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3638Y1 - 자유 발진회로 - Google Patents

자유 발진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3638Y1
KR900003638Y1 KR2019870017679U KR870017679U KR900003638Y1 KR 900003638 Y1 KR900003638 Y1 KR 900003638Y1 KR 2019870017679 U KR2019870017679 U KR 2019870017679U KR 870017679 U KR870017679 U KR 870017679U KR 900003638 Y1 KR900003638 Y1 KR 9000036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stor
capacitor
resistor
sawtooth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176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9713U (ko
Inventor
김명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최근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최근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8700176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3638Y1/ko
Publication of KR8900097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971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36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363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BGENERATION OF OSCILLATIONS, DIRECTLY OR BY FREQUENCY-CHANGING, BY CIRCUITS EMPLOYING ACTIVE ELEMENTS WHICH OPERATE IN A NON-SWITCHING MANNER; GENERATION OF NOISE BY SUCH CIRCUITS
    • H03B5/00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 H03B5/30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being electromechanical resonator
    • H03B5/32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being electromechanical resonator being a piezoelectric resonator
    • H03B5/36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being electromechanical resonator being a piezoelectric resonator active element in amplifier being semiconductor device
    • H03B5/362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being electromechanical resonator being a piezoelectric resonator active element in amplifier being semiconductor device the amplifier being a single transistor

Landscapes

  • Stabilization Of Oscillater, Synchronisation, Frequency Synthesiz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유 발진회로
제1도는 종래의 자유발진 회로도.
제2a도-d도는 제1도 각부의 파형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자유발진 회로도.
제4a도-i도는 제3도의 각부의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미분기 12 : 톱니파 발진기
TR11-TR13: 트랜지스터 R11-R16: 저항
C11-C13: 콘덴서 VR11: 가변저항
본 고안은 동기 신호가 입력될 경우에는 그 동기신호의 주기와 동일한 주기로 톱니파 신호를 출력하고, 동기 신호가 입력되지 않을 경우에는 설정된 일정주기로 톱지파 신호를 출력하는 자유 발진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자유 발진회로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기 신호 입력단자(IN)를 콘덴서(C1) 및 저항(R1)으로된 미분기(1)를 통해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에 접속하고, 트랜지스터(TR1)의 콜렉터는 콘덴서(C2) 및 가변 저항(VR1), 톱니파 발진기(2)의 트리거 단자(T)에 접속하여 구성하였다.
제1도의 도면 설명중 미설명 부호 Vcc는 전원단자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자유 발진회로는 전원단자(Vcc)에 전원이 인가되고, 입력단자(IN)로 동기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전원단자(Vcc)의 전원이 저항(R1)을 통해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에 인가되어 오프되므로 톱니파 발진기(2)는 콘덴서(C2) 및 가변저항(VR1)이 시정수의 주기로 발진하여 출력 즉, 콘덴서(C2)에 제2도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압이 충전 및 방전되면서 톱니파 발진기(2)의 트리거단자(T)에 인가되어 톱니파 발진기(2)는 콘덴서(C2) 및 가변저항(VR1)의 시정수 주기(t1)로 톱니파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입력단자(IN)로 제2도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기신호가 입력되면, 그 입력된 동기신호는 미분기(1)를 통해 제2도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분되어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에 인가되므로 트랜지스터(TR1)는 온.오프를 반복하면서 그의 콜렉터로 펄스신호를 출력하고, 그 출력한 펄스신호는 제2도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덴서(C2)에 충전되면서 톱니파 발진기(2)의 트리거단자(T)에 인가되므로 톱니파 발진기(2)는 콘덴서(C2) 및 가변저항(VR1)의 시정수 주기(t1)보다 짧은 주기(t2)로 발진하여 톱니파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자유 발진 회로는 입력되는 동기 신호의 주기(t2)가 콘덴서(C2) 및 가변저항(VR1)의 시정수 주기(t1)보다 짧은 경우에는 정상적으로 톱니파 신호를 발생하나, 주기(t2)가 주시(t1)보다 길 경우에는 오동작 하게 되는 결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결함을 감안하여, 입력되는 동기신호의 주기에 관계없이 톱니파 신호를 발생하게 안출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제3도 및 제4도의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본 고안의 자유발진 회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기신호 입력단자(IN)가 미분기(11)를 통해 트랜지스터(TR11)의 베이스에 접속되고, 트랜지스터(TR11)의 콜렉터는 콘덴서(C12) 및 가변저항(VR11), 톱니파 발진기(12)의 트리거단자(T)에 접속된 자유발진 회로에 있어서, 상기 입력단자(IN)를 저항(R13)을 통해 콘덴서(C13) 및 트랜지스터(TR12)의 베이스에 접속하고, 트랜지스터(TR12)의 콜렉터는 저항(R14)에 접속함과 아울러 저항(R15)을 통해 트랜지스터(TR13)의 베이스에 접속하며, 트랜지스터(TR13)의 콜렉터는 저항(R16)을 통한 후, 상기 트랜지스터(TR11)의 콜렉터 및 콘덴서(C12), 가변저항(VR11), 톱니파 발진기(12)의 트리거단자(T)의 접속점에 접속하여 구성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제4도의 파형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원단자(Vcc)에 전원이 인가되고, 동기신호 입력단자(IN)로 동기신호가 입력되지 않을 경우에는 전원단자(Vcc)의 전원이 저항(R11)을 통해, 트랜지스터(TR11)의 베이스에 저전위가 인가되어 그가 오프됨과 아울러 트랜지스터(TR12)의 베이스에 저전위가 인가되어 그가 오프되므로 전원단자(Vcc)의 전원이 저항(R14, R15)을 통해 트랜지스터(TR13)의 베이스에 인가되어 그가 온되고, 이에 따라 저항(R16)이 트랜지스터(TR13)을 통해 등가적으로 접지되므로 톱니파 발진기(12)는 저항(R16) 및 가변저항(VR11), 콘덴서(C12)의 시정수 주기로 발진 즉, 콘덴서(C12)에 제4도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압이 충전 및 방전되면서 톱니파 발전기(2)의 트리거단자(T)에 인가되어 톱니파 발진기(12)는 저항(R16) 및 가변저항(VR11), 콘덴서(C13)의 시정수 주기(t11)로 톱니파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입력단자(IN)로 제4도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항(R16) 및 가변저항(VR11), 콘덴서(C12)의 주기(t11)보다, 긴 주기(t12)를 가지는 동기신호가 입력되면, 그 입력된 동기신호는 저항(R13)을 통해 콘덴서(C13)에 제4도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충전 및 방전되면서 트랜지스터(TR12)의 베이스에 고전위를 인가하여, 그가 온 되므로 전원단자(Vcc)의 전원이 저항(R14), 및 트랜지스터(TR12)를 통해 접지되고, 트랜지스터(TR13)의 베이스에는 저전위가 인가되어 오프되며, 저항(R16)은 등가적으로 접지되지 않으며, 또한 입력단자(IN)로 입력된 동기신호가 미분기(11)를 통해 제4도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분된후 트랜지스터(TR11)의 베이스에 인가되어 그가 온.오프를 반복하게 되므로 트랜지스터(TR11)는 콜렉터로 임펄스 신호를 출력하고, 이에 따라 콘덴서(C12)에는 제4도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변저항(VR11) 및 콘덴서(C12)의 시정수로 콘덴서(C12)에 일정전압이 천천히 충전되면서 트랜지스터(TR11)가 온될 때 급속충전 및 방전되어 톱니파 발진기(12)는 일정주기(t12)로 톱니파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입력단자(IN)로 제4도의 (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항(R16) 및 가변저항(VR11), 콘덴서(C12)의 주기(t11)보다, 짧은 주기(t13)를 가지는 동기신호가 입력되면, 그 입력된 동기신호는 저항(R13)을 통해 콘덴서(C13)에 제4도의 (g)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충전 및 방전되면서 트랜지스터(TR12)의 베이스에 고전위를 인가하여, 그가 온 되므로 전원단자(Vcc)의 전원이 저항(R14), 및 트랜지스터(TR12)를 통해 접지되고, 트랜지스터(TR13)의 베이스에는 저전위가 인가되어 오프되며, 저항(R16)은 등가적으로 접지되지 않으며, 또한 입력단자(IN)로 입력된 동기신호가 미분기(11)를 통해 제4도의 (h)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분된후 트랜지스터(TR11)의 베이스에 인가되어 그가 온.오프를 반복하게 되므로 트랜지스터(TR11)는 콜렉터로 임펄스 신호를 출력하고, 이에 따라 콘덴서(C12)에는 제4도의 (i)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변저항(VR11) 및 콘덴서(C12)의 시정수로 콘덴서(C12)에 일정전압이 천천히 충전되면서 트랜지스터(TR11)가 온될 때 급속충전 및 방전되어 톱니파 발진기(12)는 일정주기(t13)로 톱니파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설정된 시정수 보다 짧은 주기로 입력되는 동기신호는 물론 긴 주기를 가지는 동기신호가 입력될 경우에도 톱니파 신호를 정확히 발생시키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콜렉터는 콘덴서(C12) 및 가변저항(VR11), 톱니파발진기(12)의 트리거단자(T)에 접속된 자유발진회로에 있어서, 상기 입력단자(IN)를 저항(R13)을 통해 콘덴서(C13) 및 트랜지스터(TR12)의 베이스에 접속하고, 트랜지스터(TR12)의 콜렉터는 트랜지스터(TR13)의 베이스측에 접속하여, 트랜지스터(TR13)의 콜렉터를 저항(R16)을 통해 상기 트랜지스터(TR11)의 콜렉터 및 콘덴서(C12), 가변저항(VR11), 톱니파발진기(12)의 트리거단자(T)의 접속점에 접속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 발진회로.
KR2019870017679U 1987-10-17 1987-10-17 자유 발진회로 KR9000036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7679U KR900003638Y1 (ko) 1987-10-17 1987-10-17 자유 발진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7679U KR900003638Y1 (ko) 1987-10-17 1987-10-17 자유 발진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9713U KR890009713U (ko) 1989-05-31
KR900003638Y1 true KR900003638Y1 (ko) 1990-04-30

Family

ID=19268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17679U KR900003638Y1 (ko) 1987-10-17 1987-10-17 자유 발진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363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9713U (ko) 1989-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10653A (en) Edge detector circuit and oscillator using same
US4893076A (en) Proximity detector using inductive effect on oscillating circuit the charge of which is controlled by a pulse of short duration
GB1475101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 subnanosecond pulse
KR900003638Y1 (ko) 자유 발진회로
US3155921A (en) Square wave pulse generator having good frequency stability
EP0406917A1 (en) Oscillator
KR900019368A (ko) 주기적인 실질적으로 포물선의 신호를 공급하는 회로장치
KR940020670A (ko) 캐패시터와 저항기로 구성된 필터 회로(filter circuit including resistor and capacitor)
JPH10506251A (ja) 可制御発振器装置
SU1495983A2 (ru) Генератор пилообразного напр жени
SU1647899A1 (ru) Преобразователь напр жение-частота
KR910003924A (ko) 발진기 회로
SU758497A1 (ru) Формирователь импульсов переменной амплитуды
JPH069581Y2 (ja) 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の発振器
SU1473070A1 (ru) Генератор импульсов
KR880001443B1 (ko) 범용 인버터의 주파수 가변회로
JPH08265112A (ja) デユーテイ比補正回路
SU748795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формировани радиоимпульсов
SU1157665A1 (ru) Управл емый генератор импульсов
KR820001798B1 (ko) 제어형 발진회로(制御形發振回路)
SU809518A1 (ru) Генератор пилообразного напр жени
SU1045360A2 (ru) Формирователь линейно-измен ющегос напр жени
SU995328A1 (ru) Таймер
SU1564712A1 (ru) Мультивибратор
SU1764147A1 (ru) Мультивибрато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12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