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2017B1 - 입체화상 촬영장치 - Google Patents

입체화상 촬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2017B1
KR900002017B1 KR1019860008083A KR860008083A KR900002017B1 KR 900002017 B1 KR900002017 B1 KR 900002017B1 KR 1019860008083 A KR1019860008083 A KR 1019860008083A KR 860008083 A KR860008083 A KR 860008083A KR 900002017 B1 KR900002017 B1 KR 9000020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crystal shutter
pair
stereoscopic image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8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4710A (ko
Inventor
홍석권
신현준
방호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한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한형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60008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2017B1/ko
Publication of KR880004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47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2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20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Stereoscopic And Panoramic Photograph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입체화상 촬영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화상 촬영장치의 블록도.
제2도는 제1도중 액정셔터 구동회로의 블록도.
제3a도 내지 f도는 액정셔터 구동제어 신호의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비디오 카메라 2 : 입체화상 촬영장치
3 : 좌측 렌즈 4 : 우측 렌즈
5 : 좌측 액정셔터 6 : 우측 액정셔터
7 : 액정셔터 구동회로 8-11 : 미러(MIRROR)
12 : 카메라 렌즈 13 : 수직 동기 신호 분리회로
14 : D형 플립플롭 15 : 액정셔터 제어회로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피사체의 화상을 입체적으로 촬영할 수 있도록 한 입체화상 촬영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1대의 비디오 카메라만을 이용하여 입체화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한 입체화상 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입체화상을 촬영하기 위한 기존의 방식에 있어서는 다수의 카메라를 사용하여 각 카메라 사이의 동기를 일치시킨 후, 각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비디오 신호를 필드마다 번갈아 나오도록 절환시켜야 하기 때문에 촬영 방법이 복잡할 뿐만 아나라, 다수의 카메라를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가격면에서도 고가일 수 밖에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상기한 바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1대의 비디오 카메라에 2개의 렌즈와 액정셔터 및 다수의 미러(MIRROR)로 이루어진 입체화상 합성장치를 부착 시킴으로써 1대의 비디오 카메라만으로도 입체화상의 촬영이 가능하도록 한 입체화상 촬영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구성, 동작 원리 및 작용 효과 등에 대해서 상술하기로 한다.
우선 제1도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입체화상 촬영장치는 1대의 비디오 카메라⑴와 입체화상 합성장치⑵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입체화상 합성장치⑵는 좌측렌즈⑶ 및 우측렌즈⑷와, 좌측 액정셔터⑸ 및 우측 액정 셔터⑹와, 상기 좌, 우측 액정셔터를 구동하기 위한 액정셔터 구동회로⑺와, 다수의 미러⑻ 내지 ⑾로 이루어져 있다.
제1도에 있어서, 좌측 렌즈⑶와 우측렌즈⑷ 사이의 거리는 약 70mm 정도의 거리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어떠한 피사체를 입체로 인식할 수 있도록 촬영하려면 2개의 렌즈를 통하여 인간이 두 눈으로 보았을때와 동일한 양안 시차를 갖거나 이와 유사한 상태하에서 촬영해야만 하기 때문이다.
다음에 제1도에 도시한 본 발명의 입체화상 촬영장치에 의해서 입체화상이 촬영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좌측 렌즈⑶로 입력된 피사체의 화상은 좌측 액정셔터⑸가 오프되어 있는 동안에 미러 ⑻과 ⑼를 통해 반사되어 미러⑽를 통해 비디오 카메라 렌즈⑿에 입력되어 비디오 신호로 전환되고, 좌측 액정셔터⑸가 "온"되어 있는 동안에는 화상의 전달이 차단된다. 마찬가지로 우측 렌즈⑷로 입력된 화상도 우측 액정셔터⑹가 오프/온 제어됨에 따라 미러⑾과 미러⑽를 통해 비디오 카메라 렌즈⑿에 전달 또는 차단된다. 이때, 좌측 및 우측 액정셔터는 상호 교대로 온/오프 되도록 하여야 하는 바, 제1도에 도시된 액정셔터 구동회로⑺는 상기한 동작을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제2도는 액정셔터 구동회로⑺의 블럭도로서, 상기 좌, 우측 액정셔터⑸ 및 ⑹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로는 비디오 카메라⑴로부터 추출한 합성 동기 신호로부터 수직 동기 신호를 분리시켜 사용하며, 상기 좌, 우측 액정셔터(5) 및 (6)는 이러한 수직 동기 신호에 동기되어 각 필드마다 교대로 온/오프되도록 함으로써 좌측 렌즈(3)와 우측 렌즈(4)로부터의 화상이 동시에 비디오 카메라 렌즈(12)에 전달될 수 없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제2도의 액정셔터 구동회로(7)는 합성 동기신호로부터 수직 동기 신호를 분리해내기 위한 수직동기 신호 분리회로⒀와, 서로 역극성의 신호를 출력시키는 D형 플립플롭⒁와, 액정셔터 구동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액정셔터 제어 회로⒂로 구성되어 있다.
제3도 (a) 내지 (f)는 액정셔터 구동제어신호의 파형을 도시한 것으로서, 제3도 (a)는 비디오 카메라⒧로부터의 합성 동기 신호를 나타내고, 제3도 (b)는 분리된 수직 동기 신호이며, 제3도 (c)는 D형 플립플롭⒁의 Q출력이고, 제3도 (d)는 D형 플립플롭⒁의
Figure kpo00001
출력이다. 또한 제3도 (e)는 좌측 액정셔터⑶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신호이고, 제3도 (f)는 우측 액정셔터(4)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 신호이다.
제2도에 도시된 액정셔터 구동회로(7)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즉, 비디오 카메라(1)로부터 합성 동기 신호를 뽑아내서 수직 동기 신호를 분리해 낸후, 이를 D형 플립플롭(14)에 입력시켜 Q신호 및
Figure kpo00002
신호를 얻고, 이들을 액정셔터 제어회로⒂를 통해 액정셔터 구동 제어신호로 변환하여, 좌, 우측 액정셔터⑸ 및 ⑹를 교대로 구동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존의 방법으로는 2대의 비디오 카메라를 사용하여야만 입체화상의 촬영이 가능했고, 양안 시차를 유지하도록 조정하기도 매우 어려웠으나, 본 발명에 의한 입체화상 촬영장치를 사용할 경우 1대의 비디오 카메라 만으로 입체화상을 용이하게 촬영할 수 있으며, 촬영시 조작이 간단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입체화상 합성장치를 비디오 카메라에 착탈 가능하도록 하여, 입체화상 촬영시에는 입체화상 합성장치를 비디오 카메라에 부착하여 사용하고, 일반 평면 화상 촬영시에는 일반 카메라 렌즈로 촬영하도록 함으로써 모든 종류의 화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였다.

Claims (2)

  1. 피사체의 화상을 입체적으로 촬영하기 위한 입체화상 촬영장치에 있어서, 약 70mm정도의 거리로 배치된 1쌍의 렌즈⑶ 및 ⑷와, 상기 1쌍의 렌즈⑶ 및 ⑷에 각각 접속되어 피사체의 화상을 상호 교대로 전달 또는 차단하는 1쌍의 액정셔터⑸ 및 ⑹와, 상기 1쌍의 액정셔터⑸ 및 ⑹를 상호 교대로 구동하기 위한 액정셔터 구동회로⑺와, 상기 렌즈⑶ 또는 ⑷를 통과한 화상을 전달하기 위한 다수의 미러⑻ 내지 ⑾로 구성된 입체화상 합성장치(2)를 1대의 비디오 카메라⑵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화상 촬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셔터 구동회로⑺는 비디오 카메라⑴로 부터 추출한 합성 동기 신호로부터 수직 동기 신호를 분리하기 위한 수직 동기 신호 분리회로⒀와, 상기 수직 동기 신호를 입력으로 하고, 서로 역극성의 신호 Q 및
    Figure kpo00003
    를 출력시키는 D형 플립플롭⒁과, 상기 D형 플립플롭⒁으로부터의 Q출력 및
    Figure kpo00004
    출력신호 액정셔터 구동 제어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액정 셔터 제어회로⒂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화상 촬영장치.
KR1019860008083A 1986-09-26 1986-09-26 입체화상 촬영장치 KR9000020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60008083A KR900002017B1 (ko) 1986-09-26 1986-09-26 입체화상 촬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60008083A KR900002017B1 (ko) 1986-09-26 1986-09-26 입체화상 촬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4710A KR880004710A (ko) 1988-06-07
KR900002017B1 true KR900002017B1 (ko) 1990-03-31

Family

ID=19252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8083A KR900002017B1 (ko) 1986-09-26 1986-09-26 입체화상 촬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20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2853B1 (ko) * 2005-03-07 2007-04-06 범광기전(주) 입체 카메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4465A (ko) * 2004-04-29 2005-11-03 범광기전(주) 안폭 조정과 접사촬영이 가능한 입체 카메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2853B1 (ko) * 2005-03-07 2007-04-06 범광기전(주) 입체 카메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4710A (ko) 1988-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557618B2 (en) Stereoscopic television system
CA2177051C (en) Synthesized stereoscopic imaging system and method
JP2001218228A (ja) 立体画像撮影用光学系及びそれを用いた立体画像撮影装置
US4510525A (en) Stereoscopic video imagery generation
KR900002017B1 (ko) 입체화상 촬영장치
JPH08160556A (ja) 立体映像表示装置
JPH11187425A (ja) 立体映像装置及び方法
JPH089422A (ja) 立体画像出力装置
JP2001016619A (ja) 撮像装置、その輻輳距離決定方法、記憶媒体および光学装置
JP2006129225A (ja) 立体映像表示装置及び立体映像表示方法
JP2581601B2 (ja) 立体カメラ及び立体映像システム
JPH09322198A (ja) 3次元立体映像信号変換装置及び該装置を用いる映像モニター装置
Evens et al. The development of 3-D (stereoscopic) imaging systems for security applications
KR100257333B1 (ko) 입체디지탈스틸카메라
JPH09182113A (ja) 3次元立体映像信号変換装置及び該装置を用いるビデオカメラ装置
KR19990043561A (ko) 2차원으로부터 3차원 영상신호로의 변환장치
JP2582761B2 (ja) 立体視用撮像装置
KR960028601A (ko) 입체영상 촬영장치
KR20030046748A (ko) 시분할 입체영상시스템
JP2656254B2 (ja) 立体画像用映像信号発生装置
JPS6384394A (ja) 立体映像信号処理装置
JP3028522U (ja) 液晶パネルを用いた簡易形時分割3dビデオカメラアダプター装置及び3dビデオカメラ
JP2004126290A (ja) 立体撮影装置
JP2002084555A (ja) 立体映像撮影装置
JPS61144691A (ja) 立体デイスプレ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