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7726Y1 - 비디오 테이프 이젝트장치 - Google Patents

비디오 테이프 이젝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7726Y1
KR890007726Y1 KR2019860012754U KR860012754U KR890007726Y1 KR 890007726 Y1 KR890007726 Y1 KR 890007726Y1 KR 2019860012754 U KR2019860012754 U KR 2019860012754U KR 860012754 U KR860012754 U KR 860012754U KR 890007726 Y1 KR890007726 Y1 KR 8900077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spring
pin
piece
j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127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5126U (ko
Inventor
전흥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한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한형수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600127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7726Y1/ko
Publication of KR8800051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512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77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7726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75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 G11B15/66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Landscapes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비디오 테이프 이젝트장치
제1도는 본 고안 장치의 외관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 장치의 요부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 장치의 요부작동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기 본체 5 : 걸림편
7 : 고정편 10 : 가동판
14,17 : 기어레버 16 : 중간기어
19 : 버튼 20 : 경사면
본 고안은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테크에 삽입된 비디오 테이프를 다시 꺼내고자 할때 작동하는 비디오 테이프 이젝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젝트 버튼의 동력을 기어를 통해 테이프 고정판을 걸고 있는 고정편에 전달하여 테이프를 이젝트시킬 수 있도록 한 비디오 테이프 이젝트 장치의 구성개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VTR의 테이프 이젝트 장치는 이젝트 버튼의 동력을 직접 링크를 통해 도어개폐장치에 전달하여 도어 개폐장치를 조작하므로서 데크도어에 결합된 테이프 고정판을 여닫을 수 있도록 된 것이나 이는 좁은 공간내에 이젝트 장치를 설치하기가 매우 어려울뿐 아니라 데크샷시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에 이젝트 버튼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더욱 넓은 공간을 차지하게 되고 부품의 수가 대폭 증가하게 되어 기기의 소형 경량화가 어렵고 제조원가가 높아지며 이젝트 동작도 불확실해져서 기기의 신뢰성을 떨어뜨리게 되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데크샷시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에 비디오 테이프 이젝트 버튼을 위치시켰을때에 좁은 공간내에 간단한 구성의 이젝트 장치를 설치할 수 있게 하므로서 기기의 소형경량화는 물론 기기동작에 신뢰성을 높이고 제조원가를 절감하며 조립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비디오 테이프 이젝트 장치를 제공함을 본 고안의 목적으로 하여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고안의 구성은 제1, 2, 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기 본체(1)에 설치된 샷시(2) 중앙에는 기기 본체(1)에 축(3)으로 결합된 테이프 고정판(4)의 상단 일측면에 원추형 걸림편(5)의 턱(5')이 끼워지는 반원형 고정구멍(6)의 턱(6')을 형성한 고정편(7)을 핀(8)으로 축지함과 동시에 스프링(9)에 탄지하되 고정편(7)의 일단부(7')를 압압하는 가동판(10)을 샷시(2)에 형성된 핀(13)과 장공(12)을 이용하여 고정하고 이 가동판(10)에 형성된 돌출핀(13)을 압압하는 가동레버(14)를 핀(15)으로 축지하되 중간기어(16)를 통해 1차 기어레버(17)에 연결하고 1차 기어레버(17)의 일단은 기기 본체(1)에 스프링(18)으로 탄지된 버튼(19)의 축하단 경사면(20)에 맞닿도록 하여서 된 것으로 도면중 미설명부호 6'는 고정턱 14',17'는 기어잇빨, 16',17''는 기어 및 기어레버축 21은 스프링 23은 스프링 걸이축이다.
본 고안의 작용효과는 제2,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디오 테이프 고정판(4)을 샷시쪽으로 압압하면 고정판(4)의 일측에 형성된 원측형 걸림편(5)이 고정편(7)의 반원형 고정구멍(6)에 턱(6')이 걸림편(5)의 경사면을 따라 스프링(9)이 늘어나면서 고정편(7)이 축(8)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걸림편(5)이 고정구멍(6)에 들어가게 되면 스프링(9)의 탄력으로 고정편(7)이 원위치되면서 걸림편(5)의 턱(5')이 고정구멍(6)의 고정턱(6')에 걸리게 되어 테이프 고정판(4)이 샷시에 밀착 고정되어지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테이프 고정판(4)을 펼쳐서 데크문을 열려면 이젝트버튼(19)을 압압하면 된다.
즉 버튼(19)을 압압하면 버튼축이 진행함에 따라 버튼축 하단 경사면(20)에 의해 제3(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기어레버(17)의 일단이 압압되어 1차 기어레버(17)는 핀(17'')을 축으로 시계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하게 되므로 그 타단기어부(17')에 맞물린 중간기어(16)가 회전하게 되며 중간기어(16)가 회전함에 따라 이에 맞물린 가동레버(14)가 핀(15)을 축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가동레버(14)가 회전함에 따라 그 일단에 맞닿는 돌출핀(13)을 조작하여 가동판(10)이 안내장공(12)에 안내되면서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가동판(10)이 고정편(7)의 단부(7')를 밀어올리게 된다.
따라서 고정편(7)은 핀(8)을 축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스프링(9)이 늘어나면서 원추형 걸림편(5)의 턱(5')이 고정턱(6')에서 벗어나게 되어 걸림편(5)은 고정구멍(6)에서 빠지게 되어 테이프 고정판이 펼쳐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버튼(19)을 더이상 압압하지 않으면 스프링(18)의 탄성력에 의해 버튼(19)이 원상복귀되고 스프링(22)의 탄성력에 의해 가동판(10)과 기어레버(14,17)가 원상 복귀되며 스프링(9)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편(7)이 원상 복귀되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좁은 공간을 이용하여 비디오 테이프 이젝트 장치를 설치할 수 있으므로 기기의 소형경량화가 가능해지게 되고 신뢰성을 높일 수 있게 된 것이다.

Claims (1)

  1. 비디오 테이프 테코더 본체에 힌지 결합된 테이프 고정판에 원추형 걸림편을 형성하고 샷시에는 고정구멍이 형성된 고정편을 스프링에 탄지하여서 된 것에 있어서, 기기 본체(1)에 설치된 샷시(2) 중앙에는 기기 본체(1)에 축(3)으로 결합된 테이프 고정판(4)의 상단 일측면에 원추형 걸림편(5)의 턱(5')이 끼워지는 반원형 고정구멍(6)에 턱(6')을 형성한 고정편(7)을 핀(8)으로 축지함과 동시에 스프링(9)에 탄지하되 고정편(7)의 일단부(7')를 압압하는 가동판(10)을 샷시(2)에 형성된 핀(11)과 장공(12)을 이용하여 고정하고 이 가동판(10)에 형성한 돌출핀(13)을 압압하는 가동레버(14)를 핀(15)으로 축지하되 중간기어(16)를 통해 1차 기어레버(17)에 연결하고 1차 기어레버(17)의 일단은 기기 본체(1)에 스프링(18)으로 탄지된 버튼(19)의 축하단 경사면(20)에 맞닿도록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테이프 이젝트 장치.
KR2019860012754U 1986-08-22 1986-08-22 비디오 테이프 이젝트장치 KR8900077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2754U KR890007726Y1 (ko) 1986-08-22 1986-08-22 비디오 테이프 이젝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2754U KR890007726Y1 (ko) 1986-08-22 1986-08-22 비디오 테이프 이젝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5126U KR880005126U (ko) 1988-05-11
KR890007726Y1 true KR890007726Y1 (ko) 1989-10-31

Family

ID=19255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12754U KR890007726Y1 (ko) 1986-08-22 1986-08-22 비디오 테이프 이젝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772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8766A (ko) * 2000-12-18 2002-06-24 이형도 음극선관의 편향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8766A (ko) * 2000-12-18 2002-06-24 이형도 음극선관의 편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5126U (ko) 1988-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13984A (en) Opening/closing device for battery cover
KR890007726Y1 (ko) 비디오 테이프 이젝트장치
KR890007727Y1 (ko) 비디오 테이프 이젝트장치
KR970001987B1 (ko) 테이프 레코더의 카세트 리드 프리 오픈(pre-open)장치
KR920007734Y1 (ko) 스틸 비디오 카메라의 도어장치
KR900010090Y1 (ko) Vcr용 카세트 도어 안전 개폐장치
KR930003733Y1 (ko) 분전함의 도어 개폐장치
KR900009034Y1 (ko) 디지탈 오디오 테이프 레코오더의 카세트 이젝트장치
KR970003633Y1 (ko) 카셋트 데크 도어의 열림 및 닫힘장치
KR900003179Y1 (ko) 카세트 도어의 록킹 장치
KR930004602Y1 (ko) 리모콘 케이스 결합구조
KR900005079Y1 (ko) 브이씨알의 카세트 삽입 가이드장치
KR900003719Y1 (ko) 전자 제품 조정 패널 삽탈 장치
KR0121384Y1 (ko) 비디오 테이프의 커버록크 해제장치
KR0121721Y1 (ko) Vcr도어 오픈장치
KR890003596Y1 (ko) Vcr의 카세트 커어버 해제장치
KR910007254Y1 (ko) 프론트 로딩 어셈블리의 카세트 이중 삽입 방지 장치
KR0131207Y1 (ko)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의 도어 이중 로킹장치
KR900001231Y1 (ko) 가전제품 문 개폐 장치
KR900005160Y1 (ko) 전자제품 셔터의 자동 개방 장치
KR880001935Y1 (ko) 카세트 홀더용 댐퍼장치
KR910004841Y1 (ko) 카메라 일체형 브이티알의 카세트테이프 도어 열림장치
KR890003594Y1 (ko) 카세트 도어의 개방장치
KR930008441Y1 (ko) 원격제어용 송신기의 수납장치
KR900008251Y1 (ko) 포터블 카세트의 턴 테이블 삽탈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92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