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2072Y1 - 무전기의 축전지함 착탈구조 - Google Patents

무전기의 축전지함 착탈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2072Y1
KR900002072Y1 KR2019870004840U KR870004840U KR900002072Y1 KR 900002072 Y1 KR900002072 Y1 KR 900002072Y1 KR 2019870004840 U KR2019870004840 U KR 2019870004840U KR 870004840 U KR870004840 U KR 870004840U KR 900002072 Y1 KR900002072 Y1 KR 9000020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box
battery
main body
radio
j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048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20736U (ko
Inventor
정일모
Original Assignee
국제전자공업주식회사
정일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제전자공업주식회사, 정일모 filed Critical 국제전자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700048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2072Y1/ko
Publication of KR8800207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2073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20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207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3Arrangements for mounting batteries or battery char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무전기의 축전지함 착탈구조
제 1도는 본 고안의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
제 2도는 본 고안의 작용상태를 보이는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축전지함
1', 1" : 하부저면 2', 2" : 요홈
3 : 하부저면 4 : 탄편
5 : 해제버튼 6 : 돌봉
7 : 경사면 8 : 융기부
9 : 낙하공
본 고안은 주로 휴대용 무전기에 적용하기 위한 축전지함 착탈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출원인의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86-4229호를 개량하여 견고한 부착상태가 유지될수 있게한 것이다.
통상의 휴대용 무전기는 충전을 위하여 쉽게 이탈시킬수 있어야 하는 양면성을 충족하여야 하는 것인바, 종래에도 이러한 양면성을 충족시키기 위한 수차례의 시도가 있었던 것이다.
그일례로서 본출원인의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고번호 제 88-554호로써 알려진 무전기의 축전지함을 살펴보면 이는 무전기 몸체 하부에 부착된 내측판의 양측에 형성된 내측 감입돌조와 축전지함 상부에 부착된 내측판 양측의 내측 요입부가 서로 접하여 습동되도록 된 것이며 내측 감입돌조와 내측요입부가 서로 긴체되도록 하여 무전기에 부착된 축전지함이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한 효과를 얻을수 있었던 반면에, 내측요입부의 절단 공정중에 지느러미(Burr)가 조금이라도 존재하는 경우에는 축전지함의 착탈이 힘이들게 될뿐 아니라 얼마간 사용하다 보면 내측 감입돌조와 내측요입부의 당접되는 마찰 부위가 마멸되어 약한 외부충격에 의하여도 축전지함이 쉽게 이탈되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이와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출원인은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86-2859호 및 제 86-4229호를 출원한 바 있으며 이는 무전기 본체의 하부저면에 탄편의 타탄을 고정하고 탄편의 일단은 버튼에 연결하며 일측을 하방으로 연장하여 걸림턱을 마련하고 축전지함의 상면에 경사턱을 형성하여 줌으로써 레버를 승강시키거나 누름에 따라 걸림턱이 상승되어 축전지함을 무전기본체에 고정시킬수 있게 함으로써 비교적 견고하게 축전지함을 부착할수 있게되었고 용이하게 이탈시킬수 있어서 전기한 바의 양면성을 충족시킬수 있게 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휴대용 무전기는 각종의 현장에서 축전지함의 착탈요령을 알지 못하는 사람들도 사용하게 되는 것이며, 이런 경우에 무전기 본체와 축전지함을 강제로 이탈시킴으로써 이런 경우에 무전기본체와 축전지함을 강제로 이탈시킴으로써 전기한 바의 걸림턱이나 경사턱이 파손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었으며 심한 경우에는 무전기 본체나 축전지함을 파손시키게 되는 경우까지 있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걸림턱과 경사턱의 구조를 개선하여 강한 외력이 가하여지더라고 이를 충분히 감당할수 있도록 함으로써 축전지함 착탈구조가 파손됨을 방지하고 무전기 전체를 보호할수 있게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체(1)과 축전지함(2)이 돌조(1'),(1") 및 요홈(2'),(2")에 의하여 습동되게 하고 본체(1)의 하부저면(3)에 탄편(4)의 타탄을 고정하며 탄편(4)의 일단이 해제버튼(5)을 조작함에 따라 승강하게 한 것에 있어서, 탄편(4)의 일단부위에 하방으로 향하여 봉상의 돌봉(6)을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축전지함(2)의 상면에는 경사면(7)을 갖는 융기부(8)를 구성하며, 융기부(8)의 상단에는 낙하공(9)를 형성하여서된 것으로 미설명부호 10,10'는 정지턱, 11은 저판, 12는 해제버튼(5)의 경사면이다.
이와같이된 본 고안의 본체(1)에 축전지함(2)을 부착하고져 할경우에는 본체(1)의 돌조(1'),(1")에 축전지함(2)의 요홈(2'),(2")을 끼워 축전지함(2)을 밀어 넣으면 본체(1)의 정지턱(10)과 축전지함(2)의 정지턱(10')이 직각 요홈(2'),(2") 및 돌조(1'),(1")의 단부에 닿게되어 정지하게 되고 이와함께 저판(11)의 하방에 돌출된 탄편(4)의 돌봉(6)이 융기부(8)의 경사면(7)을 타고 상승하여 낙하공(9)에 낙하하므로 결국 본체(1)의 축전지함(2)은 돌조(1'),(1")와 요홈(2'),(2")에 의하여 체결되고 돌봉(6)과 융기부(8)에 의하여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된 제 2도의 상태가 되는 것이며 이러한 축전지함(2)의 부착 과정에서 기계적인 마찰이 거의 없으므로 용이하게 힘들이지 않고 부착할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에 의한 축전지함의 부착상태를 살펴보기 위하여 참고로 전기한 바의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85-2859호와 제 86-4229호의 걸림턱 및 경사턱에 의한 걸림상태에서 강한 힘으로 본체(1)와 축전지함(2)을 강제로 밀어빼는 경우를 살펴보면, 경사턱의 극히 일부분에 당접되어 있는 걸림턱은 협소한 접촉부분을 강제로 밀어내면서 절단하게 통과하게 되므로 걸림턱과 경사턱이 파손되면서 축전지함이 이탈되거나 혹은 본체(1)나 축전지함(2)이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이나 이에 비하여 본 고안에서는 외부에서 본체(1)와 축전지함(2)을 강제로 밀어빼려는 경우 돌봉(5)의 반원 면적에 해당하는 넓은 면적이 낙하공(8)주연의 반원면적에 해당하는 넓은 면적과 당점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힘이 분산되어 강한 외력이 가하여지더라도 돌봉(5)이 낙하공(8)주연이 파손되는 일이 없어서 충분히 감당하여 축전지함 착탈구조가 파손됨을 방지하고 나아가 무전기 전체를 보호할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에 의하여 축전지함(2)은 본체(1)에 견고하게 부착되어 있는 것이며, 이와같이 하여사용하다가 충전을 위하여 축전지함(2)을 이탈시킬 경우에는 해제버튼(5)를 눌러주면 해제버튼이 본체(1)내측으로 밀리면서 그 경사면(11)이 탄편(4)의 일단을 상승시켜주므로 탄편(4)일단부위의 돌봉(6)이 상승하여 낙하공(8)에서 이탈되는것이며 이때 축전지함(2)을 삽입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습동시키면 축전지함(2)을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게 되고, 새로운 축전지함(2)이나 충전시킨 축전지함(2)을 전기한 바의 방법으로 부착시켜 사용할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하여 본 고안은 축전지함의 교체시에는 착탈이 용이함은 물론이려니와 축전지함이 견고한 상태로 부착되어 외부의 충격이나 오조작에 축전지함의 이탈이나 파손등의 우려가 전혀없어서 안심하고 사용할수 있게되는 실용적인 고안이다.

Claims (1)

  1. 본체(1)와 축전지함(2)이 돌조(1'),(1") 및 요홈(2'),(2")에 의하여 습동되게 하고 본체(1)의 하부저면(3)에 탄편(4)의 타단을 고정하며, 탄편(4)의 일단이 해제버튼(5)을 조작함에 따라 승강되게한 것에 있어서, 탄편(4)의 일단부위에 하방으로 향하여 봉상의 돌봉(6)을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축전지함(2)의 상면에는 경사면(7)을 갖는 융기부(8)를 구성하며, 융기부(8)의 상단에는 낙하공(9)을 형성하여서된 무전기의 축전지함 착탈구조.
KR2019870004840U 1987-04-08 1987-04-08 무전기의 축전지함 착탈구조 KR9000020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4840U KR900002072Y1 (ko) 1987-04-08 1987-04-08 무전기의 축전지함 착탈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4840U KR900002072Y1 (ko) 1987-04-08 1987-04-08 무전기의 축전지함 착탈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20736U KR880020736U (ko) 1988-11-30
KR900002072Y1 true KR900002072Y1 (ko) 1990-03-13

Family

ID=19261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04840U KR900002072Y1 (ko) 1987-04-08 1987-04-08 무전기의 축전지함 착탈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207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20736U (ko) 1988-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418209Y2 (ko)
JPS59187979A (ja)
US5856038A (en) Retention latch
JPS6116845B2 (ko)
US20180108884A1 (en) Battery pack
US20060080842A1 (en) Safety cutter with triple locking slider
KR900002072Y1 (ko) 무전기의 축전지함 착탈구조
US6298986B1 (en) Compact disk receiving device
JPH1154098A (ja) バッテリ固定構造
KR100548955B1 (ko) 키를 갖는 파스너
KR200186384Y1 (ko) 비누갑
CN217080004U (zh) 防脱落可脱卸分体式遥控钥匙
JPS6228178Y2 (ko)
KR890002102Y1 (ko) 축전지함을 착탈할 수 있는 무전기
US20070243755A1 (en) Battery holder
KR860002010Y1 (ko) 립스틱 용기
CN216627688U (zh) 一种方便开扣的按键式磁吸表扣
KR880001327Y1 (ko) 건전지 수납 케이스 장치
JPS60608Y2 (ja) 冷蔵庫等の離氷装置
JPS6342811Y2 (ko)
JPS6216904Y2 (ko)
KR870003078Y1 (ko) 축전지함을 착탈할 수 있는 무전기
JPS6228180Y2 (ko)
KR940006487Y1 (ko) 도어록
JP3529913B2 (ja) 携帯機器における電池ロック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905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