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3179Y1 - 카세트 도어의 록킹 장치 - Google Patents

카세트 도어의 록킹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3179Y1
KR900003179Y1 KR2019860021892U KR860021892U KR900003179Y1 KR 900003179 Y1 KR900003179 Y1 KR 900003179Y1 KR 2019860021892 U KR2019860021892 U KR 2019860021892U KR 860021892 U KR860021892 U KR 860021892U KR 900003179 Y1 KR900003179 Y1 KR 9000031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deck
door
cassette door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218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3390U (ko
Inventor
박명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구자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구자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8600218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3179Y1/ko
Publication of KR8800133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339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31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3179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75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Landscapes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카세트 도어의 록킹 장치
제1도는 종래의 록킹 장치에 대한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록킹 장치에 대한 분리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설치 상태 측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동작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카세트 도어 1a : 록크편
3 : 섀시 4 : 이젝트노브
6 : 노름편 7 : 동작레버
7a : 유동홈 8 : 핀
10 : 인장스프링 11 : 괘정편
본 고안은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의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데크의 구조상 도어 록킹 장치가 없고, 콤팩트한 세트 내부의 기구적인 구조상 공간 배치에 어려움이 있을 때 그리고 소프트 텃치식 데크메카니즘을 사용하는 세트에서 섬세한 데크 동작이 요구되어 데크와는 별도의 록킹 장치가 필요할 때 섀시의 측면에 설치한 록킹 장치를 사용하여 카세트 도어를 개폐하기에 적당한 구조에 관한 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카세트 도어의 록킹 장치는 메카니즘의 구조를 형성하는 데크 자체에 록킹 장치를 설치한 것으로, 그 구조를 제1도의 사시도로 살펴보면 이젝트노브(4)를 데크(2)의 이젝트편(5)에 설치한 상태에서 힌지핀(3a)을 데크(2)에 형성하여 회동레버(13)를 삽지하고 그 상부에 돌출구(14)를 세워 괘정편(11)을 돌출구(14)에 삽지한 상태에서 회동레버(13)와 인장스프링(10)을 연결시켰다.
따라서 도어(1)를 열고자할 때 이젝트노브(4)를 누르면 이젝트 판(5)의 누름편(6)이 회동레버(13)를 통해 괘정편(11)을 상승시켜 걸려있던 록킹편(1a)에서 벗어나게 되며 그와 동시에 도어(1)가 열리게 되었던 것이다.
그리고 열린 도어를 닫을때에 도어를 손으로 밀어서 닫게되면 도어(1)의 록킹편(1a)은 데크(2)의 돌출구(14)에 끼워진 괘정편(11)을 닫는 힘을 밀면서 록킹 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록킹 상태에서 섬세한 동작을 요구하는 소프트식 데크일 경우 록킹 구조가 데크에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데크의 동작에 불필요한 힘이 가해지고 이것이 반복적으로 작용할 때 피로도가 더해져서 데크 메카니즘에 무리가 오게 되었으며, 상기의 록킹 상태에서 컴팩트한 세트의 경우 데크 자체에 구성한 구조물이 설치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며, 또한 타조물에 접촉될 우려가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록킹 장치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이젝트노브의 누름편과 유동홈이 형성된 동작 레버를 동작레버의 핀으로 접촉 연결시키고, 카세트도어의 록크편으로 록킹 해제되는 괘정편을 인장스프링으로 탄지하여, 상기 동작 레버와 괘정편이 별개의 섀시 접촉 연동하게 설치하여서 설치 공간을 최소한으로 차지하게 하면서 록킹시 데크에 가해지던 불필요한 힘을 받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으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로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의 기능을 형성한 데크(2)에는 이젝트장치중 이젝트노브(4)와 누름편(6)이 형성된 이젝트 판(5)만을 설치하고, 그외의 동작레버(7)와 괘정편(11)은 별도로 형성한 섀시(3)에 설치한다.
섀시(3)는 캐비네트에 설치되게한 구성으로 사출성형 또는 프레스 가공하여 그 단면을 ㄱ 형으로 절곡하고 일측면에 포밍 형태로 형성한 안내편(3a)으로 동작레버(7)를 삽지하고 타측면에는 동작레버(7)의 유동홈(7a)에 일단을 접촉시키며 타단에는 괘정돌기(11a)를 형성한 괘정편(11)을 힌지핀(9)으로 유착시키고, 유동홈(7a)과 접촉하는 일단과 안내편(3a)에 인장스프링(10)을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된 본 고안을 조립하면 제3도와 같이 데크(2)에 위치한 이젝트판(5)의 누름편(6)과 별도의 섀시(3)에 설치한 동작레버(7)의 핀(8)은 접촉면적을 넓힌 안착홈(6a)에서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이젝트노브(4)를 누르게 되면 노브(4)에 가해진 모든 힘이 이젝트판(5)의 누름편(6)을 통해 핀(8)전달되고 이힘은 동작레버(7)을 섀시3에서 하강시킨다.
동작레버(7)가 하강하게 되면서 유동홈(7a)은 괘정편(11)의 일단을 누르게되어 힌지핀(9)을 중심으로 괜정편(11)의 타단 즉 괘정돌기(11a)는 상측으로 돌려 괘지하고 있던 도어(1)의 록킹편(1a)을 놓아주게되며 이와 동시에 도어(1)는 스프링의 탄발력으로 열리게 된다.
상기의 도어 열림 과정에서 데크(2)에 가하는 힘은 종래와 같이 데크(2)자체에서 록킹편으로 전달되는 것이아니고 데크(2)와는 별개의 구성인 섀시(3)로 전달되기 때문에 데크(2)에서는 노브(4)를 누르는 힘만 형성되고, 섀시(3)에서는 괘정편(11)을 누르는 힘이 가해진다.
따라서 이 힘들은 소프트 텃치식 제품이나 컴팩트한 제품에서 도어를 열기 위해 누르던 종래의 힘보다 매우 적은 힘으로 누를 수 있고, 그 힘으로 도어가 열려지는 것이다.
특히 동작레버(7)의 핀(8)과 누름편(6)의 안착홈(6a)은 설치 공간을 적게 차지하는 구조물에서 접촉면적을 증가시킨 효과로 힘의 전달 효율을 향상시켜 준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카세트 도어 록킹 장치는 힘의 발생부인 가압부와 동작부를 분리시켜 주므로서 좁은 공간에서 각각의 동작이 확실하여 노브의 동작을 유연하게 할 수 있어서 데크기능이 향상되는 것이다.
그리고 록킹 구조가 분리되므로 조립작업을 용이하게 할수 있으면서 구조가 간단하여 컴팩트한 내부 구조의 데크 후면과 주위로 기구물들을 배치하기에 효과적인 것이다.

Claims (1)

  1. 카세트 도어(1)의 개폐 장치를 형성함에 있어서, 이젝트노브(4)의 누름편(6)과 유동홈(7a)이 형성된 동작레버(7)를 동작레버의 핀(8)으로 접촉 연결시키고, 카세트 도어(1)의 룩크편(1a)에서 록킹 해제되는 괘정편(11)을 인장스프링(10)으로 탄지하여, 상기 동작레버(7)와 괘정편(11)이 별개의 섀시(3)에서 접촉 연동하게 설치하여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도어의 록킹 장치.
KR2019860021892U 1986-12-30 1986-12-30 카세트 도어의 록킹 장치 KR9000031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21892U KR900003179Y1 (ko) 1986-12-30 1986-12-30 카세트 도어의 록킹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21892U KR900003179Y1 (ko) 1986-12-30 1986-12-30 카세트 도어의 록킹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3390U KR880013390U (ko) 1988-08-30
KR900003179Y1 true KR900003179Y1 (ko) 1990-04-14

Family

ID=19258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21892U KR900003179Y1 (ko) 1986-12-30 1986-12-30 카세트 도어의 록킹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317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3390U (ko) 1988-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28204A (ko) 착탈식 캠코더
KR900003179Y1 (ko) 카세트 도어의 록킹 장치
US4099757A (en) Door catches
GB2306052A (en) Over centre toggle latch with integral switch
KR900003396Y1 (ko) 카세트 데크의 이젝트 장치
KR930004602Y1 (ko) 리모콘 케이스 결합구조
KR900005079Y1 (ko) 브이씨알의 카세트 삽입 가이드장치
ES2048063A2 (es) "cassette de video cinta con disposicion combinada de puerta antipolvo y muelle de bloqueo para dicha puerta".
KR940002122Y1 (ko) 캠코더의 테이프 안내장치
KR920003450Y1 (ko) 팩시밀리의 스켄어박스 개폐장치
KR900003178Y1 (ko)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vtr)용 판넬 도어 개폐 장치
KR920003899Y1 (ko) 전자렌지의 도어 개폐장치
KR930004632Y1 (ko) 비디오 카세트 커버용 록커(locker)의 스프링 장치
GB2199612A (en) Door lock arrangement
KR200147588Y1 (ko) 자동 잠김 도어록의 자동 잠김 방지 장치
KR920003520Y1 (ko)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도어 개폐장치
KR900009247Y1 (ko) 전자기기의 도어 개폐장치
KR930004289Y1 (ko) Vcr의 프론트도어 로킹장치
KR900001427Y1 (ko) 푸시도어의 개폐장치
KR870002917Y1 (ko) 카세트 테이프의 도어 개폐장치
KR970001198Y1 (ko) 자동차용 글로브 박스의 로킹 장치
KR890004464Y1 (ko) 푸쉬 스위치에 의한 도어 개폐 장치
KR900003457Y1 (ko) 자동 응답 전화기의 덮개 개폐장치
KR960004856Y1 (ko) 가구용 도어 개폐장치
KR910009147Y1 (ko) 도어 개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122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