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0954B1 -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0954B1
KR900000954B1 KR1019860004416A KR860004416A KR900000954B1 KR 900000954 B1 KR900000954 B1 KR 900000954B1 KR 1019860004416 A KR1019860004416 A KR 1019860004416A KR 860004416 A KR860004416 A KR 860004416A KR 900000954 B1 KR900000954 B1 KR 9000009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display device
transmissive
electrodes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4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0634A (ko
Inventor
요네하루 다구보
야스다까 호리베
노부에 야마니시
에이지 후지이
히데유끼 오끼나까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다니이 아끼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0121785A external-priority patent/JPS61278890A/ja
Priority claimed from JP60154621A external-priority patent/JPS6214619A/ja
Priority claimed from JP60155404A external-priority patent/JPS6215519A/ja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다니이 아끼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00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06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0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09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0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ceramics or electro-optical crystals, e.g. exhibiting Pockels effect or Kerr effect
    • G02F1/05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ceramics or electro-optical crystals, e.g. exhibiting Pockels effect or Kerr effect the active material being a ceram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Optical Modulation, Optical Deflection, Nonlinear Optics, Optical Demodulation, Optical Logic Ele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표시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예시한 표시장치의 표시부의 사시도.
제3도는 제1도에 예시한 표시장치의 전압인가헤드부의 사시도.
제4도는 제1도에 예시한 표시장치의 제어회로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제5도는 제4도에 예시한 제어회로부의 헤드구동기의 회로도.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의 기초기록, 표시 및 소거동작의 원리를 도시한 설명도.
제7도는 제1도에 예시한 표시장치의 변경표시부의 사시도.
제8도는 제1도에 예시한 표시장치의 다른 변경표시부의 사시도.
제9도는 제1도에 예시한 표시장치의 또 다른 변경 표시부의 사시도.
제10도는 제1도에 예시한 표시장치의 또 다른 변경표시부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표시부 3 : 전압인가헤드
4 : 헤드고정판 7 : 모우터
8 : 편광판 9 : 제어회로부
21 : PLZT 기판 22 : 편광막
23 : 반사막 32 : 전극군
33 : 보강판
본 발명은 정보처리시스템의 출력 단자로서 유용한 정보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년, 광통신, 고도통신시스템(INS) 및 부가가치통신망(VAN)등의 정보통신기술이 급속히 발달되었다. 이러한 정보기술의 발달과 함께, 정보출력단말기가 개발되어 왔다. 현재, 출력단말기기로서 이용되며 활발하게 개발된 것으로는 CRT 및 액정디스프레이(LCD)를 나타내는 소프트 카피(soft copies)와 프린터등의 하드카피(hard copies)가 있다.
CRT 및 LCD 자체는 기억기능을 가지지 않기 때문에, 인간의 눈을 현란시키지 않도록 한화면에 표시될 수 있는 정보량은 한정되어 있다. 특히, 액정등에 이용되는 평판형 디스프레이는 CRT 디스프레이와 비교될 정도로 전체크기를 감소시킬 수는 있지만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평판형 디스프레이는 매트릭스전극에 의해서 구동되기 때문에, 한화면의 표시정보량 증가는 필요한 구동회로수를 증가시키므로, 이 결과 가격이 상당히 높아진다.
한편, 프린터등의 출력장치는 그 정보표시속도가 비교적 느리기는 하지만 기록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 출력장치는 단위화면당 충분한 정보표시용량 및 비교적 우수한 해상도를 제공한다. 그러나, 이것은 잉크, 토너등의 소모물을 계속해서 공급해야 하고, 이미 출력된 정보를 바꿔쓸 수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정보출력단말기기로는 CRT 및 LCD 등과 같이 정보를 바꿔쓸 수 있으나, 그 자체의 기억기능이 없으므로 단위화면당 정보표시용량이 비교적 작아서 해상도가 불량한 기기와, 프린터등과 같이 정보의 기록 및 유지가 용이하나 소모물을 계속해서 공급해야 하고 정보를 바꿔쓸 수 없는 기기가 있다.
상술한 정보출력 단말기기 두형태의 양기능을 겸비한 수단으로서 전기영동을 이용하여 정보를 기록할 수 있는 박판(A.Chiang, D.Curry, M.Zarzychi : 철필기록식 전기영동 표시장치, SID 79 Digest, pp.45-46(1979))이 제안된 바 있으나, 이것은 복잡한 구조 때문에 실제적으로 사용할 수 없다.
상술한 바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근본목적은 필요한 정보의 기록, 필요한 시간동안 충분한 화질과 저비용 및 저동력소모로 정보를 표시, 유지 및 바꿔쓸 수 있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실현을 위하여 본 발명은 적어도 한쌍의 전극을 가지는 전압인가헤드가 케르효과(kerr effect)를 갖는 전압제어 투광성자기판의 표면을 주사하도록 배열되어서 투광성자기판의 표면에 전위차를 부분적으로 인가시키도록 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상술한 구성의 효과에 의해서, 전압인가헤드는 케르효과를 갖는 전압제어 투광성자기판의 표면을 주사하고, 이로 인해서 전위치가 투광성자기판 표면의 소정의 두점간에 인가되어서 광의 복굴절을 일으키므로써 편광판을 통해서 정보가 표시되도록 한다. 전압인가헤드의 주사동작 이후에, 투광성자기판의 표면에서 발생하는 전위차는 투광성자기판의 유전성효과로 인해서 그대로 유지된다. 즉, 표시된 정보가 유지된다. 투광성 자기판의 표면을 그것에 소정전압을 인가하지 않고 상기와 유사한 방법으로 전압인가헤드에 의해서 주사하는 경우에, 판표면에 유지되어 있던 전위치가 삭제된다. 즉, 표시된 정보가 소거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의 구성은 정보기록, 표시 및 바꿔쓰기 할 수 있고, 기록, 표시 및 바꿔쓰기 작업을 통해서 전력이 거의 필요치 않다. 상당히 간단한 구성의 표시장치를 실현할 수 있고, 높은 해상도 및 저렴한 비용으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제1도를 참조하면, 참조번호(1)은 케르효과로 알려진 전기광학효과를 가지는 투광성자기로 구성된 표시부를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조성이(La/Zr/Ti=9/65/35)이고 비교적 큰 케르효과를 갖는 PLZT((Pb, La)(Zr, Ti)O3)가 표시부(1)로서 사용된다. 참조번호(2)는 표시부의 지지판이다. 전압인가헤드(3)은 디지털단부에 복수의 벨트형전극을 가진다. 참조번호(5)는 표시부(1)이 각각에 균일하게 접하는 전압인가헤드(3)의 고정나사를 표시한다. 벨트(6)은 헤드고정판(4)의 저부에 취부되어 모우터(7)의 회동에 의해서 헤드고정판(4)을 전후방향으로 축이동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전압인가 헤드(3)는 표시부(1)를 주사하도록 이동된다. 편광판(8)은 표시부(1)의 상측면 위쪽에 배열되어 그 축이 전압인가 헤드(3)의 주사방향과 45°로 교차한다. 제어회로부(9)는 전압인가헤드(3) 및 모우터(7)를 제어한다.
제2도는 제1도에 예시한 PLZT 평판으로 구성된 표시부(1) 구성의 설명도이다. 제2도에 있어서, 참조번호(21)은 PLZT 평판을 표시하고, 참조번호(22)는 PLZT 평판(21)의 하측판에 취부된 평광막을 표시한다. 편광막(22)은 그 편광축이 제1도에 도시한 편광판(8)의 편광축과 일치하도록 배열된다. 반사막(23)은 편광막(22)의 하측면에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반사막(23)으로서 알루미늄 증발막이 사용된다.
제3도는 제1도에 예시한 전압인가헤드(3)의 구조도이다. 제3도에 있어서, 참조번호(31)은 폴리이미드수지로 구성된 굴곡성박판을 표시한다. 전극군(32)은 굴곡성박판(31)에 형성된다. 보강판(33)은 굴곡성박판(31)을 고정시키도록 굴곡성박판(31)에 결합된다.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 전극군(32)의 전 전극에는 기준전압 0(V)가 인가되고, 다른 전극에는 소정전압이 인가된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전극군(32)의 각 전극은 전극 나비가 (50㎛), 인접전극간의 거리가 100(㎛)이다.
제4도는 본 실시예에서 사용한 제1도의 제어회로부의 블록도이다. 예시한 바와 같이, 제어회로부(9)는 주구성 요소인 마이크로 프로세서(μPD 7811)(91), 메모리(ROM 2364)(92) 및 입력/출력 제어회로(93) 및 인터페이스회로(96)로 구성된다. 모우터구동기(HA 13408)(95)는 제1도에 도시한 모우터(7)를 제어하는 주변 I/O회로(8155)(93)에 연결된다. 8-비트 데이터출력 신호방식으로 마이크로 프로세서(91)로부터 발생되어 헤드구동기(94)를 통과하여 전압인가헤드(3)로 전달된 신호는 전압이 상승된다. 제5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한 헤드구동기(94)의 일예이다. 마이크로 프로세서(91)는 인터페이스회로(96)를 게재하여 호스트컴퓨터(97)에 연결된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표시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의 PLZT 판 기능의 원리설명도이다. 제6도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전압이 PLZT 기판에 형성된 한쌍의 대향전극간에 인가되는 경우에, PLZT 가판에서 복굴절이 일어난다. 따라서, 편광막을 PLZT 기판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배열시키면, PLZT 기판 일부에서는 명암이, 다른 부분에서는 복굴절이 각각 형성된다(제6a도에 도시한 상태) 즉,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나서, 제6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압이 PLZT 기판에 인가되고 있는 상태에서 스위치가 개방되면, PLZT 기판에서 발생된 복굴절은 그 상태로 유지된다. 즉, 정보가 기억된다. 기억된 정보는 제6c도에 도시한바와 같이 전극의 단락에 의해서 소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PLZT 부재의 특성을 이용하여, 제3도에 도시한 전극군(32)의 각 전극에 기준전압 0(V)을 인가하는 한편, 소정전압을 나머지 전극에 인가하고, 동시에 제1도에 도시한 모우터(7)을 작동하여 헤드고정판(4)를 이동시켜서 전압인가헤드(3)이 표시부(1)을 주사하도록 하므로써, 표시상태 및 기억상태로 된다.
특히, 전압을 소정시간 동안 제1도에 도시한 제어회로부(9)로부터 전압인가헤드(3)의 소정전극으로 인가하므로써 표시부(1) 표면의 PLZT 평판(21) 일부에 전위치가 인가됨에 따라서 표시상태가 나타나게 된다. 이때, 전압인가 헤드(3)은 전압이 전극군(32)에 인가되는 상태에서 주사도록 되어 있어서, 전극군(32)와 PLZT 판(21) 간의 접촉영역이 이동한다.
그러나, 접촉영역의 이동궤적을 따르는 PLZT 판(21) 일부는 전압이 인가되어 스위치가 개방된 상태, 즉 제6b도에 도시한 상태로 된다. 따라서, 정보가 표시 및 기억된다. 정보기억상태에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실온에서 3일간 방치되는 경우에, 기억상태에는 아무런 변화도 일어나지 않는다. 표시 및 기록된 정보는 전극군(32) 전체에 인가된 기준전압 0(V)로써 표시부(1)을 주사하도록 전압인가헤드(3)을 이동시켜서 소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표시부(1)의 표시콘트라스트는 10 이상이었고, 표시동작중에 전극군(32)에 인가되는 최적전압은 200(V)이었다.
상술한 본 실시예에서는 반사형 표시장치를 예로 들었지만, 본 발명은 반사형 구조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제2도에 도시한 표시부(1) 구조의 굴절막(23)이 제거된 전도형 구조에 의해서 유사한 기능이 제공될 수 있고, 광은 표시부(1)의 하면으로부터 연가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제7도는 표시부(1)의 변경구성의 설명도로서, 참조번호(41)은 PLZT 평판(21)의 표면에 형성된 복수의 투명전극편을 표시한다. 이 구성에 있어서 In2O2-SnO2(ITO) 투명전극을 증발에 의해 PLZT판(21)의 표면에 퇴적시키고 나서 50(㎛)×(50㎛)의 소형정사각편으로 형성시켜서 사진석판술로 50(㎛)간격으로 배치시킨다. 전위치는 전압인가헤드(3)으로부터 전극편을 통해서 판(21)로 인가된다. 따라서, PLZT 판(21)은 전압인가헤드(3)에 직접 접촉되어서 마찰이 일어나지 않으므로 그들간의 접촉에 의한 마모 및 흠집이 생기는 문제는 없다.
본 실시예의 구성에 있어서, 실제로 반복주사시험을 행한 결과, 2,000회 이상의 주사작업을 행한 후에도 PLZT 판(21) 및 전압인가헤드(3)에는 아무런 변화도 없다는 것이 밝혀졌다. 또, PLZT 판(21)에서 일어나는 복굴절은 50(㎛) 단위로 분할되고, 점의 흐림도 어느정도 고정된다.
제8도는 표시부(1)의 다른 변경구성의 설명도이다. 참조번호(51)은 복수의 PLZT 자기스트립을 표시하고, 참조번호(52)는 인접 PLZT 자기스트립(51) 각쌍을 각각 결합시키는 결합층을 표시한다.
참조번호(22) 및 (23) 각각은 편광막 및 반사막을 표시하고 이들은 제2도의 것과 유사하다. PLZT 자기스트립(51) 및 결합층(52)는 120(㎛)의 피치로 배열되고, 폭은 각각 100(㎛) 및 20(㎛)이다. 전압인가헤드(3) 에 형성된 전극의 구조는 제3도에 도시한 것과 동일하다. PLZT 자기스트립(51)은 결합층(52)을 개재하여 주기적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표시상태에서 점은 PLZT 자기스트립의 배치시에는 주사방향으로, 전압인가헤드(3)의 전극피치에서는 주사방향에 대하여 평행방향으로 각각으로부터 효과적으로 확실하게 분리되므로, 화질이 개선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제2도와 같이 설계된 PLZT 판의 경우에 있어서, 단위밀리미터당 주사방향으로 분해될 수 있는 점의 최대수는 8인 것이 실험적으로 밝혀졌고, 이런 까닭에 제8도 배치에 있어서 소거되는 분해가능한 점의 수도 8로 제한할 수 있다.
제9도는 표시부(1)의 또 다른 변경구성의 설명도이다. 참조번호(61)은 PLZT 판(21)의 표면에 형성된 망상전극을 표시하고 참조번호(62)는 전극(61)을 완전히 피복하도록 형성된 절연막을 표시한다.
이 구성에 있어서, 망상의 전극 각편의 형태는 정사각형이다. 전극물질로서는 ITO 투명전극이 사용된다. 전극의 폭은(50㎛), 각 편의 크기는 150(㎛)×150(㎛)이다. 피복용 절연막으로는 사진석판술로 성형시킬 수 있는 폴리이미드수지(세미코파인 :토러리 인더스트리스, 인코포레이티드)가 사용된다.
망상전극(61)은 절연도료를 PLZT 판의 표면에 인가시킨 후에, 절연도료 및 PLZT 판이 홈을 형성하도록 부분적으로 절단시키고, ITO 전극을 증발에 의해 퇴적시키고나서 ITO 전극이 홈의 내부에만 남아있도록 나머지를 제거하여 형성시킨다. 절연막은 사진석판술로 형성시킨다. 전압인가헤드(3)에 형성된 전극의 구조는 제3도의 것과 동일하다. 망상전극(61)은 PLZT 판에 형성되기 때문에, 전압인가헤드(3)의 전 전극은 신호선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신호의 해상도는 전압인가헤드(3)의 전극피치를 변화시키지 않고도 제2도 배치의 2배로 할 수 있다.
또, 점은 망상전극 각각으로부터 완전히 분리시킬 수 있기 때문에 선명한 표시신호가 가능하다.
제10도는 표시부(1)의 또 다른 변경구성의 설명도이다. 이 구성에 있어서, 망상전극이 PLZT 판에 형성된다.
제10도로부터, 밸트형 투명전극(71)은 전압인가헤드(3)의 주사방향에 평행하게 형성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벨트형 투명전극(71) 각각의 표면은 절연막(72)으로 피복된다. 이 구성에서, 전압인가헤드(3)의 전 전극은 신호선으로 이용될 수 있으므로 해상도 개선을 실현할 수 있고 PLZT 판에 배치된 전극의 구조가 간략화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의 표시특성을 검토한 결과, 120(V)의 전압이 전압인가헤드의 전극에 인가되었을 때, 표시 콘트라스트가 최대로 되었고 그 값은 1 : 8 이었다.

Claims (17)

  1. 전기광학효과를 가지는 투광성자기와, 상기 투광성자기의 표면(1)에 접하는 적어도 한쌍의 전극(32)을 가지는 전압인가헤드(3)와, 상기 투광성 자기의 표면을 주사하도록 상기 전압인가헤드를 이동시키는 헤드구동부(6)(7)(9)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성자기는 PLZT((Pb,La)(Zr,Ti)O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인가헤드(3)는 그 주사방향에 수직으로 배치된 복수의 전극(32)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4. 전기광학효과를 가지며 표면에는 서로 접촉하지 않는 복수의 투명전극편(41)이 형성된 투광성자기와, 상기 투광성자기의 표면(21)에 접하는 적어도 한쌍의 전극(32)을 가지는 전압인가헤드(3)와, 상기 투광성자기의 표면을 주사하도록 상기 전압인가헤드를 이동시키는 헤드구동부(6)(7)(9)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성자기는 PLZT((Pb,La)(Zr,Ti)O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인가헤드(3)는 그 주사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된 복수의 전극(32)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인가헤드(3)에 형성된 각각의 인접한 전극쌍간의 간격은 상기 투광성자기의 표면(21)에 형성된 복수의 각 투명전극편(41)의 폭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8. 전기광학효과를 가지는 투광성자기의 스트립(51)을 한쪽방향으로 배열하고 이들을 결합시켜서 형성한 평판(1)과, 상기 투광성자기판의 표면(51)과 접촉하는 적어도 한쌍의 전극(32)을 가지는 전압인가헤드(3)와, 상기 투광성자기판의 표면을 주사하도록 상기 전압인가헤드를 이동시키는 헤드구동부(6)(7)(9)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성자기는 PLZT((Pb,La)(Zr,Ti)O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성자기는 PLZT((Pb,La)(Zr,Ti)O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인가헤드는 그 주사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된 복수의 전극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2. 전기광학효과를 가지며 표면에는 절연막으로 완전히 피복된 망상의 전극이 형성된 투광성자기와, 상기 투광성자기의 표면과 접촉하는 적어도 한쌍의 전극을 가지는 전압인가헤드와, 상기 투광성자기의 표면을 주사하도록 상기 전압인가헤드를 이동시키는 헤드구동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성자기는 PLZT((Pb,La)(Zr,Ti)O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인가헤드는 그 주사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된 복수의 전극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5. 전기광학효과를 가지며 표면에는 절연막으로 완전히 피복된 복수의 소정간격의 밸트형 전극이 형성된 투광성자기와, 상기 투광성자기의 표면과 접촉하는 적어도 한쌍의 전극을 가지는 전압인가헤드와, 상기 투광성자기의 표면을 주사하도록 상기 전압인가헤드를 이동시키는 헤드구동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성자기는 PLZT((Pb,La)(Zr,Ti)O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형 전극은 주사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치된 복수의 전극을 가지는 상기 전압인가헤드의 주사방향과 평행하게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KR1019860004416A 1985-06-04 1986-06-04 표시장치 KR9000009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21785 1985-06-04
JP60121785A JPS61278890A (ja) 1985-06-04 1985-06-04 表示装置
JP60-121785 1985-06-04
JP154621 1985-07-12
JP60154621A JPS6214619A (ja) 1985-07-12 1985-07-12 表示装置
JP60-154621 1985-07-12
JP155404 1985-07-15
JP60-155404 1985-07-15
JP60155404A JPS6215519A (ja) 1985-07-15 1985-07-15 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0634A KR870000634A (ko) 1987-02-19
KR900000954B1 true KR900000954B1 (ko) 1990-02-19

Family

ID=27314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4416A KR900000954B1 (ko) 1985-06-04 1986-06-04 표시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4801932A (ko)
KR (1) KR9000009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42331A (en) * 1989-05-09 1990-07-17 General Electric Company Filament alignment spud for incandescent lamps
CA2027440C (en) * 1989-11-08 1995-07-04 Nicholas K. Sheridon Paper-like computer output display and scanning system therefor
JPH05107514A (ja) * 1991-10-18 1993-04-30 Minolta Camera Co Ltd 光シヤツタアレイ
CN106154974B (zh) * 2016-08-13 2018-09-04 南京理工大学 一种光电陶瓷位移闭环伺服控制实验装置及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92171A (en) * 1964-08-31 1966-12-13 Collins Radio Co Display device depositing suspended particles by selective magnetization of a viewable surface
US3540209A (en) * 1968-07-31 1970-11-17 Timex Corp Horological time display
US3591939A (en) * 1969-08-04 1971-07-13 Peripheral Data Machines Inc Bistable display device with sequential actuator
US3614200A (en) * 1969-11-12 1971-10-19 Rca Corp Light valve matrix
JPS4998597A (ko) * 1973-01-22 1974-09-18
GB1450989A (en) * 1974-03-05 1976-09-29 Standard Telephones Cables Ltd Analogue to digital converter
US4158201A (en) * 1977-10-18 1979-06-12 The Singer Company Flat electro optic display panel and method of u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0634A (ko) 1987-02-19
US4801932A (en) 1989-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44471A (en) Optical scanning system for scanning object with light beam and displaying apparatus
US4769659A (en) Printer utilizing optical switch elements
JPH04230787A (ja) 表示装置
JP2924623B2 (ja) 光書き込み型液晶表示記録装置
KR900000954B1 (ko) 표시장치
EP0057977B1 (en) Electro-optic line printer
US4733950A (en) Display device using electro-optic plate and a membrane switch
JP3775089B2 (ja) 液晶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5111320A (en) Ferrolectric liquid crystal devices having improved operating properties by using an electronic mask
US4459615A (en) Two-dimensional, electro-optic element adapted for static address and cooperative device, methods and apparatus for electronic imaging
JP2584235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JP2552877B2 (ja) 光走査装置
JPS61278890A (ja) 表示装置
JPS6214619A (ja) 表示装置
JPS62134620A (ja) 表示装置
JPS626219A (ja) 表示装置
JPS628122A (ja) 表示装置
JPS6040618B2 (ja) 画像表示装置
JPS6215519A (ja) 表示装置
JP3846084B2 (ja) 液晶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並びに電子機器
JPS62100730A (ja) 表示装置
JPS62143021A (ja) 表示装置
JPS626220A (ja) 表示装置
JPS6275511A (ja) 表示装置
JP4081509B2 (ja) 画像形成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2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