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3078Y1 - 축전지함을 착탈할 수 있는 무전기 - Google Patents

축전지함을 착탈할 수 있는 무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3078Y1
KR870003078Y1 KR2019850002859U KR850002859U KR870003078Y1 KR 870003078 Y1 KR870003078 Y1 KR 870003078Y1 KR 2019850002859 U KR2019850002859 U KR 2019850002859U KR 850002859 U KR850002859 U KR 850002859U KR 870003078 Y1 KR870003078 Y1 KR 8700030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box
battery compartment
jaw
battery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028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12511U (ko
Inventor
정일모
Original Assignee
국제전자공업 주식회사
정일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제전자공업 주식회사, 정일모 filed Critical 국제전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500028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870003078Y1/ko
Publication of KR8600125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1251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30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307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3Arrangements for mounting batteries or battery charger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축전지함을 착탈할 수 있는 무전기
제1도는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작동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몸체 2 : 축전지함
3 : 몸체(1)의 하부저면 1', 1" : 몸체(1)의 하부양측벽에 형성된 횡돌조
2', 2" : 축전지함(2)의 상부양측벽에 형성된 요홈
4 : 탄편 4' : 탄편의 걸림턱
5 : 경사턱 5' : 경사턱(5)의 단부
6 : 스프링 7, 7', 8, 8' : 접점
13 : 탄편(4)의 연장부 14 : 해체버튼
본 고안은 주로 휴대용 무전기의 일측에 부착하는 축전지함의 착탈구조에 관한 것으로, 간단한 구조로서 힘들이지 않고 용이하게 축전지함을 착탈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일단 무전기에 부착된 축전지함은 외부의 충격력등에 의하여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종래에 사용되던 무전기의 축전지함 착탈장치는 착탈이 용이한 반면에 착탈부분이 쉽게 파손되는 결점이 있었으므로 이를 감안하여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고번호 제83-554호로서 무전기의 축전지함을 제안한 바 있으나 이는 무전기 몸체 하부에 부착된 내측판의 양측에 형성된 내측 감입돌조와 축전지함 상부에 부착된 내측판 양측의 내측 요입부가 서로 접하여 습동되도록 주의를 기울여야하는 불편이 있고 또한 상기의 내측 감입돌조와 내측 요입부가 서로 긴체되어 무전기에 부착된 축전지함이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였으며 요입부에는 사출시 생긴 지느러미(burr)가 제거되지 않고 부분적으로 남아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축전지함의 착탈에 힘이 들게될 뿐 아니라 탄편에 의하여 접점이 접촉되게 한 것이므로 얼마간 사용하다보면 이완되어 접촉 저항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상기와 내측 감입돌조와 내측 요입부 역시 사용에 의하여 접촉부분이 마모되므로 긴체된 상태가 이완되어 외부의 충격력등에 의하여 쉽게 이탈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실용신안 공고번호 제83-554호의 문제점을 해결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몸체(1)의 하부 양측벽 형성된 돌조(1'), (1")가 축전지함(2) 상부 양측벽의 요홈(2')(2")에 끼워져서 습동되게한 공지의 것에 있어서, 몸체(1)의 하부 저면(3)에 형성된 탄편(4) 일단의 걸림턱(4')이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하고 이에 대응되는 위치의 축전지함(2)의 상면에 단부(5')를 갖는 경사턱(5)을 돌설하며, 탄편(4)의 연장부(13)에는 해체버튼(14)을 고정하고 몸체(1)의 하부에는 스프링(6)으로 두접점(7),(7')하단을 돌출시켜 축전지함(2) 상면의 두 접점(8), (8')과 접속되도록 한 것으로 미설명부호 9는 탄편(4)을 몸체(1)의 하부저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저판이고, 10, 10'은 탄편(4)의 지간(11), (11')을 안치하기 위한 시트이며, 12, 12'는 몸체(1)와 축전지함(2)의 정지턱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몸체(1)의 하부 양측벽의 횡돌조(1'), (1")에 축전지함(2) 상부 양측벽의 요홈(2'), (2")을 끼워 습동되게 하면 몸체(1)의 정지턱(12)과 축전지함(2)의 정지턱(2)에 닿아 습동이 정지되는 순간 본 고안에서는 저판(9)의 하방에 돌출된 탄편(4)의 걸림턱(4')이 경사턱(5)을 타고 넘어가 그 단부(5')에 내려서면서 걸리고 그 순간에는 몸체(1)와 축전지함(2)의 습동이 완전히 정지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축전지함(2)을 부착하는 과정에서 어떤 요소에 의한 기계적인 마찰이 거의 없으므로 힘을 들이지 않고 부두럽게 부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축전지함(2)을 부착한 무전기는 각종의 장소에서 사용하게 되는바 외부의 강한 충격력에도 본 고안의 축전지함(2)은 이탈되지 않게 된다.
즉, 외부에서 강한 충격력을 받는 경우에도 본 고안의 축전지함(2)은 본체(1) 저면에 고정한 탄편(4)의 걸림턱(4')이 축전지함(2)의 경사턱(5)의 단부(5')에 걸린 상태이므로 빠져 나올 수 없어서 부착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며, 얼마간 사용하여 축전지의 충전된 전기가 소모되고 나면 새로이 충전된 충전지함으로 교체하여야 하는데 이때에도 본 고안에서는 힘들이지 않고 교체할 수 있는 것이다.
즉, 해체버튼(14)을 손가락을 사용하여 상방으로 밀면 탄편(4)의 지간(11), (11')단부를 중심으로 하여 일단의 걸림턱(4')이 들리게 되고 이때 제2도에 보인 바와 같이 걸림턱(4')의 하단이 경사턱(5)보다 더 높이 뜨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축전지함(2)을 삽입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습동시키면 축전지함(2)과 몸체(1)는 완전히 해체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새로운 본 고안에 의한 축전지함(2)을 전기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갈아끼우면 되고 또 다시 교체하여야 할 경우에는 전기의 방법을 반복하여 실시하면 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축전지가 부착되었을 때 몸체(1) 저면에 돌출된 두 접점(7), (7')이 스프링(6)의 힘으로 축전지함(2) 상면의 두접점(8), (8')과 접촉되는 것이어서 접촉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고안은 무전기의 축전지함을 착탈하는 과정에서 구성요소의 기계적인 마찰을 극소로 할 수 있으므로 힘을 안들이고 부드럽게 착탈시킬 수 있어서 편리하며, 본 고안은 특히 구성요소의 기계적인 마찰이거의 없으므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일단 부착된 축전지함은 강한 외부충격을 받더라도 임의로 이탈되지 않는 것이어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스프링의 강한탄발력으로 접점이 접촉되게한 것이어서 탄편을 이용한 종래의 것보다 접촉저항을 월등히 감소시킬 수 있는 등의 다대한 황과를 갖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2)

  1. 몸체(1)의 하부 양측벽의 횡돌조(1'), (1")가 축전지함(2)의 상부 양측벽의 요홈(2'), (2")에 끼워져서 습동되게 한 공지의 것에 있어서, 몸체(1)의 하부저면(3)에 형성된 탄편(4) 일단의 걸림턱(4')이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하고 이에 대응되는 위치의 축전지함(2) 상면에 단부(5')를 갖는 경사턱(5)을 돌설하며, 탄편(4)의 연장부(13)에는 고정된 해체버튼(14)을 갖는 축전지함을 착탈할 수 있는 무전기.
  2. 제1항에 있어서, 몸체(1)의 저면에 스프링(6)으로 탄설된 두접점(8), (8')이 돌출되도록 하고 이와 축전지함(2)상면의 두접점(7), (7')이 접촉되게 한 것.
KR2019850002859U 1985-03-21 1985-03-21 축전지함을 착탈할 수 있는 무전기 KR8700030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2859U KR870003078Y1 (ko) 1985-03-21 1985-03-21 축전지함을 착탈할 수 있는 무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2859U KR870003078Y1 (ko) 1985-03-21 1985-03-21 축전지함을 착탈할 수 있는 무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2511U KR860012511U (ko) 1986-10-10
KR870003078Y1 true KR870003078Y1 (ko) 1987-09-15

Family

ID=19240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02859U KR870003078Y1 (ko) 1985-03-21 1985-03-21 축전지함을 착탈할 수 있는 무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7000307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2511U (ko) 1986-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5673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배터리팩 로킹장치
EP0762520A1 (en) Battery retention latch
DE60104456D1 (de) Rohrbefestigungsanordnung
KR870003078Y1 (ko) 축전지함을 착탈할 수 있는 무전기
KR100535965B1 (ko) 토글스프링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착탈장치
JPS5829115B2 (ja) スキ−を対状に結び合わせるための装置
KR890002102Y1 (ko) 축전지함을 착탈할 수 있는 무전기
CN214797271U (zh) 一种新型框架断路器传动结构
CN217246723U (zh) 一种方便更换电池的电动玩具
CN214337609U (zh) 一种充电座
CN210196209U (zh) 一种滑动插销定位结构
CN210226928U (zh) 一种具有提醒功能的老年服装
CN217390313U (zh) 一种宿舍用铁床
KR200327771Y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 팩 착탈구조
CN212243663U (zh) 电动代步车电池限位装置
CN215220917U (zh) 一种便于拆卸的车载冰箱电池
CN113711943B (zh) 一种宠物用品的插扣结构
CN110525346B (zh) 一种具有无线充电功能的组合式储物盒构件
CN216598103U (zh) 一种一转三插头
CN211902562U (zh) 一种轨道灯电源盒的轨道止位锁定卡扣结构
KR920008246Y1 (ko) 축전지함을 착탈할수 있는 무전기
KR950002077Y1 (ko) 휴대용 컴퓨터의 밧데리 착탈장치
KR870003601Y1 (ko) 어댑터를 이용한 정류기의 110v/220v 전환장치
KR200172519Y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배터리팩 로킹장치
KR950009425Y1 (ko) 멜방용 가방 괘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090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