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2102Y1 - 축전지함을 착탈할 수 있는 무전기 - Google Patents

축전지함을 착탈할 수 있는 무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2102Y1
KR890002102Y1 KR2019860004229U KR860004229U KR890002102Y1 KR 890002102 Y1 KR890002102 Y1 KR 890002102Y1 KR 2019860004229 U KR2019860004229 U KR 2019860004229U KR 860004229 U KR860004229 U KR 860004229U KR 890002102 Y1 KR890002102 Y1 KR 8900021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button
battery box
bullet piece
j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042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7476U (ko
Inventor
정일모
Original Assignee
국제전자공업 주식회사
정일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제전자공업 주식회사, 정일모 filed Critical 국제전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600042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2102Y1/ko
Publication of KR8700174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747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21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210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3Arrangements for mounting batteries or battery charger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축전지함을 착탈할 수 있는 무전기
제1도는 본 고안의 요부를 보인 일부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몸체 1', 1″: 돌조
2 : 축전지함 2', 2″: 요홈
3 : 몸체의 하부저면 4 : 탄편
4' : 탄편의 걸림턱 5 : 경사턱
5' : 경사턱의 단부 9 : 탄편의 경사부
10 : 해체버튼의 경사면 11 : 해체버튼
12 : 스프링
본 고안은 축전지함을 착탈할 수 있게 한 휴대용 무전기에 관한 것으로 본출원이 대한민국 특허청에 출원한 바있는 실용신안등록출원 제85-2859호를 개량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찰용이나 군용 또는 현장용으로 사용되는 무전기는 상당한 고주파 출력을 갖는 것이어서, 필연적으로 전력의 소모가 많으므로 축전지를 사용하는 것인데, 휴대중에는 이 축전지를 무전기 본체에 견고하게 부착시켜야 하는 반면에 충전시에는 축전지를 탈리하기가 용이하여야 하는 양면성이 있으며, 이러한 조건을 충족하기 위하여 수차례의 시도가 행하여진 바 있다.
즉, 본출원인의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고번호 제85-554호로서 알려진 무전기의 축전지함을 살펴보면 이는 무전기 몸체 하부에 부착된 내측판의 양측에 형성된 내측 감입돌조와 축전지함 상부에 부착된 내측판 양측의 내측요입부가 서로 접하여 습동되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불편이 있으며 또한 상기의 내측 감입돌조와 내측요입부가 서로 긴체되어 무전기에 부착된 축전지함이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였으나 내측요입부에는 절단공정에서 생긴 지느러미(Burr)가 제거되지 않고 부분적으로 남아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축전지함의 착탈이 힘이 들게 될뿐 아니라 탄편에 의하여 접점이 접촉되게 한 것이므로 얼마간 사용하다보면 이완되어 접촉저항이 중가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탄편인 내측 감입돌조와 내측요입부 역시 사용에 의하여 접촉부분이 마모되므로 얼마간 사용하다보면 긴체된 상태가 이완되므로 외부의 충격력에 의하여 쉽게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출원 제85-2859호를 출원한 바있으며 그 구조를 살펴보면 무전기 몸체의 하부전면에 탄편의 타단을 고정하고 일단에는 걸림턱을 마련하여 하방으로 돌출시키며, 이에 대응되는 위치의 축전지함 상면에 단부를 갖는 경사턱을 형성하고 탄편의 연장부에는 해체버튼을 삽착하여 줌으로서 축전지함의 부착시에는 경사턱의 단부에 걸림턱이 내려서 있으므로 축전지가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다가 해체버튼을 상방으로 밀어 올리면 탄편의 걸림턱이 경사턱의 상방으로 들여져서 축전지함을 무전기 몸체로부터 신속하고 용이하게 탈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휴대중에는 축전지가 무전기 몸체에 견고하게 부착되게 하고 충전시에는 축전지의 탈리가 용이하게 한 양면성을 충족시킬 수는 있었으나 그 반면에 일반인의 의식은 버튼이란 일반적으로 손가락으로 압압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인식되어 있는 이유로 해체버튼을 상방으로 밀어 올려야 해체가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사용자는 무의식중에 해체버튼을 압압하게 되는 사례가 속출하였고, 또한 해체버튼이 외부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외부의 충격을 받게되어 파손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해체버튼이 돌출되어 있어서 보호커버에 넣을때에도 걸리게 되므로 불편하게 되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이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충원 제85-2859호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해체버튼을 압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서 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몸체(1)와 하부 양측벽에 형성된 돌조(1')(1″)가 축전지함(2) 상부 양측벽의 요흠(2)(2')에 끼워져서 습동되게 하고 몸체(1)의 하부저면(3)에 탄편(4)의 타단이 고정되게하며 탄편(4)의 일단에 형성된 걸림턱(4')이 탄성에 의하여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하고 이에 대응되는 위치의 축전지함(2)의 상면에 단부(5')를 갖는 경사턱(5)을 돌설하며, 몸체(1)의 하부에는 스프링(6)으로 두접점(7)(7')하단을 돌출시켜 축전지함(2) 상면의 두 접점(8)(8')과 접속되도록 한 것에 있어서, 탄편(4)의 일단부를 상방으로 연장하여 경사부(9)를 구성하고 내측 하부에 경사면(10)을 갖는 해체버튼(11)을 몸체(1)의 측면 하부에 스프링(12)으로 탄설하여 상기 판편(4)의 경사부(9)와 해체버튼(11)의 경사면(10)이 서로 당접되게 하여서 된 것으로 미설명부호 13은 탄편(4)을 몸체(1)의 저면에 고정하기 위한 저판이고, 14, 14'는 탄편 (4)의 지간(15)(15')을 안치하기 위한 시트이며, 16,16'는 몸체(1)와 축전지함 (2)의 정지턱이다.
이와같이 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몸체(1)에 축전지함(2)을 부착하고져 할 경우에는 몸체(1) 하부 양측벽의 횡돌조(1')(1″)에 축전지함(2) 상부 양측벽의 요흠(2')(2″)을 끼워 습동되게하면 몸체(1)의 정지턱(16)과 축전지함(2)의 정지턱(16')이 닿게되면서 저판(13)의 하방에 돌출된 탄편(4)의 걸림턱(4')이 경사턱(5)을 타고 넘어가 단부(5')에 내려서면서 걸리고 그 순간 몸체(1)에 축전지함(2)의 부착이 완료되는 것인바 부착하는 과정에서 기계적인 마찰이 거의 없으므로 용이하게 힘들이지 않고 부드럽게 부착할 수 있게되는 것이고, 이와같이하여 축전지함(2)을 부착한 무전기는 탄편(4)의 걸림턱(4') 및 경사턱(5)의 단부(5')가 걸려있는 상태이므로 견고한 부착상태를 유지하는 것이고 얼마간 사용하다 보면 축전기의 충전된 전기가 소모되어 새로이 충전된 축전지함으로 교체하거나 소모된 축전지를 재충전시켜야 하는 바 이를 위하여 현재의 축전지를 탈피시켜야 하는데 본 고안에서는 이때 통상의 버튼을 누르는 듯이 해체버튼(11)을 누르면 된다.
즉 해체버튼(11)을 손가락으로 압압하면 해체버튼(11)이 스프링(12)의 탄성을 이기고 몸체(1)내측으로 이동하면서 그 경사면(10)이 탄편(4)의 경사부(9)와 접동되면서 탄편(4)의 일단을 상승시켜 주므로 탄편(4) 일단의 걸림턱(4')이 경사턱 (5)보다 더높이 들려지게 되므로 이때 축전지함(2)을 삽입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습동시키면 축전지함(2)을 몸체(1)에서 신속하게 탈리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새로운 축전지함(2)이나 충전시킨 축전지함(2)을 전기한 바와같은 방법으로 갈아끼우면 되고 또 다시 교체하여야 할 경우에는 전기한 방법으로 반복하여 실시하면 된다.
이와같이하여 본 고안은 축전지함의 교체시에는 착탈이 용이하고 휴대시에는 축전지함의 견고한 부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특히 버튼을 손가락으로 압압하여 사용하고 있는 일반인의 습관에 일치하므로 해체버튼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해체버튼은 외부로 돌출되는 것이 아니므로 외부의 충격에 손상을 받게될 염려가 없으며 보호커버에 넣을때에도 돌출버튼이 없어서 편리한 등의 잇점이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몸체(1)와 축전지함(2)이 돌조(1)(1') 및 요홈(2')(2″)에 의하여 습동되게하고 몸체(1)의 하부저면(3)에 탄편(4)의 타단이 고정되게 하며 탄편(4)의 일단에 형성딘 걸림턱(4')이 탄성에 의하여 하방으로 돌출되도록하고 이에 대응되는 위치의 축전지함(2)의 상면에 단부(5')를 갖는 경사턱(5)을 돌설하여서 된 것에 있어서, 탄편(4)의 일단부를 상방으로 연장하여 경사부(9)를 구성하고 내측하부에 경사면(10)을 갖는 해체버튼(11)을 몸체(1)의 측면하부에 스프링(12)으로 탄설하여 상기 탄편(4)의 경사부(9)와 해체버튼(11)의 경사면(10)이 서로 당접되게 하여서된 축전지함을 착탈할 수 있는 무전기.
KR2019860004229U 1986-04-03 1986-04-03 축전지함을 착탈할 수 있는 무전기 KR8900021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4229U KR890002102Y1 (ko) 1986-04-03 1986-04-03 축전지함을 착탈할 수 있는 무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4229U KR890002102Y1 (ko) 1986-04-03 1986-04-03 축전지함을 착탈할 수 있는 무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7476U KR870017476U (ko) 1987-11-30
KR890002102Y1 true KR890002102Y1 (ko) 1989-04-12

Family

ID=19250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04229U KR890002102Y1 (ko) 1986-04-03 1986-04-03 축전지함을 착탈할 수 있는 무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210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7476U (ko) 1987-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56038A (en) Retention latch
CA1313514C (en) Housing and holder assembly for a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US4904549A (en) Battery housing with integral latch and positive displacement apparatus
US7824793B2 (en) Battery cover assembl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0425094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팩 착탈 구조
US20020160255A1 (en) Battery latch and method
KR890002102Y1 (ko) 축전지함을 착탈할 수 있는 무전기
KR200455693Y1 (ko) 휴대 단말기 보호커버
US5274318A (en) Portabl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method of using same
JP3591016B2 (ja) 電池収納装置
US8673481B2 (en) Battery system
US6520660B1 (en) Flashlight having mechanism for preventing electrical contact members thereof from rusting
JP3049495U (ja) 携帯電話の電池シート
KR19980047613U (ko) 이동통신용 단말기의 베터리팩 사이드 록킹장치
KR20060096677A (ko) 이동통신단말기용 배터리 잠금장치
KR200167110Y1 (ko) 이동전화단말기용 배터리 팩의 착탈구조
KR870003078Y1 (ko) 축전지함을 착탈할 수 있는 무전기
KR900002072Y1 (ko) 무전기의 축전지함 착탈구조
JPH0521201Y2 (ko)
KR200308163Y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배터리 착탈장치
KR930007344Y1 (ko) 전화기에 설치된 전자계산기 삽탈장치
RU136623U1 (ru) Корпус устройства дистанционного управления
KR950008624Y1 (ko) 카세트 플레이어의 충전 케이스 착탈장치
JP2000011978A (ja) 電池パック取り外し装置
KR200272270Y1 (ko) 휴대폰의 배터리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40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