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1156B1 - 회로망간 연결 시스템 - Google Patents

회로망간 연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1156B1
KR900001156B1 KR1019860004193A KR860004193A KR900001156B1 KR 900001156 B1 KR900001156 B1 KR 900001156B1 KR 1019860004193 A KR1019860004193 A KR 1019860004193A KR 860004193 A KR860004193 A KR 860004193A KR 900001156 B1 KR900001156 B1 KR 9000011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signal
signaling
station
signal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4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9564A (ko
Inventor
도루 마스다
아끼노리 가미조
Original Assignee
후지쓰가부시끼가이샤
야마모도 다꾸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469614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900001156(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쓰가부시끼가이샤, 야마모도 다꾸마 filed Critical 후지쓰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60009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95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1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11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00Frequency-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02Details
    • H04J1/14Arrangements providing for calling or supervisory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0016Arrangements providing connection between exchanges
    • H04Q3/0025Provisions for sign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06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using auxiliary connections for control or supervision, e.g. where the auxiliary connection is a signalling system number 7 link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3Use of materials for the substrate
    • H05K1/0393Flexible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회로망간 연결 시스템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회로망간 연결시스템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시스템.
제2도는 제1도의 신호송출국의 일예를 나타내는 개통도.
제3도는 제2도의 주메모리의 등가 기능 개통도.
제4도는 제1도의 신호송출국들간에서 송수신용 신호유니트를 나타내는 도면.
제5도는 제3도의 신호연결 경로 이행표(translation table)의 상세도.
제6 내지 8도는 제3도의 신호송출 회로망 속성 관리데이타 내의 여러 가지 이행표들을 나타내는 도면.
제9도는 경로진행표(routing table)를 나타내는 도면.
제10 내지 12도는 신호송출국에서 수행되는 신호전송 및 수신절차를 나타내는 유통도.
제13도는 본 발명의 변형도.
제14 내지 16도는 관련기술의 회로망간 연결시스템들을 나타내는 도면.
제17도는 신호송출 회로망의 배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은 통신시스템에서 회로망간 연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통 채널 신호송출 시스템(common channel signaling system)을 사용하는 다수의 신호송출 회로망(signaling network)들을 상호 연결해 주기위한 회로망간 연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공통채널 신호송출 시스템은 통화로 제어신호를 통화로와 무관하게 신호연결을 통해 신호송출국(signaling office)들간에서 송수신시키고 또한 다수의 통화로들에 의해 공통으로 이용함으로서 그에 의해 통화로의 연결제어가 수행하는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에서, 신호연결에 의해 구성되는 공통채널 신호송출 회로망은 데이타통신 경로들에 의해 구성된 데이터 통신 회로망이나 통화로에 의해 구성된 전화회로망(telephon network)과 무관하게 별도로 구성된다. 전화회로망과 데이터 통신회로망의 연결제어는 이 공통 채널 신호송출 회로망에 의해 수행된다. 이 신호송출 시스템은 여러 장점들을 갖고 있어 최근에 사용되기에 이르렀다.
예를 들어, 제1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전화국(telephon office)들 01 내지 04를 포함하는 전화스위치 회로망과 다수의 데이타 통신국(data communication office)들 05 내지 08등을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 회로망은 제각기 별도의 통신선들, 즉, 통화로와 데이터 통신경로에 의해 상호연결되므로 그에의해 통신시스템이 구성된다.
보통 전화호출(telephone call)은 각 전화국에 할당된 국토드(office code)(예, 01,02,03 또는 04)를 다이알링함에 의해 수행되며 또한 데이터 호출은 각 데이터 통신국에 할당된 국토드(예,05,06,07 또는 08)를 다이알링함에 의해 수행되며, 그에의해 발신국 단말기와 착신국 단말기간의 상호연결이 제각기 이루어진다.
전화국 코드와 데이타 통신국 코드등은 최초의 번호 부여 계획을 근거로 하여 개별 통신회로망들마다 제각기 결정된다. 그러므로, 통신회로망의 변동들이나 그의 관리구조의 변동에도 불구하고 CCITT (국제무선전화자문위원회)에 의해 권고된 바와 같은 공통채널 신호송출 시스템, 예를 들어 CCITT 신호송출시스템 제7호를 도입함으로써 대량의 데이타의 효과적인 전송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한 공통 채널 신호송출시스템이 적용될 때 호출연결은 전화스위치 회로망과 데이터 통신회로망과 무관하게 공통채널 신호송출 회로망을 구성한다음 독립된 번호부여 계획을 근거로 한 신호송출국들 1, 1i, 1j, 2, 2i, 또는 2j간에 연결될 착신국의 정보를 송출함으로서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신호송출 회로망이 단일 신호 관리구조에 의해 구성될 때 호출연결은 전화스위칭이나 데이타통신과 동일방식으로 종착신호 송출국의 어드레스(착신)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송출시킴에 의해 쉽게 수행된다.
그러나, 신호송출 회로망이 다수의 개별신호송출 회로망들에 의해 구성될 때, 개별 신호송출 회로망들간을 회로망간 연결시켜줄 필요가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회로망간 연결시스템은 각 지역, 각 국, 또는 각 제조업체에 의해 독립적으로 설치된 그러한 공통채널신호송출 회로망들을 쉽게 상호연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과거에, 각 지역, 각 국, 또는 각 제조업자마다 상이한 신호송출 회로망들이 별도로 설치되어 왔으며, 더욱이 이들 신호송출 회로망들은 종종 회로망구조들이 서로 상이했으며, 관리 구조 또한 상이했었다.
지금까지 두가지 회로망간 연결시스템들이 이러한 상이한 공통채널 신호송출 회로망들을 상호 연결하기 위해 제안되었다. 그러한 시스템중 하나에서는 상이한 신호송출 회로망들 모두를 통합하여 모든 상이한 신호송출 회로망들을 함께 내장하는 새로운 단일신호 송출 회로망을 구성하였다(제14도 참조). 또 다른 시스템에서는 한 신호송출 회로망내의 신호 송출국들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신호송출국이 상호 연결될 다른 신호송출 회로망에 귀속될 뿐만 아니라 자체 회로망에도 귀속될 수 있는 이중기능을 갖는 출입국(gateway office)으로서 구성되어 있어, 두 회로망들간의 회로망간 연결이 이 출입국을 통해 수행된다(제15 및 16도 참조).
신호회로망들을 통합시켜 재구성하는 전자의 시스템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신호송출국 코드계획을 통합시키는 한편 상이한 방법의 회로망 제어 절차들을 통합시켜야만 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그러한 통합은 사실상 어렵다. 왜냐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신호송출 회로망은 근본적으로 상이한 회로망 구조나 상이한 관리구조를 갖고 있다. 더욱이, 그러한 통합이 가능하다 할지라도 그러한 경우에는 각 신호송출 회로망들의 각 신호송출국은 연결할 다른 신호송출 회로망의 신호송출 회로망 제어정보 뿐만 아니라 내부신호송출 회로망의 신호송출 회로망 제어정보를 갖고 있어야만 한다. 결과적으로, 보통 그러한 정보가 대량으로 있기 때문에 각신호송출국마다 유지해야 될 신호송출 회로망 제어정보가 지나치게 많게된다.
그러므로, 그러한 통합을 위해서는 각 신호송출국마다의 신호송출 회로망 제어정보를 수정하기 위해 대량의 작업을 해야만 되고 또한 이로인해 장시간 소요된다. 특히, 이러한 작업은 신호송출 회로망의 모든 신호송출국들마다 통합을 위해 행해져야만 하므로 장시간 소요된다. 더욱이 통신서어비스들을 수정하는 동안 장시간 동작을 중단해야 되기 때문에 서어비스의 심각한 질적 저하를 감수해야 한다. 또한 통합후 만일 통합된 신호송출 회로망들 가운데 한 신호송출 회로망의 신호송출 회로망 구조를 수정해야 될 필요성이 발생할 경우 통합된 모든 신호송출 회로망들내의 모든 신호송출 회로망 제어정보를 수정해야만 한다. 그러므로, 유지관리를 위한 작업량이 과중해진다.
출입국이 이중기능을 갖는 후자시스템을 수행하는 것은 전자시스템에 비해 실현시키기가 더 쉽다. 그러나, 이중 기능을 갖는 출입국은 여전히 상호연결될 두 신호송출 회로망들의 회로망제어정보를 갖고 있어야 하며, 또한 다른 신호송출 회로망의 회로망구조를 수정해야만 될 때 그러한 수정에 대응하여 대량의 수정작업이 수행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대량의 수정작업없이 신호송출 회로망들간에 상호연결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회로망간 연결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근본특징에 의하면, 공동 채널 신호송출 시스템을 사용하는 다수의 신호송출 회로망들간을 상호 연결해 주기위한 회로망간 연결시스템이 제공되며, 좀 더 구체적으로, 각 신호송출 회로망들은 하나이상의 신호송출국으로 구성되며, 신호 송출 회로망의 적어도 하나의 신호송출국은 각 회로망에 의해 출입국으로서 선택되며, 한 신호송출 회로망의 출입국과 상호 연결될 다른 신호송출 외로망의 출입국에 의해 구성된 하나이상의 국지신호송출 회로망(local signaling network)이 다수의 신호송출 회로망들간에 구성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다수의 교환국(exchange)들을 통하여 신호를 송출시키기 위한 신호전송시스템이 제공되는데 여기서, 처음의 교환국이 출입국으로서 한 교환국에 대해 신호 착신국을 세트하여 그 신호를 송출시키면 직렬연결된 교환국은 그 다음 전송될 신호착신국을 결정 및 변경하여 그 다음 교환국으로 신호를 송출시키며, 그에의해 출입교환국들이 순차적으로 신호 착신국을 변경하여 결국 마지막 교환국에 그 신호가 송출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로서 회로망간 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신호송출 회로망들을 제1도에 도시한다. 제1도에는 신호송출 회로망 A와 신호송출 회로망 B가 상호연결될 회로망들로서, 이 신호송출 회로망들은 상이한 신호송출 회로망 구조 또는 관리주조를 제각기 갖고 있다. 그러나 이 두 회로망들은 공통채널 신호송출시스템을 사용한다. 신호송출 회로망들 A와 B는 둘다 다수의 신호송출국들을 포함한다. 그러나 제1도는 신호송출 회로망 A의 신호송출국들 1, 1i, 1j과 신호송출 회로망 B의 신호송출국들 2, 2i, 2j만이 도시되어 있다.
신호송출국들 1과 2는 각 신호송출 회로망들 A와 B의 신호송출국들 가운데에서 임의로 선택된 출입국들로서, 신호연결 L은 출입국들 1과 2간에서 설정된다. 이 출립국들 1 및 2와 신호연결 L은 국지신호송출 회로망C를 구성한다. 그러므로, 출입국1은 두 신호송출 회로망들 A와 C에 속하며, 그리고 출입국 2는 두 신호송출 회로망들 B와 C에 속한다. 그에 의해 출입국1은 신호전송용 회로망 제어정보로서 신호송출 회로망들 A와 C의 제어 데이터를 갖고 있으며 또한 출입국 2는 신호송출 회로망들 B와 C의 제어 데이터를 갖고 있다.
제1도의 신호송출국의 구조에 대한 일예가 제2도에 나타나 있다. 제2도에서, 31은 중앙제어 유니트(CC), 32는 디지탈 스위치 모듈(DSM), 33a, 및 33b는 공통채널 신호송출장비(CSE), 34는 주메모리(MM), 35는 신호수신기 및 분배기(SRD) 그리고 36a 내지 36j는 디지탈 단말기(DT)이다.
MM34는 내부 신호송출 회로망내에서의 상호연결뿐만 아니라 상이한 신호송출 회로망들간의 상호연결을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공통채널 제어 프로그램과 같은 여러 가지 제어 프로그램들 뿐만 아니라 관리 데이터(administration data)등을 기억한다. 이 프로그램의 집행은 CC31의 제어에 의해 수행된다. 다른 신호 송출 회로망들에 대한 신호송신 및 수신은 공통 CSE들 33a 및 33b에 의해 수행된다. 자신의 신호송출 회로망과 다른 신호송출 회로망은 DT들 36C 내지 36j간에 설정되는 PCM(펄스코드 변도)연결에 의해 상호연결되며 또한 PCM연결의 타임슬로트들(채널)중 적어도 하나가 공통채널 신호연결용으로 사용된다.
CSE들 33a 및 33b와 DT들 36c 내지 36j내의 타임슬로트들은 DSM32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MM34내에 기억된 통화로 A와 신호연결 B등을 연결하기 위한 제어정보는 CC31의 제어하에 SRD35를 통해 DSM32에 전송된다. DSM32는 이 정보를 사용하여 스위칭 동작을 수행한다.
MM34내에 기억된 관리 데이타와 공통채널신호 제어 프로그램의 요약된 예를 제3도에 나타낸다. 제어 프로그램CP는 등가 기능개통들로 나타낼 수 있다. 각 신호송출국에서 수행되는 여러 기능들은 기능레벨들 L2, L3 및 L4로서 나타낸다. 레벨 L2는 신호연결 제어기능부들을 나타내며, L3는 신호전송 기능부들을 나타내며 또한 L4는 사용자 기능부들을 나타낸다.
MM34의 제어 프로그램의 기능개통들은 이 기능부들에 해당한다. 즉, 기능개통들은 레벨 L2에 속하는 공통채널 신호송출 장비 제어부 41, 레벨 L3의 신호전송부42, 그리고 사용자부 43등을 포함한다. 공통채널 신호송출 장비 제어부 41은 신호수신 제어부와 신호전송제어부를 포함한다. 사용자부 43은 예를 들어 신호정보를 분석하여 호출처리제어를 수행하는 기능한 한다. 제어 데이타부 44는 신호연결 경로 이행표(signal link noute translation table), 연속입력(transaction) 및 신호송출 회로망 속성관리 데이터등을 포함한다.
자신의 신호송출 회로망과 다른 신호송출 회로망들간에 송신 및 수신되는 신호유니트의 포오멧은 제4도에 나타낸다. 제4도에서, L2H는 신호유니트를 전송시키기 위해 레벨 L2에서 신호유니트의 순차제어 및 오차제어용 피일드(field)인 레벨 2헤더(header)이다. UI는 예를 들어 전화사용자부 또는 데이타 사용자부를 구별하기 위한 사용자 확인기이다. DPC는 착신국 코드, OPC는 발신국 코드이다. UDATA는 예를들어 전화호출 착신번호, 전화호출 발신번호, 통화로번호, 그리고 전화가입자 번호를 포함하는 사용자 데이타이다. CK는 신호유니트의 전송기간에 비트오차를 검출하기 위한 신호유니트 전송오차 검출 플레그(flag)이다.
제3도의 제어데이타내의 신호연결 경로이행표의 상세한 구조는 제5도에 나타내며 또한 신호송출 회로망속성관리 데이타의 상세한 구조의 예들은 제6 내지 8도에 나타낸다. 제5도는 신호가 입력될 때 지표로서 제2도의 신호단자 C의 번호를 사용하여 신호송출 회로망 속성들을 훑어보기 위해 사용되는 신호연결 경로번호 이행표를 나타낸다.
제6도는 신호연결 경로-신호송출 회로망 속성이행표를 나타낸다. 이 표는 지표로서 신호연결 경로번호를 사용하여 신호송출 회로망 속성등을 훑어보는데 사용된다. 제6도에서, NID는 신호송출 회로망 확인기이고, NAT는 신호송출 회로망 속성이고, 그리고 SSPC는 자신국 코드이다. 신호송출 회로망 확인기 NID는 예를 들어 제1도의 신호송출 회로망이 A, B 또는 C인지를 구별하도록 신호송출 회로망을 구별하기 위한 지침이다. 신호송출 회로망 속성 NAT는 예를 들어 회로망이 신호송출 회로망 A 및 B와 같은 경로과정을 수행하는 신호송출 회로망인지 또는 신호송출 회로망 C와 같은 지점간 시스템 신호송출 회로망인지 여부를 지시하도록 신호송출 회로망 형태를 나타내기 위한 지침이다.
여기서 주목되는 것은 경로 설정은 직결된 신호송출국으로 신호경로의 존재성 및 연결가능성이 제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신호송출국에서 관리되는 경로 설정표를 근거로 하여 검토되는 과정이라는 것이다. 경로설정표는 신호연결 경로상의 내부신호 송출 회로망내에서 신호송출국으로 또는 그로부터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신호송출국에 관계되는 송출 연결경로의 각 번호에 의한 정보를 포함한다. 이 정보에 의하면 직결된 신호송출국으로 신호 경로의 재, 신호송출국으로 인입가능성의 상황, 그리고 신호경로의 이용가능성의 상황등이 관리될 수 있다. 제9도는 신호송출국 코드를
Figure kpo00001
Figure kpo00002
를 각각 갖는 신호송출국들에 대한 경로진행 데이타의 표구성의 일예를 나타낸다.
제7도는 사용자 데이타 신호송출 회로망 확인기 이행표를 나타낸다. 이 표는 지표로서 신호유니트내의 사용자 데이타 UDATA를 사용하여 회로망 확인기등을 훑어본다. 그 내용들은 신호송출 회로망 확인기 NID, 착신국 코드 DPC,그리고 발신국 코드 OPC이다. 제8도는 신호송출 회로망 확인기 신호연결경로 이행표를 나타낸다. 이 표는 신호송출 회로망 확인기로부터 신호송출 회로망 속성 NAT와 신호연결 경로번호 LSN등을 훑어본다.
[시스템의 동작]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신호송출 회로망내의 내부회로망 연결에 관한 동작을 제10내지 12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신호가 한 신호송출 회로망 A내의 단독신호송출국 1i로부터 제1도 내의 다른 신호송출 회로망 B내의 신호송출국 2i로 전송되며 또한 통화로(도시안됨)가 그들간에 설정되었다고 보자. 이때 신호전송은 신호를 신호송출 회로망 A내의 신호송출국 1i로부터 신호송출국 1j 및 출입국1, 국지신호송출 회로망 C, 그리고 신호송출 회로망 B의 출입국 2와 신호송출국 2j를 통해 신호송출국 2i로 송신시켜 줌으로서 수행된다.
제1도의 중간부분에는, 신호전송 시간에 신호를 통과시키는 각 신호송출국에서 신호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과정의 기능 레벨들이 나타나 있다. 제1도의 하부에는 각 신호송출 회로망에서의 개략신호유니트들이 도시되어 있다.
우선 신호송출 회로망 A의 신호송출국 1i의 사용자로부터 신호송출 회로망 B의 신호송출국 2i의 사용의 사용자로의 호출이 발생될 때 신호송출국들 1i는 레벨 L4의 사용자부에 의해 사용자 데이타의 내용을 분석한다. 분석결과로서, 만일 호출발신신호가 신호송출국 B에 인도되고 있는 것으로 식별될 경우 그때 그 신호은 신호송출 회로망 A내의 출입국1로 전송된다. 신호 전송시에 만일 필요할 경우 신호는 신호송출국 1j를 통해 출입국1로 전송된다. 신호송출국들 1i 및 1j내의 제어동작들은 후술되는 출입국의 동작과 근본적으로 동일하므로 그 동작설명은 여기서 생략한다.
신호송출국 1i에서 발생된 신호가 신호송출국 1j를 통해 송신되고 또한 출입국1에서 간단히 수신될 때 출입국1은 제10내지 12도의 유통도내에 나타낸 절차에 따라 수신된 신호를 처리한다. 제10도는 레벨L3의 제3도 내의 신호 수신처리부 42에서의 절차를 나타내는 유통도이며, 제11도는 레벨L4 제3도 내의 사용자부 43에서의 절차를 나타내는 유통도이며, 또한 제12도는 레벨 L3의 제3도 내의 신호 전송처리부 42에서의 절차를 나타내는 유통도이다.
개략적으로, 출입국1내의 과정은 다음과 같다. 즉, 신호송출 회로망 A내에서 신호발생국 1i와 출입국1간에 통화로를 설정한 후, 신호송출 회로망 C내의 출입국2를 향하는 신호의 전송이 요구되면 출입국 1은 출입국2를 향하는 신호의 전송이 가능한지를 확인한 후 그 신호를 전송시킨다. 이에대한 상세한 동작설명을 아래에 기술한다.
출입국1에서, 제2도에 수신된 신호는 DT들 36a내지 36j와 DSM32중 하나를 통하여 CSE 33a 또는 33b의 신호단자들중 하나에 입력되며, 그에의해 CC31은 MM34의 데이타를 사용하여 제10도에 도시된 제어절차를 수행한다. 즉, 신호가 입력되는 CSE 33a 또는 33b의 신호단자번호와 수신된 신호의 내용은 수신되는 연속입력내에 기억된다. 그와 동시에 신호단자 번호는 제5도의 신호연결 경로번호 이행표를 사용하여 신호연결 경로번호로 이행되며(단계 S1), 도한 신호송출 회로망 확인기 NID, 신호송출 회로망 속성 NAT와 자체국 코드 SSPC는 제6도의 신호연결 경로 신호송출 이행표를 사용하여 신호연결 경로번호로부터 얻어진다(단계 S2).
그 다음 단계 S2에서 얻어진 자체국 코드(self office code) SSPC와 수신된 신호내에 내포된 착신국 코드 DPC가 비교되며(단계 S3). 그에의해 수신된 신호가 자체국에 대해 지정되었는지 여부를 식별해준다(단계 S4). 수신된 신호가 자체 신호송출국(self signaling office)에 대해 지정되었을때 코드들은 일치하며 또한 다른 신호송출국에 지정될 때 코드들은 일치하지 않는다.
일치성이 없을 때 수신국은 간단히 그 신호를 다른 신호송출국으로 전송하며 또한 신호송출 회로망 속성 NAT에 대응하는 전송과정은 레벨 L4의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서 레벨 L3을 수행한다. 이 과정은 신호 송출국 1j에서의 과정과 일치한다.
수신된 신호가 자신의 신호송출국에 대해 지정되었음이 판정될 때 레벨 L4의 과정은 수신된 신호에 대해 수행된다. 그러나, 그 과정이전에 단계 S2에서 얻어진 신호송출 회로망 확인기 NID는 사용자측에 대해 연속하는 정보로서 수신하는 연속입력내에 기억된다(단계 S5). 그후 수신된 신호가 사용자로부터의 사용자 신호인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6). 사용자신호 이외의 신호, 예를 들어 회로망 제어신호인 것으로 확인될 때 회로망 관리등은 레벨 L4과정을 행함이 없이 수행된다(단계 S3).
수신된 신호가 사용자 신호로서 확인될 때, 제11도에 도시된 사용자부 43에 의해 레벨 4의 회로망간 연결과정이 수행된다. 사용자부 43에서, 수신된 신호내에서 전화번호와 같은 사용자 데이타가 분석되면, 제7도에 보인 사용자 데이타 신호송출 회로망 확인기 이행표를 사용하여, 통화로가 설정되는 신호송출 회로망의 신호송출 회로망 확인기 NID, 발신국 코드 OPC 및 착신국 코드 DPC등이 사용자 데이타로부터 얻어진다(단계11). 본예에서, 신호송출 회로망 확인기 NID는 신호송출 회로망 C를 나타내며, 발신국 코드 OPC는 신호송출 회로망 C에 관한 출입국 1의 코드인 신호송출국 10을 나타내며, 또한 착신국 코드 DPC는 신호회로망 C에 관한 출입국 2의 코드인 신호송출국 20을 나타낸다.
그다음, 통화로는 신호발신국(여기서 신호송출 회로망 A)의 신호송출 회로망 확인기 NID, 수신 신호내의 발신국 코드 OPC(여기서 신호송출국 1i) 그리고 수신 신호에서 사용자 데이타 UDATA등을 근거하여 신호발신국 1i와 출입국1사이에 설정된다(단계12).
그다음 분석결과로서 얻어지는 발신국 코드 OPC와 착신국 코드 DPC를 내포하는 신호유니트 뿐만 아니라 수신된 신호의 사용자 데이터는 재편집된 다음 단계 S11에서 얻어지는 회로망 화인기 NID를 지시하는 전송연속입력 메모리내로 기억되어 신호전송처리부에 대해 신호전송이 요청된다(단계13). 즉, 편집된 신호유니트는 신호송출국 10을 지시하는 발신국 코드 OPC와, 회로망 C에 속하는 신호송출국 20을 나타내는 착신국 코드 DPC등을 포함한다.
제3도의 신호전송처리부 42에서, 신호의 전송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신호송출 회로망 속성 NAT와 신호 연결 경로번호 LSN은 신호송출 회로망 확인기 신호경로 이행표를 사용하여 사용자부 43의 뒤를 이어 신호송출 회로망 확인기 NID(신호송출 회로망 C)를 이행시켜줌으로서 얻어진다.(단계 S21). 그다음, 그 절차는 신호송출 회로망 속성 NAT에 의해 갈라진다. 본예에서 신호송출 회로망 속성 NAT는 지점 대지점형의 신호송출 회로망 C로서, 그 순서는 단계 S21에서 얻어진 신호연결 경로번호 LSN내의 신호연결이 선택되는 단계 S23으로 진행하게 되어 전송제어 동작이 공통채널 신호송출 장비 제어프로그램에 대해 요청된다. 다른한편, 신호송출 회로망 속성 NAT가 경로설정과정을 필요로하는 회로망들 A 또는 B와 같은 것일 때 그 절차는 신호송출 회로망 속성에 따라 경로 설정과정이 수행된다음 공통채널 신호송출 장비 제어 프로그램에 대해 전송제어 동작이 요구되는 단계 4로 진행한다.
상술한 동작에 의하면, 신호송출국1i에서 발생된 신호는 신호송출 회로망 A의 출입국 1에 도달하여 통화로를 설정시킨 다음 그 신호는 출입국1(10)으로부터 출입국2(20)를 향해 신호송출 회로망 C내로 전송된다. 출입국 2에서는 출입국1의 것과 동일한 과정이 반복된다. 즉, 수신된 신호가 사용자 데이터를 분석함에 의해 신호송출 회로망 B에 대해 지정됨을 사용자부 43에서 확인한 후, 그다음 신호송출 회로망 B내의 신호송출국 2i를 향하여 그래서 신호전송이 신호전송 처리부 42에 대해 요청된다.
이 경우에, 신호송출 회로망 확인기 NID는 신호송출 회로망B이며, 발신국 코드OPC는 신호송출국2이며, 또한 착신국 코드DPC는 신호송출국 2i이다.그다음,이 정보를 함유하는 신호유니트는 출입국 2에서 재편집되어 목적된 신호송출국 2i로 전송된다. 이후 연결제어 절차는 종래의 것과 동일하므로 그의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설명에서는 신호송출 회로망 A로부터 신호송출 회로망 B로의 회로망간 연결이 기술되어 있다. 신호송출 회로망 B로부터 신호송출 회로망 A로의 회로망간 연결은 완전히 동일하며, 또한 각 신호송출 회로망내의 신호송출국들간의 연결은 직렬연결국들 1j와 2j를 통해 항상 행해질 필요가 없음이 명백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직렬연결국들 1j와 2j가 통화로 제어국이 아닌 신호송출국 전용으로 구성될 때 통화로는 1i로부터 1(10) 및 2(20)를 통하여 2i로 순차적으로 설정된다. 신호송출국 1i, 1j, 및 1을 포함하는 신호송출 회로망A와 신호송출국들 2, 2J 및 2i를 포함하는 신호송출 회로망B는 이중기능을 갖고 있으며, 또한 신호송출 회로망들 A와 B에 제각기 속하는 출입국들 1과 2에 의해 새로이 구성된 신호송출 회로망 C를 통해 상호 연결된다. 결과적으로, 신호송출 회로망 A내의 각 신호송출국은 발생된 호출이 신호송출 회로망 A와 B간의 회로망간 연결에 관하여 출입국 1에 신호를 전송시키기 위한 제어 데이타와 신호송출 회로망 B에 대해 지정된 신호임을 판정하기 위한 데이타만을 유지시키기에 충분하다. 또한 출입국1이 신호송출 회로망 A내의 신호송출국들간에 연결을 위한 데이타와 신호송출 회로망 C내의 출입국2에 연결을 위한 데이타만을 유지시키는 것 또한 충분하게 되므로 신호송출 회로망 B에 대한 연결 데이타는 필요없어진다.
결과적으로, 연결될 신호송출 회로망들의 분리가 성취될 수 있으며, 그와동시에 두 신호송출 회로망들이 연결되어야만 하는 접촉지점들의 수는 국지 신호송출 회로망 C로 인해 감소된다. 여기서 국지 신호송출 회로망C는 연결될 신호송출 회로망 구조의 차와 최근의 댄지(dange) 절차등과 같은 회로망 관리절차 및 상세한 연결절차의 차이점들을 흡수해주므로 그에의해 회로망 코드설계와 같은 회로망 설계가 개별회로망들마다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그러므로, 한 신호송출 회로망의 회로망 구조의 수정은 다른 신호송출 회로망들에 영향을 주지않게 된다. 더욱이, 회로망간 연결을 위해 각 신호송출국들에서 유지될 데이터는 소량으로 제한 되므로 그에 의해 신호전송을 위한 가변데이타의 관리 예를들어, 경로의 상황변동에 대한 관리 및 감독등의 데이터가 대부분의 경우에서 불필요하게 된다.
제9도로부터 명백히 알 수 있는 것은 단지 소량의 데이터만을 각 신호송출국에 의해 유지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것이다. 즉, 모든 신호송출국들이 단일 신호송출 회로망으로 통합되는 제14도에 보인 바와 같은 시스템에서는 각 신호송출국에서 유지해야 할 데이타의 량이 과잉으로 되는 문제가 있음을 쉽게 알 수 있다. 다른한편, 제15 또는 16도의 시스템에서는 자신의 신호송출 회로망내의 각 신호송출 회로망의 데이타이외에 다른 신호송출 회로망내의 각 신호송출국의 데이타를 유지시키기 위해 단지 출입국만으로서도 충분하다. 그러나, 출입국에 관해서 유지시켜야 할 데이타의 량은 지나치게 많아지며, 다른 회로망의 신호송출국내의 증가와 신호송출국 코드의 수정에 보조를 맞추기 위해 복잡한 수정 절차가 마찬가지로 필요하게 된다.
반대로,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한 회로망간 연결시스템에서는 신호송출 회로망 A내의 신호송출국들이 종래에서와 같이 신호송출 회로망 A내의 신호송출국의 데이타를 유지시키는 것으로 충분하다. 또한 신호송출 회로망 B내의 신호송출국들이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신호송출 회로망B의 신호송출국의 데이타를 유지시키는 것으로 충분하다. 더욱이, 출입국이 자신의 신호송출 회로망(회로망 A 또는 B)의 데이터 이외에 새로이 구성된 신호송출 회로망 C의 데이타만을 유지시키는 것으로 충분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시스템에 비해 데이타량은 감소되며, 또한 하나의 신호송출 회로망은 다른 신호송출 회로망의 수정에 대해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 효과가 있음이 명백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여러 수정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1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호송출 회로망 A의 출입국1은 신호송출 회로망 B의 출입국 2를 포함하는 국지 신호송출 회로망 C뿐만 아니라 다른 신호송출 회로망 D의 출입국 3을 포함하는 새로운 국지 신호송출 회로망 E내에 내포될 수 있다. 즉, 출입국 1은 3중 기능을 갖고 있으며 또한 신호송출 회로망들 A, C 및 E에 귀속되도록 시스템을 구성해줌으로서 신호송출 회로망들 A, B 및 D간의 회로망간 연결이 가능하게 될 수 있다. 물론 출입국 1을 다른 많은 신호송출 회로망들에 더 귀속시킬 수도 있으며 또한 출입국 2 및 3을 대량의 신호회로망들에 귀속시킬 수도 있다.
더욱이 예를 들어, 신호송출 회로망 B에 대한 출입국 1의 국지 신호송출 회로망은 국지 신호송출 회로망 C로 제한되지 않는다. 신호송출 회로망 B내의 출입국 1과 상이한 출입국 2'간에 국지신호송출 회로망 C'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연결해야 할 신호송출 회로망들의 수가 증가될수록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지는 신호송출 회로망의 구성의 수정으로 인한 다른 신호송출 회로망상의 영향을 방지해주는 효과와 데이타량 감소효과가 현저하게 커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회로망간 연결을 수행하기 위해 각 신호송출 회로망의 신호송출국들이 연결해야할 다른 신호송출 회로망내의 모든 신호송출국들의 호로망 제어 데이타를 유지시켜줄 필요가 없어지므로, 결국신호송출 회로망들간의 상호연결을 실현시키기 위한 작업량은 과다해지지 않게되고, 따라서 회로망간 연결이 쉽게 실현된다. 각 신호송출 회로망은 그들간에 국지 신호송출 회로망을 둠으로서 다른 신호송출 회로망과 무관하게 되며, 그에의해 다른 신호송출 회로망에 대해 한 신호송출 회로망내의 회로망구조의 수정으로 인한 영향을 받지않게 되므로 결국 회로망간 연결의 설정후 각 신호송출 회로망의 회로망 구조의 수정에 수반되는 작업량이 최소로 유지될 수 있다. 더우기, 국코드설계와 같은 회로망 설계는 개별 회로망들에 대해 제각기 가능하게 되므로 결국 각 신호송출 회로망의 설계를 더욱 자유롭게 할 수 있게 된다.

Claims (6)

  1. 공통 채널 신호송출 시스템을 사용하는 다수의 신호송출 회로망(A,B)들간의 상호연결을 위한 회로망간연결 시스템에서, 상기 신호송출 회로망들 각각은 하나이상의 신호송출국(1,1i,1j,2,2i,2j)들에 의해 구성되며, 신호송출 회로망의 상기 하나이상의 신호송출국들중 적어도 하나가 각 회로망에 의해 출입국(1,2)으로서 선택되며, 상호연결해야 될 한 신호송출 회로망의 출입국과 다른 신호송출 회로망의 출입국에 의해 구성되는 하나이상의 국지 신호송출 회로망(C)들이 상기 다수의 신호송출 회로망들간에서 구성되며, 상기 다수의 신호송출 회로망들간의 회로망간 연결은 상호 연결해야 될 신호송출 회로망들간에 형성된 상기 하나이상의 국지신호송출 회로망들을 통해 수행되는 것이 특징인 회로망간 연결 시스템.
  2. 제1항에서, 상기 하나이상의 국지 신호송출 회로망(C)들은 지점 대 지점간 시스템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 특징인 회로망간 연결 시스템.
  3. 제2항에서, 한 신호송출 회로망(A 또는 B)으로부터 다른 신호송출 회로망(A 또는 B)으로의 정보전송은 상기 정보를 전송시키도록 한 신호송출 회로망내의 발신국(1i 또는 2i)이 상기한 신호송출 회로망내의 출입국(1 또는 2)으로 정보에 대한 착신국을 세트시키는 식으로 수행되며, 상기한 신호송출 회로망내의 출입국은 두 출입국들을 포함하는 상기 국지 신호송출 회로망(C)을 통하여 정보를 전송시키도록 상기 다른 신호송출 회로망의 출입국으로 상기 정보의 착신국을 변경하고, 또한 상기 다른 신호송출 회로망내의 출입국은 상기 정보를 전송시키도록 종착국으로 정보의 착신국을 변경하는 것이 특징인 회로망간 연결 시스템.
  4. 제3항에서, 정보의 착신국의 변경은 신호유니트내의 사용자 데이타(UDATA)를 근거로 신호유니트내의 발신국 코드(DPC)와 착신국 코드(OPC)를 변경시킴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 특징인 회로망간 연결 시스템.
  5. 다수의 교환기들을 통하여 신호를 전송시키기 위한 신호전송 시스템에서, 발신교환기는 직렬연결국(1j,2j)으로서 상기 다수의 교환기들중 하나로 신호의 착신국을 세트하여 그 신호를 전송하고, 직렬연결국으로서 작용하는 교환기는 그 다음 전송해야 될 신호의 착신국을 결정 및 변경하고 또한 그다음 교환기로 그 신호를 송신하며, 그에의해 각 질결연결 교환기(1j,2j)는 신호의 착신국을 순서적으로 변경하고 또한 최종적으로 종착교환기로 그 신호를 송신하는 것이 특징인 회로망간 연결 시스템.
  6. 제5항에서, 상기 직렬연결 교환기(1j,2j)는 다수의 회로망들간을 상호연결해 주기 위한 출입교환기인 것이 특징인 회로망간 연결 시스템.
KR1019860004193A 1985-05-31 1986-05-28 회로망간 연결 시스템 KR9000011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6807 1980-08-23
JP60-116807 1985-05-31
JP60116807A JPS61276465A (ja) 1985-05-31 1985-05-31 信号網間接続方式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9564A KR860009564A (ko) 1986-12-23
KR900001156B1 true KR900001156B1 (ko) 1990-02-27

Family

ID=14696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4193A KR900001156B1 (ko) 1985-05-31 1986-05-28 회로망간 연결 시스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0203614B1 (ko)
JP (1) JPS61276465A (ko)
KR (1) KR900001156B1 (ko)
CN (1) CN1006436B (ko)
CA (1) CA1287152C (ko)
DE (1) DE3678867D1 (ko)
HK (1) HK46792A (ko)
SG (1) SG45592G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36138A (ja) * 1992-02-20 1993-09-10 Nec Corp 電子交換機
WO1993025025A1 (en) * 1992-06-03 1993-12-09 Marine-Air Systems Limited Communication methods and apparatus
US5563939A (en) * 1993-12-09 1996-10-08 At&T Method and system for delivering a communication service
US5768361A (en) * 1995-12-29 1998-06-16 Mci Corporation Flexible enhanced signaling subsystem for a telecommunications switch
DE19603474C2 (de) * 1996-01-31 1999-05-27 Siemens Ag Verfahren zum Konvertieren von unterschiedliche Formate aufweisenden Nachrichten in Kommunikationssystemen
US5852660A (en) * 1996-04-10 1998-12-22 Ericsson Inc. Network protocol conversion module within a telecommunications system
US5838782A (en) * 1996-05-24 1998-11-17 Ericsson, Inc. System for converting a routing address with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CN1157961C (zh) * 1998-04-22 2004-07-14 西门子公司 用于信令点的信令系统
FI982443A0 (fi) * 1998-11-10 1998-11-10 Ericsson Telefon Ab L M Turvallisuus telekommunikaatioverkoissa
US6760343B1 (en) * 1999-05-20 2004-07-06 Nortel Networks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virtual SS7 link in a communications system
JP3700589B2 (ja) * 2001-02-16 2005-09-28 日本電気株式会社 交換機間制御信号伝送システムおよび交換機間制御信号伝送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66849A (ja) * 1982-03-27 1983-10-03 Iryo Joho Syst Kaihatsu Center ネツトワ−ク・ノ−ド間のル−ト設定方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9564A (ko) 1986-12-23
CN86103604A (zh) 1986-12-03
CN1006436B (zh) 1990-01-10
CA1287152C (en) 1991-07-30
SG45592G (en) 1992-06-12
DE3678867D1 (de) 1991-05-29
EP0203614B1 (en) 1991-04-24
EP0203614A3 (en) 1988-06-22
JPS61276465A (ja) 1986-12-06
EP0203614A2 (en) 1986-12-03
JPH0332946B2 (ko) 1991-05-15
HK46792A (en) 1992-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82550A (en) Inter-network connection system
US5367566A (en) Common channel signaling message intercept system
CA1299709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existing telephone switching equipmentwith the capability of using the ss7 protocol
US504206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eal-time switching of high bandwidth transmission channels
US6724752B1 (en) IP telecommunications
US4688214A (en) Switching system control arrangements
JP3370769B2 (ja) ローカルループ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で使用される装置
US5825779A (en) PBX networking with quality of service control
KR900001156B1 (ko) 회로망간 연결 시스템
US490326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existing telephone switching equipment with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capability
KR910004806B1 (ko) 공통선 신호방식 중계기의 신호링크 할당과 루팅방법
US4220821A (en) Off-hook initiated demand assignment communications
US5537392A (en) Procedure and device for routing telecommunications in a meshed network
US20030002487A1 (en) Selection system, its selection method for voice channels, and switchboard for use therein
GB2358320A (en) Time division multiplexer with timeslot interchange unit located between trunk and tributary buses
US639302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user part (ISUP) signaling loopback
AU716715B2 (en) Number portability for multi-operator networks
JPH11122365A (ja) 共通線信号方式における信号リンク選択方法及びそれを適用した交換機
US7075947B1 (en) Signaling system of a signaling point
US7020129B2 (en) Dynamic assignment of telecommunications switches and packet switch gateways
US5748625A (en) Inter-LAN connection method using ISDN
US5999614A (en) Telecommunications system architecture
US6912279B2 (en) Identifying communications channels between nodes
EP0851693B1 (en) Telecommunications system architecture
US20040146154A1 (en) Connection between communication networks using different signaling protoco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22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