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1591A - 점도보상수단 및 장치를 구비한 액체분배용의 일회용 팩케이지 - Google Patents

점도보상수단 및 장치를 구비한 액체분배용의 일회용 팩케이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1591A
KR900001591A KR1019890010389A KR890010389A KR900001591A KR 900001591 A KR900001591 A KR 900001591A KR 1019890010389 A KR1019890010389 A KR 1019890010389A KR 890010389 A KR890010389 A KR 890010389A KR 900001591 A KR900001591 A KR 9000015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rup
discharge opening
valve element
liquid
viscos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0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8178B1 (ko
Inventor
지. 루디크 아더
Original Assignee
로버트 에이. 켈러
더 코카-콜라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버트 에이. 켈러, 더 코카-콜라 캄파니 filed Critical 로버트 에이. 켈러
Publication of KR900001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15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8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81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03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automatic fluid contro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19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using ingredient cartridg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736Consistency respons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Feeding, Discharge, Calcimining, Fusing, And Gas-Generation Devices (AREA)
  • Accessories For Mix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점도보상수단 및 장치를 구비한 액체분배용의 일회용 팩케이지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점도보상수단을 구비하고 점도가 낮은 액체를 사용할 때의 작용을 보여주는 후혼합음료 분배장치에서 사용되는 일회용 시럽용기의 부분단면도.
제2도는 제1도와 유사하지만, 용기에 점도가 높은 액체가 담겨져서 그 용기에서 액체가 분배되는 것을 보인 일회용 시럽용기의 부분단면도.
제3도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점도보상수단의 탄성체 요소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등각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점도보상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구비하고 흐름이 차단될 때의 장치의 위치를 보인 후혼합 탄산음료분배 장치에서 사용되는 일회용 시럽용기의 부분단면도.
제5도는 제4도와 유사하지만, 밸브요소가 하측으로 내려감으로써 용기의 방출 개구부를 통해 저점도 액체가 흐르게 되는 점도보상장치와 일회용 시럽용기의 부분단면도.

Claims (47)

  1. 액체의 점도에 상관없이 분배시간에 따라 유량이 제어되게 액체를 분배하기 위해 팩케이지가-액체가 분배되는 방출개구부를 한정하고, 액체가 용기로부터 분배될때 용기의 바닥에 위치하게 되는 방출단부를 구비하는 용기, 및-방출개구부를 가로질러 위치하도록 용기에 부착되는 점도보상장치로 구성되고, 그 점도보상장치는-방출개구부를 통과하는 액체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해 방출개구부와 소통하고 이동가능하게 정렬되며, 방출개구부를 통해 분배되고 또한 그양이 분배되는 액체의 점도와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액체의 일부분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밸브요소, 및-밸브요소가 방출개구부와 소통되도록 편향유지하기 위해 밸브요소와 용기하이에 배치되는 수단으로 구성되며, 방출개구부를 통과하는 액체유량이 액체의 점도에 상관없이 사실상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밸브요소내에 저장된 액체가 방출개구부에 대해 편향유지수단을 편향시켜 방출개구부로부터 밸브요소를 분리시키고 분배되는 액체의 점도에 비례하는 방출개구부의 유효크기변화를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팩케이지.
  2. 제1항에 있어서, 밸브요소가 또한 방출개구부를 통해 용기의 내부로 연장되는 스템으로 구성되고 편향유지수단이 밸브요소의 스템과 용기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팩케이지.
  3. 제2항에 있어서, 밸브요소의 스템이 용기의 방출개구부와 소통하는 침봉부분을 포함하고 밸브요소가 또한 액체의 일부분을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해 스템의 침봉부분에 매달려있는 구멍이 형성된 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팩케이지.
  4. 제3항에 있어서, 구멍이 형성된 통이, 일시적으로 저장된 액체가 배출되는 다수의 구멍을 그 베이스내에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팩케이지.
  5. 제4항에 있어서, 통의 용량 및 구멍의 숫자와 크기는, 스프링이 밸브요소의 스템의 침봉부분을 방출개구부에서 분리시킬만큼 저장된 액체의 양이 그 스프링을 편향시켜서 액체의 유량을 사실상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분배되는 액체의 점도변화를 충분히 보상할 정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팩케이지.
  6. 제2항에 있어서,스프링이 밸브요소의 스템을 둘러싸는 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팩케이지.
  7. 제6항에 있어서, 코일스프링이 그 말단부에서, 밸브부재의 스템상의 어깨부에 지지되고, 그 기부에서, 방출개구부 부근에 셩성된 흠내의 용기의 바닥내부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팩케이지.
  8. 1항에 있어서, 밸브요소를 편향유지하는 수단이 그주위에서 방출개구부 부근의 용기에 부착되고 그내부에서 밸브요소에 부착되는 탄성체요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팩케이지.
  9. 제8항에 있어서, 밸브요소가 용기내의 방출개구부와 소통하는 침봉부재 및 액체의 일부분을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해 침봉부재에 매달리는 구멍이 형성된 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팩케이지.
  10. 제9항에 있어서, 구멍이 형성된 통은, 일시적으로 저장된 액체가 배출되는 다수의 구멍을 그 베이스내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팩케이지.
  11. 제10항에 있어서, 통의 용량 및 구멍의 숫자와 크기는, 탄성체요소가 밸브요소의 침봉부재를 방출개구부에서 분리시킬만큼 저장액체의 양이 그 탄성체요소를 편향시켜서 사실상 일정하게 액체의 유량을 유지하기 위해 분배되는 액체의 점도변화를 충분히 보상할 정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팩케이지.
  12. 제10항에 있어서, 탄성체부재가, 그 내부에서, 침봉부재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팩케이지.
  13. 제8항에 있어서, 탄성체부재는, 액체가 통과할 수 있도록 굽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팩케이지.
  14. 제13항에 있어서, 탄성체부재가, 액체의 유량을 사실상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방출개구부에 대한 밸브요소의 보상운동이 가능하도록, 주위는 림으로, 내부는 허브로, 그리고 림과 허브 사이에는 절곡편향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팩케이지.
  15. 제14항에 있어서, 밸브요소의 보상운동을 허용하는 수단이 탄성체 재료의 림과 허브 사이에서 연장되는 탄성체 재료로 된 다수의 스포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팩케이지.
  16. 제15항에 있어서, 밸브요소가, 용기내의 방출개구부와 소통하는 침봉부재 및 액체의 일부분을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해 침봉부재에 매달리는 구멍이 형성된 통으로 구성되고 탄성체부재의 허브가 침봉부재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팩케이지.
  17. 제8항에 있어서, 용기가 방출개구부를 둘러싸는 현수 립(lip)으로 구비하고탄성체부재는 그 주변에서 현수 립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팩케이지.
  18. 제1항에 있어서, 일회용 팩케이지가 혼합 탄산음료 분배장치내에서 사용되어지는 시럽용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팩케이지.
  19. 제1항에 있어서, 밸브요소가 용기내의 방출개구부와 소통하는 침봉을 포함하고, 그 침봉이, 가장 크게는 방출개구부의 크기와 사실상 동일하며 편향유지수단은 용기로부터 액체가 흘러나오는 것을 멈추기 위해 밸브요소의 침봉이 방출개구부내로 삽입되도록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팩케이지.
  20. 시럽의 점도에 상관없이 분배시간에 따라 유량이 제어되게 시럽을 분배하는 후혼합 탄산음료 분배장치에 사용되는 일회용 시럽 팩케이지가-시럽이 분배되는 원형방출개구부를 한정하고, 시럽이 용기로부터 분배될때 용기의 바닥에 위치하게 되는 방출단부와 방출단부를 둘러싸는 내부 홈을 구비하는 시럽용기, 및 -방출개구부를 가로질러 위치하도록 시럽용기에 부착되는 점도보상장치로 구성되고, 그 점도보상장치는 -방출개구부를 통과하는 시럽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해 방출개구부와 소통하고 축방향으로 정렬되며, 방출개구부를 통과하여 용기내부까지 연장되고 그 말단부에서는 어깨부와 그 기부에서는 방출개구부와 소통하며, 그 방출개구부의 외부에 위치하는 원형침봉밸브 부분과 방출개구부를 통해 분배되고 또한 구멍이 형성된 통에서 빠져나오기 전에 구멍이 형성된 통에 저장된 시럽의 양이 분배되는 시럽의 점도와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시럽의 일부분을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해 그 침봉밸브 부분에 매달리는 구멍이 형성된 통을 갖는 스탬을 구비하는 밸브요소, 및 -밸브요소가 방출개구부와 소통상태로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밸브요소의 스템을 둘러싸고, 그 말단부에서, 밸브요소의 스템상의 어깨부에 지지되며, 그 기부에서, 용기의 방출개구부를 둘러싸는 내부 홈 내에 위치하는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고, 방출개구부를 통과하는 시럽의 유량이 시럽의 점도에 상관없이 사실상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밸브요소의 구멍이 형성된 통내에 저장된 시럽이 방출개구부에 대해 코일스프링을 편향시켜 방출개구부로부터 밸브요소의 구멍이 형성된 통내에 저장된 시럽이 방출개구부에 대해 코일스프링을 편향시켜 방출개구부로부터 밸브요소의 스템의 침봉부분을 분리시키고 분배되는 시럽의 점도에 비례하는 방출개구부의 유효크기변화를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시럽 팩케이지.
  21. 제20항에 있어서, 구멍이 형성된 통이, 일시적으로 저장된 액체가 배출되는 다수의 구멍을 그 베이스 내에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팩케이지.
  22. 제21항에 있어서, 통의 용량 및 구멍의 숫자와 크기는, 코일스프링이 밸브요소의 스템의 침봉부분을 방출개구부에서 분리시킬만큼 저장시럽의 양이 그 코일스프링을을 편향시켜서 시럽의 유량을 사실상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분배되는 액체의 점도변화를 충분히 보상할 정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시럽 팩케이지.
  23. 시럽의 점도에 상관없이 분배시간에 따라 유량이 제어되게 시럽을 분배하는 후혼합 탄산음료 분배장치에 사용되는 팩케이지가 -시럽이 분배되는 원형방출개구부를 한정하고, 시럽이 용기로부터 분배될 때 용기의 바닥에 위치하게 되는 방출단부와 방출단부를 둘러싸는 현수플랜지를 구비하는 시럽용기 및, -방출개구부를 가로질러 위치하도록 시럽용기상의 플랜지에 부착되는 점도보상장치로 구성되고, 그 점도보상장치는 -방출개구부를 통과하는 시럽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해 방출개구부와 소통하고 축방향으로 정렬되며 방출개구부의 축을 따라 이동가능하고, 방출개구부와 소통하는 원형침봉 밸브부재 및 방출개구부를 통해 분배되며 또한 구멍이 형성된 통에서 빠져나오기 전에 구멍이 형성된 통에 저장된 시럽의 양이 분배되는 시럽의 점도와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시럽의 일부분을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우해 침봉밸브부재에 매달리는 구멍이 형성된 통을 구비하는 밸브요소, 및 -그 주위에 시럽용기상의 플랜지에 부착되는 림, 밸브부재에 부착되는 내부 허브, 및 림과 허브 사이에서 탄성체 재료로 이루어진 절곡편향수단으로 구성되어 밸브요소와 방출개구부가 소통상태를 유지하도록 배치되어지는 탄성체 요소로 구성되며, 방출개구부를 통과하는 시럽의 유량이 시럽의 점도에 상관없이 사실상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밸브요소의 구멍이 형성된 통내에 저장된 시럽이 방출개구부에 대해 탄성체요소를 평향시켜 방출개구부로부터 밸브요소의 침봉부재를 분리시키고 분배되는 시럽의 점도에 비례하는 방출개구부의 유효크기 변화를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시럽 팩케이지.
  24. 제23항에있어서, 구멍이 형성된 통은, 일시적으로 저장된 시럽이 배출되는 다수의 구멍을 그 베이스 내에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팩케이지.
  25. 제24항에 있어서, 통의 용량 및 구멍의 숫자와 크기는, 코일스프링이 밸브요소의 스템의 침봉부분을 방출개구부에서 분리시킬만큼 저장시럽의 양이 그 코일스프링을 편향시켜서 시럽의 유량을 사실상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분배되는 액체의 점도변화를 충분히 보상할 정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시럽 팩케이지.
  26. 제25항에 있어서, 밸브요소의 보상운동을 허용하는 수단이 탄성체 재료의 림과 허브 사이에서 연장되는 탄성체 재료로 이루어진 다수의 스포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팩케이지.
  27. 액체의 점도에 상관없이 분배시간에 따라 유량이 제어되게 액체를 분배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가 -방출개구부를 통과하는 액체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해 방출개구부와 소통상태로 위치하고 이동가능하게 정렬되며, 방출개구부를 통해 분배되고 또한 그 양이 분배되는 액체의 점도와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액체의 일부분을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수단을 내부에 갖는 밸브요소, 및 -방출개구부와 소통상태로 유지되도록 방출개구부 근처와 밸브요소의 내측에 배치되는 탄성체요소로 구성되며, 방출개구부를 통과하는 액체의 유량이 액체의 점도에 상관없이 사실상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밸브요소내에 저장된 액체가 방출개구부에 대해 탄성체 요소를 편향시켜 방출개구부로터 밸브요소를 분리시키고 분배되는 액체의 점도에 비례하는 방출개구부의 유효크기 변화를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밸브요소가 방출개구부와 소통하는 침봉부배 및 일부분을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해 침봉부재에 매달리는 구멍이 형성된 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구멍이 형성된 통은, 일시적으로 저장된 액체가 배출되는 다수의 구멍을 그 베이스 내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통의 용량 및 구멍의 숫자와 크기는, 탄성체요소가 밸브요소의 침봉부재를 방출개구부에서 분리시킬만큼 저장된 액체의양이 그 탄성체요소를 편향시켜서 액체의 유량을 사실상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분배되는 액체의 점도변화를 충분히 보상할 정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1. 제28항에 있어서, 탄성체부재가 그 내부에서 침봉부재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2. 제27항에 있어서, 탄성체부재는, 액체가 통과할 수 있도록 굽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3. 제32항에 있어서, 탄성체부재가, 액체의 유량을 사실상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방출개구부에 대한 밸브요소의 보상운동이 가능하도록, 주위는 림으로, 내부는 허브로, 그리고 림과 허브 사이에는 절곡편향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밸브요소의 보상운동을 허용하는 수단이 탄성체재료의 림과 허브사이에서 연장되는 탄성체재료로 된 다수의 스포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5. 제34항에 있어서, 밸브요소가, 용기내의 방출개구부와 소통하는 침봉부재 및 액체의 일부분을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해 침봉부재에 매달리는 구멍이 형성된 통으로 구성되고 탄성체부재의 허브는 침봉부재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6. 시럽의 점도에 상관없이 분배시간에 따라 유량이 제어되게 시럽을 분배하는 후혼합 탄산음료 분배장치에 사용되고 시럽이 분배되는 현수플랜지내에 배치되는 방출개구부를 가로질러 배치되도록 시럽용기상의 현수플랜지에 부착되며, -방출개구부를 통과하는 시럽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해 방출개구부와 소통하고 축방향으로 정렬되며 방출개구부의 축을 따라 이동가능하고, 방출개구부와 소통하는 원형침봉 밸브부재 및 방출개구부를 통해 분배되고 또한 구멍이 형성된 통에서 빠져나가기 전에 구멍이 형성된 통내에 저장된 시럽의 양이 분배되는 시럽의 점도와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액체의 일부분을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해 침봉밸브부재에 매달리는 구멍이 형성된 통을 구비하는 밸브요소, 및 - 그 주위에 시럽용기상의 플랜지에 부착되는 림, 밸브부재가 부착되는 내부 허브, 및 림과 허브사이에서 탄성체재료로 이루어진 절곡편향수단으로 구성되어 밸브요소와 방출개구부가 소통상태를 유지하도록 배치되어지는 탄성체요소로 구성되며, 방출개구부를 통과하는 시럽의 유량이 시럽의 점도에 상관없이 사실상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밸브요소의 구멍이 형성된 통내에 저장된 시럽이 방출개구부에 대해 탄성체요소를 편향시켜 방출개구부로부터 밸브요소의 침봉부재를 분리시키고 분배되는 시럽의 점도에 비례하는 방출개구부의 유효크기변화를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도보상장치.
  37. 제36항에 있어서, 구멍이 형성된 통은, 일시적으로 저장된 시럽이 배출되는 다수의 구멍을 그 베이스내에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도보상장치.
  38. 제37항에 있어서, 통의 용량 및 구멍의 숫자와 크기는, 탄성체요소가 밸브요소의 침봉밸브부재를 방출개구부에서 분리시킬만큼 저장시럽의 양이 그 탄성체요소를 편향시켜서 시럽의 유량을 사실상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분배되는 액체의 점도변화를 충분히 보상할 정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도보상장치.
  39. 제38항에 있어서, 밸브요소의 보상운동을 허용하는 수단이 탄성체재료의 림과 허브 사이에서 연장되는 탄성체재료로 이루어진 다수의 스포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도보상장치.
  40. 시럽이 통과하는 방출개구부를 갖는 형태의 일회용 시럽용기를 사용하고 점도보상장치가 - 방출개구부를 통과하는 시럽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해 방출개구부와 소통상태로 위치하고 이동가능하게 정렬되며, 방출개구부를 통해 분배되고 또한 그 양이 분배되는 액체의 점도와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시럽의 일부분을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수단을 내부에 갖는 밸브요소, 및 -밸브요소를 방출개구부와 소통상태가 되도록 편향 유지시키기 위해 밸브요소와 용기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수단으로 구성되며, 방출개구부를 통과하는 시럽의 유량이 시럽의 점도에 상관없이 사실상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밸브요소내에 저장된 시럽이 방출개구부에 대해 스프링수단을 편향시켜 방출개구부로부터 밸브요소를 분리시키고 분배되는 시럽의 점도에 비례하는 방출개구부의 유효크기변화를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혼합 탄산음료 분배장치.
  41. 제40항에 있어서, 밸브요소가 방출개구부를 통과하여 용기의 내부로 연장되는 스템으로 또한 구성되고 스프링수단은 스템과 용기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혼합 탄산음료 분배장치.
  42. 제41항에 있어서, 밸브요소의 스템이 용기내의 방출개구부와 소통하는 침봉부분을 포함하고 벨브요소가 시럽의 일부분을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해 스템의 침봉부분에 매달리는 구멍이 형성된 통으로 또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혼합 탄산음료 분배장치.
  43. 제42항에 있어서, 구멍이 형성된 통은, 일시적으로 저장된 액체가 배출되는 다수의 구멍을 그 베이스 내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혼합 탄산음료 분배장치.
  44. 제43항에 있어서, 통의 용량 및 구멍의 숫자와 크기는, 스프링수단이 밸브요소의 스탬의 침봉부재를 방출개구에서 분리시킬만큼 저장된 시럽의 양이 그 탄성체요소를 편향시켜서 시럽의 유량을 사실상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분배되는 시럽의 점도변화를 충분히 보상할 정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혼합 탄산음료 분배장치.
  45. 제41항에 있어서, 스프링수단이 밸브요소의 스탬을 둘러싸는 코링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혼합 탄산음료 분배장치.
  46. 제45항에 있어서, 코일스프링이, 그 말단부에서, 밸브부재의 스템상의 어깨부에 지지되고, 그 기부에서, 방출개구부 부근에 형성된 홈내의 용기의 바닥 내부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혼합 탄산음료 분배장치.
  47. 제 40항에 있어서, 밸브요소가 용기내의 방출개구부와 소통하는 침봉을 포함하고, 그 침봉이, 가장 크게는, 방출개구부의 크기와 사실상 동일하며 스프링수단은 용기로부터 시럽이 흘러나오는 것을 막기 위해 밸브요소의 침봉이 방출개구부 내로 삽입되도록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혼합 탄산음료 분배장치.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890010389A 1988-07-22 1989-07-21 점도보상수단을 구비한 액체분배용의 일회용 팩케이지 및 펙케이지용 장치 KR9100081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22796 1988-07-22
US07/222,796 US4869405A (en) 1988-07-22 1988-07-22 Disposable package for dispensing liquids having viscosity compensation means and device theref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1591A true KR900001591A (ko) 1990-02-27
KR910008178B1 KR910008178B1 (ko) 1991-10-10

Family

ID=22833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0389A KR910008178B1 (ko) 1988-07-22 1989-07-21 점도보상수단을 구비한 액체분배용의 일회용 팩케이지 및 펙케이지용 장치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4869405A (ko)
EP (1) EP0352145B1 (ko)
JP (1) JPH0777914B2 (ko)
KR (1) KR910008178B1 (ko)
AR (1) AR243839A1 (ko)
AU (1) AU609322B2 (ko)
BR (1) BR8903628A (ko)
CA (1) CA1295298C (ko)
DE (1) DE68914533T2 (ko)
ES (1) ES2050806T3 (ko)
IE (1) IE63608B1 (ko)
MX (1) MX164385B (ko)
ZA (1) ZA89558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2997A (ja) * 1989-07-10 1991-02-25 Kyocera Corp 遠隔制御装置
SE502626C2 (sv) * 1991-06-07 1995-11-27 Ingf Gaveco Ab Regleranordning för vätskor
US5553740A (en) * 1994-11-18 1996-09-10 Restaurant Automation Development Co. Apparatus and method for pumping controlled amounts of flowable material from a flexible bag
US6131766A (en) * 1996-08-12 2000-10-17 Restaurant Automation Development Inc. System for dispensing controlled amounts of flowable material from a flexible container
US5931352A (en) * 1997-09-11 1999-08-03 Knight Plastics, Inc. Snap-fit non-drip valve and method for assembly thereof
US5989469A (en) * 1997-09-11 1999-11-23 Knight Plastics, Inc. Method for making a non-drip valve for an inverted container
US7922047B2 (en) * 2009-03-18 2011-04-12 Spotless Plastics Pty. Ltd Garment hanger with lower neck straddle sizer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08977A (en) * 1920-05-03 1922-03-07 Boivin Louis Automatic stock regulator for paper machines
US2510252A (en) * 1945-08-04 1950-06-06 Pine W Morton Drip valve
US3340899A (en) * 1962-08-09 1967-09-12 Vendo Co Temperature compensated flow control valve
US3295723A (en) * 1965-06-24 1967-01-03 Welty Frank Gravity flow control for mixed beverage dispenser
US3401850A (en) * 1966-12-06 1968-09-17 Electrolux Corp Check valve for vent hole of a container
US3658216A (en) * 1970-02-27 1972-04-25 Gilbert Schwartzman Metering and discharge device
US3720352A (en) * 1970-10-15 1973-03-13 R Kozlowski Device for selectively dispensing liquids
US4144041A (en) * 1977-11-03 1979-03-13 Hou Karl L Adjustable throat venturi scrubber
US4216885A (en) * 1978-10-20 1980-08-12 The Coca-Cola Company Disposable package for dispensing liquids with a controlled rate of flow
US4306667A (en) * 1979-10-12 1981-12-22 The Coca-Cola Company Post-mix beverage dispensing system syrup package, valving system, and carbonator therefor
US4317473A (en) * 1979-12-31 1982-03-02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Fluid flow control assembly
US4493441A (en) * 1981-11-12 1985-01-15 The Coca-Cola Company Portable post-mix beverage dispenser unit
US4635824A (en) * 1985-09-13 1987-01-13 The Coca-Cola Company Low-cost post-mix beverage dispenser and syrup supply system therefor
US4848596A (en) * 1986-10-14 1989-07-18 The Coca-Cola Company Disposable syrup package having integral disposable valve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352145A1 (en) 1990-01-24
ZA895580B (en) 1990-04-25
EP0352145B1 (en) 1994-04-13
IE63608B1 (en) 1995-05-17
US4869405A (en) 1989-09-26
KR910008178B1 (ko) 1991-10-10
MX164385B (es) 1992-08-10
AR243839A1 (es) 1993-09-30
BR8903628A (pt) 1990-03-13
CA1295298C (en) 1992-02-04
AU3886589A (en) 1990-01-25
ES2050806T3 (es) 1994-06-01
JPH0272091A (ja) 1990-03-12
DE68914533D1 (de) 1994-05-19
JPH0777914B2 (ja) 1995-08-23
DE68914533T2 (de) 1994-10-13
IE892353L (en) 1990-01-22
AU609322B2 (en) 1991-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87262A (en) Carbonator and liquid level control
US3930598A (en) Liquid dispensing apparatus
US4109829A (en) Container for metered dispensing of liquid
US4744495A (en) Valve for pressurized dispensing containers
EP0478624B1 (en) Apparatus for making or dispensing drinks
DK162161B (da) Indretning til tapperoer til paafyldning af beholdere med vaeske.
US3091373A (en) Whiskey pourer or similar device
US3912132A (en) Dispenser valve assembly for a pressurized aerosol dispenser
JPH0726720B2 (ja) ガス加圧分配容器及びその分配装置
US5584420A (en) Reusable and accurately pre-measured liquid dispenser
US4328909A (en) Container for dispensing liquid under constant head
US3854636A (en) Aerosol valve for low delivery rate
KR900001591A (ko) 점도보상수단 및 장치를 구비한 액체분배용의 일회용 팩케이지
US4131082A (en) Animal feeding equipment
US3270919A (en) Aerosol dispensing apparatus
CA1232874A (en) Pouring adapter insert
GB2209805A (en) Dispensing valve assembly
US3311305A (en) Two-phase spray system for filling tanks
US4881667A (en) Siphon dispenser
US2277936A (en) Dispenser
US4131958A (en) Dispensation of concentrated solution into toilet flush tank
GB2329173A (en) Liquid dispensing apparatus
JPH0531927B2 (ko)
JP2004291969A (ja) 液体計量容器
GB2169998A (en) Liquid nitrogen metering device with nozzle of insulating 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9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