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3011Y1 - 뇌단선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뇌단선 방지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00003011Y1 KR900003011Y1 KR2019850001661U KR850001661U KR900003011Y1 KR 900003011 Y1 KR900003011 Y1 KR 900003011Y1 KR 2019850001661 U KR2019850001661 U KR 2019850001661U KR 850001661 U KR850001661 U KR 850001661U KR 900003011 Y1 KR900003011 Y1 KR 90000301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re
- side horn
- insulating
- insulated
- cove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42—Means for obtaining improved distribution of voltage; Protection against arc discharges
- H01B17/46—Means for providing an external arc-discharge path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4/00—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 H01T4/10—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having a single gap or a plurality of gaps in parallel
- H01T4/14—Arcing hor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sulators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본 고안의 뇌단선 방지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 확대 단면도.
제3도는 수직가동부 부근의 확대 분해사시도.
제4도는 요부의 확대 정면도.
제5도는 접지측혼의 확대 평면도.
제6도는 전선 측혼유닛의 단면도.
제7도는 전선 측혼유닛을 전개시킨 상태를 나타낸 우측면도.
제8도는 전선 측혼 유닛을 전개시킨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제9도는 전극전을 나타낸 일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크로스 바아 2 : 전기절연애자
5 : 절연전선 6 : 바인드선
7 : 밴드고정구 8 : 수직지지아암
9 : 가동장착고정구 10 : 체결보울트
11 : 넛트 14 : 수평지지아암
19 : 한류요소유닛 23 : 지지아암
26 : 접지측혼 30 : 돌기
31 : 전선측혼유닛 32 : 절연콤파운드
33 : 절연커버 36, 37 : 힌지부
38 : 핀 42 : 절연보울트
43 : 전극전 46 : 전선측혼
K1: 수직가동부 K2:수평가동부
G : 방전간극
종래 전력 송전 및 배전선로에 있어서는, 뇌서어지에 의한 과전압이 플래시 오버한때, 이에 수반하는 속류를 억제차단하여 속류 아아크에 의한 단선이나 애자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접지물에 전압전류특성이 비직선성의 한류 요소유닛을 통하여 접지측혼(horn)을 장착하고, 이를 고압애자에 파지한 절연전선과 방전간극을 두고 대향시킨 뇌단선 방지 장치가 설치되었다.
그런데 전력 송전 및 배전선로에서는 절연전선의 파지는 금속제 바인드선에 의한 것이 보통으로서 뇌서어지에 의한 플래시 오버때, 절연전선의 피복이 관통 파괴되므로, 한번 플래시 오버하면 바인드선이 충전되는 위험이 생긴다 또한 피복의 관통 개소로부터 침수하여, 심선의 부식등에 의하여 전선의 수명을 짧게하며, 그리고 방전전압 특성이 피복의 절연 강도의 오차나 경년 열화에 의하여 불안정하게 되는 결점이 있었다.
또 전선의 파지 개소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방전용의 전선측혼을 장착한 것이 있는데, 이 경우에는 이에 대응하여 접지측혼을 멀리까지 돌출시킬 필요가 있으므로, 장착이나 보수시에 장해가 많다.
또 종래 기술에서는, 전선측혼의 장착이나, 충전부에의 절연커버의 장착이 번거로웠으며, 그리고 절연커버에는 참새가 집을 짓거나, 곤충포식을 위하여 온 새에 의하여, 지락사고가 발생하는 소위 조해사고를 일으키기 쉬운 결점이 있었다.
또, 본원 출원인은 앞서, 절연전선에 장착하는 전선 측혼으로서, 절연전선의 외주에 대하여, 절연 콤파운드를 통하여 박육부를 힌지로 하여 개폐가능한 절연커버를 장착하고, 이 절연커버에 장착한 전선측혼을 전기절연전선의 피복부를 돌파하여 심선에 접지한 것(일본 실원소 58-168192호 참조)을 제안하고 있는데, 이는 기온의 변동에 의한 절연커버의 열응력이나 내압력에 대하여 외광의 자외선 등에 의한 열화작용과 함께 엷은 힌지부가 조기에 열화하여, 크랙(Clack)이 생겨 떨어져 나가는 등의 우려가 있으므로, 이 문제점도 본원에 있어 개량을 가하였다.
본 고안은 종래의 뇌단선 방지장치가 갖는 문제점, 즉 뇌서어지에 의한 플래시 오버때, 절연전선의 피복이 관통 파괴되므로, 한번 플래시 오버하면, 바인드선이 충전되는 위험이 생기는 점, 방전전압 특성이 불안정한 점, 또 피복 관통개소로부터 침수하여 전선의 수명을 짧게하기 쉬운점, 또한 전선의 파지 개소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방전용의 전선측혼이나 접지측혼을 멀리까지 돌출할 경우에는, 절연커버 등의 장착도 포함하여 장착이나 보수가 번거로우며, 그리고 조해 사고를 일으키기 쉬운 문제점, 또 절연커버의 열응력이나 내압력에 대하여 외광의 자외선 등에 의한 열화작용과 함께 엷은 힌지에 크랙 등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기 절연애자에 바인드선으로써 파지한 절연전선에 전선측혼유닛을 장착하고, 한편 크로스바아 등의 접지물에는 한류요소유닛을 통하여 접지측혼을 전기 전선측혼유닛과 의 사이에 방전 간극을 두고 장착한 뇌단선 방지장치에 있어, 전기절연전선과 바인드선에 입혀 붙인 절연 콤파운드와, 핀에 의하여 개폐가능하게 축지 연결된 한쌍의 상부 및 하부 커버편으로써 되며, 이 절연 콤파운드를 포장하는 절연커버와, 이 절연커버에 장착되어 절연전선의 피복부를 관통하여 심선에 접촉하는 전선측혼과, 양커버편을 체결하는 체결수단에 의하여 전기 전선측혼유닛을 구성하며, 바인드선 위로부터 절연전선에 장착하는 구성을 취하고 있다.
본 고안이 속하는 뇌단선 방지장치는 낙뇌에 기인하는 뇌임펄스과전압을 절연전선의 심선에 전기적으로 접촉한 전선측혼으로부터 플래시오버시켜서, 접지측혼에 포착시키고, 한류요소유닛을 통하여 방전시켜서, 뇌임펄스과전압의 소멸과 함께 이에 잇는 속류는 선로 전압이 낮으므로, 한류 요소유닛의 전압전류의 비직선형에 의하여 곧 절연회복하여 속류를 억제 차단한다. 본 고안에서는, 절연전선에 대하여, 절연 콤파운드를 끼워 장치하여 절연커버를 전선파지부의 바인드선 상에 장착함과 동시에, 절연커버를 통하여 전선측혼을 절연전선의 심선에 접촉시키는 구성으로써, 바인드선의 충전, 심선에의 침수, 충전부의 노출등을 방지한다.
다음에 본 고안을 구체화시킨 일실시예를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도시하지 않은 전주에 수평으로 고착된 크로스바아(1)의 상면에는, 고압애자(2)가 그 보울트(3)와 넛트(4)에 의하여 체결되어 있다. 이 고압애자(2)의 상단부에는 절연전선(5)이 바인드선(6)에 의하여 장착되며, 이 절연전선 상에는 후술하는 전선측혼유닛(31)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전기 절연애자(2)의 하단부에는 밴드고정(7)가 체결고정되고, 상기고정(7)의 일측면에는 세로 길이의 가이드구멍(8a)을 갖는 수직지지아암(8)이 하향으로 일체 형성되어 있다. 이 수직지지아암(8)에는 제2, 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가동장착고정(9)가 상하방향의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 맞춰지며, 체결 보울트(10)와 넛트(11)에 의하여 가동장착고정(9)를 소망높이 위치에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동장착고정구(9)와 체결 보울트(10)의 두부와의 사이에는 코일스프링(12)이 개재되며, 수직지지아암(8)과 넛트(11)와의 사이에는 와셔(13)가 개재되며, 이들 부재에 의하여 수직가동부(K₁)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동장착고정구(9)의 하단부에는 수평지지아암(14)이 일체로 절곡형성되며, 이 수평지지아암(14)의 선단에 형성된 장착환(14a)에는, 제1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전압 전류 특성이 비직선성의 한류소자(15)와, 이 한류소자(15)의 상하 양면에 접합된 과전측과 접지측의 전극(16) (17)과, 이들 세개의 부재를 덮도록 일체로 모울드된 탄성 절연체(18) 등에 의하여 구성된 한류요소유닛(19)이 입설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전기 접지측 전극(17)의 하단슷나사부(17a)에는 넛트(20)가 와셔(21)를 통하여 나사결합되며, 상기 수평지지아암(14)의 장착환(14a)에 접지측전극(17)을 체결 고정하여 왔다.
상기 과전측전극(16)의 상단면에는 도전재로써 된 판재를 구형으로 형성한 지지아암(23)이 보울트(25)에 의하여 체결되어 있다. 또한 전기 지지아암(23)의 선단부에는 도전재로서 된 평면 장 4각형상으로 타발형성한 접지측혼(26)이 보울트(28)과 넛트(29)에 의하여 수평방향의 회전운동 위치 조절 가능하게 체결되며, 이들 부재에 의하여 수평가동부(K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수직가동부(K1)와 수평가동부(K2)는 선로의 지면형태조건에 의하여 가공전선에 수평각이나 인하각이 있는 경우에도, 방전간극을 일정하게 하여, 방전 전압특성으로 안정시키도록, 접지측혼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이다.
상기 접지측혼(26)외 외주면에는 복수개의 돌기(30)가 상향으로 절곡형성되어 있다. 이들 돌기(30)는 접지측혼(26)의 프레스 성형시에 동시 성형된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접지측혼(26)의 상면으로부터의 돌기(30)의 높이(h)를, 예를들면, 1~3㎜로 하고 있다. 상기 돌기(30)는 후기하는 전선측혼(46)과 전계집중의 정도를 근사하게 하여 뇌서어지의 극성에 의한 플래시 오버특성을 같이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절연전선(5)의 상기 접지측혼(26)과 대응하는 위치에는, 전선측혼유닛(31)이 장착되어 있다.
다음에 이 전선측혼유닛(31)에 대하여 설명하면, 절연전선(5)의 외표면의 바인드선(6)이 권착되어 있는 부위에 있어, 절연 콤파운드(32)를 통하여 상기 전선측혼유닛(31)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전선측혼유닛(31)은 절연커버(33)와, 이 절연커버(33)에 장착된 제9도에 나타낸 전극전(43)으로써 되어 있다.
상기 커버(33)는 개폐가능하게 연결된 측면반원호 상의 상부커버편(34)과, 같이 측면반원호 상의 하부커버편(35)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부 커버편(34)의 일측연 전후부에는 복수의 환상을 이루는 보강리브(36a)를 갖는 한쌍의 힌지부(36)가 일체로 성형되며, 하부 커버편(35)의 일측연 중앙부에는 유사하게 복수의 환상을 이룬 보강리브(37a)를 갖는 힌지부(37)가 일체로 형성되며, 그리고 상기 한쌍의 힌지부(36)사이에 끼워 맞추어져 있다. 상기 힌지부(36)(37)에는 축구멍(36b)(37b)이 동일축선 상에 관통설치되며, 상기축 구멍(36b)(37b)에는 금속선재로써 된 핀(38)이 관통되며, 양커버편(34)(35)은 이 핀(38)을 중심으로 하여 축지연결되어서, 개폐가능하게 되어있다. 그리고, 힌지부(36)에는 핀멈춤부재(39)가 감합되어, 핀(38)의 빠짐을 방지하고 있다.
또 하부 커버편(35)의 양단개구부에는 제8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배수구(35f)가 관설되어, 침수를 개구단에서 배출하여, 내부에의 침수를 방지하도록 구성하여 있다.
또 양커버편(34)(35)에는 귀부(34a)(35a)가 형성되며, 귀부(34a)에는 한쌍의 게지핀(40)이 장착되어 있으며, 이 게지핀(40)을 귀부(35a)에 형성한 한쌍의 게지구멍(35b)에 삽입함으로써 양귀부(34a)(35a)를 게지할 수 있도록 하여 있다. 또 귀부(35a) 선단에는 가는 실부(41a)를 통하여 지지환(41)이 일체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지지환(41)에는 체결수단으로서의 절연보울트(42)가 그 숫나사부(42a)보다도 소직경의 기단동부(42b)에 의하여 회전 운동 가능하게 끼워 부착하였다. 또 귀부(35a) 선단부에는 상기 절연보울트(42)보다도 큰 직경의 투입구(35c)가 형성되며, 귀부(34a) 중앙부에는 나사구멍(34b)이 형성되어 있으며, 절연보울트(42)를 하부 커버편(35) 하면으로부터 투입구(35c) 내에 삽입하여 관통한 후, 귀부(34a)의 나사구멍(34b)에 나사 결합하여 양커버편(34)(35)을 체결 고정하며, 절연 콤파운드(32)를 통하여 체결할 때의 내압력에 대하여, 상기 게지핀(40)의 이완을 억제하여 장력을 분담함으로써 절연커버(33)의 절연전선(5)에의 고정을 견고하게 하고 있다. 또 상기 절연 보울트(42)는 지지환(41)에 끼워 부착되어 끈부(41a)를 통하여 하부 커버편(35)에 게지되어 있으므로 탈락하는 일 없으므로, 작업이 간편하게 된다. 길고 상기 절연보울트(42)의 숫나사부(42a) 하측에는 제7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축방향으로 나사봉이 연결된 것과 같은 한쌍의 엷은 이완방지막(42c)이 형성되어 있으며, 귀부(34a)의 나사구멍(34b)에 나사결합한 절연 보울트(42)의 이완을 이완방지막에 의하여 방지하도록 하여 있다.
하부 커버편(35) 하면에는 보스부(35d)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보스부(35d)에는 나사구멍(35e)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나사구멍(35a)에 연속 설치한 하향의 돌기부(35g)를 형성시켜서, 상기 전극선(43)이 나사결합으로 고정되어 있다. 상기 하향 돌기부(35g)는, 이 전극전(43)의 나사결합부를 엄폐하여 염진이나 우수의 침입을 막으며, 그리고 우수의 물말림 작용을 한다. 이 전극전(43)은 보스부(35d)에 형성한 나사구멍(35e)에 나사결합되는 숫나사부(44a), 외주에 플랜지부(44b)와 중심부에 방전구멍(44c)을 갖는 절연 기대(44)와, 상기 절연기대(44)의 상단부에 끼워 넣어 고정된 대체로 원통형을 이룬 도전성의 전급 슬리이브(45)와, 이 전극슬리이브(45)에 눌러끼워 맞춰진 전선측혼(46)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전선측혼(46)의 상단부에는 상기 숫나사부(44a)와 나사피치를 같이 한 첨예상의 나사부(46a)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부에는 역원추형의 방전단부(46b)가 일체로 형성되며, 전선측혼(46)은 이 절연기대(44)의 나사 결합시에 절연전선(5)의 피복부(5a)를 관통하여 심선(5b)에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절연기대(44)의 숫나사부(44a)와 전선측혼(46)의 나사부(46a)가 같은 피치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전극전(43)의 나사결합과 함께 전선측혼(46)이 절연전선(5)의 피복부(5a)에 나사홈을 형성하면서 관통하며, 그리고 심선(5b) 또는 심선(5b)의 간극부에 박히며, 절연커버(33)의 이완이나 변형에 대해서도, 전선측혼(46)과 심선(5b)과의 접촉이 획실하게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절연기대(44)의 숫나사부(44a) 하측에는 축방향으로 나사봉을 연결하도록 한쌍의 엷은 이완방지막(44d)이 형성되어 있으며, 보스부(35d)의 나사구멍(35e)에 나사 결합한 절연기대(44)의 이완을 이완방지막에 의하여 방지하도록 하여 있다.
본 고안에서는, 제9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절연기대 체결의 편의상 6각 두부를 형성한다. 이 6각 두부는 보통의 6각 보울트의 형상에 따라 성형되나, 그 6각 두부의 치수는 나사부(44a)의 나사치수경보다 작은 나사경용이다. 예를들면, 상기6각 두부는, 나사부(44a)의 크기가 M14일때 나사경의 치수는 M8용의 것이게 된다. 이것은 6각 두부 및 체결 공구사이의 마찰력을 감소시켜서, 과대한 체결 토오크시 체결 공구가 두부상에서 미끄러지도록 하며, 그럼에 의하여 체결 공구를 두부로부터 이탈시켜서 방지하게 된다. 이때, 플렌지부(44b)에 의하여 적당한 면압을 유지시켜서, 과대 토오크에 대하여 체결면을 손상하지 않는다.
또 상기 전극 슬리이브(45)의 하측외주에는 단면이 대체로 반원형을 이루는 링부(45a)가 일체 형성되어, 전개집중을 완화하도록 하여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와 하부 커버편(34) (35), 절연 보울트(42), 절연기대(44) 등은, 특히 난연성 절연물로 형성하면, 만일 전기한류 소자(15)가 경년열화하거나, 과대늬서어지에 의하여 손상하여, 속류차단이 안되어도 속류 아아크에 의하여 점화됨이 없으며, 따라서 절연전선의 피복 등을 연소시키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절연커버(33)는 양단의 개구부를 제4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소경상으로 조려서 형성되며, 이들의 일부에는 제6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상기 바인드선(6)이 통과하는 요부(33a)가 형성되어서 양단개구부에 있어서의 침수와 절연콤파운드(32)의 유동을 간격을 좁힘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막음과 동시에. 바인드선(6) 상에의 장착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제4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전선측혼(46)과 상기 접지측혼(26)과의 방전간극(G)을 이 실시예에서는, 일예로서, 45㎜(6KV배전선로)에 설정하고 있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같이 구성한 뇌단선 방지 장치에 대하여 그 작용을 설명한다.
제1도 및 제4도에 나타낸 뇌단선방지 장치의 장착상태에 있어, 낙뇌에 기인하는 뇌임펄스과전압이 절연전선(5)에 인가되면 심선(5b)에 전기적으로 접촉한 전선측혼(46)의 방전단부(46b)로부터 절연기대(44)의 방전구멍(44c)을 통하여 플래시 오버하여 접지측혼(26)에 포착되며, 그후 지지아암(23), 과전측전극(16), 한류소자(15), 접지측전극(17), 수평지지아암(14), 가동장착고정구(9), 수직지지아암(8), 밴드고정구(7), 크로스바아(1)와 도시하지 않은 리이드선 등을 통하여 접지되며, 이리하여 속류가 억제 차단되므로, 속류아아크에 의한 단선 등이 방지된다.
본 고안 실시예에 있어서는, 바인드선(6)을 권회한 위로부터 절연전선(5)을 절연 콤파운드(32)를 통하여 절연 커버(33)에 의하여 덮는 구조이므로, 바인드 개소에서 장착할 수가 있으며, 또 전선측혼(26)이 절연전(5)의 피복부(5a)를 나사로 삽입관통하여서 심선(5b)과 접촉함으로써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구조이므로, 절연전선(5)의 피복부(5a)를 박리할 필요도 없으며, 또한 절연전선(5)이 전기가 통한 상태로 절연기대(44)와 함께 전선측혼(46)을 회전시킴으로써 심선(5b)과 전선측혼(46)의 접속을 행하도록 하였으므로, 전선측혼유닛(31)의 장착에 앞서, 정전시킬 필요도 없으며, 이 결과 전선측혼유닛(31)의 절연전선(5)에의 장착을 대단히 단시간에 안전하게 할 수가 있다.
또 본 고안 실시예에서는, 절연전선(5)의 피복부(5a)가 파괴되는 것은 전선측혼(46)의 관통개소뿐으로서, 전선측혼(46)은 피복부(5a)에 간격없이 밀착하여 있으며, 그리고 절연콤파운드(32)를 통하여 구조이므로, 절연전선(5) 내부에 빗물 등이 침입함을 방지하여 심선(5b)의 부식을 방지할 수가 있음과 동시에 바인드선(6)이 충전됨을 없애어, 바인드선(6)에의 접촉에 의한 감전사고를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본 고안 실시예에 있어서는 절연기대(44)의 방전 구멍(44c) 내부에서 방전단부(46b)가 노출되어 있으므로, 방전전압특성이 안정하고 이 물의 침입부착이 없으며, 오손이 극력경감되어서 표면 누설전류가 억제되므로, 절연커버(33) 절연기대(44)와 절연전선(5)에 트래킹이 발생함이 없으며, 또 감전을 방지할 수가 있으므로, 전선로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 절연커버(33)는 내부에 절연 콤파운드(32)가 충전되며, 그리고 전선측혼(46)도 방전구멍(44c)내에 포장되어 있으므로, 참새가 집을 짓거나, 곤충이 서식할 여지가 없으므로 조해사고의 발생이 적으며, 그리고 전선측혼도 절연보호되어 있으므로 안전하다.
또 본 고안 실시예에 있어서는, 절연전선(5)에 끼워부착하는 절연커버(33)를 상부와 하부 커버편(34) (35)에 의하여 형성하며, 양 커버편(34) (35)에는 보강리브(36a) (37a)를 갖는 힌지부(36) (37)을 형성하여 핀(38)에 의하여 개폐가능하게 축지연결하였으므로 기온의 변동에 의한 열응력이나 내압력은 핀(38)을 통한 전단력으로 되어서 힌지부(36) (37), 보강리브(36a) (37a)등에 의하여 분산하여 부담하므로 재료에 무리가 없으며, 크랙이 생기지 않으며, 기계 강도적으로도 안정하므로 내구성을 향상할 수가 있다.
또한 힌지부(36) (37)는 보강리브(36a) (37a)를 형성하여 기계적 강도를 확보함과 동시에, 국부적인 두꺼운 부분을 없애었으므로 성형성이 좋으며, 성형시에 두꺼운 부분에 발생하기 쉬운 기포를 없애어 강도의 안정을 기할 수가 있다.
또 본 고안 실시예에 있어서, 전선측혼유닛(31)의 전선측혼(46)을 바인드선(6)의 권착피치(P)의 중앙부에서 심선(5b)에 접속하고, 그리고 절연콤파운드(32)에 의하여 바인드선(6)과 전선측혼(46)과의 절연을 강화하였으므로, 전기 절연애자(2)의 가까이, 즉 바인드 개소에 전선측혼유닛(31)을 장착하여도 바인드선(6)은 충전되지 않으며, 따라서 혼유닛(31)의 장착이나 보수도 전기가 통한 상태도 간단히 그리고 안전하게 행할 수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전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옐들면 전선측혼(46)의 나사부(46a) 대신에 첨예상의 원추 돌기로 할 수도 있다.
이상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뇌단선의 방지를 기함과 동시에 전선측혼과 접지측혼의 장착이나 보수를 간단히 그리고 안전하게 행할 수가 있으며, 또한 방전전압 특성을 안정시킴과 동시에 충전부의 노출이나 조해사고가 없는 안전성을 향상할 수가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 전기절연애자(2)에 바인드선(6)으로써 파지한 절연전선(5)에 전선측혼유닛(31)을 장착하고, 한편 크로스바아(1)등의 접지물에는 한류요소유닛(10)을 통하여 접지측혼(26)을 상기 전선측혼유닛(31)과의 사이에 방전 간극(G)을 두고 장착한 뇌단선 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절연전선(5)과 바인드선(6)에 입혀 부착된 절연콤파운드(32)와, 핀(38)에 의하여 개폐가능하게 축지 연결된 한쌍의 상부 및 하부 커버편(34) (35)으로써 되어 상기 절연콤파운드(32)를 포장하는 절연커버(33)와, 상기 절연커버(33)에 장착되고, 절연전선(5)의 피복부(5a)를 관통하여 심선(5b)에 접촉하는 전선측혼(46)과, 양커버편(34) (35)을 체결하는 체결수단에 의하여, 상기 전선 측혼유닛(31)을 구성하여서, 바인드선(6) 위에서 절연전선(5)에 장착함을 특징으로 하는 뇌단선 방지장치.
- 제1항에 있엇, 상기 절연커버(33)에는 나사구멍(35e)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구멍(35e)에는 나사부(46a)를 갖는 전선측혼(46)과 절연기대(44)를 일체로 고정접촉하여서 된 전극전(43)이 나사로 결합되고, 상기 전극전(43)의 나사결합시에 전선측혼(46)이 절연전선(5)에 나사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단선 방지 장치.
- 제1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측혼(46)은, 도전성의 전극 슬리이브(45)에 눌러넣어 끼워맞추어지고 이 전극 슬리이브(45)가 절연기대(44)에 고정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단선 방지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체결수단은 절연커버(33)의 하부 커버핀 (35)에 일체 형성한 가는 끈부(41a)에 장착한 절연 보울트(42)와, 같이 하부 커버편(35)에 형성하여 상기 절연 보울트(42)를 삽입하는 삽입구(35c)와, 상부커버편(34)에 형성하여서 상기 절연 보울트(42)를 나사결합시키는 나사구멍(34b)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단선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127711 | 1984-08-22 | ||
JP1984127711U JPS6142026U (ja) | 1984-08-22 | 1984-08-22 | 雷断線防止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50010673U KR850010673U (ko) | 1985-12-30 |
KR900003011Y1 true KR900003011Y1 (ko) | 1990-04-10 |
Family
ID=30686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850001661U KR900003011Y1 (ko) | 1984-08-22 | 1985-02-18 | 뇌단선 방지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S6142026U (ko) |
KR (1) | KR900003011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98881B1 (ko) * | 2015-11-13 | 2016-03-14 | 구주기술 주식회사 | 에어갭 피뢰기용 방전극 및 그 설치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029295U (ko) * | 1973-07-10 | 1975-04-03 | ||
JPS585225B2 (ja) * | 1978-12-21 | 1983-01-29 | 工業技術院長 | コ−クス粒子の加熱方法 |
JPS585225U (ja) * | 1981-07-02 | 1983-01-13 | 日本碍子株式会社 | 限流ホ−ン |
-
1984
- 1984-08-22 JP JP1984127711U patent/JPS6142026U/ja active Granted
-
1985
- 1985-02-18 KR KR2019850001661U patent/KR900003011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98881B1 (ko) * | 2015-11-13 | 2016-03-14 | 구주기술 주식회사 | 에어갭 피뢰기용 방전극 및 그 설치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H0231945Y2 (ko) | 1990-08-29 |
KR850010673U (ko) | 1985-12-30 |
JPS6142026U (ja) | 1986-03-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90815B1 (ko) | 조류사고 방지 기능을 갖는 리드선 일체형 탈부착이 용이한 컷 아웃 형태의 피뢰장치 | |
US5758005A (en) | Anchor device for an optical cable | |
JPH06163214A (ja) | サージアレスター | |
KR101918978B1 (ko) | 친환경 실리콘을 이용한 조류사고 및 지락방지용 컷 아웃 스위치 | |
KR900003011Y1 (ko) | 뇌단선 방지장치 | |
KR100823955B1 (ko) | 내뢰혼 삽입내장형 폴리머 라인포스트 애자 | |
RU184108U1 (ru) | Изолятор с мультикамерным разрядником и фиксированным воздушным зазором | |
CN215417710U (zh) | 一种10kV柱式绝缘子绝缘护罩 | |
JPH07118237B2 (ja) | 避雷碍子 | |
RU200683U1 (ru) | Траверса воздушной линии электропередачи | |
RU2584824C1 (ru) | УСТРОЙСТВО ЗАЩИТЫ ИЗОЛИРОВАННЫХ ПРОВОДОВ, ЛИНЕЙНЫХ ИЗОЛЯТОРОВ И ОБОРУДОВАНИЯ 6-35 кВ ВОЗДУШНЫХ ЛИНИЙ ЭЛЕКТРОПЕРЕДАЧИ ОТ АТМОСФЕРНЫХ ПЕРЕНАПРЯЖЕНИЙ (ВАРИАНТЫ) | |
RU187118U1 (ru) | Мультикамерный разрядник с крепежным штырем | |
KR100295471B1 (ko) | 피뢰기 내장형 컷 아웃 스위치 | |
JPH0129934Y2 (ko) | ||
JPH0231940Y2 (ko) | ||
CN218676626U (zh) | 带电作业全绝缘可分离式无间隙避雷器 | |
JP2568853Y2 (ja) | 絶縁電線の断線防止装置 | |
RU187095U1 (ru) | Мультикамерный разрядник с наконечником | |
JPS601461Y2 (ja) | 碍子装置 | |
US2648796A (en) | Birdproof spark gap for distribution lines | |
JP3662992B2 (ja) | 保護装置内蔵形碍子装置 | |
JPH0126076Y2 (ko) | ||
JPH0113293Y2 (ko) | ||
JP2604781Y2 (ja) | 限流素子付碍子保護装置 | |
JPH0231939Y2 (ko)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19990320 Year of fee payment: 10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