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3645B1 - 산업건축물용 컴포넌트의 제조방법과 이 방법을 수행하는 접합 엘레멘트 - Google Patents

산업건축물용 컴포넌트의 제조방법과 이 방법을 수행하는 접합 엘레멘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3645B1
KR900003645B1 KR1019860700316A KR860700316A KR900003645B1 KR 900003645 B1 KR900003645 B1 KR 900003645B1 KR 1019860700316 A KR1019860700316 A KR 1019860700316A KR 860700316 A KR860700316 A KR 860700316A KR 900003645 B1 KR900003645 B1 KR 9000036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teeth
panel
component
jo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700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700132A (ko
Inventor
마리 삐에르 베르뤼제 프랑소아
Original Assignee
마리 삐에르 베르뤼제 프랑소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리 삐에르 베르뤼제 프랑소아 filed Critical 마리 삐에르 베르뤼제 프랑소아
Publication of KR880700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7001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3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36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20Moulds for making shaped articles with undercut recesses, e.g. dov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64Moulds characterised by special surfaces for producing a desired surface of a moulded article, e.g. profiled or polished moulding surfaces
    • B28B7/0079Moulds characterised by special surfaces for producing a desired surface of a moulded article, e.g. profiled or polished moulding surfaces with surfaces for moulding interlocking means, e.g. grooves and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22Moulds for making units for prefabricated buildings, i.e. units each comprising an important section of at least two limiting planes of a room or space, e.g. cells; Moulds for making prefabricated stair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산업건축물용 컴포넌트의 제조방법과 이 방법을 수행하는 접합 엘레멘트
제 1 도는 조립하기 위해 준비되어 위치한 두개의 접합 엘레멘트의 제 1 실시예의 사시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선 II-II를 따라 취한 단면도.
제 3 도는 접합 엘레멘트의 제 2 실시예의 사시도.
제 4 도는 본 발명에 따라 접합 엘레멘트에 주어진 제 1 톱니형의 사시도.
제 4a 도는 제 4 도에 보인 톱니의 전개평면도.
제 4b 도는 제 4 도에 보인 톱니의 측면도.
제 4c 도는 제 4 도의 선 IV-IV를 따라 취한 단면도.
제 5 도는 본 발명에 따라 접합 엘레멘트에 주어진 제 2 톱니형의 사시도.
제 5a 도는 제 5 도에 보인 톱니의 전개 평면도.
제 5b 도는 제 5 도에 보인 톱니의 측면도.
제 5c 도는 제 5 도의 선 V-V를 따라 취한 단면도.
제 6a 도 내지 제 6c 도는 단지 한 측에만 톱니를 구비한 접합 엘레멘트를 제조하기 위한 주형의 단면도.
제 7a 도 및 제 7b 도는 두 대향측에 톱니를 구비한 접합 엘레멘트를 제조하기 위한 주형의 단면도.
제 8 도는 제 4 도 내지 제 4c 도에 보인 실시예에 따라 톱니를 구비한 엘레멘트로 이루어지는 구조물의 절취부를 보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산업적 건물의 건축공사에 쓰이는 컴포넌트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는 엘레멘트에 관한 것이고, 여기서 컴포넌트는 필요하다면 벽(confinements)과, 자기 위치 결정 및 조립 프로필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서리들로 이루어져 있다.
산업건축물의 건설공사에는 여러가지 엘레멘트를 연결하기 위한 수단이 수행되어야 한다. 수많은 시스템을 이용하고, 특히 엘레멘트의 모서리안과 모서리위에 있는 프로필로 구성된 조립시스템과 자기 위치 결정을 이용하였으며, 프로필은 결합제와 고착수단 없이도 조립될 수 있고, 조립유닛은 자체중량과 프로필 사이의 마찰에 의해 지지된다.
다양한 엘레멘트가 조립유닛의 건축공사에 필요하므로 각 격우에 필요한 산업공구의 다양성에 비추어 비용을 상쇄할 정도로 시장성이 충분히 큰 경우는 거의 드물다.
따라서 비교적 표준화된 산업적 컴포넌트의 조합으로 생산된 다양한 제품이 필요하다. 이 장비는 제품의 다양화로 인한 형상의 여러가지 변화에 만족을 주어야 하기 때문에 이것은 극히 정밀한 조립과 컴포넌트의 제조에 비싼 장비를 필요로 한다.
운반 비용이 컴포넌트의 원가에 비해 너무 과다하고 또한 제조공장이 충분한 생산으로 여러곳으로의 공급에 응하기 위해 커야하기 때문에 여러가지 컴포넌트외 중앙 집중식의 생산은 상상할 수 없다. 패널이나 또는 컴포넌트를 얻기 위해 패널이나 컴포넌트의 모서리가 정밀한 치수와 형상의 프로필을 갖고 있으며, 재료가 주형의 프로필모서리로 적절히 들어가도록 하기 위해 성형작업이 수평으로 행해져야만 한다는 사실이 제조 공장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산업건축물의 건설공사에 쓰이는 패널을 제조하는 공지의 방법에서는 패널의 큰 측면중의 하나로 주어진베이스와, 패널의 모서리를 한정하는 측면 외벽으로 이루어진 주형을 사용하고, 베이스의 치수는 패널에 필요한 치수범위에 일치할 정도로 되며, 또한 측면외벽은 여러가지의 필요한 치수 범위에 응할 수 있었다. 자기 위치 결정과, 패널의 바깥둘레에 주어진 조립 프로필은 프로필된 측면외벽에 의해 얻어진다. 한편 큰 측면에 주어진 프로필이나 또는 벽(confinements)은 상기 프로필을 갖는 대향주형을 사용해야 한다. 주형 프로필을 다 채울 수 있도록 주형은 수평위치에서 사용되어야 한다. 협동하는 패널의 프로필들이 결합되기 때문에 완성된 구조물에서의 힘이 한 패널로부터 다른 패널로 정확히 전달되도록 하려고 한다면 프로필을 정밀하게 성형해야 하고 따라서 견고하고 정밀한 주형외벽과 대향 주형을 갖고 있어서 더 변화된 치수범위로 비용이 더 많이 상승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연결수단을 제조하는 것으로부터 그리고 필요하다면 여러가지 벽을 에워싸는 주위 부품을 제조하는 것으로부터 패널이나 또는 컴포넌트의 제조를 분리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별한 특징에 따라 연결수단과 주위부품은 패널이나 컴포넌트의 제조동안 주형의 일부가 될 엘레멘트로써 만든다. 패널이나 컴포넌트에 비해 작은 치수인 이들 엘레멘트는 필수정밀 장비가 있는 본사에서 제조하고, 가능한 조건내에서 패널이나 또는 컴포넌트가 주조되는 현지 공장으로 보내진다 이들 표준화된 엘레멘트는 하나 이상의 측벽 또는 주형외벽/또는 벽을 형성하고, 이것들은 제조동안에 패널에 일체로 고착된다.
이런 엘레멘트를 사용하면 엘레멘트가 이미 스스로의 고유강도를 갖고 있어서 특히 패널을 대량으로 성형할 수 있고, 성형의 정체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다음의 설명과 예로써 보인 도면은 본 발명을 행하는 것에 대해 명확히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에 따라 패널의 제조방법은 접합 엘레멘트 혹은 산업적으로 제조되는 표준형 엘레멘트를 사용하는 것이다.
이 엘레멘트들은 주어진 범위내에 드는 치수와 형상을 갖고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이들의 최대 길이는 단일품으로써 성형될 수 있는 패널이나 컴포넌트의 최대치수와 일치한다.
이들 접합 엘레멘트는 건물의 다른 부분에서 다른 기능을 갖는 두개의 컴포넌트사이 또는 같은 기능을 갖는 컴포넌트들 사이에서 물리적인 장벽을 형성할 가로지르는 작은 치수의 엘레멘트들이지만, 이들 컴포넌트를 조립하기 위해 선정된 수단때문에 일반적으로 발생되는 불연속성에도 불구하고 엘레멘트의 기능적인 연속성은 확실하게 보장되어야 한다.
접합의 정의는 항상 서로서로 접하는 적어도 두개의 구역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말하며, 제 1 구역은 제 1 컴포넌트에 속하고 다른 구역은 제 2 컴포넌트에 속한다. 예를들면 플로어를 벽에 얹혀 놓게하거나, 또는 벽을 플로어 또는 기초에 얹혀 놓게 하거나, 또는 도어를 고정하게 하는 등의 구역들은 대응하는 수의 접합면을 갖는다.
실제로 모든 접합면은 힘에 견디는 기능과, 분리된 구역의 연속성을 확실하게 하고/하거나 편리하게 왕래하게 하는 기능을 갖고 있고, 접합면들은 자기 위치 결정 기능을 가져야 한다.
구조물에서 힘의 전달에 직접 관계하며, 일반적으로 패널이나 컴포넌트의 모서리에 있는 엘레멘트를 건축상의 개구, 통풍통, 배수로 등과 같은 왕래기능을 형성하는 접합면과 구별하기 위해 접합면이 힘을 전달할수 있는 것을 제거하지 않으며 또한 조립 프로필을 갖지 않으면서 엘레멘트는 접합 엘레멘트로, 접합면은 형상 엘레멘트로 표현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접합 엘레멘트는 주형작업에 의해서 산업적으로 제조된다. 자기 위치 결정과 조립 프로필을 형성하게 하는 주형벽은 강성을 가지며, 끝손질되어 있어서 같은 주형에서 얻어진 프로필과 협동하게 될때 얻어진 프로필은 완벽하게 접합된다. 엘레멘트의 표면중의 한 표면은 연결 표면을 형성하고 패널이나 컴포넌트의 제조동안에 성형재료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미리 준비된 스틸로드나 릴리이프를 갖고 있다.
접합 엘레멘트(들)는 패널이나 엘레멘트의 큰 측면을 형성하게 하는 주형외벽과, 프로필을 갖고 있는 모서리에 장착된다. 미리 필요한 치수로 절단된 이들 엘레멘트는 구조물에서 협동하게 하는 패널이나 컴포넌트 엘레멘트의 릴리이프와 결합되는 일련의 프로필 릴리이프를 갖고 있다. 엘레멘트들은 완성된 패널의 전체치수를 갖는 주형외벽에 위치하고, 연결면은 패널의 내측을 향한다.
프로필이 없는 패널의 모서리는 편평한 측면의 성형외벽으로 한정된다. 필요하다면 패널이나 컴포넌트의 내부의 연결은 형상 엘레멘트의 위치결정으로 얻어지고, 형상 엘레멘트는 조립식이며, 필요한 치수로 절단되고 벽을 형성한다.
그러므로 얻어진 주형은 플라스틱상태로 있는 재료로 채워진다. 건조 및 경화후에 형상 엘레멘트 뿐아니라 접합 엘레멘트는 패널의 단일품을 형성한다.
접합 엘레멘트의 큰 강성과, 패널의 나머지에 엘레멘트의 연속적인 연결때문에 이들 엘레멘트는 보유수단이 분리될 위험없이 이동시키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종래의 패널을 제조하는 방법에서 상당한 힘을 받게 되는 비교적 매우 작은 체적에만 영향을 미치며 콘크리이트에 매몰된 스틸로드로 이루어진 보유수단의 도움으로 패널을 상승시키기 위해서 패널은 충분히 경화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경화의 정도가 최대인 접합 엘레멘트는 패널의 전체길이에 걸쳐서 또 접합면에 의해서 새로이 성형된 패널에 연결되며, 패널의 길이 전체나 또는 일부에 결쳐서 상승으로 발생된 힘을 골고루 분포시킨다. 따라서 성형된 패널의 경화시간은 어려움 없이 단축될 수 있다.
주형을 채우기 위해 플라스틱 상태에서 사용되는 재료는 예를들면 콘크리이트, 석고플라스틱, 합성수지로 접착되는 분말이나 과립물질, 또는 인공재료들이다.
접합 앨레멘트와 형상 엘레멘트는 패널을 주조하는 데에 이용되는 재료와 같은 재료로 할 수 있고, 또는 다른 재료로 할 수도 있다. 또한 그들은 예를들면 금속이나 플라스틱 부분품으로 될 수 있고, 패널의 재료와의 접합은 고정 러그를 매몰하거나 부분품의 빈 부분을 채우므로써 이루어진다.
상기의 부분품은 수평위치에서 성형하는 패널에 맞으며, 주형은 큰 면의 한 외벽만을 가지고, 재료는 전체 표면에 걸쳐 부어진다.
일반적으로 건축공사의 수직 부분품에 대응하는 몇개의 엘레멘트에 대해서 접합 엘레멘트로 바꾸어지는 모서리의 프로필을 성형하기 위해 특별한 조심이 필요없기 때문에 주형 셋트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고, 큰 측면을 형성하려고 하는 외벽은 수직으로 배열되며 서로서로 패널의 필요한 두께만큼 격리된다. 상기 예와같은 처리가 접합 엘레멘트에 이용되고, 필요하다면 형상 엘레멘트는 패널의 큰 측면을 형성하는 제 1 외벽에 고정된다. 패널의 제 2 의 큰 측면을 형성하는 제 2 외벽은 주형에 밀접하며 외벽의 외부 표면위에 제 2 패널 등에 쓰이는 엘레멘트를 갖고 있다.
주형이 수직위치에 있고(예를들면 연속된 주형의 경우와 같이), 주형의 상부에 해당하는 패널의 모서리가 프로필을 갖고 있지 않을때 주형을 막는 상부의 편평한 측면외벽이 장착되지 않아서 플라스틱 상태에 있는 재료를 도입할 수 있으므로 패널의 모서리는 재료의 자유표면으로 형성된다.
패널의 모서리가 프로필을 갖고 있어야 할때 주형은 상기의 경우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상태이고, 재료를 채운후에 주형은 적절한 접합 엘레멘트에 의해서 막아지며, 접합 엘레멘트는 패널의 큰 측면을 한정하는 외벽사이의 위치로 삽입된다.
주형을 채우는 것은 적소에 놓은 엘레멘트가 차지하는 체적을 고려해야 하고, 예를들면 진동장치의 도움으로 배출 구멍은 과다한 재료를 제거하기 위해 상부에 설치된다.
상기 방법을 이행하기 위한 접합 엘레멘트는 각주형 단면의 선형 엘레멘트(1)(제 1 도)로 이루어지며, 선형 엘레멘트(1)가 옐레멘트 표면중 적어도 한 표면에 톱니장치(2)를 갖고 있고, 톱니장치에서 톱니(4)의 측면(3)은 이 실시예에서 실질적으로 선형 엘레멘트의 저면(5)으로 보인 바와같이 선형 엘레멘트의 길이 방향의 면에 관하여 톱니사이의 표면(6)으로 형성된 각도와 같으며, 동시에 대향한 각도(α)(제 2 도)를 이룬다. 같은 주형이나 또는 동일한 주형으로 얻은 접합 엘레멘트가 서로서로 협동할 수 있는 톱니장치를 갖고 있어서 롬니(4)는 톱니사이의 리세스와 결합한다. 접합 엘레멘트(lA)의 톱니(4A)는 접합 엘레멘트(1)의 톱니(4) 사이의 리세스와 정밀하게 결합할 수 있고, 동시에 반대로 엘레멘트(1)의 톱니(4)는 엘레멘트(lA)의 톱니(4A) 사이의 리세스와 결합한다.
톱니의 표면과 톱니사이의 리세스의 표면의 대향하고 있는 경사때문에 서로서로 협동하는 두개의 접합 엘레멘트는 적소에 있을때 길이 방향으로 또 수평으로 스스로 자리를 잡으며, 다른 엘레멘트(lA)의 톱니 사이의 표면(6A)위에서 엘레멘트(1)의 톱니의 표면(3)의 슬라이딩은 엘레멘트(1)의 톱니 사이의 표면(6) 위에서 엘레멘트(lA)의 톱니의 표면(3A)의 반대방향 슬라이딩으로 방지된다.
접합 엘레멘트 또는 형상 엘레멘트는 톱니를 지지하지 않는 표면중 적어도 한 표면위에 선형 엘레멘트를 형성하는 재료안에 묻힌 스틸로드인 연결수단(7)을 갖고 있다. 이들 연결수단은 또한 홈, 요면, 매립섹션등으로 될 수 있으며, 이것으로 선형 엘레멘트는 패널을 형성하는 재료로 저항성이 있고 또 바람직하게는 연속적인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제 1 도 및 2 도에 보인 실시예는 연속적으로 평편한 표면을 형성하도록 조립되어야 하는 패널이나 또는 컴포넌트에 특히 적합하다. 이런 구조의 엘레멘트가 수평 연결을 이루는 경우에 이것은 물이 스며들어오지 않게 하거나 또는 적어도 하부 엘레멘트의 톱니의 표면위의 내리받이 경사에 의해 물이 더 쉽게 빠지게 한다.
그러므로 톱니의 표면(3A)으로 스며드는 물은 톱니 사이의 인접한 표면(6A)을 따라 빠진다.
제 3 도에 나타낸 실시예는 엘레멘트의 평행하며 대향한 측면의 각각에 톱니(8),(9)를 갖고 있는 접합 엘레멘트를 보이고 있다. 가령 이런 엘레멘트는 패널이나 또는 플로어 컴포넌트를 하부 및 상부벽 패널 사이에 유지하는데에 적합하며, 특히 세개의 패널로 이루어지는 적합에 적합하고, 세개의 패널중 하나는 다른두개의 패널에 직각이다.
이 실시예에서 톱니는 연결수단을 지지하는 표면(10)의 부근에 벽기둥(pilaster) 스트립(11)을 형성하고, 이 벽기둥 스트립(11)은 필요할 경우에 시일을 협동하는 수직 패널로 형성한다.
또한 필요시에 지진의 염려가 있는 구역에서 공사하는 경우에 연결 플레이트(12)를 준비하여 사용할 수 있고, 연결 플레이트(12)는 톱니를 지지하는 표면에서 고정되며 벽기둥 스트립(11)과 같은 높이로 되어 있고, 공사작업이 끝날때 연결 플레이트는 용접에 의해 협동하는 패널에 있는 대응 플레이트와 함께 일체로 고정될 것이다.
제 1 도 내지 3도에서 보인 실시예에서 톱니는 사각형 베이스의 각뿔 형상이다. 톱니의 단을 형성하는 모서리를 통하여 지나는 면에 따른 톱니의 색션은 등변 사다리꼴이다.
따라서 이들 양측에 큰 틈새를 갖고 있는 톱니는 자동적으로 두개의 접합 엘레멘트의 톱니의 중심으로 위치하고, 두개의 접합 엘레멘트는 패널과 일체로 되며 거의 조립되어 위치한다.
제 4 도 및 5 도에 보인 실시예에 따라 톱니와 이 톱니사이의 리세스는 톱니의 중간 수평면(M)에 대해 번갈아가며 우측 및 좌측으로 같은 각도만큼 기울어진 다각형 표면을 갖고 있다.
제 4 도 내지 4c 도에 보인 실시예에서 표면(13),(13A)은 제 4a 도의 전개 평면도에 보인 바와같이 마름모꼴이다. 제 4b 도 및 4c 도에 있는 정면도 및 단면도에서 보인 바와같이 톱니장치는 이중으로 된 가상 톱니(14) (15) (pseudo-teetn)의 열을 갖고 있다.
톱니(13)의 마름모꼴 표면과 톱니 사이의 리세스(13A)의 마름모꼴 표면은 삼각형(16)으로 연결된다.
상기 실시예에 따른 톱니의 사용예는 제 8 도에 보이고 있다. 90도로 조립된 지지벽(24),(25)은 패널로 이루어지며, 최소한 패널의 수직 모서리는 자기 위치 결정에 의해 서로 서로 결합하는 톱니 엘레멘트를 갖고 있다. 이와같은 것의 조립에서 상부 모서리는 플로어 패널(26)의 하측의 모서리를 형성한 하향하는 톱니 엘레멘트와 협동하는 상향의 톱니 엘레멘트를 갖고 있다. 건축공사가 도시한 바와같이 한층으로 될때 플로어패널은 상측 모서리에 톱니 엘레멘트를 갖고 있고, 톱니 엘레멘트는 상측으로 향하며 상부 수직 패널(27)및/또는 (28)에 장착된 엘레멘트와 결합한다. 또한 두개의 플로어 패널(26)과 (29)를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고, 플로어 패널의 협동하는 모서리가 톱니 엘레멘트를 갖고 있어서 수직력이 한 패널로부터 다른 패널로 대칭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톱니의 다른 표면과 톱니 사이의 리세스의 다른 표면은 수직축에 관하여 대칭적인 네개의 면에 평행하다. 사용하는 상황에 따라서 마찰로 확실하게 되는 이 힘의 이동은 각각의 네면에 따라 일정한 방향으로 향한 표면의 분포에 비례할 것이다.
더우기 제 4 도 내지 4c 도는 톱니 표면의 완전한 대칭배열을 보인다. 이것으로 평행육면체의 마지막 엘레멘트가 도입되며 자동적으로 위치결정된다.
제 5 도 내지 5c 도에 보인 실시예에서 육각형으로 된 표면(17),(17A)은 상기 실시예에 있는 표면과 같은방식으로 배열되며, 이중으로된 가상 톱니의 열로 톱니 장치를 형성한다.
제 5a 도는 톱니의 전개 평면도이며, 제 5b 도 및 5c 도는 각각 본 실시예의 측면도 및 단면도이다. 톱니(17)와 이 톱니 사이의 리세스(17A)를 형성하는 육각형 표면의 측면(사이)은 삼각형(18)으로 연결된다.
제 6a 도, 6b, 6c 도와 제 7a 도,7b 도는 여러가지 형상을 갖는 접합 엘레멘트의 제조방법의 예를 보이고있다. 제 6a 도 내지 6c 도는 단지 한면에 톱니를 갖고 있는 엘레멘트에 관한 것이고, 특히 같은 면에서 조립되어야 하는 패널에 대해서나 또는 예를들면 플로어 패널과 같은 측면에 톱니를 갖고 있는 다른 엘레멘트에 직각으로 조립될 수 있는 엘레멘트에 대해서 단면(end face)에 톱니를 갖고 있는 엘레멘트에 관한 것이다.
제 6a 도에 보인 주형을 지나는 섹션을 선형 엘레멘트의 두께와 같은 폭을 갖는 톱니의 엘레멘트에 일치하므로써 이 엘레멘트로 형성될 패널의 두께에 일치한다.
제 6b 도는 선형 엘레멘트와 톱니보다 더 두꺼운 패널을 보이며, 톱니는 패널의 중간면에 대해서 중심에 위치한다.
제 6c 도는 톱니보다 더 두꺼운 선형 엘레멘트를 보이지만, 톱니는 패널의 중간면에 대해서 중심이 맞지않게 위치된다.
제 7a 도 및 7b 도는 각각 두 셋트의 톱니가 선형 엘레멘트의 단면(end face)에 밀접하게 형성되는 경우와 그리고 두 셋트의 톱니가 단면(end face)으로부터 어느 거리만큼 떨어져 위치하는 경우에 선형 엘레멘트의 측면 위에 두 셋트의 톱니를 갖고 있는 접합 엘레멘트에 대한 주형의 단면도를 보인다.
쉽게 알 수 있는 바와같이 단일 주형(Single mold)(19)을 이용하고 측면 외벽(side shell)(20) 사이의 거리를 변경시키므로써 일치하는 두께의 패널을 제조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는 두께의 변경으로 엘레멘트를 얻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여러가지 접합 엘레멘트를 매우 쉽게 제조할 수 있다.
두개의 같은 주형(21),(22)(제 7a 도 및 7b 도)으로 측면에 두 셋트의 톱니를 가지며 다양한 두께의 엘레멘트를 얻을 수 있고, 단면(end face)으로부터 톱니의 거리는 웨지(23)을 이용하여 쉽게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접합 엘레멘트의 제조는 아주 미량의 성형 재료를 사용하여 쉽게 변경될 수 있다.

Claims (8)

  1. 컴포넌트가 자기 위치 결정 및 조립 프로필을 갖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와 벽으로 이루어지고, 적어도 하나의 단부 외벽과 측면외벽으로 구성되는 주형안에 플라스틱상태의 재료를 주조하여서 패널을 형성하는 산업건축물용 컴포넌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자기 위치 결정 및 조립 프로필을 갖고 있는 결합된 접합 엘레멘트를 표준화하고, 필요하다면 산업적으로 제조되며 적어도 하나의 연결표면을 갖고 제한하는 형상 엘레멘트를 표준화하는 제 1 단계와, 적절한 길이로 절단되고 측면 외벽으로써 작용하는 접합 엘레멘트, 필요하다면 프로필을 갖고 있지 않는 패널의 모서리용의 주형외벽, 패널의 큰 측면중의 한 측면을 형성하기 위한 주형외벽에 장착되는 한정하는 형상 엘레멘트와, 성형 재료와 접하도록 위치되는 연결 표면들을 조립하는 제 2 단계와, 상기의 단계로 규정된 주형에 플라스틱 상태의 재료를 채우는 제 3 단계와, 채워진 재료를 경화시키는 제 4 단계와, 접합 엘레멘트의 패널과 필요하다면 형상 엘레멘트를 주형에서 제거하는 제 5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건축물용 컴포넌트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단계 및 제 3 단계 사이에서 패널의 제 2 의 큰 측면을 형성하기 위한 제 2 외벽이 접합 및 형상 엘레멘트에 기대어 위치하여서 주형이 수직위치로 배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건축물용 컴포넌트의 제조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제 2 외벽의 외부표면이 제 2 패널의 접합 엘레멘트(들)를 지지하며, 배열상태가 서로서로에 대해 연속으로 배열된 주형을 형성하도록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건축물용 컴포넌트의 제조방법.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주형에 플라스틱상태로 있는 재료를 채우기 위해 주형의 상부가 개구되며, 주형이 채워진 후에 패널의 큰 측면을 한정하는 외벽 사이의 위치에 삽입되는 적절한 접합 엘레멘트로 주형을 막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건축물용 컴포넌트의 제조방법.
  5. 산업 건축물용 컴포넌트의 제조방법을 수행하는 접합 엘레멘트에 있어서, 엘레멘트(1)의 길이 방향의면(5)에 대해서 톱니의 측면(3) 중의 하나가 톱니 사이의 표면(6)으로 형성된 리세스와 같으며, 동시에 대향하는 각을 형성하는 단일 톱니 배열(2)로 표면들중 적어도 한 표면에 자기 위치 결정 프로필을 갖고 있는 각주형 단면의 선형 엘레멘트로 이루어지며, 톱니가 톱니사이의 리세스와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건축물용 컴포넌트의 제조방법을 수행하는 접합 엘레멘트.
  6. 제 5 항에 있어서, 톱니의 측면(3)과 톱니사이의 측면(6)이 다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건축물용 컴포넌트의 제조방법을 수행하는 접합 엘레멘트.
  7. 산업건축물용 컴포넌트의 제조방법을 수행하는 접합 엘레멘트에 있어서, 톱니의 중간면(M)에 대해서 톱니(13),(17)와 톱니 사이의 리세스(13A),(17A)가 좌측 및 우측으로 번갈아가며 같은 각도로 기울어진 적어도 하나의 다각형 표면을 갖고 있는 톱니 배열을 엘레멘트 표면중 적어도 한 표면에 갖고 있는 각주형 단면의 선형 엘레멘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건축물용 컴포넌트의 제조 방법을 수행하는 접합엘레멘트.
  8. 제 5 항 내지 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톱니를 지지하는 표면외의 다른 표면중 적어도 한 표면이 연결수단(7)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건축물용 컴포넌트의 제조 방법을 수행하는 접합 엘레멘트.
KR1019860700316A 1984-10-18 1985-10-16 산업건축물용 컴포넌트의 제조방법과 이 방법을 수행하는 접합 엘레멘트 KR9000036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84-15962 1984-10-18
FR8415962A FR2572011B1 (fr) 1984-10-18 1984-10-18 Procede de fabrication de composants destines a la construction industrialisee de batiments et elements pour la mise en oeuvre dudit procede
PCT/FR1985/000295 WO1986002311A1 (fr) 1984-10-18 1985-10-16 Procede de fabrication de composants destines a la construction industrialisee de batiments et elements pour la mise en oeuvre dudit proced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700132A KR880700132A (ko) 1988-02-15
KR900003645B1 true KR900003645B1 (ko) 1990-05-28

Family

ID=9308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700316A KR900003645B1 (ko) 1984-10-18 1985-10-16 산업건축물용 컴포넌트의 제조방법과 이 방법을 수행하는 접합 엘레멘트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0199751A1 (ko)
JP (1) JPS61502598A (ko)
KR (1) KR900003645B1 (ko)
AU (1) AU5010485A (ko)
DK (1) DK281986A (ko)
FI (1) FI862331A (ko)
FR (1) FR2572011B1 (ko)
OA (1) OA08345A (ko)
WO (1) WO19860023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97295A (zh) * 2012-09-06 2012-11-28 深圳市普源新型材料有限公司 一种齿状钢结构连接节点
JP6387323B2 (ja) * 2015-04-28 2018-09-05 新日鉄住金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プレキャスト床版の接続構造、プレキャスト床版システム、及び橋構造
CN109518615B (zh) * 2019-01-15 2021-02-05 中铁宝桥(扬州)有限公司 一种钢混组合梁预制混凝土桥面板与钢梁高精度叠合方法
JP7231523B2 (ja) * 2019-09-13 2023-03-01 三井住友建設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造の建物及びその構築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089950A (fr) * 1953-04-22 1955-03-24 Procédé de construction d'objets meubles et immeubles par coulage de matières dans des éléments pré-fabriqués de série, et modalités d'applications de ces procédés
JPS496838U (ko) * 1972-04-19 1974-01-21
FR2185131A5 (ko) * 1972-05-18 1973-12-28 Verluise Francois
JPS5652732A (en) * 1979-10-05 1981-05-12 Fuji Photo Film Co Ltd Exposure control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5010485A (en) 1986-05-02
JPS61502598A (ja) 1986-11-13
FI862331A0 (fi) 1986-06-02
FI862331A (fi) 1986-06-02
FR2572011A1 (fr) 1986-04-25
WO1986002311A1 (fr) 1986-04-24
DK281986D0 (da) 1986-06-16
EP0199751A1 (fr) 1986-11-05
DK281986A (da) 1986-06-16
OA08345A (fr) 1988-02-29
KR880700132A (ko) 1988-02-15
FR2572011B1 (fr) 1988-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71693B2 (en) Interlocking masonry blocks
US4614071A (en) Building blocks
US9234349B1 (en) Concrete panel system and method for forming reinforced concrete building components
US4473985A (en) Building block
US4577447A (en) Construction block
EP0025420B1 (en) Prefabricated modular panels for the construction of walls of cottages or of buildings in general
US4551959A (en) Building block
US11077583B2 (en) Precast concrete wall and method
US4182089A (en) Interlocking building block
US5787669A (en) Building components
KR900003645B1 (ko) 산업건축물용 컴포넌트의 제조방법과 이 방법을 수행하는 접합 엘레멘트
CA2158882C (en) Modular building system
CA1194706A (en) Shuttering elements
KR101464073B1 (ko) 거푸집 없이 시공되는 패널 일체형 콘크리트 벽체 및 이를 포함하는 건축 구조물
WO1998040573A1 (en) Device for detachably connecting four prefabricated building units included in a building
JPH0194135A (ja) 吸音性構成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397555B1 (en) Interlocking blocks of precise height
US3759003A (en) Pinned joint
US3964224A (en) Plate-shaped module units
JPH08165604A (ja) ブロック床材
JP2515026Y2 (ja) 最下階スラブの湧水処理構造
JPH0626561Y2 (ja) 舗装ブロック用の敷設枠
JPH0579104A (ja) ブロツク壁成形方法
JPH0211476Y2 (ko)
JPH041913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