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3543Y1 - 컨버전스 조정회로 - Google Patents

컨버전스 조정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3543Y1
KR900003543Y1 KR2019870014812U KR870014812U KR900003543Y1 KR 900003543 Y1 KR900003543 Y1 KR 900003543Y1 KR 2019870014812 U KR2019870014812 U KR 2019870014812U KR 870014812 U KR870014812 U KR 870014812U KR 900003543 Y1 KR900003543 Y1 KR 9000035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terminal
variable resistor
screen
sawtooth
s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148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5940U (ko
Inventor
우영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최근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최근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8700148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3543Y1/ko
Publication of KR8900059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594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35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354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16Picture reproducers using cathode ray tubes
    • H04N9/28Arrangements for convergence or focu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컨버전스 조정회로
제1도는 일반적인 투사형 텔레비젼수상기를 보인 개략도.
제2도는 종래의 컨버전스 조정회로도.
제3도는 종래의 조정회로에 의한 컨버전스의 왜곡을 보인 그래프.
제4도는 스크린 상의 왜곡을 보인 설명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컨버전스 조정회로도.
제6a~h도는 제5도 각부의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편향요크 OP11: 연산증폭기
VR11-VR12: 가변저항 D11, D12: 다이오드
PA : 파라보라파신호 입력단자 SAW : 톱니파신호 입력단자
본 고안은 수개의 음극선관을 사용하는 투사형 텔레비젼수상기에 있어서, 스크린에 최적의 상태로 확대된 영상이 맺히게 하는 컨버전스 조정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투사형 텔레비젼수상기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극선관, 즉, 투사관(1)(1A)…과, 투사관(1)(1A)…과 영상을 확대시키는 투사렌즈(2)(2A)…와 확대된 영상이 맺히는 스크린(3)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투사관(1)(1A)…에는 편향요크(4A)(4B)…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적색(R) 및 녹색(G), 청색(B) 구동방식일 경우에는 세개의 투사관이 인라인(in-line)으로 설치되어 있고, 이때 중앙의 G투사관(1)을 제외한 R 및 B 투사관 즉, 투사관(1A)은 스크린(3)에 대하여 일정각도 θ로 설치되며, 스크린(3)의 중심에서 일정거리 X까지 투사되는 투사관(1)(A)의 광원의 각도는 각기α 및 β로 된다.
이와 같은 투사형 텔레비젼수상기에 있어서, 종래의 컨버전스 조정회로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라보라파 및 톱니파신호 입력단자(PA)(SAW)를 가변저항(VR1)(VR2)을 통해 연산증폭기(OP1)의 비반전입력단자(+)에 접속하고, 연산증폭기(OP1)의 반전입력단자(-)에는 저항(R1)을 접속하여 출력단자를 편향요크(4)를 통해 저항(R3)에 접속함과 아울러 그 접속점을 저항(OP3)을 통해 상기 연산증폭기(OP1)의 비반전입력단자(+) 및 가변저항(VR1)(VR2)의 접속점에 접속하여 구성하였다.
이와 같이 된 종래의 컨버전스 조정회로는 입력단자(PA)(SAW)로 파라보라파 및 톱니파신호 입력되면 그 입력된 파라보라파 및 톱니파 신호는 가변저항(VR1)(VR2)을 통해 각기 진폭이 조절되고, 연산증폭기(OP1)를 통해 합성 및 증폭된 후 편향요크(4)에 인가되어 편향요크(4)가 자계를 발생하고, 그 발생한 자계로 영상을 편향시키며, 이때 가변저항(VR1)(VR2)의 가변으로 컨버전스를 조정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컨버전스 조정회로는 투사관(1)(1A)의 일렬 배열과 투사렌즈(2)(2A)의 특성에 의해 발생되는 스크린(3)의 화상왜곡을 보정하기 위하여 단순히 편향요크(4)에 인가되는 신호의 진폭 및 위상만을 변화시키므로 광범위한 스크린(3)에서 투사관(1)(1A)의 입사각 α 및 β의 차이로 인한 보정 값 즉,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α-β의 차이로 인하여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크린(3)의 중심부에서 거리 X의 사이에 발생되는 왜곡 △X를 보정할 수 없고 , 또한 스크린(3) 내에서 기준 점을 한점 즉, 스크린(3)의 중심부만을 기준점으로 지정하게 되므로 투사관(1)(1A)에 의한 영상이 왜곡되는 결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결함을 감안하여, 스크린의 전체 부위가 스크린의 중심부와 같은 컨버전스를 이룰 수 있게 안출한 것으로 이를 제5도 제6도의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5도는 본 고안 컨버전스 조정회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톱니파 신호입력단자(SAW)를 위상반전기(11)의 입력단자에 접속하고, 그 톱니파 신호입력단자(SAW) 및 위상반전기(11)의 출력단자를 가변저항(VR11)의 양단자에 각기 접속함과 아울러 그 접속점을 가변저항(VR12)(VR13) 및 다이오드(D11)(D12)를 통한 후, 가변저항(VR14)을 통한 파라보라파신호 입력단자(PA) 및 상기 가변저항(VR11)의 가변단자와 함께 연산증폭기(OP11)의 비반전입력단자(+)에 접속하고, 연산증폭기(OP11)의 출력단자는 편향요크(4)를 통해 저항(R12)에 접속함과 아울러 그 접속점을 저항(R13)을 통해 상기 연산증폭기(OP11)의 비반전입력단자(+) 및 가변저항(VR11,VR1) 다이오드(D11,D12)의 접속점에 접속하여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파라보라파신호 입력단자(PA)로 제6도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라보라파신호가 입력되고, 톱니파 신호입력단자(SAW)로 제6도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톱니파신호가 입력되면, 그 입력된 톱니파 신호는 가변저항(VR12)을 통해 진폭이 조절되고, 제6도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러스 펄스신호만 다이오드(D11)를 통한 후, 가변저항(VR14)을 통해 진폭이 조절된 파라보라파신호와 합쳐지므로 신호의 전반부는 제6도의 (d)에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변환되고, 또한 입력단자(SAW)로 입력된 톱니파신호가 위상반전기(11)를 통해 제6도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상이 반전되고, 가변저항(VR13)을 통해 진폭이 조절되며, 제6도의 (f)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러스 신호만 다이오드(D12)를 통해 파라보라파신호와 합쳐지므로 신호의 후반부는 제6도의 (g)에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변환되어 신호는 전체적으로 제6도의 (h)에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변환되고 그 변환된 신호는 연산증폭기(OP11)를 통해 편향요크(4)에 인가되며, 이때 가변저항(VR11)은 톱니파 신호와 위상이 반전된 톱니파신호를 배분하여 톱니파신호의 전반부와 후반부에 각기 다른 기준신호를 인가하게 되므로 파라보라파 및 톱니파신호의 합성신호의 전반부와 후반부를 가변저항(VR12,VR13)으로 각기 조절하여 스크린(3)의 점 P1및 P2에 맺히는 영상의 컨버전스를 각기 별도로 수행할 수 있어 왜곡 △X에 대하여 보정을 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합성신호와 전반부와 후반부를 각기 조정하므로 스크린과 일정각도를 가지고 설치되는 투사관의 왜곡을 스크린의 두부분에서 각기 조절할 수 있어 스크린에는 최적의 상태로 영상이 맺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파라보라파 및 톱니파신호 입력단자(PA)(SAW)로 입력된 파라보라파 및 톱니파를 합성하고, 연산증폭기(OP11)로 증폭한 후 편향요크(4)에 인가하는 컨버전스 조정회로에 있어서, 상기 입력단자(SAW)를 위상 반전기(11)의 입력단자에 접속하고, 그 입력단자(SAW)와 위상반전기(11)의 출력단자 사이에 가변저항(VR11)을 접속함과 아울러 그 접속점을 가변저항(VR12)(VR13) 및 다이오드(D11)(D12)를 통한 후, 가변저항(VR14)을 통한 상기 입력단자(PA) 및 가변저항(VR11)의 가변단자와 함께 연산증폭기(OP11)의 비반전입력단자(+)에 접속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컨버전스 조정회로.
KR2019870014812U 1987-08-31 1987-08-31 컨버전스 조정회로 KR9000035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4812U KR900003543Y1 (ko) 1987-08-31 1987-08-31 컨버전스 조정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4812U KR900003543Y1 (ko) 1987-08-31 1987-08-31 컨버전스 조정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5940U KR890005940U (ko) 1989-04-21
KR900003543Y1 true KR900003543Y1 (ko) 1990-04-28

Family

ID=19267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14812U KR900003543Y1 (ko) 1987-08-31 1987-08-31 컨버전스 조정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354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5940U (ko) 1989-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19843A (en) Projection type color television system
US3949167A (en) Image-projection system
US4482846A (en) Television line deflection arrangement
KR900003543Y1 (ko) 컨버전스 조정회로
CA1102448A (en) Vertical deflecting circuit
KR860000088B1 (ko) 핀쿳션 보정 회로
US5508593A (en) Differential error convergence correction
JPS61277288A (ja) 投射型テレビジヨン受像装置
JPS61276481A (ja) ダイナミツクフオ−カス回路
US2303898A (en) Television transmitter
JPH0132714B2 (ko)
US3443147A (en) Television cathode ray tube apparatus
US4095143A (en) Electron beam crossover correction circuitry
JPS6127958B2 (ko)
JPH06318850A (ja) コンバーゼンス補正回路
JPS5832381Y2 (ja) 投写形カラ−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920004399Y1 (ko) 편향요크 화상보정 장치
JPH0134454Y2 (ko)
JPS58200671A (ja) 投写形テレビジヨン受像機の垂直偏向回路
JPS62256579A (ja) ダイナミツクフオ−カス回路
JPH03196790A (ja) 液晶プロジェクタ
JPS6232790A (ja) コンバ−ゼンス補正回路
JPS5856590A (ja) 投射型テレビジヨン受像機
JP2982219B2 (ja) コンバーゼンス装置
JP3047981B2 (ja) コンバーゼンス補正装置及び陰極線管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12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