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2794Y1 - 자동차 차체의 후방 조립체 - Google Patents

자동차 차체의 후방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2794Y1
KR900002794Y1 KR2019870016337U KR870016337U KR900002794Y1 KR 900002794 Y1 KR900002794 Y1 KR 900002794Y1 KR 2019870016337 U KR2019870016337 U KR 2019870016337U KR 870016337 U KR870016337 U KR 870016337U KR 900002794 Y1 KR900002794 Y1 KR 9000027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assembly
support
vehicle
frame u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163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6781U (ko
Inventor
김흥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이양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이양섭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700163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2794Y1/ko
Publication of KR89000678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678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27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279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7Luggage compart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 차체의 후방 조립체
제 1 도는 이 고안의 조립체 구성도.
제 2 도는 A-A선 단면도.
제 3 도는 B-B선 단면도.
제 4 도는 종래 조립체의 구성도.
제 5 도는 C-C선 단면도.
제 6 도는 D-D선 단면도.
제 7 도는 E-E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트렁크 테두리 윗판 보강부재 12 : 후방 스프링집 취부판
13 : 바퀴집의 내측판 14 : 후방조립체 지지부
15 : 중첩판 16 : 보강박스
17 : 내측 구획판
이 고안은 자동차(특히 승용차)차체 후방의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 차체 후방의 조립체를 제 4 도 이하에 인용하였다.
주요 구성은 트렁크 테두리 윗판 보강부재(TRUNK LID HINGE MOUNTING REINFORCEMENT)(1), 후방 조립체 지지부(REAR PACKAGE TRAY SIDE SUPPORT)(2) 및 후방의 지지부 확장 조립체(REAR PACKAGE SUPPORT EXTENSINON)(3)의 접속으로 구성된 것이며, 제 5 도 C-C선 단면도에서와 같이 트렁크 테두리 윗판 보강부재(1)와 후방조립체 지지부(2)로서 구성되는 폐단면 접속부재(1)(2)가 크지 못하고, 제 6 도의 D-D선 단면도에서와 같이 상기한 부재(1)(2)의 접속부가 협소하며, 제 7 도의 E-E선 단면도에서와 같이 후방 조립체 지지부(2)와 후방 지지부 확장조립체(3) 간의 접합부로 협소하여 축부와 바닥에 대한 충분한 지지력을 발휘할 수 없는 것이었고, 측부와 바닥은 굽힘이나 비틀림 응력에 취약 하였던 것이며, 자동차 보다 구성의 복잡성이 즉, 형태적인 제약, 프레스 상의 제약, 다른 부착물 설치 공간에 따른 제약등의 복잡한 여건하에서 그러한 구성을 임의로 개선할 수 없었던 것이다.
이 고안은 위와 같은 자동차 차체 후방의 조립체 부품을 둘로 줄이고 벤딩 또는 토션 응력을 증대시킨 것으로서 첨부 도면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트렁크 테두리 윗판 보강부재(TRUNK LID HINGE MOUNTING REINFORCEMENT)(11)를 후방 스프링집 취부판(REAR SPRING HOUSE PANEL)(12) 및 바퀴집의 내측판(WHEEL HOUSE INNER)(13)과 일체로 형성하고, 후방 조립체지지부(REAR PACKAGE TRAY SIDE SUPPORT)(14)에는 트렁크테두리 윗판 보강부재(11)위에 넓게 겹치는 중첩플레이트(15)와 후방스프링집 취부판(12)에 부착되는 보강박스(16)를 일체화 하여 내측구획판(QUARTER INNER APANEL)(17)의 접속부 면적을 넓힐 수 있게 되어 있는 것이다.
이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 고안은 트렁크 테두리 윗판부재(11)에ㅐ 후방스프링집 취부판(12) 및 바퀴집 내측판(13)이 일체화 되어 있고, 후방조립체 지지부(14)에 중첩판(15) 및 보강박스(16)를 이레ㅊ화하고 있기 때문에 트렁크 테두리 윗판 보강부재(11)와 후방조립체 지지부(14)의 두개 부재로서 차체 후방의 조립체를 구성할 수 있어 부품의 수를 줄이면서 제작,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며, 후방 조립체 지지부(14)에 연속된 중첩판(15)이 트렁크 테두리 윗판부강부재(11)위에, 그리고 응력박스(16)가 후방 스프링집 취부판(12)에 넓게 부착되어 밴딩응력을 크게 향상시키는 것이며, 상기한 부재(11), (12)의 측면 및 (15)(16)의 측면이 내측 구획판(17)에 광범위하게 용접되기 때문에 측면 및 바닥의 굽힘 또는 비틀림 응력을 확대하여 주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 고안은 복잡한 자동차 보디의 제약적 요건하에서 부품의 수량을 줄이면서 제작, 조립이 용이하고 또한 벤딩이나 토션 응력을 크게 개선하는 자동차 차체 후방의 조립체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트렁크 테두리 윗판 보강부재(11)를 후방 스프링집 취부판(12) 및 바퀴집 내측판(13)과 일체로 형성하고, 이와 결합되는 후방조립체 지지부(14)에 중첩판(15)과 보강박스(16를 일체화시켜 내측 구획판(17)이 넓게 접속되게 한 자동차 차체의 후방 조립체.
KR2019870016337U 1987-09-25 1987-09-25 자동차 차체의 후방 조립체 KR9000027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6337U KR900002794Y1 (ko) 1987-09-25 1987-09-25 자동차 차체의 후방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6337U KR900002794Y1 (ko) 1987-09-25 1987-09-25 자동차 차체의 후방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6781U KR890006781U (ko) 1989-05-15
KR900002794Y1 true KR900002794Y1 (ko) 1990-04-04

Family

ID=19268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16337U KR900002794Y1 (ko) 1987-09-25 1987-09-25 자동차 차체의 후방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279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6781U (ko) 198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2246877A (ja)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US6547266B2 (en) Steering gear frame
JPS6320278A (ja)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US5573274A (en) Automobile sub-frame structure
KR900002794Y1 (ko) 자동차 차체의 후방 조립체
JPH0323909Y2 (ko)
US5269583A (en) Front end structure of vehicle body
JPH0514946Y2 (ko)
JPH02293276A (ja)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JPS6238445Y2 (ko)
JP3430727B2 (ja) 自動車の後部車体補強構造
JPH01244983A (ja) 自動車の後部車体構造
JPH0415574Y2 (ko)
JPH0423742Y2 (ko)
JPS63137078A (ja) ホイ−ルハウス構造
JPH09202143A (ja) サンルーフ付自動車のルーフ補強構造
JPH0624311Y2 (ja) 自動車のダンパ取付部構造
JPH049274Y2 (ko)
JPH0123893Y2 (ko)
KR970005972Y1 (ko) 자동차의 선루프 보강 구조
JPS589819Y2 (ja) 天井開放型自動車のボデ−構造
JPH076070Y2 (ja) 自動車用車体の後部構造
JPH0545590Y2 (ko)
JPH0443426Y2 (ko)
JPH031105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