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14610A - 그래프트공중합체, 폴리올레핀과 이의혼합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그래프트공중합체, 폴리올레핀과 이의혼합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14610A
KR890014610A KR1019890004014A KR890004014A KR890014610A KR 890014610 A KR890014610 A KR 890014610A KR 1019890004014 A KR1019890004014 A KR 1019890004014A KR 890004014 A KR890004014 A KR 890004014A KR 890014610 A KR890014610 A KR 8900146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mixture
weight
polyolefin
polypropyl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4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0179357B1 (ko
Inventor
스테니스라우스 아이렌다 카스미드
제임스 워크 윌리암
켄네스 그라함 로저
보트닉크 뉴만
Original Assignee
윌리엄 이. 렘베르트 3세
롬 앤드 하스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7/315,501 external-priority patent/US4957974A/en
Application filed by 윌리엄 이. 렘베르트 3세, 롬 앤드 하스 캄파니 filed Critical 윌리엄 이. 렘베르트 3세
Publication of KR890014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46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9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93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6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liphatic hydrocarbons contain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hydrocarbons as defined in group C08F10/00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hydrocarbons as defined in group C08F10/00
    • C08F255/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hydrocarbons as defined in group C08F10/00 on to polymers of olefins having two or three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8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additives to improve the compatibility between two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04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chlorine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그래프트중합체, 폴리올레핀과 이의혼하물, 및 그 제조방법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Claims (80)

  1. (a)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틸렌, 폴리(4-메틸펜텐), 상기 올레핀상호간의 공중합체 및 상기 올레핀과 소량의 1-알켄, 비닐에스트, 비닐크로라이드, (메트)아크릴 에스테르, 및(메트)아크릴산과의 하나 혹은 그 이상의 공중합체, 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된 비극성 폴리올레핀 본체(trunk) ; 및 (b) 식 CH2=C(CH3)COOR(단, 여기서 R은 알킬 아릴, 치환알킬, 치환아릴 혹은 치환 알카릴이다.)을 갖는 최소 80%의 메타크릴에스테르 단량체 및 메타크릴 에스테르와 공중합 가능한 최대 20% 아크릴이나 스트렌계 단량체로부터 유도되는 중합체이며 상기 본체(trunk)와 중량비로 1:9-4:1로 상기 본체에 공유결합적으로 그래프트된 최소 하나의 메타크릴레이트체인 ;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과 혼합시 폴리올레핀에 대하여 용융점도를 증가시키지 않고 상대적으로 높은 인장계수 및 처짐에 대한 높은 저항성을 부여하는 그래프트 공중합체(gaft copolymer).
  2. 1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크릴레이트체인은 약 20000-200,000의 분자량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프트공중합체.
  3. 1항에 상기 메타크릴레이트 체인은 약 30,000-150,000의 분자량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프트 공중합체.
  4.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trunk)는 분자량이 약 50,000-1,000,000임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프트 공중합체.
  5. 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분자량이 약 100,000-400,000임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프트 공중합체.
  6. 1 내지 5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크릴에스테르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임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프트 공중합체.
  7. 1 내지 5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본체는 폴리프로필렌임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프트 공중합체.
  8. 1 내지 5항에 있어서 ; 상기 폴리올레핀 본체는 폴리프로필렌이며 메타크릴레이트체인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중합체임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프트 공중합체.
  9. (a) 폴리올레핀 ; 및 (b)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틸렌, 폴리(4-메틸펜텐), 상기 올레핀 상호간의 공중합체, 및 상기 올레핀과 소량의 1-알켄, 비닐에스테르, 비닐크로라이드, (메트)아크릴에스테르 및 (메트) 아크릴산과의 공중합체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된 비극성 폴리올레핀본체(trunk) ; 및 식 CH2=C(CH3)COOR(단, 여기서 R은 알킬, 아릴, 치환알킬, 치환아릴, 혹은 치환알카릴 이다)을 갖는 최소80%의 메타크릴에스테르단량체, 및 메타크릴에스테르와 공중합가능한 최대 20%의 아크릴 혹은 스티렌계 단량체, 로부터 유도되고, 상기 본체(trunk)에 공유적으로 결합되며 중량평균 분자량이 20000 이상이며 상기 본체와 1 : 9-4 : 1의 중량비로 존재하는 메타크릴레이트체인 ; 을 갖는 그래프트공중합체 : 를 포함하는 중합체 혼합물.
  10. 9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을 혼합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5-50%의 그래프트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농축물(concentrate)임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혼합물.
  11. 10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본체는 폴리프로필렌임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혼합물.
  12. 9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프트공중합체는 전체중합체의 약 5%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혼합물.
  13. 9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프트공중합체는 전체혼합물의 약 0.2-5%임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혼합물.
  14. 13항에 있어서, 중합체혼합물의 최소 80%는 폴리프로필렌임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혼합물.
  15. 14항에 있어서, 폴리올레핀 본체는 폴리프로필렌임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혼합물.
  16. 13항에 있어서, 중합체 혼합물의 최소 80%는 폴리에틸렌임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혼합물.
  17. 13항에 있어서, 중합체 혼합물의 최소 80%는 폴리부틸렌임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혼합물.
  18. 13항에 있어서, 중합체 혼합물의 최소 80%는 최소 80% 프로필렌과 에틸렌의 공중합체임을 특징으로하는 중합체 혼합물.
  19. 13항에 있어서, 0.001-0.05중량%의 알킬-폴리슬파이드(alkyl-pol ; ysulfide)를 포함함을 특징으로하는 중합체 혼합물.
  20. 19항에 있어서, 상기 알킬폴리슬파이드는 디-t-도데실 디슬파이드임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혼합물.
  21. 9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은 부가적으로 식 CH2=C(CH3)COOR(단, 여기서, R은 알킬, 아릴, 치환알킬, 치환아릴, 혹은 치환알카닐이다)의 메타크릴에스테르단량체 최소 80%, 및 상기 메타크릴에스테르와 공중합가능한 아크릴 혹은 스티렌계 단량체 최소 20%, 로부터 유도된 그래프트되지 않은 메타크릴레이트 중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그래프트되지 않은 메타크릴레이트 중합체는 중량평균분자량이 약 2000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혼합물.
  22. 21항에 있어서, 중합체 혼합물의 최소 80%는 그래프트 되지않은 메타크릴레이트중합체임을 특징으로하는 중합체 혼합물.
  23. (a)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부틸렌, 폴리(4-메틸 펜텐) 상기 올레핀의 공중합체, 및 상기 올레핀과 소량의 1-알켄, 비닐에스테르, 비닐크로라이드, (메트)아크릴에스테르, 및(메트)아크릴산의 하나 이상의 공중합체, 로 구성되는 비극성폴리올레핀을 불활성용매를 함유한 반응용기내에 도입하는 단계 ; (b) 상기 폴리올레핀 혼합물을 폴리올레핀이 용해하는 온도까지 가열하는 단계 ; (c) 식 CH2=C(CH3)COOR(단, 여기서 R은 알킬, 아릴, 치환알킬이나 치환아릴 혹은 알카릴이다)의 메타크릴에스테르 단량체 최소 80%(전체단량체중량을 기준으로), 및 메타크릴에스테르와 공중합가능한 아크릴 혹은 스티렌계 단량체 최대 20%(전체 단량체 중량을 기준으로), 를 반응기내의 폴리올레핀용액에 교반하면서 첨가하는 단계 ; (d) 폴리올레핀에 공유적으로 결합되는 분자량 약 20000-200000인 메타크릴레이트 체인 중합체를 만드는데 충분한 시간동안, 낮고 일정한 래디컬 프럭스(radical flux)를 제조하는 개시제(initiator)를 반응기 내의 혼합물에 첨가하는 단계 ; 및 (e) 그래프트 공중합체 농축물(concentrate)을 분리시키기 위해 용매를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에 혼합시 폴리올레핀에 용융점도를 증가시킴이 없이 상대적으로 높은 인장모듀러스 및 처짐(sagging)에 대한 높은 저항성을 부여할 수 있는 그래프트공중합체 농축물 제조공정
  24. 23항에 있어서, 상기 농축물은 요구되는 형태로 압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프트공중합체 제조공정.
  25. 23항에 있어서, 상기 농축물은 첨가제와 혼합되고 요구되는 형태로 합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프트중합체 제조공정
  26. 23항에 있어서, 메타크릴에스테르 단량체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임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프트중합체 제조공정
  27. 23항에 있어서, 용매는 탈휘발압출기내에서 제거됨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프트중합체 제조공정.
  28. 23항에 있어서, 용매는 탄화수소용매임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프트중합체 제조공정.
  29. 23항에 있어서, 개시제는 약 60℃-200℃에서 1시간의 반감기를 갖는 지용성, 열유리 래디컬개시제(thermal free radical initiator)임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프트 중합체 제조공정.
  30. 29항에 있어서, 상기 개시제는 약 60℃-200℃에서 1시간의 반감기를 가지는 지용성, 열유리 래디컬개시제(thermal free radical initiator)임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프트 중합체 제조공정.
  31. 23항에 있어서, 반응기내의 온도에서 일정한 래디컬 프럭스는 리터(liter)당 분(minute)당 약 0.00001-0.0005래디컬 당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프트중합체 제조공정.
  32. 30 혹은 31항에 있어서, 개시제는 과사화(peroxy)개시제임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프트중합체 제조공정.
  33. 청구범위 10항의 그래프트공중합체 농축물과 폴리올레핀을 혼합함을 포함하는, 폴리올레핀에 그 용융 점도를 증가시킴이 없이 상대적으로 높은 인장모듀러스 및 처짐에 대한 높은 저항성을 부여하기 위한 공정.
  34. 33항에 있어서, 혼합을 위해 폴리올레핀-농축물 혼합물이 가열되는 온도는 최소 150℃이고, 알킬 폴리슬파이드는 가열전에 상기 혼합물에 결합되는 특징으로 하는 공정.
  35. 34항에 있어서, 상기 알킬폴리슬파이드는 디-t-도데실 디슬파이드임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36. 34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은 0.001-0.05중량%의 폴리슬파이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37. 33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은 최소 80%의 혼합된 폴리올레핀과 농축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38. 37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은 폴리에틸렌임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39. 37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은 폴리프로필렌임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40. 37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은 폴리부틸렌임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41. 37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은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의 혼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42. 37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은 폴리프로필렌과 폴리부틸렌의 혼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43. 청구범위 13, 14, 15, 16, 17 혹은 18의 중합체 혼합물을 이용한 압출된, 카렌더된(calendered), 성형된 물품.
  44. (a) 전체 혼합물의 최소 약 80중량%의 폴리프로필렌 ; 및 (b) 폴리프로필렌 본체(trunk)와, 식 CH2=C(CH3)COOR(단, 여기서 R은 알킬, 아릴, 치환알킬, 치환알릴, 혹은 치환 알카릴아디)을 갖는 최소 80%의 메타크릴에스테르 단량체와, 메타크릴에스테르와 공중합가능한 최대 20%의 아크릴 혹은 스틸렌계 단량체로부터 유도되고 평균분자량이 약 20,000 이상이며 상기 본체와 중량비로 약 1 : 9-4 : 1의 비율로 존재하며 상기 본체에 공유적으로 결합된 메타크릴레이트 체인중합체, 를 갖는 약 0.2-5중량%(전체 혼합물을 기준으로)의 그래프트 공중합체 ; 의 혼합물로써 중공튜브(hollow tube)형태의 압축물.
  45. (a) 전체 혼합물의 최소 약80중량%의 폴리프로필렌 ; 및 (b) 폴리프로필렌 본체(trunk)와, 식 CH2=C(CH3)COOR(단, 여기서 R은 알킬, 아릴, 치환알킬, 치환아릴, 혹은 치환 알카릴이다)을 갖는 최소 80%의 메타크릴에스테르단량체와, 메타크릴에스테르와 공중합가능한 최대 20%의 아크릴 혹은 스티렌계 단량체, 로부터 유도되고 평균 분자량이 약 20000이상이며 상기 본체와 중량비로 약 1 : 9-4 : 1의 비율로 존재하며 상기 본체에 공유적으로 결합된 메타크릴레이트체인 중합체, 를 갖는 약 0.2-5중량%(전체 혼합물을 기준으로)의 그래프트공중합체 ; 의 혼합물로써 섬유(fiber)의 형태의 압출물.
  46. 45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 중합체가 배향됨(oriented)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물.
  47. (a) 전체 혼합물의 최소 약 80중량%의 폴리프로필렌 ; 및 (b) 폴리프로필렌본체(trunk)와 식 CH2=C(CH3)COOR(단, 여기서 R은 알킬, 아릴, 치환알킬, 치환아릴, 혹은 치환 알카릴 이다)을 갖는 최소 80%의 메타크릴에스테르단량체와, 메타크릴에스테르와 공중합가능한 최대 20%의 아크릴 혹은 스티렌계 단량체, 로부터 유도되고 평균분자량이 약 20000이상이며 상기 본체와 중량비로 약 1 : 9-4 : 1의 비율로 존재하며 상기 본체에 공유적으로 결합된 메타크릴레이트 체인 중합체, 를 갖는 약 0.2-5중량%(전체 혼합물을 기준으로)의 그래프트공중합체 ; 의 혼합물로써 시이트(sheet)혹은 필름형태의 압축물.
  48. 47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중합체는 단축배향됨(monoaxially oriented)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물.
  49. 47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중합체는 쌍축 배향됨(biaxially oriented)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물.
  50. (a) 전체 혼합물의 최소 약 80중량%의 폴리프로필렌 ; 및 (b) 폴리프로필렌 본체(trunk)와, 식 CH2=C(CH2)COOR(단, 여기서 R은 알킬, 아릴, 치환알킬, 치환아릴, 혹은 치환알카릴이다)을 갖는 최소 80%의 메타크릴에스테르 단량체와, 메타크릴에스테르와 공중합가능한 최대 20%의 아크릴 혹은 스티렌계 단량체, 로부터 유도되고 평균분자량이 약 20000 이상이며 상기 본체와 중량비로 약 1 : 9-4 : 1의 비율로 존재하며 상기 본체에 공유적으로 결합된 메타크릴레이트 체인 중합체, 를 갖는 약 0.2-2중량%(전체 혼합물을 기준으로)의 그래프트 공중합체 ; 의 혼합물로써 중공용기(hollow container)형태의 성형물.
  51. 50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용기는 압출취입성형(extrusion blow molding)에 의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물.
  52. 50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용기는 상출취입성형(injection blow molding)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물.
  53. (a) 전체 혼합물의 최소 약 80중량%의 폴리프로필렌 ; 및 (b) 폴리프로필렌 본체(trunk)와, 식 CH2=C(CH3)COOR(단, 여기서 R은 알킬, 아릴, 치환알킬, 치환아릴, 혹은 치환알카릴이다)을 갖는 최소 80%의 메타크릴 에스테르 단량체와, 메타크릴에스테르와 공중합가능한 최대 20%의 아크릴 혹은 스티렌계 단량체, 로부터 유도되고 평균분자량이 약 20000이상이며 상기 본체와 중량비로 약 1 : 9-4 : 1의 비율로 존재하며 상기 본체의 공유적으로 결합된 메타크릴레이트 체인 중합체, 를 갖는 약 0.2-5중량%(전체 혼합물을 기준으로)의 그래프트 공중합체 ; 의 혼합물로써 견고한 프로필(solid profile)형태로된 압출물.
  54. (a) 전체 혼합물의 최소 약 80중량%의 폴리프로필렌 ; 및 (b) 폴리프로필렌본체(trunk)와 식 CH2=C(CH3)COOR(단, 여기서 R은 알킬, 아릴, 치환알킬, 치환아릴, 혹은 치환알카릴이다)을 갖는 최소 80%의 메타크릴 에스테르 단량체와, 메타크릴에스테르와 공중합가능한 최대 20%의 아크릴 혹은 스티렌계 단량체, 로부터 유도되고 평균분자량이 약 20,000이상이며 상기 본체와 중량비로 약 1 : 9-4 : 1의 비율로 존재하며 상기 본체의 공유적으로 결합된 메타크릴레이트 체인 중합체, 를 갖는 약 0.2-5중량%(전체 혼합물을 기준으로)의 그래프트 공중합체 ; 의 기포혼합물(foamed blend)을 포함하는 압출, 카렌더, 혹은 성형물품.
  55. 54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물은 나아가 기포 프로필(foamed profile)로 형성되는 물품.
  56. (a) 전체 혼합물의 최소 약 80중량%의 폴리프로필렌 ; (b) 폴리프로필렌 본체(trunk)와, 식 CH2=C(CH3)COOR(단, 여기서 R은 알킬, 아릴, 치환알킬, 치환아릴, 혹은 치환알카릴이다)을 갖는 최소 80%의 메타크릴 에스테르 단량체와, 메타크릴에스테르와 공중합가능한 최대 20%의 아크릴 혹은 스티렌계 단량체, 로부터 유도되고 평균분자량이 약 20000이상이며 상기 본체와 중량비로 약 1 : 9-4 : 1의 비율로 존재하며 상기 본체에 공유적으로 결합된 메타크릴레이트 체인 중합체, 를 갖는 약 0.2-5중량%(전체 혼합물을 기준으로)의 그래프트 공중합체 ; 및 (c) 취입제(blowing agent) ;를 포함하는 중합체 혼합물.
  57. 56항에 있어서, 상기 취입제는 약 200-230℃의 용융처리 온도에서 질소를 유리시키는 조제임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조성물.
  58. 57항에 있어서, 상기 취입제는 전체 중합체 혼합물의 약 1-2중량 퍼어센트로 존재함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조성물.
  59. 1항에 있어서, 치환된 알킬그룹은 알킬티오알킬임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프트공중합체.
  60. 59항에 있어서, 알킬티오알킬그룹은 에틸티오에틸임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프트 공중합체.
  61. (a) 폴리올레핀 ; (b)폴리에틸렌, 폴리부틸렌, 폴리(4-메틸펜텐), 상기 폴리올레핀 상환의공중합체, 및 상기 올레핀과 소량의 1-알켄, 비닐에스테르, 비닐크로라이드, (메트)아크릴에스테르, 및(메트)아크릴산의 공중합체 ; 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된 비극성폴리올레핀본체(trunk), 및 식 CH2=C(CH3)COOR(단, 여기서 R은 알킬, 아릴, 치환알킬, 치환아릴, 혹은 치환 알카릴이다)의 최소 80%의 메타크릴에스테르 단량체와, 메타크릴 에스테르와 공중합가능한 최대 20%의 아클릴 혹은 스티렌계 단량체, 로부터 유도되고 20,000이상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가지며 상기 본체와 중량비로 약 1 : 9 : 4 : 1의 비율로 존재하며 상기 본체에 공유적으로 결합된 메타크릴레이트 체인중합체, 를 갖는 전체 혼합물 중량의 약 0.2-5% 그래프트 공중합체 ; (c) 전체 중합체 혼합물중량의 약 0.001-0.1중량%의 트리(폴리알킬히드록시벤지)-s-트리아진트리온(tris(polyalkylhydroxy benzyl)-s-triazinetrione)을 포함하는 중합체 혼합물.
  62. 61항에 있어서, 트리(폴리알킬히드록시벤질)-s-트리아진 트리온은 트리-(4-t-부틸-3-히드로시-2, 6-디메틸벤질)-s-트리아진-(1H, 3H, 5H)-트리온임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혼합물.
  63.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틸렌, 폴리(4-메틸펜텐), 상기 폴리올레핀상호간의 공중합체, 및 상기 올레핀과 소량의 1-알켄, 비닐에스테르, 비닐크로라이드, (메트)아크릴 에스테르, 및 (메트)아크릴산의 공중합체, 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된 비극성 폴리올레핀본체(trunk), 및 식 CH2=C(CH3)COOR(단, 여기서 R은 알킬, 아릴, 치환알킬, 치환아릴, 혹은 치환알카릴이다)을 갖는 최소 80%의 메타크릴에스테르 단량체와, 메타크릴에스테르와 공중합가능한 최대 20%의 아크릴 혹은 스티렌계, 단량체, 로부터 유도되고 약 20000이상의 중량평균 분자량을 가지며 상기 본체와 중량비로 약 1 : 9-4 : 1의 비율로 존재하며 상기 본체의 공유적으로 결합된 메타크릴레이트 체인 중합체, 를 갖는 그래프트공중합체를 혼합물 100부당 0.2-10부를 혼합물 내에 편입시킴을 포함하는, 하나이상의 비극성중합체와 하나이상의 극성중합체 혼합물의 혼화성(compatibility)을 개선시키는 방법.
  64. 63항에 있어서, 혼합물내에 편입된 그래프트공중합체의 량은 혼합물 100부당 0.5-5부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5. 63항에 있어서, 혼합물내에 편입된 그래프트공중합체의 량은 혼합물 100부당 0.8-2.5부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6. 63항에 있어서, 비극성중합체에 대한 극성중합체의 비는 95 : 5-5 : 95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7. 63항에 있어서, 비극성중합체에 대한 극성중합체의 비는 80 : 20-20 : 80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8. 63항에 있어서, 비극성중합체는 폴리올레핀이며, 극성중합체는 아크릴중합체, 스티렌-아클리로니트릴중합체, 에틸렌-비닐알콜중합체,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중합체, 폴리(비닐크로라이드)와 폴리카보네이트의 혼합물 및 폴리(비닐크로라이드)와 폴리에스테르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9. 68항에 있어서, 폴리올레핀은 폴리프로필렌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0. 68항에 있어성, 폴리올레핀은 폴리에틸렌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1. 63항에 있어서, 비극성중합체는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이며, 극성중합체는 아크릴중합체 및 폴리비닐크로라이드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2. 63항에 있어서, 비극성중합체는 에틸렌, 프로필렌 및 비-켤레 디엔(non-conjugated diene)의 테르폴리머(terpolymer)이며, 극성중합체는 아크릴중합체, 폴리에스테르, 폴리(비닐크로라이드),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에스테르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3.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틸렌, 폴리(4-메틸펜텐), 상기 올레핀 상호간이 공중합체, 및 상기올레핀과 소량의 1-알켄, 비닐에스테르, 비닐크로라이트(메트)아크릴에스테르, 및(메트)아크릴산의 공중합체, 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된 비극성폴리올레핀본체 ; 및 식 CH2=C(CH3)COOR(단, 여기서 R은 알킬, 아릴, 치환알킬, 치환아릴, 혹은 치환알카릴이다)의 최소 80%의 메타크릴 에스테르 단량체와, 메타크릴에스테르와 공중합가능한 최대 20%의 아크릴 혹은 스티렌계 단량체, 로부터 유도되고 20000의 중량평균 분자량을 가지며 상기 본체와 중량비로 약 1 : 9-4 : 1의 비율로 존재하며 상기 본체의 공유적으로 결합된 메타크릴레이트 체인 중합체, 를 갖는 그래프트공중합체 및 하나이상의 비극성중합체와 하나이상의 극성중합체를 포함하는, 그래프트공중합체가 없이 비극성중합체와 극성중합체의 혼합물보다 우월한 혼화성을 나타내는, 혼합물.
  74. 73항에 있어서, 비극성중합체는 폴리올레핀이며, 극성중합체는 아크릴중합체, 스티렌-아클릴로니트릴중합체, 에틸렌-비닐알콜중합체,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비닐 크로라이드),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중합체, 폴리(비닐리덴 크로라이드), 폴리에스테르와 폴리카보네이트의 혼합물 및 폴리(비닐크로라이드)와 폴리에스테르의 혼합물, 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물.
  75. 74항에 있어서, 비극성 중합체는 폴리프로필렌임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물.
  76. 74항에 있어서, 비극성 중합체는 폴리에틸렌임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물.
  77. 76항에 있어서, 폴리에틸렌은 고밀도 폴리에틸렌임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물.
  78. 73항에 있어서, 비극성중합체에 대한 극성중합체의 비가 약 95 : 5-5 : 95임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물.
  79. 73항에 있어서, 비극성중합체에 대한 극성중합체의 비가 약 80 : 20-20 : 80임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물.
  80. 73항에 있어서, 비극성중합체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이며, 극성중합체는 아크릴중합체와 폴리비닐 크로라이드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물.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890004014A 1988-03-29 1989-03-29 중합체 혼화제로서의 그래프트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KR01793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464888A 1988-03-29 1988-03-29
US174,648 1988-03-29
US315501 1989-03-01
US07/315,501 US4957974A (en) 1988-03-29 1989-03-01 Graft copolymers and blends thereof with polyolefins
US315,501 1989-03-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4610A true KR890014610A (ko) 1989-10-24
KR0179357B1 KR0179357B1 (ko) 1999-05-15

Family

ID=26870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4014A KR0179357B1 (ko) 1988-03-29 1989-03-29 중합체 혼화제로서의 그래프트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KR (1) KR0179357B1 (ko)
AU (1) AU625059B2 (ko)
BR (1) BR8901431A (ko)
IL (1) IL89774A (ko)
IT (1) IT1232713B (ko)
NZ (1) NZ22846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01541B (zh) * 2014-12-08 2019-11-26 罗门哈斯公司 聚烯烃添加剂、抗垂挂聚烯烃以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45662A (ja) * 1984-05-18 1985-12-05 Sumitomo Naugatuck Co Ltd 耐候性樹脂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L89774A0 (en) 1989-09-28
BR8901431A (pt) 1989-11-14
IT8967215A0 (it) 1989-03-28
IT1232713B (it) 1992-03-04
NZ228468A (en) 1991-08-27
KR0179357B1 (ko) 1999-05-15
IL89774A (en) 1993-05-13
AU625059B2 (en) 1992-07-02
AU3171689A (en) 1989-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57974A (en) Graft copolymers and blends thereof with polyolefins
KR960015194B1 (ko) 열가소성 폴리비닐 알콜/폴리올레핀 혼합물에 대한 반응성 용융 압출식 그라프트방법
US5229456A (en) Graft copolymers and blends thereof with polyolefins
JP2017025343A (ja) 重合体組成物
US5128410A (en) Graft copolymers and blends thereof with polyolefins
US3652730A (en) Process for grafting polymerisable monomers onto crystalline unpreactivated polyolefines
US5202380A (en) Polyolefin compositions with improved impact strength
US5109066A (en) Polyolefin compositions with improved impact strength
KR0183967B1 (ko) 향상된 충격강도를 갖는 폴리올레핀계 중합체 조성물
US5397842A (en) Polyolefin/segmented copolymer blend and process
CA2163838A1 (en) Modifier for polypropylene imparting improved melt strength
US5147932A (en) Polyolefin compositions with improved impact strength
NO155731B (no) Polymerblanding basert paa polykarbonat og en podekopolymer og anvendelse derav ved fremstilling av formede gjenstander.
KR890014610A (ko) 그래프트공중합체, 폴리올레핀과 이의혼합물, 및 그 제조방법
US6921792B2 (en) Chemically modified polyolefin elastomer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CA2106344A1 (en) Segmented ionomeric copolymer
US3365519A (en) Olefin polymers containing graft copolymers of aziridines onto polyolefin substrates
JP3274922B2 (ja)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
EP0528600A1 (en) Polymer blends
JPH03122168A (ja) ブロー成形法及びブロー成形品
JPH07207109A (ja) 改質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それを含有する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体
JPH07133398A (ja) 改質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を含有してなる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ならびにそれらからなる成形体
JP2002145967A (ja) 改質ポリプロピレン樹脂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3124422A (ja) 線形低密度ポリエチレンを押出し又は成形する方法
JPH03122167A (ja) 熱成形により熱可塑性樹脂物品を作る方法及び熱成形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1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