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3532B1 - 알킬 2-카보알콕시-3,4-디알콕시벤젠카바메이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알킬 2-카보알콕시-3,4-디알콕시벤젠카바메이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3532B1
KR900003532B1 KR1019860006156A KR860006156A KR900003532B1 KR 900003532 B1 KR900003532 B1 KR 900003532B1 KR 1019860006156 A KR1019860006156 A KR 1019860006156A KR 860006156 A KR860006156 A KR 860006156A KR 900003532 B1 KR900003532 B1 KR 9000035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methoxybenzenecarbamate
formula
alkyl
compound
lower alk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6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1156A (ko
Inventor
에이. 콘레이 리챠드
엘. 바톤 도날드
Original Assignee
오르토 파마슈티칼 코포레이션
벤자민 에프.램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르토 파마슈티칼 코포레이션, 벤자민 에프.램버트 filed Critical 오르토 파마슈티칼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870001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11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3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35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 C07D239/7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239/72Quinazolines; Hydrogenated quinazolines
    • C07D239/95Quinazolines; Hydrogenated quinazolines with hetero atom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s 2 and 4
    • C07D239/96Two oxy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71/00Derivatives of carbamic acids, i.e. compounds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the nitrogen atom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 C07C271/06Esters of carbamic acids
    • C07C271/08Esters of carbamic acids having oxygen atoms of carbamat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271/26Esters of carbamic acids having oxygen atoms of carbamat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with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amat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Low-Molecular Organic Synthesis Reactions Using Catalys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알킬2-카보알콕시-3,4-디알콕시벤젠카바메이트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하기 일반식(I)의 알킬 2-카보알콕시-3,4-디알콕시 벤젠카바메이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kpo00001
상기식에서, R1, R2, R3및 R4는 탄소수 1 내지 5의 저급 알킬이다.
3,4-디알콕시벤젠카바메이트의 제법은 다음의 도식으로 설명되는 바와같다.
Figure kpo00002
Figure kpo00003
상기식에서, Rl, R2, R3및 R4는 상기 정의한 바와같고, R은 n-부틸, 2급-부틸 또는 3급-부틸이다.특정적으로 제시된 제조방법의 각 단계에서, 생성들들은 기술적 분야의 숙련인에게 공지되어 있는 기술로 분리한다.
상기 도식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먼저 일반식(II)의 3,4-디알콕시아닐린을 알킬할로 프로메이트(예를들면, 에틸 클로로포르메이트 또는 메틸클로로포르메이트), 알킬 카보네이트(예를들면, 에틸 카보네이트)또는 디알킬 디카보네이트(예를들면, 디부틸 디카보네이트)와 반응시켜 일반식(III)의 알킬 3,4-디알콕시벤젠카바메이트를 생성한다. 이 반응은 염기(예를들면, 수산화칼륨, 트리에틸아민, 또는 수산화 나트륨)의 존재하에 적합한 용매(예를들면, 클로로포름, 메틸렌 클로라이드 또는 테트라히드로푸란)중에서 바람직하게 대략 실온에서 수행한다. 이어서 일반식(III)의 알킬 3,4-디알콕시벤젠 카바메이트를 유기리튬 화합물(예를들면, n-부틸리튬, 2급-부틸리튬 또는 3급-부틸리튬)과 반응시켜 상응하는 디리튬 염을 얻고, 이 디리튬염을 동일 반응계 내에서 이산화탄소로 처리하여 일반식(IV)의 알킬 2-카복시-3,4-디알콕시 벤젠카바메이트를 수득한다. 이 반응은 적합한 용매(예를들면, 테트라히드로푸란 또는 디메틸 에테르)중에서-30℃내지 30℃에서 수행한다. 이어서, 일반식(IV)의 산을 에스테르화제[예를들면,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탈, 트리알킬-오르토포르메이트(예를들면, 트리에틸오르토 포르메이트) 또는 알콜(예를들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등등)]로, 적합한 산 촉매(예를들면, 염산, 황산 또는 보론 트리플루오라이드 에테레이트) 존재하에서 에스테르화시켜 일반식(I)의 알킬 2-카보알콕시-3,4-디알콕시 벤젠카바메이트를 수득한다. 이 반응은 적합한 용매중에서 수행해야 하지만 하나이상의 반응물이 액체인 경우, 반응물이 그 반응의 용매로서 작용할 수 있다. 반응은 용매의 환류온도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카보알콕시-3,4-디알콕시벤젠카바메이트는, 계류중인 미합중국 특허원 제653,620호(1984년 9월 24일 출원)에 기술된 것과 같은 8-할로-5,6-디알콕시 퀴나졸린-2,4-디온을 제조하는데 중간체로 유용하다.이러한 디온은 강심제로서 유용하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미합중국 특허원 제653,620호에 기술된 퀴나졸린디온의 제조와 관련된 레지오이성체(regioisomer) 문제를 제거하는 동시에 전체 합성과정을 단축시킨다. 치환된 3,4-디알콕시벤젠-카바메이트의 합성에서 제조된 몇몇의 중간체는 신규의 화합물이며 따라서 그 자체가 본 발명의 한 부분이다.
제조방법에서 사용한 모든 출발물질들은 공지된 물질이거나 기술적 분야의 숙련인이 공지된 물질로부터 쉽게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더욱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며, 이것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것이지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에틸 3,4-디메톡시벤젠카바메이트
메틸렌 클로라이드 5ℓ중 3,4-디메톡시아닐린 919g(6물)의 용액을 2N 수산화나트륨 3.3ℓ로 처리한다. 반응 혼합물을 12℃로 냉각시키고, 에틸클로로-포르메이트 603ml(6.3몰)를 25 내지 30℃의 온도를 유지시키는 속도로 가한다. 반응 혼합물을 2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시킨 후 층들을 분리한다. 수성층을 매회1500㎖의 메틸렌 클로라이드로 3회 추출하고 합한 유기층들을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시켜 다르코(Darco)[활성탄]로 처리한다. 증발시켜 수득한 오일에 에틸아세테이트 3ℓ 및 헥산 1ℓ를 가하여 생성물을 결정화한다.3시간 동안 4℃에서 냉각시킨 후에 생성물을 여과하고 매희 lℓ의 헥산으로 3회 세척한 다음 진공중에서 건조시켜 생성물 1133g(84%)을 수득한다.
융점 : 75 내지 78℃
NMR(CDCl3)δ 1.30(t, 3H, J=7Hz, OCH2-
Figure kpo00004
), 3.83(s, 6H, O
Figure kpo00005
), 4.18(q, 2H, J=7Hz, O
Figure kpo00006
-CH3), 6.58(br s, 1H
Figure kpo00007
), 6.70(m, 2H,
Figure kpo00008
), 7.12(m, 1H,
Figure kpo00009
).
[실시예 2]
에틸 2-카복시-3,4-디메톡시벤젠카바메이트
테트라히드로푸란 5340㎖중 에틸 3,4-디메톡시벤젠카바메이트 450g(2몰)의 용액을 질소대기하에서 제조하고 15℃로 냉각시킨다. 온도가 30℃ 이하로 유지되게 빙수욕에서 냉각시키면서, 헵탄중 1.56M n-부틸리튬 용액 2580ml(4몰)를 천천히 가한다. 다 가한 후에 반응을-10℃로 급히 냉각시키고 1시간 동안 이산화탄소를 버블(bubble)시킨다. 1시간 더 교반시킨 후, 2N 수산화나트륨 2.5ℓ로 반응을 중지시키고 층들을 분리한다. 수성층을 진한 염산 450ml를 사용하여 pH 7로 산성화시키고 매회 1.5ℓ의 메틸렌클로라이드로 2회 추출한다. 이어서, 수성층을 진한 염산 400m1를 사용하여 pH 2로 산성화시키고 매회 1ℓ의 메틸렌 클로라이드로 3회 추출한다. 합한 메틸렌 클로라이드 추출물(pH 2)을 황산마그네슘상에서 건조시키고 다르코(Darco)로 처리한 후, 증발시켜 생성물 247g(46%)를 수득한다.
융점 : 118 내지 120℃
NMR(CDCl3)δ 1.35(t, 3H, J=7 Hz, OCH2-
Figure kpo00010
), 3.88(s, 3H, O
Figure kpo00011
), 4.22(q, 2H, J=7Hz, OCH2-
Figure kpo00012
), 7.13(d, 1H J=10hZ,
Figure kpo00013
), 8.20(d, 1H J=10hZ,
Figure kpo00014
), 8.75(br s, 1H,
Figure kpo00015
), 10.52(br S, 1H, CO2
Figure kpo00016
).
[실시예 3]
에틸 2-카보에톡시-3,4-디메톡시벤젠카바메이트
트리에틸오르토포르메이트50ml(90밀리몰)중 에틸 2-카복시-3,4-디메톡시벤젠카바메이트10.8g(40밀리몰)의 용액을 제조하여 10℃로 냉각시키고, 디메틸포름아미드 디에딜아세탈 12ml(70밀리몰)를 천천히 가한다. 용액을 3시간 동안 환류시켜 가열하고 실온으로 냉각시킨 다음 증발시켜 오일을 수득한다. 메틸렌 클로라이드(50ml)를 가한 다음, 용액을 매회 25m1의 1N 염산으로 2회, 매회 25㎖의 1N 수산화나트름으로 2회 및 매희 25ml의 물로 2회 계속해서 추출한다. 유기층을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시키고 증발시켜, 생성물11.8g(90%)을 오일로서 수득하는데 이는 방치시 고체화된다.
NMR(CDCl3)δ1.35(m,6H,중첩
Figure kpo00017
),3.83(s,3H,O
Figure kpo00018
),3.85(s,3H,O
Figure kpo00019
),4.2n(m,4H,-중첩
Figure kpo00020
),6.97(d,1H, J=9Hz,
Figure kpo00021
),7.75(d,1H, J=9Hz,
Figure kpo00022
),8.17(s,1H,
Figure kpo00023
).
[실시예 4]
메틸 3,4-디메톡시벤젠카바메이트
메틸렌 클로라이드 60㎖중 3,4-디메톡시-아닐린 15.3g(0.1몰)의 용액을 2N 수산화나트름 55㎖로 처리한다. 반응 혼합물을-5℃로 냉각시키고, 반응온도를 15 내지 25℃로 유지시키면서 메틸 클로로포르메이트 7.4ml(0.096몰)를 가한다. 10 내지 2℃에서 1.5시간 동안 반응물을 교반시킨 다음 물 50㎖를 가한다. 층들을 분리시키고 수성층을 메희 l00㎖의 메딘렌 글로라이드로 4회 추출한다. 합한 메틸렌 클로라이드 층들을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시키고 다르코(Darco)로 처리한 다음, 증발시켜 수득한 페이스트를 에틸 아세테이트 10㎖ 및 헥산 10㎖로 재결정화하여 생성물 18.4g(98%)을 수득한다.
융점 : 83 내지 87℃
NMR(CDCl3)δ3.75(s,3H,O
Figure kpo00024
),3.85(s,3H,O
Figure kpo00025
),6.63(brs,1H,
Figure kpo00026
), 6.73(m,2H,
Figure kpo00027
), 7.13(m, 1H,
Figure kpo00028
) .
[실시예 5]
메틸 2-카복시-3,4-디메톡시벤젠카바메이트
테트라히드로푸란 25㎖중 메틸 3,4-디메톡시-벤젠카바메이트 2.11g(0.01몰)의 용액을 질소 대기하에서 제조하고 0℃로 냉각시킨다. 온도가 15 내지 20℃로 유지되게 냉각시키면서, 헵탄중 1.57M n-부틸리륨용액 13.4ml(0.021몰)를 가한다. 이어서, 반응물을 0 내지 10℃에서 1.5시간 동안 교반시키고 냉각시키면서 1시간 동안 이산화탄소를 버블시킨다. 생성된 슬러리에 물 15㎖ 및 1N 수산화나트름 25ml를 가하여 반응을 중지시킨다. 메틸렌 클로라이드(25ml)를 가하고 층들을 분리한 다음, 메틸렌 클로라이드를 1N 수산화나트름 25㎖로 추출한다. 합한 염기성 수성층을 진한 염산을 사용하여 pH 1 내지 2로 산성화한 후 매회25㎖의 에틸 에테르로 4회 추출한다. 합한 에테르 추출물을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시키고 증발시켜 생성물1.62g(64%)을 오일로서 수득한다.
MR(CDCl3)δ3.77(s,3H,O
Figure kpo00029
),3.g0(s,3H,O
Figure kpo00030
),4.07(s,3H,O
Figure kpo00031
),7.15(d,1H, J=10Hz,
Figure kpo00032
),7.23(s,1H,
Figure kpo00033
),8.13(d,1H, J=10Hz,
Figure kpo00034
),10.88(s,1H, CO2
Figure kpo00035
).
[실시예 6]
메틸 2-카보메톡시-3,4-디메톡시벤젠카바메이트
트리메틸오르토포르메이트 35ml 및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탈 4ml중 메틸 2-카복시-3,4-디메톡시벤젠카바메이트 1.6g(6.3밀리몰)의 용액을 제조하여 2.5시간 동안 환류시킨다. 반응 혼합물을 증발시키고 에틸 에테르 50ml를 가한다. 에테르층을 매회 25㎖의 1N 수산화나트름으로 2회 추출하고 황산마그네슘상에서 건조시킨 후 증발시켜 생성물 1.5g(89%)을 고체로서 수득한다.
NMR(CDCl3)δ 3.73(s, 3H, OC
Figure kpo00036
3
Figure kpo00037
3
Figure kpo00038
3
Figure kpo00039
3
Figure kpo00040
),7.73(d,lH, J=9Hz, Ar
Figure kpo00041
), 9.85(s,1H, N
Figure kpo00042
).
[실시예 7]
3급-부틸 3,4-디메톡시벤젠카바메이트
메틸렌 클로라이드 500ml중 3,4-디메톡시-아닐린 30.6g(0.2몰)의 용액을 제조한다. 디-3급-부틸 디카보네이트(48.5㎖-0.21몰)을 가하고 용액을 4.5시간 동안 환류시킨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에 메틸렌클로라이드 1000mI를 가하고 매회 250㎖의 몰로 3회 추출한다. 메틸렌클로라이드 용액을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시키고, 다르코로 처리한 후, 증발시켜 오일을 수득한다. 조생성물을 따뜻한 이소프로판올 50㎖중에 용해시키고 다르코 30g으로 처리한다. 물(100ml)을 가하고 생성물을 침전시킨다. 빙수욕에서 1시간 동안 냉각시킨 후, 생성물을 여과하고 매회 25ml의 물로 3회 세척한다. 진공중에서 밤새 건조시켜 생성들37.5g(74%)을 수득한다.
융점 : 93 내지 96℃
NMR(CDCl3)δ 1.50(s,9H, C-C
Figure kpo00043
3),3.82(s,3H,OC
Figure kpo00044
3),3.85(s,3H,OC
Figure kpo00045
3),6.48(br s,1H,N
Figure kpo00046
),6.70(m,2H, Ar
Figure kpo00047
),7.12(m,1H, Ar
Figure kpo00048
).
[실시예 8]
3급-부틸 2-카복시-3,4-디메톡시벤젠카바메이트
테트라히드로푸란 30ml중 3급-부틸 3,4-디메톡시벤젠카바메이트 2.53g(0.01몰)의 용액을 질소 대기하에서 제조하여-10℃로 냉각시킨다. 헥산중 n-부틸리튬(1.55M 용액 14.2ml,0.022몰)을 온도를 20℃로유지하면서 천천히 가한다. 15분 동안 교반시킨 후, 반응물을-5℃로 냉각시키고 15분 더 교반시킨다.15분 동안 이산화탄소를 버블시키고 물 100㎖를 가하여 반응을 중지시킨다. 메틸렌 클로라이드(100ml) 및 1N 수산화나트륨 50㎖를 가하고 층들을 분리한다. 메틸렌 클로라이드층을 1N 수산화나트름 50mI로 추출하고 합한 염기성 수성층들을 진한 염산 10ml를 사용하여 pH 1 내지 2로 산성화한다. 산성화한 용액을 매회100m1의 메틸렌 클로라이드로 3회 추출하고 합한 메틸렌 클로라이드층을 황산나트름상에서 건조시킨 다음증발시켜 생성물 1.55g(52%)를 오일로서 수득하는데, 이는 방치시 고체화 된다.
NMR(CDCl3)δ 1.52(s,9H, C-C
Figure kpo00049
3),3.88(s,3H,OC
Figure kpo00050
3),4.05(s,3H,OC
Figure kpo00051
3),7.12(d,1H, J=9Hz, Ar
Figure kpo00052
),7.25(s,1H, N
Figure kpo00053
),8.27(d,1H, J=9Hz, Ar
Figure kpo00054
).
[실시예 9]
3급-부틸 2-카보메톡시-3,4-디메톡시벤젠카바메이트
3급-부틸 2-카복시-3,4-디메톡시벤젠카바메이트 2.18g(7.3밀리몰), 디메틸포름아미드디메틸아세탈 3㎖(22.6밀리몰) 및 트리메틸오르토포르메이트 50㎖의 용액을 제조하여 3시간 동안 환류시킨다. 반응 혼합물을 증발시켜 수득한 오일을 에틸에테르 150㎖에 용해한다. 에테르 용액을 포화중탄산나트트륨용액 100㎖및 포화 염화나트름 100㎖로 추출한다. 황산마그네슘상에서 건조시킨 후증발시켜 생성물 1.9g(84%)를 오일로서 수득한다.
NMR(CDCl3)δ 1.50(s,9H,C-C
Figure kpo00055
3),3.83(s,3H,OC
Figure kpo00056
3),3.85(s,3H,OC
Figure kpo00057
3),3.93(s,3H,OC
Figure kpo00058
3),6.95(d,1H, J=9Hz, Ar
Figure kpo00059
),7.73(d,1H, J=9Hz, Ar
Figure kpo00060
),7.97(s,1H, N
Figure kpo00061
).
8-클로로-5,6-디메톡시퀴나졸린-2,4-디온의 제조.
A. 메틸 2-카보메톡시-6-클로로-3,4-디메톡시 벤젠-카바메이트
클로로포름 50㎖중 메틸 2-카보메톡시-3,4-디메톡시벤젠카바메이트 1.35g(5.0밀리몰)의 용액을 제조하여 10℃로 냉각시킨다. 술푸릴 클로라이드(0.4㎖/5.0밀리몰)를 천천히 가하고 반응물을 10 내지 15℃에서 1.5시간 동안 교반시킨다. 이어서 반응물을 1N 수산화나트륨 50㎖로 1회 및 매회 50㎖의 증류수로 2회추출한다. 클로로포름 용액을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시키고 다르코로 처리한 다음, 증발시켜 생성물 1.35g(89%)을 오일로서 수득하는데, 이는 방치시 고체화 된다.
NMR(CDCl3)δ3.73(s,3H,OC
Figure kpo00062
3)3.87(s,3H,OC
Figure kpo00063
3)3.90(s,3H,OC
Figure kpo00064
3)3.95(s,3H,OC
Figure kpo00065
3),6.47(s,1H, N
Figure kpo00066
),7.02(s,1H, Ar
Figure kpo00067
).
B.8-클로로-5,6-디메톡시퀴나졸린-2,4-디온
메틸 2-카보메톡시-6-클로로-3,4-디메톡시-벤젠카바메이트 1.21g(4.0밀리몰) 및 암모늄 아세테이트 3.17g(20밀리몰)의 혼합물을 제조하고 128℃로 가열하여 용액을 수득하는데 이는 한시간 후에 백색 고체가 침전된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물 25㎖를 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5℃로 냉각시킨다.생성물을 여과하고 매회 5ml의 증류수로 2회 및 메탄올 l0㎖로 1회 세척한다. 진공중에서 건조시켜 백색생성물 500mg(49%)을 수득한다.
융점 : 286 내지 289℃
NMR(TFA)δ4.02(s,3H,OC
Figure kpo00068
3),4.12(s,3H,OC
Figure kpo00069
3),7.60(s,1H, Ar
Figure kpo00070
), 9.68(br s,1H, N
Figure kpo00071
)

Claims (12)

  1. 일반식(II)의 화합물을 일반식(V)의 알킬 카보네이트와 반응시켜 일반식(ll1)의 3,4-디알콕시-벤젠카바메이트를 형성시키고, 이 카바메이트를 유기리튬 시약과 반응시킨 다음, 수득된 생성물을 이산화탄소와 반응시켜 일반식(IV)의 산을 생성시키고, 이 산을 에스테르화제와 반응시킴을 특징으로 하여, 일반식(I)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Figure kpo00072
    Figure kpo00073
    상기식에서, R1, R2, R3및 R4는 저급 알킬이고, R5는 염소, 브롬 OR 또는 OCOOR(여기서, R은 저급 알킬이다)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알킬 카보네이트가 에틸 클로로 카보네이트, 메틸 클로로카보네이트 및 디-3급-부틸 디 카보네이트중 선택한 것인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유기 리튬 화합물 (
    Figure kpo00074
    )-부틸 리튬인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에스테르화제가 디메필포름아미드,디알킬아세탈, 트리알킬오르토포르메이트 및 저급 지방족 알콜산 혼합물중 선택한 것인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에스테르화제가 트리메틸오르토 포르메이트인 방법.
  6. 하기 일반식(I)의 화합물.
    Figure kpo00075
    상기식에서, R3및 R4는 저급 알킬이고 : Rl는 직쇄 또는 측쇄 저급 알킬이며; R2는 수소 또는 저급 알킬이다.
  7. 제 6 항에 있어서, 에틸 2-카보에톡시-3,4-디메톡시벤젠카바메이트인 화합물.
  8. 제 6 항에 있어서, 메틸 2-카보메톡시-3,4-디메톡시벤젠카바메이트인 화합물.
  9. 제 6 항에 있어서,3급-부틸 2-카보메톡시-3,4-디메톡시벤젠카바메이트인 화합물.
  10. 제 6 항에 있어서, 3급-부틸 2-카복시-3,4-디메톡시벤젠카바메이트인 화합물.
  11. 제 6 항에 있어서, 에틸 2-카복시-3,4-디메톡시벤젠카바메이트인 화합들.
  12. 제 6 항에 있어서, 메틸 2-카복시-3,4-디메톡시벤젠카바메이트인 화합물.
KR1019860006156A 1985-07-29 1986-07-28 알킬 2-카보알콕시-3,4-디알콕시벤젠카바메이트의 제조방법 KR9000035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59975 1985-07-29
US06/759,975 US4617417A (en) 1985-07-29 1985-07-29 Alkyl 2-carboalkoxy-3,4-dialkoxybenzenecarbamates and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1156A KR870001156A (ko) 1987-03-11
KR900003532B1 true KR900003532B1 (ko) 1990-05-21

Family

ID=25057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6156A KR900003532B1 (ko) 1985-07-29 1986-07-28 알킬 2-카보알콕시-3,4-디알콕시벤젠카바메이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4617417A (ko)
EP (1) EP0210857A1 (ko)
JP (1) JPS6253956A (ko)
KR (1) KR900003532B1 (ko)
AU (1) AU6063086A (ko)
DK (1) DK358386A (ko)
ES (1) ES2001167A6 (ko)
FI (1) FI863085A (ko)
GR (1) GR861974B (ko)
HU (1) HUT42061A (ko)
NO (1) NO863045L (ko)
ZA (1) ZA86562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04244A1 (en) * 1994-08-05 1996-02-15 Warwick International Group Limited Bleach activators
GB2295314A (en) * 1994-11-23 1996-05-29 Neil Christopher Clark Cot ma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74882A (en) * 1968-05-17 1972-07-04 Sandoz Ag Dichloro trifluoromethyl phenyl lithium
GR76941B (ko) * 1980-11-07 1984-09-04 Sumitomo Chemical Co
US4608385A (en) * 1981-10-29 1986-08-26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Fungicidal N-phenylcarbamates
US4605668A (en) * 1983-05-17 1986-08-12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Fungicidal carbamate compoun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617417A (en) 1986-10-14
ES2001167A6 (es) 1988-05-01
AU6063086A (en) 1987-02-05
ZA865627B (en) 1988-03-30
GR861974B (en) 1986-12-22
NO863045L (no) 1987-01-30
DK358386D0 (da) 1986-07-28
NO863045D0 (no) 1986-07-28
EP0210857A1 (en) 1987-02-04
DK358386A (da) 1987-01-30
JPS6253956A (ja) 1987-03-09
HUT42061A (en) 1987-06-29
FI863085A (fi) 1987-01-30
KR870001156A (ko) 1987-03-11
FI863085A0 (fi) 1986-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25585A (en) Production of fluoxetine and new intermediates
WO2003040120A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dronedarone
FI59991B (fi)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av 2-arylamino-2-imidazolin-derivat och deras salter
US20010011142A1 (en) Processes and intermediates useful to make antifolates
KR900003532B1 (ko) 알킬 2-카보알콕시-3,4-디알콕시벤젠카바메이트의 제조방법
US4851588A (en) Novel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bronopol
US6329536B1 (en) Stereoselective process for producing nitro compounds
US4009172A (en) 2,3,3A,6,7,7A-Hexahydro-thieno[3,2-b]pyridin-(4H)5-ones
JP2818476B2 (ja) 塩素化ニコチンアルデヒドの製造法
KR910003630B1 (ko) 벤조일 아세틱 에스테르 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
US4731480A (en) Process for preparing 2-acyl-3,4-dialkoxyanilines
US4633013A (en) Preparation of α-haloacetoacetic esters
EP0183797B1 (en) 5-halo-4h-1,3-dioxin-4-one compounds,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and their use in the preparation of alpha-halo-acetoacetic esters
CZ282906B6 (cs) Způsob přípravy kyseliny 2,2-dimethyl-5-(2,5-di methyl-phenoxy)pentanové, meziprodukty a způsob přípravy meziproduktů
US4883787A (en) Process for preparing 2-acyl-3, 4-dialkoxyanilines
KR900003788B1 (ko) 5,6-디알콕시 안트라닐산의 제조방법
EP0212868B1 (en) Process for preparing 2-acyl-3,4-dialkoxyanilines
KR870001044B1 (ko) 디히드로-1,4-옥사티인 유도체의 제조방법
JPH0124782B2 (ko)
CA1248125A (en) 5-HALO-4H-1,3-DIOXIN-4-ONE COMPOUNDS, .alpha.-HALO- ACETOACETIC ESTERS PREPARED FROM SUCH COMPOUNDS AND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US4582913A (en) 5-halo-4H-1,3-dioxin-4-one compounds
US4235813A (en) Aromatic sulfonamide sulfonyl chloride compounds
KR910004131B1 (ko) 4,4'-비스(클로로메틸)비페닐의 제조방법
KR840000240B1 (ko) 5-메르캅토-1,2,3-트리아졸의 제조방법
JPS59130278A (ja) 2−アルキルチオメチル−4−ヒドロキシピリミジン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