흘러서 소정방향의 회전력을 얻을 수가 있다.
위치검지소자(5)는 마그넷 회전자(2)의 S극을 검출하면, 출력단자(37-2)를 통하여 트랜지스터(30,31)를 도통하고, 전기자코일(4-1,4-2)에는 상기와 반대 방향의 전류가 흘러 소정 방향의 회전력을 얻을수가 있다.
다음에 위치검지소자(5)의 배설 위치에 대하여 설명하면 위치검지소자(5)는, 제4도 및 제6도에 있어서 전기자코일(4-1)(또는 4-2)의 발생토크에 기여할 도체부(4a-1)(또는 4a-2)의 점선 둘러싼 부위(38)(또는 39-41)위치에 배치하는 위치적으로 바람직하나, 상기한 이유로서 점선 둘러싼 부위(37)(도는 39-41)위치에 배치하는 것은 안된다.
따라서 점선 둘러싼 부위(38)를 보면, 위치 검지소자(5)는 마그넷 회전자(2)의 N극(2a)의 대체로 중간부와 대응하고 있어서 이와 균등관계에 있어 위치를 찾으면, N극(2c)의 대체로 중간위치부인 점선 둘러싼 부위(42)가 해당된다.
따라서 이러한 점선 둘러싼 부위(42)에 대응한 프린트기판(3)위에 위치검지소자(5)를 배치하고 있다.
즉 이 경우에는, 전기자코일(4-1,4-2)의 발생 토크에 기여할 도체부(4a-1)와 대향하지 않으므로 위치검지소자(5)의 배치가 용이하게 된다.
또 이상의 조건에 따라, 위치검지소자(5)는 여러 가지 설계에 맞춘 최적한 목적위치에 배치할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1상 통전될 디스크형 축류 브러시리스 팬 모터(FM)에 있어서는, 초경량, 초평편화, 초소형화를 목표로 스테이터 요크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외에, 케이스(9) 및 모터 케이싱(10)도 비자성체(플라스틱)로 형성하고 있으므로 마그넷 회전자(2)의 자로를 막는 것이 없다.
따라서 어느정도의 두께의 공간부(8)가 있기 때문에 모터 케이싱(10)의 하면 외부 방향에는 큰 누전 자속이 발생하지 않는다 할수 있어도 그래도 약간의 누전 자속은 발생한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저렴가로 또 두께를 매우 얇게 형성할수 있는 자기 시일드층(44)을 모터 케이싱(10)의 내면에 형성하고 있다.
모터 케이싱(10)의 내면에 형성하기 위한 자기 시일드층(44)은 칼이나, 가위등으로 절단 용이한 자기시일드재 시이트에 점착제를 도포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유용하다.
여기서는 제7도에 표시한 자기시일드재 시이트(45)를 이용하여 이것을 적절한 형상으로 잘라 모터케이싱(10)의 내면에 접착하여 자기 시일드층(44)을 형성하고 있다.
이 자기시일드재 시이트(45)는 자성재 시이트의 표면에 비 자성체를 도장한 것, 예를 들면 표면을 아연 도장한 아이언 호일을 자기 시일드층으로 하여 이용하고 이 아연 도장한 아이언 호일의 하면에 감압성 점착제, 예를 들면 아크릴제 점착제(46)을 도포하고, 이 아크릴제 점착제(46)의 하면에는 박리지(47)를 접착한 것을 사용하면 된다.
따라서 모터 케이싱(10)의 내면에 자기 시일드층(44)을 형성함에 있어서는 미리 소정의 형상으로 시일드재시이트(45)를 소정의 형상으로 잘라 박리지(47)를 맞추어 점착제(46)를 모터 케이싱(10)의 내면에 첩착하면 된다.
또 상기예에서는, 자기 시일드층(44)을 모터 케이싱(10)의 내면에 형성한 예를 표시하였으나, 모터케이싱(10)의 하면 내부에 형성해도 무방하다.
또 이 경우에는 자기 시일드 재 시이트(45)의 상면 자기시일드층(44)을 명판으로 이용하면 극히 합리적이다.
또 상기예에 있어서는 마그넷 회전자(2)로서 6극의 것을 이용한 경우를 표시하였으나 4극의 것이나, 8극의 경우에도 같은 위치 검지 소자 1개, 2코일의 1상 모터 이면서 자기동이 가능하고 저렴가로 소형의 것을 얻을수 있는 효과가 있음으로 매우 유용하다.
또 전기자 코일의 수는 1개도, 3개 이상이어도 무방하며, 또 마그넷 회전자 및 전기자 코일도 상기 형상의 것에 한정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확실한 바와 같이 본 고안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축류 팬 모터 케이스 및 케이싱은 수지로 되어 있을 뿐 아니라, 코어리스 타입의 1상 통전되는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모터로 되어 있고 또한 극히 저렴가로 경량으로 또는 소정의 형상으로 용이하게 형성할수 있는 자기 시일층을 형성하고 있어서 극히 두께가 얇고, 중량이 가벼우며, 또 구성이 간단하여 저렴가로 양산할수 있음과 동시에 자속 누전도 극히 적은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축류 팬 모터를 얻을수가 있는 실용효과가 크다.

Claims (6)

  1. 모터 케이스(9)를 수지로 형성함과 동시에 스테이터 요크를 구비하지 않은 자기저항 토크를 이용하여 자기동 할수 있도록 된 1상 통전되는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모터를 이용한 코어리스 타입의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축류 팬 모터에 있어서, 두께가 매우 얇게 형성된 자기 시일드재 시이트(45)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형성한 자기 시일드층(44)의 접착제면에 수지로된 모터케이스(9)의 내면 또는 외면을 접착하여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터 요크가 없는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축류 팬 모터.
  2. 제1항에 있어서, 자기 시일드층(44)은 모터 케이스(9)의 내면저, 또는 외면저에만 부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터 요크가 없는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축류 팬 모터.
  3. 제1항에 있어서, 자기 시일드 재 시이트(45)는, 자성재 시이트에 비자성재를 도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터 요크가 없는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축류 팬 모터.
  4. 제3항에 있어서, 자기시일드재 시이트(45)는, 아연 도장 아이언 호일의 편면에 감압성 점착제를 도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터 요크가 없는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축류 팬 모터.
  5.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스테이터 요크가 없는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축류 팬 모터는 N, S의 자극을 교호로 구비한 2P(P는 1이상의 정수)개 갖추어 형성한 마그넷 회전자(2)와, 이 마그넷 회전자에 대향하여 스테이터 측에 형성된 1이상의 공심형 전기자 코일(4-1,4-2) 및 마그넷 회전자가 자기동 할수 있도록 배설한 자기저항 토크 발생 수단으로된 스테이터 전기자(1)로 되며, 이 자기저항 토크 발생수단은 공심형 전기자 코일의 회전에 기여할 도향 부분에서 약 2분의 1 자극폭 만큼의 앞 위치 혹은 이 위치와 동상 위치에서 자기저항 토크를 발생할수 있는 위치에 배치한 스테이터 요크가 없는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축류 팬 모터.
  6. 제1항, 제2항,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자기저항 발생수단은, 전기자코일(4-1,4-2)의 하면에 형성한 비자성체에 자성체로된 나사(15-1, 15-2)를 나착하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터 요크가 없는 디스크형 브러시리스 축류 팬 모터.
KR2019860008616U 1986-06-19 1986-06-19 스테이터 요크가 없는 디스크형 브러시러스 축류 팬 모터 KR9000038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8616U KR900003888Y1 (ko) 1986-06-19 1986-06-19 스테이터 요크가 없는 디스크형 브러시러스 축류 팬 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8616U KR900003888Y1 (ko) 1986-06-19 1986-06-19 스테이터 요크가 없는 디스크형 브러시러스 축류 팬 모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1411U KR880001411U (ko) 1988-03-15
KR900003888Y1 true KR900003888Y1 (ko) 1990-05-03

Family

ID=19252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08616U KR900003888Y1 (ko) 1986-06-19 1986-06-19 스테이터 요크가 없는 디스크형 브러시러스 축류 팬 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388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1411U (ko) 1988-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3886Y1 (ko) 축류(軸流)팬 장치
US4728833A (en) 1-phase self-starting brushless motor
US4211963A (en) Brushless, permanent magnet d-c pulse current controlled, essentially uniform torque dynamo electric machine, particularly motor
US4874976A (en) Spindle motor for driving discs
US4499407A (en) Brushless DC motor assembly with improved stator pole
US5097170A (en) Brushless d.c. electric motor
JPS60261350A (ja) 電子スイツチングによる回転電子機械ロータの角度位置検出装置
JPH0548577U (ja) 電磁式有限回転型電動機の原点復帰機構
KR900003888Y1 (ko) 스테이터 요크가 없는 디스크형 브러시러스 축류 팬 모터
JP3238539B2 (ja) 光量調節装置
JPH01186151A (ja) 無刷子電動機
EP0221459A2 (en) Axial-flow fan apparatus
JP2543854Y2 (ja) モータ
JPS6142262A (ja) ブラシレスモ−タ
JP2575353B2 (ja) 直流モ−タ
JPH066708Y2 (ja) Dcブラシレスモ−タ
KR900007227Y1 (ko) 1상 통전되는 브러시리스 모터
JP2543533Y2 (ja) 電磁式有限回転型電動機の回転子原点復帰機構
JP2001339910A (ja) 位置センサ付き有限回転型電動機
JPS60118046A (ja) ブラシレスモ−タ
JP2004072827A (ja) 界磁制御モータ
JP2000134896A (ja) ブラシレスモータ
JPS60141154A (ja) 電機子コイル1個の1相通電されるデイスク型ブラシレスモ−タ
JP2003143824A (ja) 直流ブラシレスモーター
JP2006203972A (ja) 軸方向空隙型ブラシレスモ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41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