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3598Y1 - 레이저 픽업용 선형이송장치 - Google Patents

레이저 픽업용 선형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3598Y1
KR900003598Y1 KR2019870003695U KR870003695U KR900003598Y1 KR 900003598 Y1 KR900003598 Y1 KR 900003598Y1 KR 2019870003695 U KR2019870003695 U KR 2019870003695U KR 870003695 U KR870003695 U KR 870003695U KR 900003598 Y1 KR900003598 Y1 KR 9000035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se
output
actuator
linear actuator
lin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036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8512U (ko
Inventor
유해수
Original Assignee
삼성항공산업주식회사
신훈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항공산업주식회사, 신훈철 filed Critical 삼성항공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700036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3598Y1/ko
Publication of KR8800185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851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35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3598Y1/ko

Links

Landscapes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레이저 픽업용 선형이송장치
제1도는 리니어 엑튜에이터 와 트랙킹엑류 에이터의 메카니즘 개략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블럭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제2도의 구체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1위상보상수단 20 : 저역필터부
30 : 제2위상보상수단 40 : 증포부
50 : 제1드라이브 60 : 차동드라이브회로
70 : 반작용 보상수단 80 : 리니어엑튜에이터구동회로
본 고안은 CDP(Compcat Disk Player)의 2단 트랙킹 구조에 있어서, 회전중의 디스크에서 발생하는 좌우 흔들림에 따른 레이저 빔의 이탈장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십 HZ통과 저역필터 이용과 반작용 위상보상으로 리니어 엑튜에이터(Linear Actuator)작용에 따른 트랙킹 엑튜에이터의 흔들림을 제거할 수 있는 레이저 픽업(laser pick up)용 선형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CDP는 소정의 직경을 갖고 있으면서 디스크(Disk)에 기록되어진 음성신호를 재생하는 장치이다. 그러나 디지털 오디오에서 기록되어진 정보를 읽어내기 위해서는 에러 요인들과 서비스 기능을 위한 많은 부가적인 기능을 요하게 된다.
이중에서 회전중의 디스크에서 발생하는 좌우 흔들림으로부터 레이저 빔의 이탈 방지용 구조와 디스크 최내부와 최의각전체에 걸쳐 픽업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조가 존재하는데 이구조를 하나로 일치화 시킬 때 2단 트랙킹 구조라 칭한다.
종래의 2단 트랙킹 구조를 상세히 설명해보면 기구적 구성은 전체이동과 디스크의 큰 진폭의 진동에 대응하는 기어와, 직류 모터에 의해 미끄럼 운동을 하는 리니어 엑튜에이터와 미소 진폭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는 트랙킹 엑튜에이터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리고 트랙킹 엑튜에이터는 일반적인 판스프링 방식과 축지지 방식으로 나누어지는데 구조상 트랙킹 엑튜에이터는 대물렌즈와 구동력을 위한 코일 보빈(Bobbin)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질량이 3g 이하인데 반하여, 리니어 트랙킹은 기구계 전부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트랙킹 액튜에이터보다 10배 정도(30g)가 되어 두 엑튜에이터간의 질량차는 크다.
따라서 계에서 작용은, 즉, 트랙킹 엑튜에이터와 리니어 엑튜에이터간의 작용은 버스에 탑승한 사람과의 유사한 형태로 사람이 자기의사와는 전혀 관계없이 버스에 의해 흔들리듯 트랙킹 엑튜에이터는 자체 동작 요소와는 관계없이 리니어 엑튜에이터의 영향을 받게 되어 작용에 악 영향을 미치게 된다.
상기에서 악영향을 미치는 작용, 반작용 원리를 간단히 설명해보면 상기한 작용, 반작용 법칙에 의해 리니어 엑튜에이터도 트랙킹 엑튜에이터의 영향을 받게 되나 트랙킹 엑튜에이터는 리니어 엑튜에이터보다 상당이 적기 때문에 무시할 수 있다.
제1도를 참조하여 상기한 작용 및 반작용에 따른 운동 방정식을 풀어보면 트랙킹 엑튜에이터의 질량이 mA이고, 리니어 엑튜에이터의 질량이 mM일때 트랙킹 엑튜에이터 질량(mA)는 리이너 엑튜에이터 질량(mM)보다 훨씬 적으므로(mM≥mA)
상기 운동에너지(T)와 위치에너지(U)를 하기한 (3)식의 Lag Range운동방정식에서 보면
L : LagRange함수, D : 점성계수에 의한 영향, T : 운동에너지, U : 위치에너지
B : 자속밀도, ℓ: 코일의 유효길이 iM :리니어 엑튜에이터에 흐르는 전류, S2: 리니어 엑튜에이터가 닿는 면적
따라서, 상기 (4)식과 (5)식의 결과를 보면 (5)식에서이 반작용의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리니어 엑튜에이터와 트랙킹 엑튜에이터의 동작은 독립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므로 리니어 엑튜에이터의 질량(mM)이 트랙킹 엑튜에이터의 질량(mA)보다 매우 크므로 리니어 엑튜에이터의 트랙킹 엑튜에이터에 대한 영향보다 훨씬 크다. 이러한 반작용력은 트랙킹 엑튜에이터에 추가적인 변위를 가져오는데 트랙킹 엑튜에이터의 이동범위는 ±0.2㎜이내로서 매우 작아질 경우(외부에 의한 충격 또는 급속한 이동에는 트랙킹 엑튜에이터는 리니어 엑튜에이터에 의해 종종 이탈되는 경우가 발생된다. 이를 위해 트랙킹 엑튜에이터는 제동력을 지켜야 하고 반작용력을 상세시키는 수단이 필요했었다.
상기 결점을 해결하기 위해 트랙킹 엑튜에이터 구조에서 고무등의 방진재를 채용하여 반작용을 다소 상세시키어 왔으나, 근본적인 해결점은 얻지 못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전기적으로 반작용력을 완전히 상세시켜 주행중 안정한 동작을 할 수 있는 픽업용 선형 이송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블럭도로서 레이저를 이용한 정보 재생과 에러의 보정을 위한 광학계로부터 에러를 검출하여 1차로 위상을 보상하는 제1위상보상수단(10)과, 상게 제1위상보상수단(10)의 출력에서 고역성분을 제거하여 고차공진 영향을 제거하도록 하는 저역필터부(20)와, 상기 저역필터부(20)로부터 재차로 위상을 보상하는 제2위상보상수단(30)과, 상기 제2위상보상수단(30)의 출력을 증폭하는 증폭부(40)와, 상기 증폭부(40)의 출력이 엑튜에이터에서 충분한 구동신호가 되도록 완충하는 제1드라이브는(50)와, 상기 제1드라이브(50)의 출력으로부터 반전 증폭하여 반작용을 보상하는 반작용 보상수단(70)과, 상기 제1위상보상수단(10)과 상기 반작용 보상수단(70)의 출력을 차동증폭한 후 트랙킹 엑튜에이터(TA)에 입력하여 리니어 엑튜에이터(LA)동작에 따른 반작용을 억제하는 차동드라이브회로(60)와 상기 제1드라이브(50)의 신호모터(M)을 구동하여 기어(G31, Ge2)에 의해 리니어 엑튜에이터(LA)를 구동하는 리니어 엑튜에이터 구동회로(80)로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 따른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기술하면 디스크가 회전에 따른 디스크의 흔들림이 발생되거나 리니어 엑튜에이터(LA)의 구동력이 발생되면 디스크로 위상에러 신호를 검출하여 제1위상 보상수단(10)에서 1차로 위상을 보상하여 차동드라이브회로(60)와 저역필터부(20)에 입력한다.
상기 저역필터부(20)에서는 상기에서 검출하여 위상보상 신호의 고주파 부분을 제거한 후 제2위상보상수단(30)에서 위상보상한다.
상기 위상보상 신호를 증폭부(40)에서 증폭하여 리니어 엑튜에이터 구동부(80)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충분히 제1드라이브(50)에서 완충하여 모터를 구동하면 기어(Ge1,Ge2)가 구동되어 리니어 엑튜에이터(LA)를 구동한다.
한편 반작용 보상수단(70)에서는 상기 제1드라이브(50)의 완충출력을 반전 증폭하여 차동 드라이브회로(60)에서 상기 제1위상보상수단(10)의 입력과 비교하여 차동증폭한다.
상기 차동증폭 신호가 트랙킹 엑튜에이터(TA)를 구동하여 반작용을 상세하면 동작을 안정화 한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제2도의 구체회로도로서 제3도 중 R1-R은 저항, C1-C5는 캐패시터, OP1-OP7은 연산증폭기, Q1-Q4는 트랜지스터, L1-L2은 코일, VR1은 가변저항 M은 모터, IC1은 광감지장치이며, 저항(R1-R3), 캐패시터(C1-C2), 연산증폭기(OP1)로 구성된 부분이 제1위상보상수단(10)에 대응하고, 저항(R4-R5), 캐패시터(C3-C4), 연산증폭기(OP2)로 구성된 부분이 저역필터부(20)에 대응하며, 저항(R6-R8), 캐패시터(C5)로 구성된 부분이 제2위상보상수단(30)에 대응하고, 저항(R9-R10), 연산증폭기(OP3)로 구성된 부분이 증폭부(40)에 대응하며, 저항(R11-R16), 연산증폭기(OP4), 트랜지스터(Q1-Q2)로 구성된 부분이 제1드라이브(50)에 대응하고, 가변저항(VR1), 저항(R18-R19), 연산증폭기(OP5)로 구성된 부분이 반작용 보상수단(70)에 대응하며, 저항(R19-R29), 연산증폭기(OP6,OP7), 트랜지스터(Q3,Q4)로 구성된 부분이 차동 드라이브회로(60)에 대응하고, 코일(L1), 모터(M), 저항(R30)으로 구성된 부분이 리니어 엑튜에이터(LA) 구동부(80)에 대응하고, 코일(L2)는 트랙킹 엑튜에이터(TA)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구체적 일실시예를 제3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디스크의 흔들림이나 리니어 엑튜에이터(LA)의 운동에 따른 트랙킹엑튜에이터(TA)운동으로 에러신호를 광감지장치(IC)에서 검출하여 저항(R1)과 캐패시터(C1)와 저항(R3)과 캐패시터(C2)의 시정수에 의해 검출에 따른 위상오차를 연산증폭기(OP1)의 구동으로 위상을 보정하며, 저항(R4)과 캐패시터(C3) 및 저항(R5)과 캐패시터(C4)에 2단 저역필터회로에 의해 고주파 부분을 차단시킨 후 연산증폭기(OP2)의 비반전단(+)으로 입력되는데 일반적으로 저역의 큰 진폭은 리니어 엑튜에이터(LA)가 감당하고, 고역의 저진폭은 트랙킹 엑튜에이터(TA)가 감당하게 되어 있으므로 상기 저역필터링된 출력이 연산증폭기(OP2)에서 증폭되어 출력된다. 이어서 상기 연산증폭기(OP2)의 출력이 저항(R6)과 (R7)에 의해 분압된후 저항(R8)과 캐패시터(C5)에 의해 필터링시 발생된 위상오차를 보정한다.
상기에서 위상 보정된 신호를 연산증폭기(OP3)에서 증폭하여 연산증폭기(OP4)의 비반전단(+)으로 입력한다.
이때 모터(M)에서 흐르는 전류에 의한 반전단(-)의 입력이 연산증폭기(OP4)의 비반전단(+)의 입력보다 클 때 연산증폭기(OP4)의 출력은 "로우'가 되어 분압저항(R15)(R16)에 의해 트랜지스터(Q2)를 온하여 모터(M)에 흐르는 전류가 코일(L1)가 트랜지스터(Q2)의 에미터를 통해 흐르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모터(M)구동으로 제2도 기어(Ge1,Ge2)가 작동되어 리니어 엑튜에이터(LA)가 작용한다. 이때 리니어엑튜에이터(LA)가 크기 때문에 트랙킹엑튜에이터(TA)는 반작용을 한다.
따라서 노드(51)의 출력을 가변저항(VR1)과 저항(R18)을 통해 연산증폭기(OP5)의 반전단(-)으로 입력하면 궤환저항(R17)에 의해 반전 증폭된다.
상기 연산증폭기(OP5)의 출력을 저항(R19)을 통해 연산증폭기(OP6)의 반전단(-)으로 입력하고 상기 연산증폭기(OP1)의 출력을 저항(R21)(R22)에 의해 분압하여 연산증폭기(OP6)의 비반전단(+)으로 입력하여 차동 증폭한 후 연산증폭기(OP7)의 비반전(+)으로 입력한다.
여기서 트랙킹 엑튜에이터(TA)의 코일(L2)을 통한 전류가 상기 연산증폭기(OP7)의 출력보다 클 때 연산증폭기(OP7)의 출력이 "로우"가 되어 저항(R27)(R28)의 분압으로 트랜지스터(Q4)를 온하여 트랙킹 엑튜에이터(TA)을 상기한 반대로 동작하고 상기 연산증폭기(OP2)의 출력이 "하이"이면 저항(R25)(R26)에 의해 분압되어 트랜지스터(Q3)을 온하여 공급전원(Vcc)에 의해 코일(L2)로 전류가 흘려 트랙킹 엑튜에이터(TA)를 구동한다.
한편 상기 연산증폭기(OP4)의 출력이 "하이"일 때 저항(R14)(R13)의 분압에 의해 트랜지스터(Q1)을 온하여 전원(Vcc)이 코일(L1)로 흘려 모터(M)를 구동시켜 리니어 엑튜에이터(LA)를 구동한다.
이에따라 연산증폭기(OP5)에 의해 반전증폭하여 연산증폭기(OP6)의 반전단(+)으로 입력된 연산증폭기(OP6)의 비반전단(+)으로 입력된 연산증폭기(OP1)의 위상보상신호를 차동 증폭하여 증폭된 신호 연산증폭기(OP7)에서 반전단(+)보다 클 때 트랜지스터(Q3)를 온하여 전원(Vcc)을 코일(L2)로 공급한다. 이때 트랙킹 엑튜에이터(TA)가 작용한다.
상술한 바와같이 리니어 엑튜에이터(LA)작용에 따른 트랙킹 엑튜에이터(TA)의 반작용을 억제하는 방향으로 트랙킹 엑튜에이터(TA)가 작용하므로 반작용을 완전히 상세 시킬수 있어 동작의 안정화와 기구적으로 복잡한 장치를 요하지 않으므로 장치의 가격 저렴화를 이룰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리니어 엑튜에이터(LA)와 트랙킹 엑튜에이터(TA)를 구비한 레이저 픽업용 이송장치에 있어서, 레이저를 이용한 정보재생과 에러의 보정을 위한 광학계로부터 에러를 검출하여 1차로 위상을 보상하는 제1위상보상수단(10)과, 상기 제1위상보상수단(10)의 출력에서 고역성분을 제거하여 고차공진 영향을 제어하도록 하는 저역필터부(20)와 , 상기 저역필터부(20)로부터 재차로 위상을 보상하는 제2위상보상수단(30)과, 상기 제2위상보상수단(30)의 출력을 증폭하는 증폭부(40)와, 상기 증폭부(40)의 출력이 엑튜에이터에서 충분한 구동신호가 되도록 완충하는 제1드라이브(50)과, 상기 제1드라이브(50)의 출력으로부터 반전 증폭하여 반작용을 보상하는 반작용 보상수단(70)과, 상기 제1위상보상수단(10)과 상기 반작용 보상수단(70)의 출력을 차동 증폭한후 트랙킹엑튜에이터(TA)에 입력하여 리니어 엑튜에이터(LA)동작에 따른 반작용을 억제하는 차동 드라이브회로(60)와, 상기 제1드라이브(50)의 신호 모터(M)를 구동하여 기어(Ge1,Ge2)에 의해 리니어 엑튜에이터(LA)를 구동하는 리니어 엑튜에이터구동회로(80)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픽업용 선형 이송장치.
KR2019870003695U 1987-11-12 1987-11-12 레이저 픽업용 선형이송장치 KR9000035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3695U KR900003598Y1 (ko) 1987-11-12 1987-11-12 레이저 픽업용 선형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3695U KR900003598Y1 (ko) 1987-11-12 1987-11-12 레이저 픽업용 선형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8512U KR880018512U (ko) 1988-10-29
KR900003598Y1 true KR900003598Y1 (ko) 1990-04-28

Family

ID=19260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03695U KR900003598Y1 (ko) 1987-11-12 1987-11-12 레이저 픽업용 선형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359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8512U (ko) 1988-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817151A (ja) 情報記録再生装置のモータ制御装置
KR900003598Y1 (ko) 레이저 픽업용 선형이송장치
WO2006023260A1 (en) Self-sensing active-damping voice coil
JPH01102783A (ja) トラックジャンプ回路
US5138593A (en) Vibration control for an optical pickup actuator driving device
JP2637609B2 (ja) 磁気再生装置におけるトラッキング制御システム
US5802024A (en)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provided with a spring-supported type one-stage actuator
KR200141486Y1 (ko) 포커스 서보 회로
KR960025431A (ko) 광기록매체 재생시스템의 트랙 점프제어장치
JPS62154327A (ja) アクチユエ−タ装置
JP3271199B2 (ja) クロストーク補償回路
KR940007541Y1 (ko)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액츄에이터 진동 보상장치
KR100382597B1 (ko) 광디스크 구동장치의 트래킹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0113719Y1 (ko) 서보 제어회로
JPH04238169A (ja) トラックジャンプ方式
KR960013490B1 (ko) 광픽업의 대물렌즈 위치보정 장치
WO2002063623A1 (fr) Dispositif et procede de commande de positionnement
JP2001357551A (ja) 光ディスク装置
JPH0570229B2 (ko)
JPS59203277A (ja) 記録情報読取装置
JPH04368638A (ja) サーボ回路
JPH0521699Y2 (ko)
JP2600267B2 (ja) ディジタル制御装置
JP2743113B2 (ja) 光ディスク装置のトラッキングサーボ装置
JP3039715B2 (ja) 光ディスクプレー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