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7843Y1 - 이산화탄소레이저의 권선저항에 의한 전류 제어회로 - Google Patents

이산화탄소레이저의 권선저항에 의한 전류 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7843Y1
KR890007843Y1 KR2019870005891U KR870005891U KR890007843Y1 KR 890007843 Y1 KR890007843 Y1 KR 890007843Y1 KR 2019870005891 U KR2019870005891 U KR 2019870005891U KR 870005891 U KR870005891 U KR 870005891U KR 890007843 Y1 KR890007843 Y1 KR 8900078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control
control circuit
discharge
laser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058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20639U (ko
Inventor
이재갑
송정재
Original Assignee
금성전선 주식회사
문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전선 주식회사, 문박 filed Critical 금성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700058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7843Y1/ko
Publication of KR8800206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2063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78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784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9/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 H02H9/0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responsive to excess current
    • H02H9/025Current limitation using field effect transis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09Processes or apparatus for excitation, e.g. pumping
    • H01S3/097Processes or apparatus for excitation, e.g. pumping by gas discharge of a gas laser
    • H01S3/09702Details of the driver electronics and electric discharge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as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이산화탄소레이저의 권선저항에 의한 전류 제어회로
제1도는 본 고안이 이산화탄소레이저의 전류 제어회로.
제2도는 종래의 진공관이 적용된 상태의 이산화탄소레이저의 전류 제어회로.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방전관 TC1 : 트라이악
T1 : 고압트랜스 T2 : 진공관트랜스
A1 : 궤한증폭회로 D1 : 다이오드
B : 포텐셔메터 VR1 : 가변저항
Q1 : 트랜지스터 C : 진공관에 부착된 회로
R1~R6 : 저항 R : 권선저항
Pr : 전압계전기 ED1~ED3 : 제너다이오드
본 고안은 이산화탄소레이저에서 초기방전시 매우 높은 고전압을 가하여 공급하여 주므로써 방전이 일어난 후에 재방전 유지에 필요한 고전압만 공급해줄 수 있도록 된 전류제어회로에 있어서 권선저항(Wire Wound Resistor)을 이용한 전류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일반적으로 이산화탄소 레이저장치에 전류제어를 실시하는데 있어서 고출력으로된 4극진공관을 사용하였는바, 제2도에 도시한 진공관이 적용된 상태의 이산화탄소 레이저의 전류제어를 하는데 있어서 그 제어방법을 제2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방전관(discharge tube)의 방전특성에 의하여 회로전류를 제어하는데 있어, 주전원이 입력되는 보호장치와 정류기 중앙에 고압트랜스(T1)을 설치하고 정류기 출력단에 방전관(1)의 애노드(Anode)를 접속하며 캐소드(Cathode)에는 진공관의 플레이트를 연결하고 그 단자에서 메가저항(R2)과 다이오드(D1)을 직렬연결하여 포텐셔메타기(B) 출력단과 궤한증폭기(A1)입력단에 접속하며, 보호장치를 출력단의 트라이악(TC1)의 게이트(G)에 궤한증폭기에서 발생되는 트리거펄스에 의하여 동작되므로 주전원부의 입력전압을 위상제어하는데 있어 진공관의 필라멘트에 진공관트랜스(T2)을 연결시켜 전압을 가하여 트랜스의 2차권선측에 접속된 트랜지스터(Q1)의 저항(R3)은 콜렉터에 직렬연결된 정전압다이오드(D2~D4)는 베이스에 연결시켜 전압계전기(Pr)에 연결된 오피앰프(O.P.Amp)을 통하여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연결시켜 작동되므로써 포텐셔메타기(B)에 의하여 트라이악(TC1)이 도통되어 주전원부에 입력전압을 위상제어하도록된 것에 있어서 이산화탄소레이저에 사용되는 방전관의 방전압유지전압을 변환시켜주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시스템이 복잡하고 고진공으로된 유리관이나 금속관속의 중심부에 히이터(heter)을 두고 직류나 교류를 가하여 진공관의 개소드을 가역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많은 열이 발생하여 다른 부품들에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 높은 전압을 필요시할 경우에 진공관의 크기가 대형으로 교체되어야 하는 한편 부품이 고가이고 적정시간(2000시간) 사용하다 보면 진공관으로써의 제기능이 상실되어 항상 점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 왔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써 권선저항에 의한 전류제어에 필요한 부품의 소형화 및 시스템이 간소하여 손쇱게 할 수 있어 방전유지에 필요한 고전압자동제어을 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으로써 제1도에 도시한 권선저항을 이용한 전류제어회로를 설명하고자 한다.
주전원 입력단에 보호장치와 정류기 중앙에 고압트랜스(T1)을 설치하고 정류기 출력단에 방전관(1)에 애노드에 접속시켜서 캐소드측에 나타나는 전압이 권선저항(R)에 흐르도록 접지시키고 방전관의 출력단에 메가저항(R2)과 다이오드(D1)을 직렬연결시켜 포텐셔메타기(B)에 출력단과 궤한증폭기(A)입력단에 접속시키므로써 고압트랜스(T1)입력측에 연결된 트라이악(TC1)의 게이트(G)을 접속시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것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방전관에 이산화탄소(Co2) 헬륨(He) 질소(N2) 등의 혼합기체가 혼합되어 레이저빛이 광사되는 과정에 있어서 주전원 입력단에서 교류(AC220V)전압을 가하면 고압트랜스(T1)을 통하여 정류기에 가하게 된다. 정류기는 다시 고출력으로 다시 (DC)정류된 전압이 방전관의 애노드에 초기방전(아아크방전)에 소비되는 매우 높은 고전압을 가하므로써 방전이 시작되고 방전이 일어난 후 재방전유리에 필요한 고전압외의 전압이 캐소드측에 절연재료로 만든 권심에 금속저항선(니켈-크롬합금, 동-니켈합금)에 부하전력을 취하도록 된 권선저항(R)을 연결접지시켜 전류가 흐르므로 캐소드단에서 메가저항(R2)과 다이오드(D1)를 통하여 포텐셔메타기(B)에 가해져 임의의 적정전압을 도정하므로써 궤한증폭기(A1)에서 증폭검출된 트리거 펄스신호가 트라이악(TC1)의 게이트(G)에 가해져 도통되므로 주전원 입력전압을 자동으로 위상제어 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방전관의 캐소드측에 포텐션메타기의 조정으로 인하여 전압이변하게 하므로써 권선저항을 이용한 전류제어를 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또한 보호장치는 과전류가 각 부품에 흐른다든가 방전관의 적정온도 및 압력, 케이스가 파손될시에 차단시켜주는 보호장치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종래의 진공관을 사용하던 것을 간단한 권선저항으로 대치하므로써 시스템의 간소화 및 진공관에 따르는 부품의 수를 줄일 수 있으므로 그 구성이 매우 간단하고 조립공정도 간단하게 할 수 있어 생산비도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권선저항을 이용한 이산화탄소레이저의 전류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Claims (1)

  1. 공지의 보호장치와 정류기 중앙에 고압트랜스(T1)와 트라이악(TC1)을 설치하고 정류기 출력단에 방전관의 애노드 연결시켜 캐소단자에 메가저항(R2)와 다이오드(D1)을 직렬연결 포텐셔메타기(B)와 궤한증폭기(A1)의 입력단에 접속하는 것에 있어서 방전관의 캐소드단자에 권선저항(R1)을 부착시킨 이산화탄소레이저의 전류제어회로.
KR2019870005891U 1987-04-22 1987-04-22 이산화탄소레이저의 권선저항에 의한 전류 제어회로 KR8900078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5891U KR890007843Y1 (ko) 1987-04-22 1987-04-22 이산화탄소레이저의 권선저항에 의한 전류 제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5891U KR890007843Y1 (ko) 1987-04-22 1987-04-22 이산화탄소레이저의 권선저항에 의한 전류 제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20639U KR880020639U (ko) 1988-11-30
KR890007843Y1 true KR890007843Y1 (ko) 1989-11-08

Family

ID=19262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05891U KR890007843Y1 (ko) 1987-04-22 1987-04-22 이산화탄소레이저의 권선저항에 의한 전류 제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784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20639U (ko) 1988-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37501A (en) Circuit arrangement for starting a high-pressure gas discharge lamp
KR910009482B1 (ko) 개스방전 램프용 제어회로
JPH01103158A (ja) スイツチング電源回路
US6323603B1 (en) Resonant flyback ignitor circuit for a gas discharge lamp control circuit
EP0401931B1 (en) Switch mode power supply
CA1126813A (en) Switching type power supply circuit
US4492899A (en) Solid state regulated power supply system for cold cathode luminous tube
US4437042A (en) Starting and operating circuit for gaseous discharge lamps
US4232252A (en) Lighting network including a gas discharge lamp and standby lamp
US6798153B2 (en) Method of regulating power in a high-intensity-discharge lamp
US4809311A (en) X-ray diagnostic apparatus
US4888527A (en) Reactance transformer control for discharge devices
KR890007843Y1 (ko) 이산화탄소레이저의 권선저항에 의한 전류 제어회로
ATE207688T1 (de) Schaltung zum starten einer hochdruckgasentladungslampe mit einer zusatzleistung
US4952846A (en) Circuit arrangement for operating a high-pressure sodium discharge lamp
EP0063168B1 (en) High pressure discharge lamp apparatus
JPS59136028A (ja) 直流安定化電源の保護装置
US4524305A (en) Solid state regulated power supply system for cold cathode luminescent tube
JPS572165A (en) High voltage generating circuit
JPS57152020A (en) Power supply circuit for device with small sized printer
SU1029158A1 (ru) Высоковольтный стабилизатор напр жени посто нного тока
US5075598A (en) Power supply circuit for gas discharge tube
KR960010712B1 (ko) 전자식 형광등 안정기의 구동제어회로
US4101775A (en) X-ray tube current stabilizing circuit
JPS5735390A (en) Gas lase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109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