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2125B1 - 3차원 동조용(同調用)기재필름 - Google Patents

3차원 동조용(同調用)기재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2125B1
KR900002125B1 KR1019890018332A KR890018332A KR900002125B1 KR 900002125 B1 KR900002125 B1 KR 900002125B1 KR 1019890018332 A KR1019890018332 A KR 1019890018332A KR 890018332 A KR890018332 A KR 890018332A KR 900002125 B1 KR900002125 B1 KR 9000021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layer
resin
sheet
prin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8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시 미야자와
다까오 데라우찌
게이지 하나모도
후미오 다까기
Original Assignee
다이닛뽕 인사쓰 가부시기가이샤
키다시마 요시도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59201141A external-priority patent/JPS6178686A/ja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닛뽕 인사쓰 가부시기가이샤, 키다시마 요시도시 filed Critical 다이닛뽕 인사쓰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to KR10198900183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21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2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21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26Printing on other surfaces than ordinary paper
    • B41M1/30Printing on other surfaces than ordinary paper on organic plastics, horn or similar material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3차원 동조용(同調用)기재필름
제 1 도는 본원 발명의 다층 필름을 기재로 사용한 전사시트의 실시예의 확대단면도.
제 2 도 및 제 3 도는 각각 본원 발명의 필름을 기재로 사용하며, 성형중에 기재필름의 신장을 부분적으로 억제하는 층을 형성한 진공성형용 인쇄필름의 실시예의 확대단면도.
본원 발명은 3차원 동조용(同調用) 기재(基材)필름에 관한 것이며, 특히 본원 발명은 우수한 진공성형성, 사출성형시의 내열성 및 필름의 인쇄시의 치수안정성을 구비한 3차원 동조용 전사필름 또는 부착필름용 기재로서 적합한 필름에 관한 것이다.
사출성형과 같은 방법에 의하여 성형된 3차원 형상의 플라스틱 제품 위에 성형과 동시에 전사 또는 부착에 의하여 3차원의 인쇄를 행하여 왔다. 물론, 전사 또는 부착에 사용되는 필름은 상기 플라스틱 제품의 형상과 일치하는 평면이 아닌 3차원의 입체적인 형상이어야 한다.
전사필름의 경우에 있어서는, 먼저 평면의 기재필름 위에 박리성층, 인쇄층 및 접착제층의 순서로 적층하고, 그 다음에 상기 적층제를 원하는 3차원의 형상으로 진공성형함에 의하여 제조된다. 그러므로, 기재필름은 인쇄중에 치수안정성이 있으며, 진공성형성 및 사출성형시에 용융되지 않는 것을 요한다.
종래, 시도된 필름 기재의 대표예는 나이론, 폴리에스테르, 폴리 프로필렌 및 폴리 염화비닐 필름을 들 수 있다. 그러나, 나이론 필름은 진공성형성 및 내열성은 우수하지만, 그 인장강도가 약하기 때문에 인쇄시에 치수안정성이 낮다. 폴리에스테르필름은 인쇄시에 치수안정성이 우수하지만, 그 신장률이 낮으며, 그리고 온도 약 100℃에서의 진공성형성이 불충분하다. 폴리염화비닐 필름은 경질의 것을 선정하면 인쇄시의 안정성이 있고, 진공성형성도 우수하지만, 내열성이 떨어진다. 이와 같은 이유로, 상기의 모든 필요 조건을 충족시키는 필름은 이와 같은 필름의 실현이 오래동안 요망되어 왔기는 하나, 아직 충분한 것을 얻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정이다.
본원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필요조건을 충족시키는 필름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원 발명에 의하면, 필름의 인쇄시의 치수안정성, 진공성형성 및 사출성형시의 내열성을 구비한 3차원 동조용 기재필름을 제공한다.
다음의 설명에 있어서, % 또는 부는 특기가 없는한 중량기준이다.
본원 명세서내에서 사용되는 필름의 물리성에 관한 용어는 다음과 같다.
1)치수 안정성
인쇄시 건조온도(80℃이하)하에서의 필름의 신장률은 5%이하이다.
2)성형성
최소한 100℃에서의 인장률(draw ratio)은 약 1/2이상이다.
3)내열성
필름이 사출성형기로부터 사출된 용융수지(140℃이상)과 접촉해도 용융되지 않는다.
본원 발명에 의한 필름의 일실시예는 80-95%의 아크릴로니트릴과 20-5%의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로 형성되는 단일층 필름이다. 본원 발명자들은 기재필름의 재료로서 상기의 단량체 조성물을 가진 공중합체를 사용함에 의하여 인쇄시의 치수안정성, 진공성형성 및 내열성을 구비한 3차원 동조용 기재필름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기재필름이 제조되는 공중합체내의 아크릴로니트릴 성분이 80%이하일 때에는, 필요한 내열성을 얻을 수 없다. 전형적인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는 예를 들면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이며, 이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는 기재필름의 연화온도를 저하시켜 진공성형성을 향상시킨다.이 효과는 최소한 5%의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의 존재에 의하여 얻어진다.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의 양의 20%이상일 때에는, 기재필름은 인쇄시에 건조온도(약 100℃이하)에서 신장되므로 인쇄시에 치수안정성을 얻을 수 없으므로, 상기의 단량체 비율을 선택한다. 대표적인 단량체 조성물은 90%의 아크릴로니트릴 및 10%의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다.
단일층으로 형성되는 본원 발명에 의한 진공성형용 필름의 또 하나의 실시예는 50%-90%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수지와 50%-10%의 내열 열가소성 수지의 배합물로 이루어진다.
본원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내열 열가소성수지는 산화폴리페닐렌, 폴리아세탈,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아미드, 폴리플루오로에틸렌 및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로부터 선정된다.
기재필름으로 형성되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배합물의 양이 50%이하일때에는, 필요한 진공성형성을 얻을 수 없다. 그 양이 90%이상일 때에는, 필요한 내열성을 얻을 수 없다. 내열 열가소성수지의 양이 50%이상일때에는, 필요한 진공성형성을 얻을 수 없다. 그 양이 10%이하일 때에는, 필요한 내열성을 얻을 수 없다.
기재 필름은 진공성형성을 고려하여 주조법에 의하여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재 필름의 두께는 최소한 30미크론이다. 기재 필름의 두께가 30미크론 이하일 때에는, 필름은 진공성형중에 신장되며, 그리고 주름이 생기기 쉽다. 기재필름의 두께의 상한은 원가의 견지에서 약 80미크론이 바람직하다.
인쇄층은 이와 같은 단일층 필름 위에 형성된다. 또한, 이와 같은 단일층 필름으로 전사필름을 제조할 때에는, 박리성층, 인쇄층 및 접착제층을 기재필름 위에 차례로 적층한다.
기재필름 위에 코팅되는 박리성층의 재료로서는 폴리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염화비닐, 염화고무, 폴리염화비닐리덴 및 아클릴로 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등의 열가소성 수지로부터 적절하게 선정할 수 있다.
박리성층 위에 인쇄되는 잉크조성물은 이 인쇄층 위에 형성된 박리성층 및 접착제층 양쪽 모두에 대한 점착성을 가진다. 예를 들면, 염소화폴리프로필렌,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및 아크릴수지 등과 같은 수지류의 잉크조성물이 적합하다.
열감성(熱感性)접착제층은 최종적으로 형성된다. 전사될 물체에 대한 양호한 점착성을 가진 접착제는 폴리아세트산비닐,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아세탈, 폴리염화비닐, 아크릴, 폴리에틸렌 및 셀롤로오스수지계등의 열가소성수지 및 니트릴고무, 스티렌고무 및 부틸고무계등의 엘라스토머(elastomer)접착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층은 열전도 필름의 제조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술에 따라 기재필름 위에 형성된다.
인쇄층의 치수안정성, 진공성형성 및 내열성을 구비한 3차원 동조용 전사필름은 기재필름으로서 상기한 바와 같은 공중합체 또는 수지배합물로 이루어지는 단일층 필름을 사용함에 의하여 얻을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의 필름은 다층(多層)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치수안정성 및 성형성을 가진 합성수지필름층, 내열성 및 진공성형성을 가진 합성수지필름층을 적층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2개층의 적층체인 본원 발명의 필름을 사용하여 전사필름을 제조할 때에는, 치수안정성 및 성형성을 가진 제 1 의 합성수지필름층, 내열성 및 성형성을 가진 제 2 의 합성수지필름층, 필요에 따라 배설된 박리성층 및 인쇄무늬층이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례로 적층된다.
다음에,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원 발명에 의한 기재필름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전사시트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전사시트(1A)는 치수안정성 및 성형성을 가진 제 1 의 합성수지필름층(1)과 내열성 및 진공성형성을 가진 제 2 의 합성수지 필름층(2)으로 구성되는 2개의 합성수지필름층이 접착제층(3)을 통하여 적층되어 있으며, 상기 각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제(4)의 합성수지필름층(2)의 외측면에는 다시 박리성층(5)이 형성되어 있으며, 박리성층(5)의 외측면에는 인쇄무늬층(6), 그리고 인쇄무늬층(6)의 외측면에는 접착제층(7)이 차례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각 층(1)-(7)에 대해 다음에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의 합성수지필름층(1)은 제 2 의 합성수지필름층(2)을 지지하여 적층체(4)를 보강하며, 적층체(4)에(필요에 따라 박리성층을 통하여) 인쇄시에 필요한 치수안정성을 부여하는 동시에, 제 2 의 합성수지필름층(2)과 동등하든가 또는 적층시에 실질적으로 저하되지 않을 정도의 성형성을 갖추고 있을 필요가 있다. 제 1 의 합성수지필름층(1)의 구체적 재료로서는 폴리염화비닐수지필름(특히, 무가소(無可塑)수지 또는 5PHR의 가소제를 함유하는 경질의 수지),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수지필름 등의 아크릴 수지필름, 무연신(無延伸)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필름 및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수지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제 2 의 합성수지필름층(2)은 성형성을 가지며, 사출성형시에 사출된 용융수지의 열에 의하여 변형 또는 신장되지 않을 정도의 내열성을 가지고 있을 필요가 있다. 제 2 의 합성수지필름층(2)의 구체적 재료로서는, 6-나이론 또는 6,6-나이론 등의 폴리아미드수지필름,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수지필름, 아크릴로니트릴수지필름, 폴리아릴레이트수지필름, 폴리카보네이트수지필름, 셀룰로오스 디아세테이트, 셀롤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 및 셀롤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티레이트 등의 셀롤로오스계 수지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접착제층(3)은 제 1 의 합성수지필름층(1)과 제 2 의 합성수지필름층(2)의 양 층을 접착하여 적층하는 것으로서, 전사시트의 성형시나 사출성형시의 박리 또는 편차가 생기지 않으며, 전사시트의 성형시에 제 1 및 제 2 의 합성수지필름층과 마찬가지로 신장가능한 것을 요한다. 그리고, 단일층 필름에 있어서 앞에 설명한 접착제를 접착제층(3)의 재료로서 사용할 수 있다.
적층체(4)를 제조하는데는 제 1 및 제 2 의 합성수지필름층을 구성하는 각 합성수지필름층의 접착면의 한쪽 또는 양쪽에 접착제를 도포한후, 드라이라미네이션(dry lamination)등의 적층체로 하든가, 접착제를 용융하여 압출하고, 양측으로부터 각 합성수지필름층을 압착하는 등의 방법에 의하여 행하면 된다.
적층체(4)의 두께는 50-200μm, 바람직하게는 50-100μm이다. 또한, 적층체(4)중의 제 2 의 합성수지필름층의 두께는 적층체(4)의 두께의 20-50%, 바람직하게는 30-50%이다. 여기서 적층(4)의 두께가 하한미만이면 취급하기 곤란하며, 상한을 초과하면 성형하여 성형시트로 할때에 불균일한 두께로 되기 쉽다. 또한, 제 2 의 합성수지필름층의 두께가 하한미만이면 성형시트로 했을 때에 주름이 생기기 쉬우며, 상한을 초과하면 성형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을 뿐 아니라, 일반적으로 내열성이 높은 수지필름은 고가이므로, 원가가 높아진다.
이와 같은 적층체(4)는 모든 필요조건을 충족시킨다. 즉, 이 적층체(4)는 온도 80℃이하에서 신장률이 5% 이하인 인쇄시의 양호한 치수안정성, 온도 100℃이상에서 인장률이 1/2이상인 양호한 성형성 및 사출성형시에 용융수지의 온도인 140℃이상에서 적층체가 견디어 낼 수 있는 양호한 내열성 등의 필요조건을 구비한다.
적층되는 박리성층(5), 인쇄무늬층(6) 및 접착제층(7)은 상기한 바와 같은 재료로부터 각각 제조된다.
이상에 있어서는 본원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제 1 도의 전사시트(1A)에 있어서는 다음에 기술하는 바와 같이 각층 중의 1개 또는 수개의 층을 생략할 수 있다.
(가) 적층체(4)의 중간층인 접착제층(3)은 제 1 및 제 2의 합성수지필름층이 각 층의 열용착, 고주파 접착 등에 의하여 접착층 없이 적층될 수 있을 때에는 이것을 생략할 수 있다.
(나) 박리성층(5)은 제 2 의 합성수지필름층(2)과 인쇄무늬층(6)과의 사이가 각각의 재료의 선택으로 인하여 박리성을 가질 때에는 이것을 생략할 수 있다. 요컨대, 적층체(4)의 인쇄무늬층(6)측의 표면이 가열전사시에 박리성을 가지고 있으면 좋다.
(다) 접착제층(7)은 가열전사시에 인쇄무늬층(6)과 사출된 성형용수지층을 접착시켜 성형체의 표면에 인쇄무늬층(6)을 접착시키기 위한 것이나, 접착체층(7)은 감열접착적으로 작용하므로, 인쇄무늬중의 전색제(展色劑)에 의하거나 또는 전색제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접착제층(7)을 구성하는 재료와 치환하든가의 어느 방법에 의해 인쇄무늬층(6)으로 접착제층을 겸용할 수 있으므로, 이와 같은 경우에는 접착제층(7)을 생략할 수 있다.
본원 발명에 의하면, 전사시트의 기재로서 인쇄무늬층과는 반대측에 치수안정성 및 성형성을 가진 제 1 의 합성수지필름층을, 인쇄무늬층에 내열성 및 성형성을 가진 제 2 의 합성수지필름층을 각각 사용하여 적층하여 얻은 적층체를 사용하므로, 전사시트를 제조할 때의 치수안정성이 우수하며, 또한 전사시트의 성형성도 우수하다. 또한, 성형된 전사시트를 사용하여 사출성형에 의한 성형체의 표면에 양호하게 무늬를 부여할 수 있다.
또, 본원 발명의 필름을 이용하여 얻어진 전사시트는 치수안정성이 우수하므로, 종래의 호트 스탬핑(hot stamping)을 행한 후에, 문자, 기호, 무늬 등을 실크 스크린하고 있었던 것을 하나의 전사시트상에 필요한 인쇄를 모두 위치를 맞추어서 해둠으로써 1회의 전사로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원 발명에 있어서는 단일층필름 및 다층필름 쌍방의 경우에 있어서, 진공형성되는 필름을 기타 성형체와 일체적으로 성형하거나 또는 열접착할 수 있으며, 그리고 기재를 벗기지 않고 그대로 제품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경우에 있어서, 인쇄무늬층 및 접착제층은 진공성형성을 가진 기재의 표면 위에 직접 적층되며, 박리성층은 생략한다. 이 실시예는 본원 발명의 범위내에 포함된다.
종래, 진공성형을 행하는 인쇄필름에 있어서는 진공성형에 의하여 필름이 크게 신장되는 부분은 문자나 무늬를 인쇄하는 것을 피하든가, 또는 미리 계산된 신장률에 부합되도록 축소된 문자나 무늬를 인쇄하는 등의 방법이 취해지고 있었다. 그러나, 진공성형시의 신장률을 미리 계산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필름의 신장률은 각 부분에 따라 동일하지 않으므로, 정확한 형상 및 크기로 문자 또는 무늬를 재현하는 것은 곤란하였다.
본원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바와 같은 단일층 또는 다층의 필름 또는 기재상에 무늬를 부여하는 부분에는 변형하지 않는 수지층을 형성하여 필름 또는 기재의 신장을 부분적으로 억제하는 층을 형성함으로서, 정확한 형상 및 크기로 문자 및 무늬가 형성된 진공성형용 인쇄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의 기재필름을 가진 진공 성형용 인쇄필름(10A)의 기본적 형태는 본원 발명에 의한 치수안정성, 성형성 및 내열성을 가진 필름(12), 상기 필름(12)의 최소한 한쪽면의 일부분에 형성된 (진공성형하에서 실질적으로 변형하지 않는)수지층(13), 이 수지층(13)에 형성된 인쇄무늬층(14)으로 이루어지며, 진공성형시에 필름의 신장률을 부분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진공성형용 인쇄필름은 변형예로서 전사에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전사에 사용하는 진공성형용 인쇄필름(10B)은 제 3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성형성을 가진 기재(15), 이 기재(15)의 한쪽면에(진공성형하에서 실질적으로 변형하지 않는)수지층(13)을 부분적으로 형성하고, 이 수지층(13)에 박리성층(16), 이 박리성층(16)에 인쇄무늬층(14), 이 인쇄무늬층(14) 및 박리성층(16)에 접착제층(17)을 이 순서로 형성해서 이루어지며, 진공성형시의 기재의 신장을 부분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접착제층을 통하여 인쇄무늬층을 다른 성형체에 전사하기 위한 것이다.
제 2 도에 도시된 진공성형용 인쇄필름(10A)에 있어서는, 문자 또는 무늬가 진공성형시의 필름의 신장을 억제한 부분에 인쇄되므로, 그 형상이 변형되거나 신장되는 일없이 필름을 진공성형할 수 있다.
제 3 도에 도시된 전사시트로서의 진공성형용 인쇄필름에 있어서도 그 작용은 제 2 도에 도시된 진공성형용 인쇄필름에 있어서와 같으며, 문자 또는 무늬가 기재의 신장이 억제된 부분에 인쇄되므로, 그 형상이 변형되거나 또는 신장되는 일 없이 진공성형할 수 있으며, 다른 성형체에 인쇄무늬층을 전사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에 있어서도, 필름 또는 기재의 무늬가 적용되는 부분에만 변형하지 않는 수지층을 배설함에 의하여 필름 또는 기재의 신장을 억제할 수 있다.
변형예로서, 진공성형성을 가진 기재에 형성하는 변형하지 않는 수지층과 박리성층과는 어느것을 먼저 해도 좋다. 즉, 제 3 도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기재(15)상에 먼저 수지층(13)을 형성하고, 그 다음에 수지층(13)에 박리성층(16)을 형성하는 외에, 먼저 기재(15)상에 박리성층(16)을 형성하고, 그 다음에 박리성층(16)에 수지층(13)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진공성형한 필름을 다른 성형체와 일체로 성형하고, 또한 가열접착한 후에 기재를 벗기지 않고 그대로 제품으로 하는 사용방법도 있다. 이 경우에는 진공성형성을 가진 기재의 한쪽면에 진공성형시에 기재의 신장을 억제하는 수지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인쇄무늬층, 접착제층의 순으로 형성하고 박리성층을 생략하면 되며, 이 실시예도 본원 발명에 포함된다.
이 필름의 진공성형시에 있어서 변형되지 않고 그 신장을 억제하는 수지로서는 포름알데히드수지, 페놀수지, 아미노수지, 에폭시수지 및 폴리우레탄수지 등이 대표적이며, 바람직한 것으로는 자외선 경화형수지 및 전자빔 경화형의 수지를 사용한다. 또한, 폴리에스테르수지등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해도 된다. 이들 수지는 그라비아인쇄, 실크 스크린인쇄 및 옵셋인쇄등의 수단에 의하여 그 위에 형성하는 인쇄무늬의 형상 및 크기에 맞추어서 설정한다. 인쇄무늬층은 통상의 잉크를 사용하여 이미 알려진 각종 인쇄방법에 의하여 형성하면 되지만, 잉크의 전색제로서는 염소화 폴리프로필렌, 에틸렌 아세트산 비닐공중합체, 또는 폴리아크릴레이트 및 폴리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계 수지중에서 선정하는 것이 적합하다.
전사필름으로 하는 경우에 수지층 또는 기재상에 형성하는 박리층의 재료로서의 폴리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계 수지, 폴리에틸렌계 및 셀룰로오스 수지계와 같은 열가소성 접착제 또는 니트릴고무, 스티렌고무 및 부틸고무계의 엘라스토머 접착제를 사용한다.
특히, 가열전사에 의한 경우에는 접착제층이 감열접착적으로 작용하므로, 인쇄잉크의 전색제와 접착제중 적당한 것을 인쇄잉크의 전색제로 하면, 접착제층을 특히 형성하지 않아도 좋다.
본원 발명에 의한 3차원 동조용 기재필름은 인쇄한 문자나 무늬가 그 크기나 형상이 변형되지 않도록 진공성형할 수 있다. "신장률을 고려하여 성형을 행하기 위한 방법"은 하기 두 방법을 포함한다.
하나의 방법에 있어서, 방안지와 같은 무늬를 성형용 시트(물리성, 두께 등에 있어서 동일한 시트 또는 유사한 시트)에 인쇄한다. 상기 시트의 진공(공기 압력)성형은 성형시에 사용된 것과 같은 동일한 금형(金型)내에서 행한다. 즉, 진공팩(pack)을 준비하여, 각 점에서의 신장률 및 변형을 측정하고, 이와 같이 얻어진 데이터에 기준하여 신장률 및 변형을 고려하여 스케일다운 플레이트(scaledown plate)를 만든다.
또 다른 하나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시트의 진공(공기압력)성형은 인장률 및 코너 곡률(曲率)이 연속적으로 변하는 모델을 사용하여 행한다. 금형의 형상으로 인한 성형 차이를 측정하고, 이와 같이 얻어진 데이터를 콤퓨터에 입력한다. 실제의 성형체의 신장률 및 변형은 콤퓨터에 의하여 판단한다. 상기 판단에 따라 스케일다운 프레이트를 만든다.
본원 발명의 필름은 각종의 잡화를 비롯하여, 자동차나 전기 전자기기의 부품의 포장용으로 사용해도 적합한 외에, 하우징, 마스킹용 및 사출무늬성형용(적층 및 전사를 포함)등에 널리 이용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각 실시예에 관한 상기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의 필름은 공중합체 또는 수지배합물로 구성되는 단일층필름 또는 필름의 인쇄중에 치수안정성이 양호한 제 1 의 필름 및 제 2 의 필름으로 구성되는 다층필름으로 이루어지며, 따라서 정확한 무늬를 인쇄할 수 있다. 온도 100℃이상에서의 진공성형성이 양호하며, 그리고 온도 140℃이상의 사출성형시의 내열성도 또한 우수하다. 그러므로, 기재필름으로서 이와 같은 필름을 사용하여 얻어진 전사필름 또는 부착필름을 사용함으로써, 성형과 동시에 복잡한 3차원 형상을 가진 성형체의 표면에 원하는 인쇄를 행할 수 있다.
다음에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그러나 본원 발명은 다음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70%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수지(일본국 유니치카 제품) 및 30%의 폴리아릴레이트수지 "U 폴리머"(일본국 유니치카 제품)를 배합한 후에, 상기 배합물을 주조법에 의하여 두께 50미크론의 기재필름으로 성형하였다. 얻어진 필름의 물리성은 하기와 같다.
80℃에서의 신장률 5%
100℃이상에서의 인장률 3
필름은 사출성형기로부터 사출된 온도 140℃의 수지와 접촉해도 용융되지 않았다.
다음에, 하기 원료를 배합하여 박리제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열가소성 아크릴수지 70부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수지 30부
폴리에틸렌 왁스 3부
1/1 톨루엔/MEK 200부
상기 박리제 조성물을 상기 기재필름 위에 그라비아 코팅하여 박리성층을 형성하였다.
하기 원료를 배합하여 인쇄잉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열가소성 아크릴수지 30부
염화고무 30부
안료 30부
염소화 파라핀 5부
표면활성제 0.5부
톨루엔/아세트산에틸 260부
상기 인쇄잉크 조성물을 그라비아 인쇄법에 의하여 박리성층 위에 인쇄무늬층을 형성하였다.
하기 원료를 배합하여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염소화 폴리프로필렌 20부
톨루엔 80부
상기 접착제 조성물을 인쇄무늬층 위에 그라비아 코팅하여 접착제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순서로 형성된 전사필름을 사용하였다. 진공성형은 온도 110℃로 사출 금형내에서 행하였으며, 그 다음에 200℃의 수지 온도하에서 동일한 금형내에서 사출성형을 행하였다. 성형과 동시에 복잡한 3차원 형상을 가진 성형체의 표면에 원하는 무늬가 형성되었다.
상기 구성의 전사필름으로부터 박리성층을 제거할 때에, 기재필름의 뒷면에 배설된 인쇄층과 함께 사출성형에 의하여 얻어진 성형체의 표면에 상기 기재필름이 고착된 성형체가 얻어졌다.
[실시예 2]
두께 100μm의 폴리염화비닐수지필름(경질)의 한쪽면에 폴리 아미드수지계 접착제를 그라비아 코팅하고, 코팅면에 두께 40μm의 6-나이론 필름을 드라이 라미네이션하였다.
얻어진 적층된 필름의 물리성은 하기와 같다.
80℃에서의 신장률 3%
100℃에서의 인장률 2
상기 필름은 온도 140℃의 용융수지와 접촉해도 용융되지 않았다.
이와같이 얻어진 적층된 필름은 치수안정성, 성형성 및 내열성이 우수했다.
얻어진 복합필름의 6-나이론 필름측에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수지를 전색제로 하는 각 조성물을 사용하여 박리성층, 인쇄무늬층 및 접착제층을 형성하여 전사시트로 하였다.
상기 전사시트를 진공성형에 의하여 성형하고, 성형시트를 금형내에 대치하여 사출성형을 행함으로써 무늬를 가진 성형체를 얻었다.
상기 단계에 있어서, 전사시트의 인쇄면의 부정합(不整合), 진공성형시 및 사출성형시의 불량은 없었다.
비교를 위하여, 두께 140μm의 폴리염화비닐수지필름의 단독 및 두께 140μm의 6-나이론 필름을 각각 사용한 이외에는 상기와 동일하게 행하였던바, 폴리염화비닐수지필름을 사용하면 인쇄면의 부정합 및 진공성형시의 불량은 없었으나, 사출성형시에 전사시트의 기재에 구멍이 뚫렸고, 성형체에 무늬가 인쇄되지 않은 부분이 생겼다. 6-나이론 필름을 사용하면 진공성형 및 사출성형 자체는 행할 수 있었으나, 전사시트의 인쇄면의 부정합으로 인하여, 성형체에 인쇄된 무늬는 색체가 어긋나 있었다.
[실시예 3]
두께 40μm의 90%아크릴로니트릴-10%메틸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필름의 물리성은 하기와 같다.
80℃에서의 신장률 2%
인장률 4
상기 필름은 온도 140℃에서 용융되지 않았다.
상기 필름을 사용하고, 그 한쪽면의 신장을 억제하고 싶은 부분에 자외선 경화수지를 그라비아 인쇄하고, 자외선을 조사(照射)하여 경화시켰다.
이 수지층위에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를 전색제로 하는 여러가지 배합의 조성물인 박리제, 인쇄잉크 및 접착제의 각층을 형성하여 전사 필름으로 하였다.
얻어진 전사필름을 진공성형에 의하여 성형하였다. 인쇄된 문자나 무늬부분은 신장이나 변형되는 일없이 성형되었다. 이 플라스틱필름은 플라스틱 성형체의 표면에의 전사필름으로서 적합하였다. 또한, 박리성층을 가지지 않은 인쇄필름은 플라스틱 성형체의 적층하기에 적합하였다.

Claims (4)

  1. 치수안정성, 성형성 및 그 내열성을 가진 인쇄용 기재필름은 단일층 필름으로 구성되고, 상기 치수안정성은 그 신장률이 80℃이하의 건조온도에서 5%이하이며, 상기 성형성은 그 인장률이 최소한 100℃의 온도에서 1/2이상이고, 상기 내열성은 상기 필름층이 140℃이상의 온도를 가진 용융 수지와 접촉해도 상기 필름이 용융되지 않고, 상기 필름은 아크릴로니트릴과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수지와 내열가소성수지의 배합물중에서 선정된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동조용 기재필름.
  2. 제 1 항의 기재필름과, 이 기재필름에 배설된 인쇄무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시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성형시에 필름의 신장을 부분적으로 억제하는 수지층이 필름 위에 형성되며, 이 수지층 위에 인쇄무늬층이 형성되고, 상기 수지층은 포름알데히드수지, 페놀수지, 아미노수지, 에폭시수지, 폴리우레탄수지 및 폴리에스테르수지중에서 선정된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시트.
  4. 제 2 항에 있어서, 방안지와 같은 무늬를 전사시트에 인쇄하고, 시트를 진공형성하고, 시트의 각점에서 신장률 및 변형을 측정하고, 이와 같이 얻어진 데이터에 기준하여 신장률 및 변형을 고려하여 스케일 다운 플레이트를 만드는 방법에 의해 축소된 인쇄문자 도는 무늬를 필름에 배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시트.
    제 2 항에 있어서, 방안지와 같은 무늬를 전사시트에 인쇄하고, 금형내에서 시트를 진공형성하고, 금형의 형상으로 인한 성형 차이를 측정하고, 이와 같이 얻어진 데이터에 기준하여 성형체의 신장률 및 변형을 고려하여 스케일 다운 플레이트를 만드는 방법에 의해 축소된 인쇄문자 또는 무늬를 필름에 배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시트.
KR1019890018332A 1984-09-26 1989-12-12 3차원 동조용(同調用)기재필름 KR9000021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18332A KR900002125B1 (ko) 1984-09-26 1989-12-12 3차원 동조용(同調用)기재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9201141A JPS6178686A (ja) 1984-09-26 1984-09-26 真空成形用印刷フイルム
JP201141 1984-09-26
KR1019850007065A KR900002124B1 (ko) 1984-09-26 1985-09-25 3차원 동조용(同調用) 기재필름
KR1019890018332A KR900002125B1 (ko) 1984-09-26 1989-12-12 3차원 동조용(同調用)기재필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7065A Division KR900002124B1 (ko) 1984-09-26 1985-09-25 3차원 동조용(同調用) 기재필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2125B1 true KR900002125B1 (ko) 1990-04-02

Family

ID=27327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8332A KR900002125B1 (ko) 1984-09-26 1989-12-12 3차원 동조용(同調用)기재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2125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2124B1 (ko) 3차원 동조용(同調用) 기재필름
JPWO2005051660A1 (ja) 加飾シート、加飾樹脂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219442A (ja) 射出成形同時加飾用シート、加飾成形品、及び射出成形同時加飾方法
EP1304173B1 (en) Process of forming a resin molded product having metallic luster surface
JPWO2005095081A1 (ja) 射出成形同時加飾用シート及び加飾樹脂成形品
US11104047B2 (en) Transfer film, method for producing a transfer film, use of a transfer film, and method for coating a component
US20120003433A1 (en) Decoration film, decoration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ecoration device
JP2000084977A (ja) 射出成形同時加飾用転写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加飾成形品
KR900002125B1 (ko) 3차원 동조용(同調用)기재필름
JP4676607B2 (ja) 射出成形同時絵付方法
JPH07119295B2 (ja) 賦形用フィルム
JP3710858B2 (ja) インサート成形品の製造方法およびインサートフィルム
JP2000141549A (ja) 加飾シート及び加飾成形品
JP4659967B2 (ja) 射出成形同時絵付用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樹脂成形品
JPH0852760A (ja) 印刷化粧積層材
JP2007070518A (ja) 成形シート用接着剤及び成形品加飾用成形シート
JP4357653B2 (ja) 射出成形同時加飾用シート及び加飾成形品
JP3414722B2 (ja) 加飾部材と加飾用シート
JPH045358Y2 (ko)
JPH0745279B2 (ja) 転写箔
JPH06115295A (ja) 深絞り製品への転写用フィルムの製造方法とこれに使用する基材フィルム
JPH07205538A (ja) 転写フィルム
CN219446372U (zh) 加饰成型品
JPH1170212A (ja) 遊技盤用の盤面化粧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325252B2 (ja) 絵付けシートの製造方法および立体加工された絵付けシートの製造方法、立体形状絵付け成形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23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