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0909B1 - 합성수지용 개질(改質)의 조성물 - Google Patents

합성수지용 개질(改質)의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0909B1
KR900000909B1 KR1019850009907A KR850009907A KR900000909B1 KR 900000909 B1 KR900000909 B1 KR 900000909B1 KR 1019850009907 A KR1019850009907 A KR 1019850009907A KR 850009907 A KR850009907 A KR 850009907A KR 900000909 B1 KR900000909 B1 KR 9000009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resin
gelatin
g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9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4967A (ko
Inventor
가스오 하시모도
Original Assignee
고오에이 가세이 가부시기가이샤
가스오 하시모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7962384A external-priority patent/JPS61217101A/ja
Priority claimed from JP653685A external-priority patent/JPS61164503A/ja
Priority claimed from JP653585A external-priority patent/JPS61164502A/ja
Priority claimed from JP1033785A external-priority patent/JPS61168662A/ja
Priority claimed from JP1033685A external-priority patent/JPS61168661A/ja
Application filed by 고오에이 가세이 가부시기가이샤, 가스오 하시모도 filed Critical 고오에이 가세이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60004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49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0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09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합성수지용 개질(改質)의 조성물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한 개질제를 함유하는 합성수지 시험편(片)과 이러한 개질제를 함유하지 않는 합성수지 비교시험편과의 슬립시험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본 발명은 합성수지용 개질의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합성수지제품의 기능을 높이기 위해서는, 수지 그 자체의 성능을 개량할 필요가 있는 것은 당연한 일이지만, 제품의 모든 특성을 높이고 새로운 특성을 부여하기 위한 첨가제의 연구, 개발은 수지류의 그것과 평행하여 진행시킬 필요가 있었다. 그러나 첨가제의 연구 개발은 수지 그 자체의 성질 및 제품의 특성을 충분히 알지 못하면 행할 수 없기 때문에 자칫 지연되기 쉽다.
또 첨가제에 의한 개질 그것에는 한도가 있으며, 염화비닐 수지등에 있어서는 값이 싸고, 재생이용성에 있어서 우수한등 기본적인 물성(物性)에 있어서 우수함에도 불구하고 다른 모든 특성에 있어서 여러 가지의 용도물성에 있어 열등한 면이 나타난다.
예컨대 구두밑창용 조성물로서는 갈라지기 쉽고, 피혁과의 접착성이 나쁘며, 또 미끄러지기 쉽다고 하는 결점이 있어서 근년에는 그 대체수지 조성물이 여러 가지로 개발됨에 이르렀다. 한편 피혁공업의 부차적인 생산품으로서 생산되는 아교 또는 젤라틴의 용도는 제한적이며, 합성접착제에 누려서 그 생산량은 점차로 감소하는 중에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천연물질이었으므로 성질이 다른 합성수지의 첨가제 또는 개질제로서 사용되는 일이없이 일정한 한정된 용도밖에는 사용되고 있지 않는 상기한 피혁공업의 부차적인 생산품으로서 생산되는 아교 또는 젤라틴의 신규한 용도를 개발할려고 하여 아교 또는 젤라틴의 생산량을 증대함과 아울러, 각종 용도의 수지조성물의 종래 개질된 것이 없었던 모든 물성을 개질하여 수지용도의 확대를 시도할려고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합성수지용 개질의 조성물은, 수지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아교 또는 젤라틴을 건조량으로서 1-25중량부 첨가하고 균질혼합하여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첨가되는 수지에 대하여 제품외관표면 상태의 개선, 광택의 부여, 흡수성의 부여, 내유성(耐油性)의 향상, 마모특성의 개변(改變), 천연물에 대한 접착성의 개선, 내한성의 향상등 여러 가지의 개량효과를 부여하는 것이다.
따라서 염화비닐수지, 우레탄수지, 합성고무등의 구두밑창용 수지조성물에 아교 또는 젤라틴을 첨가하고 균질혼합하면, 슬립 특성에 있어서 우수한 신발용 성형조성물이 얻어진다. 또 예컨대 전성용등의 피복용 수지조성물에 아교 또는 젤라틴을 첨가하고 균질혼합하면, 내한성(耐寒性)에 있어서 우수한 피복용 조성물이 얻어진다.
또한 벨트용 수지조성물에 아교 또는 젤라틴을 첨가하고 균질 혼합하면, 난슬립(non-slip)특성을 보유하는 벨트용 조성물이 얻어진다. 그외에 또한 장갑용 합성수지 조성물에 아교 또는 젤라틴을 첨가하고 균질혼합하면, 천연피혁상태의 특성을 보유하는 장갑용 조성물이 얻어진다. 또 방진용(防振用) 수지조성물에 아교 또는 젤라틴을 첨가하고 균질혼합하면, 진동감쇠특성에 있어서 우수한 방진용 수지조성물이 얻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아교 또는 젤라틴이라 함은 피혁공업의 부차적인 생산품으로서 공출되어 있으며, 건조칩 또는 펠릿으로서, 수분함유하는 것으로서는 공업용 젤라틴으로서 널리 일반적으로 시판되고 있는 것을 사용할 수가 있다. 그 배합량은 배합하는 합성수지의 개질목적에 따라서 변경되며, 이하 실시예에 의하여 명백하게 될 것이나, 일반적으로 수지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아교 또는 젤라틴을 건조중량으로서 1-10중량부가 적당하다.
개질수지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원료조성물의 용융혼합→냉각→펠릿성형의 공정에 의하여 제조되는바, 혼합할 때의 믹서온도를 70 내지 120℃로 하고, 조성물중의 수분을 증발시키면서 각 성분이 균질하게 혼합할 수 있도록 충분한 가열상태로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아교 또는 젤라틴은 단독으로서, 또는 다른 첨가제(가소제(可塑劑), 충전·강화제, 난연제, 활제(滑劑), 산화방지제, 발포제, 가교제, 대전(帶電)방지제, 방적(防滴)제, 방담(防曇), 방미(防微)제, 항균제, 금속해 방지제, 다른 개질제)와 함께 사용되어도 좋으나, 아교 또는 젤라틴과 상용성(相容性)이 있는 것이 선택될 것이다. 첨가되는 합성수지로서는 본 발명에 관한 개질제와 상용성이 있는 것이 선택되는 것이 소망스러우며, 이하의 실시예에 의하여 명백하게 될 것이다.
[구두밑창 제조에 사용된 예]
(1) 구두밑창용 염화비닐수지칩(염화비닐수지 100부(중량), 가소제 80-100부, 기타 적당량의 발포제, 안정제, 착색제를 포함한다) 100중량부에 대하여 건조중량으로서 50% 수분함유 공업용 젤라틴 도는 고형아교칩 1중량부, 2.5중량부, 5중량부, 7.5중량부, 10중량부를 각각 배합하여서 합성구두밑창을 제조하였다.
(2) 구두밑창용 우레탄수지칩 100중량부에 대하여 건조중량으로서 50% 수분함유 공업용 젤라틴 또는 고형아교칩 1중량부, 2.5중량부, 5중량부, 7.5중량부, 10중량부를 각각 배합하여서 합성구두밑창을 제조하였다.
(3) 구두밑창용 합성고무 수지칩 100중량부에 대하여 건조중량으로서 50% 수분함유 공업용 젤라틴 또는 고형아교칩 1중량부, 2.5중량부, 5중량부, 7.5중량부, 10중량부를 각각 배합하여서 합성구두밑창을 제조하였다.
[슬립시험예]
O-Y풀-슬립-미터(일본국 오오사가시 소재 히로모도 기고오제작 슬립실용시험기)로서 소정의 시험하중하에 상기한 구두밑창용 염화비닐수지칩(염화비닐수지 100부(중량), 가소제 80-100부, 기타 적당량의 발포제, 안정제, 착색제를 포함한다) 100중량부에 대하여 50% 수분함유 공업용 젤라틴 10중량부를 균질혼합하여서 이루어진 소정치수의 시험편과 젤라틴을 함유하지 않는 상기한 구두밑창용 염화비닐수지칩으로서 이루어진 동일치수의 비교시험편과의 인장력에 대한 마찰저항의 변화를 시험하였다. 그 결과를 제1도에 나타낸다.
이러한 결과에서, 본 발명에 관한 시험편에 있어서는 마찰저항이 높고(최대 57kg) 또한 지속성을 나타내는 데에 대하여, 종래의 비교시험편은 마찰저항이 30kg 정도로 비교적 낮고 또한 그 마찰저항에도 지속성이 보이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과다한 구두밑창용 조성물은 신발용 성형조성물로서 슬립특성에 있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내한 굴곡시험]
상기한 구두밑창용 염화비닐수지칩 100중량부에 대하여 50% 수분함유 공업용 젤라틴 5중량부를 균질혼합하여서 이루어진 조성물을 사용하여 구두밑창을 성형하고, -30℃로서 보통의 굴곡시험을 행하였다. 1만회 굴곡에 있어서도 균열이 보이지 않아서 우수한 내한굴곡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방진성 개선예]
방진용 합성수지칩 100중량부에 대하여 건조중량으로서 50% 수분함유 공업용 젤라틴 또는 고형 아교칩 1중량부, 5중량부, 10중량부, 15중량부, 20중량부, 25중량부를 각각 배합하여 방진제를 제조하였다.
[내한성 개선예]
전선용 피복수지 조성물(염화비닐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건조중량으로서 50% 수분함유 공업용 젤라틴 1중량부, 2.5중량부, 5중량부, 7.5중량부, 10중량부를 균질혼합하고 전선피복을 실시하여 내한시험을 행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01
이상의 설명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아교 또는 젤라틴의 조성물 매트릭스내에 균일 분산 혼입되는 것에 의하여 다음의 개선효과가 발휘된다.
본 발명에 관한 개질제를 첨가하면 종래의 동일합성수지재보다 우피(牛皮)와의 접착성이 향상하며 예컨대, 합성수지 구두밑창에 대하여 봉제마무리를 실시하지 않아도 보통의 사용기간 중에는 접착이 박리하지 않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구두밑창등의 신발용 성형조성물로서 우수하며, 특히 가격이 저렴하고, 재생가능한 염화비닐수지의 접착성이 개질되는 점에서 실용적이다.
본 발명에 관한 개질 조성물은 종래의 합성고무계 조성물보다 난슬립특성에 있어서 우수하므로 신발밑창 이외에 난슬립성이 중요시되는 벨트용 조성물로 하여도 유용하다.
본 발명에 관한 개질제를 첨가하면 종래의 동일소재보다 외관표면상태가 촘촘하여서 상급 품질감을 나타내게 된다. 또 안료의 발색이 우수하며, 착색감이 양호하게 된다. 따라서 표면후처리(도장등)을 실시하지 않아도 광택있는 색체를 보유하고 있다.
본 발명에 관한 개질제를 첨가하면 종래의 동일소재보다 공업용 기름에 대하여 내구성이 향상한다.
본 발명에 관한 개질제를 첨가하면 종래의 동일소재보다 마모하기 쉬우나, 이것은 천연피혁밑창과 유사한 사용감각을 부여한다.
본 발명에 관한 개질제를 첨가하면 종래의 동일소재보다 습기를 흡수하기 쉬우나, 이것은 천연피혁밑창과 유사한 개질감을 부여한다.
본 발명에 관한 개질제를 첨가한 것과 첨가하지 않은 동일한 방진용 소재와의 방진 시험결과를 비교하면, 아교 또는 젤라틴의 첨가에 의하여 현저하게 진동감쇠특성이 크며, 방진용 소재로서 유용하다.
본 발명에 관한 개질제를 첨가한 합성수지조성물은 -30℃ 이하라고 하는 극한조건에서도 내균열성에 있어서 우수한 물성을 부여할 수가 있다. 따라서 전선피복재등 극한조건하에서 사용되는 합성수지제품 소재로서 유용하다.
이상의 설명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 합성수지의 개질제로서 사용된 일이 없는 아교 또는 젤라틴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서 합성수지에 대하여 여러 가지 물성의 개선을 행할 수가 있으므로 획기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에 의하면 다른 합성수지에 대하여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말할 것까지도 없다.

Claims (2)

  1. 수지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아교 또는 젤라틴을 건조중량으로서 1-25중량부 첨가하고 균질혼합하여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용 개질의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아교 또는 젤라틴이 건조중량으로서 1-10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용 개질의 조성물.
KR1019850009907A 1984-12-31 1985-12-28 합성수지용 개질(改質)의 조성물 KR9000009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7962384A JPS61217101A (ja) 1984-12-31 1984-12-31 皮革代替用塩化ビニル樹脂組成物
JP279623 1984-12-31
JP6535 1985-01-16
JP653685A JPS61164503A (ja) 1985-01-16 1985-01-16 靴底用組成物
JP6536 1985-01-16
JP653585A JPS61164502A (ja) 1985-01-16 1985-01-16 皮革代替用ウレタン樹脂組成物
JP10336 1985-01-22
JP1033785A JPS61168662A (ja) 1985-01-22 1985-01-22 合成樹脂用改質剤
JP1033685A JPS61168661A (ja) 1985-01-22 1985-01-22 防振用合成樹脂組成物
JP10337 1985-01-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4967A KR860004967A (ko) 1986-07-16
KR900000909B1 true KR900000909B1 (ko) 1990-02-19

Family

ID=27518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9907A KR900000909B1 (ko) 1984-12-31 1985-12-28 합성수지용 개질(改質)의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900000909B1 (ko)
CN (1) CN100386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06776A (zh) * 2017-07-04 2019-01-15 镇江市睿泽文化传播有限公司 一种抗静电聚氯乙烯发泡板
CN109206777A (zh) * 2017-07-04 2019-01-15 镇江市睿泽文化传播有限公司 一种阻燃聚氯乙烯发泡板
CN109206773A (zh) * 2017-07-04 2019-01-15 镇江市睿泽文化传播有限公司 一种具有光稳定性的聚氯乙烯发泡板
CN109206774A (zh) * 2017-07-04 2019-01-15 镇江市睿泽文化传播有限公司 一种聚氯乙烯发泡板
CN109206775A (zh) * 2017-07-04 2019-01-15 镇江市睿泽文化传播有限公司 一种抗氧化聚氯乙烯发泡板
CN109206778A (zh) * 2017-07-04 2019-01-15 镇江市睿泽文化传播有限公司 一种耐冲击聚氯乙烯发泡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4967A (ko) 1986-07-16
CN85109529A (zh) 1986-09-10
CN1003860B (zh) 1989-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426617B2 (ko)
KR900000909B1 (ko) 합성수지용 개질(改質)의 조성물
US4076668A (en) Rubber composition
US4405730A (en) Polyvinyl chloride shoe sole composition
CN101565517A (zh) 改性热可塑丁苯橡胶鞋底材料及其制备方法
JPH0246616B2 (ko)
US2575378A (en) Die cutting block
US4343727A (en) Polyvinyl chloride shoe sole molding composition containing cellulosic fibrous flock
KR102458609B1 (ko) 고무와 발포체 사이에 직접적인 결합을 갖는 복합체
US4238383A (en) Vulcanizable shoe soling composition
KR980009367A (ko) 미끄럼 방지용 신발 겉창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신발 겉창의 제조 방법
JP2850454B2 (ja) ゴム架橋物
US4127552A (en) Antistatic footwear
CN111117107A (zh) 一种具有高韧性鞋底的鞋子及其制备方法
CN114316472A (zh) 高耐磨pvc粒料
US5424342A (en) Modified vinyl chloride resin compositions
US2504605A (en) Method for preparing sealing composition for storage batteries
WO1986004074A1 (en) Modified vinyl chloride resin composition
US3708554A (en) Rubber composition
KR101945713B1 (ko) 탄성 및 프라이머 리스 상태에서의 접착 강도가 우수한 발포체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721801B1 (ko) Pvc 컴파운드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US2326725A (en) Curing catalyst for acid-curing thermosetting resins
KR100357907B1 (ko) 신발 겉창용 발포체 조성물
US2580301A (en) Polyvinyl chloride resin plasticized with a mixture of polyalkylated benzophenones
KR102355469B1 (ko) 사출 신발 겉창용 발포제 마스터배치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021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