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2270Y1 - 휴대폰의 배터리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휴대폰의 배터리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2270Y1
KR200272270Y1 KR2020020000686U KR20020000686U KR200272270Y1 KR 200272270 Y1 KR200272270 Y1 KR 200272270Y1 KR 2020020000686 U KR2020020000686 U KR 2020020000686U KR 20020000686 U KR20020000686 U KR 20020000686U KR 200272270 Y1 KR200272270 Y1 KR 2002722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main body
mobile phone
coupling
siz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06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수
Original Assignee
김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수 filed Critical 김민수
Priority to KR20200200006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22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22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2270Y1/ko

Link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폰의 배면에 결합되는 배터리를 좌우측에서 고정하는 구조로 변경하여 배터리의 크기를 휴대폰의 전체 면적에 가깝도록 함으로써, 휴대폰의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여 휴대폰의 크기를 소형화시키거나 배터리의 면적을 넓혀 두께를 작게 하며, 배터리의 분리동작을 편리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의 본 고안은, 배터리(160)가 결합되는 형상으로 본체(110)의 배면 전체에 형성된 결합부(130)와, 배터리(160)의 하단을 결합부(130)의 하단에 고정하는 고정부(140)와, 결합부(130)의 양측 본체(110)에 설치되어 배터리(160)의 상단을 고정하는 그립부(150)를 포함하는 휴대폰의 배터리 고정장치로서, 배터리(160)의 크기를 설계할 때 배터리(160)의 면적을 본체(110)의 배면 크기와 동일하게 설계할 수 있게 되어, 본체(110)의 크기를 줄이거나 배터리(160)의 면적을 늘려 두께를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하며, 한 손으로 배터리(160)를 본체(11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그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폰의 배터리 고정장치{BATTERY FIXING MECHANISM OF CELLULAR PHONE}
본 고안은 휴대폰의 배터리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휴대폰의 배면에 결합되는 배터리를 좌우측에서 고정하는 구조로 변경하여 배터리의 크기를 휴대폰의 전체 면적에 가깝도록 함으로써, 휴대폰의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여 휴대폰의 크기를 소형화시키거나 배터리의 면적을 넓혀 두께를 작게 하며, 배터리의 분리동작을 편리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은, 충전식 배터리를 본체의 배면에 착탈식으로 결합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휴대폰의 배면 사시도를 도 1에 도시한다.
배터리(60)를 휴대폰의 본체(10)의 배면에 결합하기 위한 배터리 고정장치는, 배터리(60)가 결합되는 형상으로 본체(10)의 배면에 형성된 결합부(30)와, 결합부(30)의 하단에 배터리(60)의 하단을 고정하는 고정부(40)와, 결합부(30)의 상측 본체(10)에 설치되어 배터리(60)의 상단을 고정하는 그립부(50)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부(40)는 배터리(60)의 하단에 형성된 제 1결합돌기(62)와 결합부(30)의 하단에 형성되어 제 1결합돌기(62)가 결합되는 제 1결합홈(42)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체(10)의 결합부(30)의 상단에는 그립부(50)를 설치하기 위한 여유공간(12)이 마련되고, 이 여유공간(12)에는 안테나(22)를 지지하기 위한 홀더부(20)도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체(10)의 배면의 크기는 배터리(60)의 크기에 일치하는 결합부(30)와 여유공간(12)을 합한 크기가 된다.
상기 그립부(50)는 여유공간(12)에 형성된 홈(14)과, 이 홈(14)에 설치되어 결합부(30)측으로 전진 및 후진되고 돌출된 제 2결합돌기(53)를 갖는 버튼(52)과, 버튼(52)을 배터리(60)측으로 전진하는 방향으로 탄성을 가하는 스프링(미도시)과, 배터리(60)에 형성되어 제 2결합돌기(53)가 결합되는 제 2결합홈(64)으로 이루어진다.
결합부(30)에는 배터리(60)의 전원이 연결되는 접속부(32)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휴대폰의 본체(10)에 배터리(60)를 결합시킬 때에는, 먼저 배터리(60)의 하단에 형성된 제 1결합돌기(62)를 본체(10)의 제 1결합홈(42)에 걸고 그립부(50)의 버튼(52)을 후진시킨 다음, 배터리(60)의 상단부를 결합부(30)에 밀착시키고 버튼(52)을 놓으면, 버튼(52)이 스프링의 탄력에 의해 전진하며 제 2결합돌기(53)가 배터리(60)의 제 2결합홈(64)에 결합되어 배터리(60)의 결합이 완료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배터리(60)의 전원은 결합부(30)에 마련된 접속부(32)에 접속되어 배터리(60)로부터 본체(10)로 전류가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배터리(60)를 본체(10)로부터 분리시킬 때에는, 한 손으로 본체(10)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 버튼(52)을 후진시켜 배터리(60)에 대한 결합력을 해제한 다음 배터리(60)를 분리시킨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배터리 고정장치가 적용된 휴대폰에 있어서는,배터리(60)의 크기를 설계할 때 배터리(60)의 면적을 본체(10)의 배면 크기에서 여유공간(12)을 제외한 크기에 맞추고 있다.
따라서 상기의 휴대폰은 여유공간(12)에 해당되는 면적을 활용할 수 없고, 이에 따라 배터리(60)는 좁은 면적에서 충분한 저장용량을 가지도록 하기 위하여 두께가 두꺼워져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배터리 고정장치는, 배터리(60)를 본체(10)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하여 한 손으로 본체(10)를 잡고 한 손으로 그립부(50)의 버튼(52)을 밀어서 배터리(60)를 분리해야 하므로, 배터리(60)의 분리동작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휴대폰의 배면에 결합되는 배터리를 좌우측에서 고정하는 구조로 변경하여 배터리의 크기를 휴대폰의 전체 면적에 가깝도록 함으로써, 휴대폰의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여 휴대폰의 크기를 소형화시키거나 배터리의 면적을 넓혀 두께를 작게 하며, 배터리의 분리동작을 편리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휴대폰의 배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의 배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휴대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한 휴대폰의 단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한 휴대폰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본체 112: 요홈
114: 힌지공 120: 홀더부
122: 안테나 130: 결합부
132: 접속부 140: 고정부
142: 결합홈 150: 그립부
152: 회동버튼 154: 걸림 후크
155: 힌지축 156; 받침판
158: 스프링 160: 배터리
62: 결합돌기 164: 걸림홈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배터리가 결합되는 형상으로 본체의 배면 전체에 형성된 결합부; 상기 배터리의 하단을 상기 결합부의 하단에 고정하는 고정부; 및 상기 결합부의 양측 본체에 설치되어 배터리의 상단을 고정하는 그립부;를 포함하는 휴대폰의 배터리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양호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한 휴대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한 휴대폰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배터리 고정장치는, 배터리(160)가 결합되는 형상으로 본체(110)의 배면 전체에 형성된 결합부(130)와, 배터리(160)의 하단을 결합부(130)의 하단에 고정하는 고정부(140)와, 결합부(130)의 양측 본체(110)에 설치되어 배터리(160)의 상단을 고정하는 그립부(150);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의 결합부(130)는 본체(110)의 배면 전체의 크기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배터리(160)의 면적과 본체(110)의 배면의 면적은 동일하게 된다. 그리고 결합부(130)에는 배터리(160)의 전원이 연결되는 접속부(132)가 설치된다.
상기 고정부(140)는 배터리(160)의 하단에 형성된 결합돌기(162)와 결합부(130)의 하단에 형성되어 결합돌기(162)가 결합되는 결합홈(14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그립부(150)는, 본체(110)의 양측면에 형성되고 각각의 양측벽에 힌지공(114)이 형성된 한 쌍의 요홈(114)과, 요홈(114) 내에 결합되고 힌지공(114)에 결합되는 힌지축(155)이 형성되며 일단에 걸림 후크(154)가 형성된 회동버튼(152)과, 요홈(114)에 고정되어 회동버튼(152)에 있어서 힌지축(155)을 기준으로 걸림 후크(154)와 대향되는 지점을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158)과, 배터리(160)의 양측 배면에 형성되어 걸림 후크(154)가 걸리는 걸림홈(16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동버튼(152)에는, 배터리(160)의 저면을 받치는 받침턱(156)이 형성된다.
그리고 본체(110)의 상단 면에는 안테나(122)가 설치되는 홀더부(120)가 돌출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배터리 고정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5는 도 2에 도시한 휴대폰의 사용상태 사시도이다.
휴대폰의 본체(110)에 배터리(160)를 결합시킬 때에는, 먼저 배터리(160)의 하단에 형성된 결합돌기(162)를 본체(110)의 고정부(140)에 형성된 결합홈(142)걸고 배터리(160)의 상단부를 결합부(130)에 밀착시킨다. 그러면, 배터리(160)가 회동버튼(152)의 걸림 후크(154)의 경사진 등면을 밀고 들어가 결합부(130)에 밀착되고, 걸림 후크(154)는 외측으로 밀렸다가 회동버튼(152)이 스프링(158)의 탄성을 받아 힌지축(155)을 기준으로 회동되는 힘에 의해 다시 배터리(160)의 상면에 형성된 걸림홈(164)에 결합되어 배터리(160)의 결합이 완료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배터리(160)의 전원은 결합부(130)에 마련된 접속부(132)에 접속되어 배터리(160)로부터 본체(110)로 전류가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배터리(160)를 본체(110)로부터 분리시킬 때에는, 한 손으로 본체(110)와 동시에 양측의 회동버튼(152)의 하단부를 눌러 회동버튼(152)을 회동시킴으로써, 걸림 후크(142)가 배터리(160)의 상면으로부터 이탈되게 하여 배터리(160)를 분리시킨다.
이때 회동버튼(152)에 형성된 받침판(156)은 배터리(160)의 저면을 들어올려 배터리(160)의 분리를 돕는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의 배터리 고정장치가 적용된 휴대폰에 있어서는, 배터리(160)의 크기를 설계할 때 배터리(160)의 면적을 본체(110)의 배면 크기와 동일하게 설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체(110)의 크기를 줄이거나 배터리(160)의 면적을 늘려 두께를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의 배터리 고정장치는, 한 손으로 배터리(160)를 본체(11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그 사용이 편리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배터리(160)가 결합되는 형상으로 본체(110)의 배면 전체에 형성된 결합부(130)와, 배터리(160)의 하단을 결합부(130)의 하단에 고정하는 고정부(140)와, 결합부(130)의 양측 본체(110)에 설치되어 배터리(160)의 상단을 고정하는 그립부(150)를 포함하는 휴대폰의 배터리 고정장치로서, 배터리(160)의 크기를 설계할 때 배터리(160)의 면적을 본체(110)의 배면 크기와 동일하게 설계할 수 있게 되어, 본체(110)의 크기를 줄이거나 배터리(160)의 면적을 늘려 두께를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하며, 한 손으로 배터리(160)를 본체(11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그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하나의 실시예로써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4)

  1. 배터리(160)가 결합되는 형상으로 본체(110)의 배면 전체에 형성된 결합부(130);
    상기 배터리(160)의 하단을 상기 결합부(130)의 하단에 고정하는 고정부(140); 및
    상기 결합부(130)의 양측 본체(110)에 설치되어 배터리(160)의 상단을 고정하는 그립부(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배터리 고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150)는, 상기 본체(110)의 양측면에 형성되고, 각각의 양측벽에 힌지공(114)이 형성된 한 쌍의 요홈(114);
    상기 요홈(114) 내에 결합되고, 상기 힌지공(114)에 결합되는 힌지축(155)이 형성되며, 일단에 걸림 후크(154)가 형성된 회동버튼(152);
    상기 요홈(114)에 고정되어 상기 회동버튼(152)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155)을 기준으로 상기 걸림 후크(154)와 대향되는 지점을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158); 및
    상기 배터리(160)의 양측 배면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 후크(154)가 걸리는 걸림홈(16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배터리 고정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회동버튼(152)에는, 상기 배터리(160)의 저면을 받치는 받침턱(15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배터리 고정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110)의 상단 면에는 안테나(122)가 설치되는 홀더부(120)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배터리 고정장치.
KR2020020000686U 2002-01-09 2002-01-09 휴대폰의 배터리 고정장치 KR2002722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0686U KR200272270Y1 (ko) 2002-01-09 2002-01-09 휴대폰의 배터리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0686U KR200272270Y1 (ko) 2002-01-09 2002-01-09 휴대폰의 배터리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2270Y1 true KR200272270Y1 (ko) 2002-04-13

Family

ID=73083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0686U KR200272270Y1 (ko) 2002-01-09 2002-01-09 휴대폰의 배터리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227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3587B1 (ko) 휴대용 무전기 배터리 래칫
KR200272270Y1 (ko) 휴대폰의 배터리 고정장치
JPH1040890A (ja) 二次電池ロック構造
JP2990075B2 (ja) 電池パック押上げ機構およびその押上げ方法
KR100442361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밧데리 결합장치
KR100207434B1 (ko)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배터리팩 착탈장치
JP3591016B2 (ja) 電池収納装置
JP2000032105A (ja) 充電装置
KR20070047859A (ko) 삽입방식의 배터리 착탈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휴대폰
JP2002111832A (ja) 携帯型情報機器
JP3046302U (ja) 携帯電話の取付け具
KR100572472B1 (ko) 회전형 배터리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284277B1 (ko) 휴대 전화기의 배터리 팩 착탈장치
JPH11127231A (ja) 移動電話機用交流充電器
KR200355865Y1 (ko) 이동통신단말기용 배터리팩 착탈장치
KR200301236Y1 (ko) 휴대폰의 배터리 호환장치
KR100432050B1 (ko) 전원의 꺼짐이 없는 배터리 교체방법 및 이를 이용한이동통신단말기
KR10045577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록킹장치
KR200205649Y1 (ko) 휴대폰의 배터리 장착구조
JP2000011978A (ja) 電池パック取り外し装置
KR200333769Y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착탈장치
KR200292165Y1 (ko) 휴대폰용 밧데리의 이탈구조
KR200357054Y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착탈식 내장 배터리의 고정 구조
JPH11224655A (ja) 充電器
KR200162182Y1 (ko) 고정형 무선전화기의 수납케이스 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