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9482B1 - 개스방전 램프용 제어회로 - Google Patents

개스방전 램프용 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9482B1
KR910009482B1 KR1019840001203A KR840001203A KR910009482B1 KR 910009482 B1 KR910009482 B1 KR 910009482B1 KR 1019840001203 A KR1019840001203 A KR 1019840001203A KR 840001203 A KR840001203 A KR 840001203A KR 910009482 B1 KR910009482 B1 KR 9100094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series
notch
gas discharge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1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9024A (ko
Inventor
카페웰 데니스
지. 루차코 데이비드
에스. 스피라 조엘
Original Assignee
루트론 일렉트로닉스 캄파니 인코포레이티드
에스. 스피라 조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루트론 일렉트로닉스 캄파니 인코포레이티드, 에스. 스피라 조엘 filed Critical 루트론 일렉트로닉스 캄파니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840009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90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9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94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36Controlling
    • H05B41/38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 H05B41/39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continuously
    • H05B41/392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continuously using semiconductor devices, e.g. thyrist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36Controlling
    • H05B41/38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 H05B41/39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continuously
    • H05B41/392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continuously using semiconductor devices, e.g. thyristor
    • H05B41/3921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continuously using semiconductor devices, e.g. thyristor with possibility of light intensity variations
    • H05B41/3924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continuously using semiconductor devices, e.g. thyristor with possibility of light intensity variations by phase control, e.g. using a tria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15/00Electric lamp and discharge devices: systems
    • Y10S315/05Starting and operating circuit for fluorescent lam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15/00Electric lamp and discharge devices: systems
    • Y10S315/07Starting and control circuits for gas discharge lamp using transis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ircuit Arrangements For Discharge Lamps (AREA)
  • Discharge-Lamp Control Circuits And Pulse- Feed Circui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개스방전 램프용 제어회로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회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제2바람직한 실시예의 회로도.
제3도는 종래의 제어회로에 대하여 밸러스트 입력전압을 시간함수로 표시한 도면.
제4도는 고조명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회로에 대해 밸러스트 입력전압을 시간함수로 표시한 도면.
제5도는 제4도와 유사하며 좀더 디밍위치로 이동된 노취를 표시한 도면.
제6도는 제5도의 디밍 상태에서 제2도의 회로에 대한 부하전류를 표시한 도면.
제7도는 제2도의 제어정류기에 파이어링신호의 타이밍을 보여주는 타이밍도.
제8도는 부하회로에 사용된 밸러스트 및 램프의 종류에 관계없이 일정한 조명레벨을 유지하기 위한 자동 저선단 설정회로의 제1실시예의 회로도.
제9도는 자동 저선단 설정회로의 제1실시예의 회로도.
제10도는 제7b도에 표시된 노취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회로의 회로도.
제11도는 제10도 회로에서 위상편이 전압의 시간함수도 및 발생된 노취신호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2 : 유도성밸러스트수단 10,11 : 입력단자
12 : 직렬스위칭수단 31,31 : 션트스위칭수단
63,64 : 인덕터 73 : 콘덴서
62,71 : 스위칭제어수단 60,61 : 제어정류기
80,81 : 정유콘덴서 65,66 : 다이오드
142 : 정류수단 143,144 : 콘덴서
145 : 저항 146 : 다이오드
150,151 : 비교기 152,153,154 : 저항
155 : 콘덴서 160 : 저항
본 발명의 개스 방전램프용 제어회로, 특히 많은 여러가지 종류의 개스방전 램프에 개량된 디밍(dimming)을 제공하는 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조엘 에스·스피라등의 이름으로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도된 “개스방전램프제어”제목으로 1982년 9월21일 미합중국 특허 제 4,350,935호에 게시된 회로를 개량한 것이다. 미합중국 특허 제 4,350,935호에 게시된 바와같이 각 반파의 파형내의 폭과 위치가 가변인 노취(notch)를 가지고 있는 램프 밸라스트에 전압파형을 인가함에 의해 하나 또는 그이상의 형광램프의 출력조명을 조정하는것이 가능하다.
미합중국 특허 4,350,935호에 표시된 회로 배치는 넓은 범위에 걸쳐 양호한 동작을 하였으나 몇가지 단점을 가지고 있다. 예를들면 이 회로는 유도성 밸라스트를 위해 직렬 스위칭수단 및 션트스위칭수단을 사용하고 있다. 이 직렬스위칭 수단은 고속트랜지스터로서 입력전압에 소망하는 노취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입력전압 파형의 어떤 소망점에서 차단되도록 동작한다. 션트스위칭수단은 이 노취기간동안 동작상태로 되어 밸러스트로부터 에너지가 방전되는 측로를 제공한다. 션트 스위칭소자는 역병렬 접속제어 정류기로 이루어져 있다. 만약 어떠한 이유로 스퓨리어스 제어신호가 적당한 열로부터 벗어나 제어정류기에 인가될때 직렬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병렬 스위칭소자를 통하여 A.C. 전원라인으로부터 단락회로를 발생할 가능성이 있게된다.
이것은 직렬스위치가 중대한 손상을 입거나 파괴될 수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4,350,935호 회로의 다른 단점은 에너지 축적램프의 램프수명은 램프가 매우 낮은 디밍선단역(end region)에서 동작될때 감소된다. 이에 대한 한 이유는 노취폭이 증가함에 따라 유도성 밸러스트에 인가된 전압의 RMS값이 감소되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필라멘트 트랜스의 유효출력전압은 감소되어 램프는 비교적 낮은 디밍상태로 꺼질것이다.
미합중국 특허 제 4,350,935호 장치에서 직면된 다른 어려운점은 동일한 양 만큼씩 어둡게 되도록 다수열의 램프를 “트래킹(tracking)”시키는 것이다. 적당한 트래킹은 거의 전 조명상태에서 각 반파의 시작점 근처에 노취를 위치시키는 것이 필요하며 그결과 노취는 나머지 램프들이 매우 밝은 동안 몇개 또는 모든램프들이 꺼내지 않고 디밍하는 동안 오른쪽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첫번째 특징에 따르면 미합중국 특허 제 4,350,935호의 제어회로는 변경되어 직렬 스위칭수단 및 션트 스위칭수단 양자가 트랜지스터 또는 제어정류기와 같이 제어가능하게 역병렬 접속된 도전성 소자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정류콘덴서는 션트스위치중의 적당한 하나를 파이어링 시킴에 의해 직렬스위치로 방전되어 노치파형을 발생하도록 한다. 또한 션트스위치는 유도성 밸러스트에 축적된 에너지의 방전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독창적인 회로는 전류제한 위상(topology)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전류제한 임피던스 바람직하게는 콘덴서가 션트 스위칭 수단에 직렬로 가해지며 그 결과 션트 스위칭수단 및 임피던스수단은 유도성 밸러스트와 병렬인 직렬회로를 이룬다.
만약 어떠한 이유로 직렬 및 션트스위치 소자가 A.C. 전원을 따라 직접 접속될 경우 전류는 직렬 임피던스에 의해 제한될 것이다. 또한 전류제한 임피던스는 저항성, 유도성, 용량성 또는 능동소자의 어떤조합 또는 단일 또는 복합조합으로 될 수 있다.
저항성, 유도성 및 용량성 소자 또는 그들의 조합은 선형 또는 비선형이다. 능동소자는 반도체소자 또는 아크방전소자등등의 2단자 또는 3단자 소자이다. 전형적으로 브레이크-오버(break-over)반도체 다이오드가 능동소자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중요한 특징은 직렬임피던스가 콘덴서이며 노취기간동안 축적된 밸러스트 에너지의 전달로 인해 전압의 극성은 역으로 되므로 유도성 밸러스트에 인가된 전압은 노취기간동안 역으로되어 따라서 밸러스트 전압의 RMS값을 크게 증가시킨다. 밸러스트에 인가된 전압의 RMS 값을 증가시킴에 의해 팔라멘트 트랜스는 양호하게 동작하여 그 결과 노취가 넓어짐에 따라 종전에 가능하였던것보다 램프조명의 래규레이션의 정도를 더 높일 수가 있다. 또한 콘덴서에 기인한 밸러스트에 따라서 갑작스런 전압의 반전은 노취기간동안 램프의 이온화를 유지하고; 램프전류 첨두치 인자를 최소로하고; 또한 개스방전램프의 주지된 고주파 동작의 이점을 제공하는데 기여한다.
또한 본 발명의 회로를 사용할때 밸러스트에 입력전압 파형의 각 반파내에 각 90° 근처에 더 가깝게 노취를 위치시킬 수가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게 되었다. 이 위치에 노취를 위치시킴에 의해 인가된 전압의 RMS값은 더 증가되며 또한 전 디밍 범위에 걸쳐 만족스런 트래킹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새로운 자동 저 선단 설정회로(antomatic low end setcircuit)는 에너지 축적램프 및 밸러스트오 비교하여 표준램프 및 밸러스트의 상이한 디밍곡선을 자동적으로 조정하도록 갖추어진다. 새로운 자동 저 선단설정회로는 자동적으로 노취의 크기를 조정하여 램프 또는 접속된 밸러스트의 종류에 관계없이 전조도의 특정설정 퍼센트를 유지하게 된다.
자동 저 선단 설정회로는 입력으로서 밸러스트에서 RMS 전압 압력 또는 전체 부하전류를 사용한다. 이것은 에러증폭기에 한 입력에 신호를 발생하는데 사용되며 적합한 기준치와 비교된다. 그후 출력에러는 노취폭 및 위치를 조정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비교회로로 공급되는 2개의 위상이동 회로망 배치로 이루어진 새로운 노취신호 발생기가 갖추어진다. 2개의 위상 이동신호는 소정신호레벨과 비교되어 위상이동신호가 각각 사전설정레벨보다 높거나 낮을 때 노취신호의 시작과 끝을 표시하도록 신호출력을 발생한다. 새로운 노취신호발생회로는 예를들어 에어콘 컴프레서 및 다른 종류 모우터의 시동으로 인한 큰 급상승전류 때문에 불안정한 라인조차도 매우 안정된 동작을 하게 한다.
본 발명의 신규한 회로는 모든종류의 형광램프 및 고강도 방전램프에 제한도지 않으며 어떤소망 형태의 개스방전램프에도 적용할 수 있다.
제1도를 참고로하면 예를들어 유도성 밸러스트 및 밸러스트에 의해 작동되는 램프와 같이 특허 제 4,350,935호의 종래 제어회로의 소자들 대부분을 포함하고 있는 제어회로가 표시되어 있다. 다수의 병렬 접속된 밸러스트 및 램프가 갖추어질 수 있다. 임의의 소망전압 및 주파수, 전형적으로 277V 및 60Hz의 통상적인 A.C. 전원이 회로입력단자(10 및 11)에 접속된다.
직렬스위칭수단(12)이 갖추어지며 이것은 다이오드(13,14,15 및 16)를 포함하는 단상 전파정류기 브리지 및 브리지(12)의 D.C. 단자를 가로질러 접속된 고속스위칭 트랜지스터(17)로 이루어져 있다. 적절한 제어회로(표시되지 않음)가 특허 제4,350,935호에 기술된 바와같이 트랜지스터(17)의 베이스(20)에 접속된다.
고속 보호 스위칭수단인 “쇠지레(crowbar)” 회로(21)는 트랜지스터(17)를 가로질러 접속되어 높은 서어지 전류가 트랜지스터(17)를 통하여 흐를 때 램프의 작동시간동안 트랜지스터를 보호한다.
또한 유도성 밸러스트(32)에 병렬로 접속된 역병열 접속제어정류기(30 및 31)로 이루어진 션트 스위칭수단이 갖추어져 있다. 밸러스트(32)는 종래의 밸러스트로서 동일한 제어회로로부터 동작되는 임의 소망 개수의 병렬접속된 밸러스트중의 하나이다. 도시된 밸러스트는 이차측권선(41)을 가진 1차측권선(40) 및 거기에 결합된 필라멘트 전원권선(42 및 43)으로 이루어져 있다. 콘덴서(44)가 도시된 바와같이 권선(41)과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밸러스트(32)는 두 개의 직렬접속 개스방전램프(45 및 46)에 접속된다. 만약 램프(45 및 46)는 만약 필요한 경우 상업적으로 구할 수 있는 에너지 축적형태의 형광램프를 사용할 수 있다.
밸러스트 필라멘트 권선(42)은 튜브(45)의 상부 필라멘트에 접속되며 필라멘트 권선(43)은 튜브(45)의 하부필라멘트 및 튜브(46)의 상부 필라멘트에 접속된다. 튜브(46)의 하부 필라멘트는 권선(40)의 권선탭(47)으로부터 전압에 의해 가열된다.
여기에 기술된 구조 및 추후기술될 배제저항(50)은 특허 제 4,350,935호의 것과 근본적으로 동일하다. 트랜지스터(17)는 제3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각 반파마다 t1시간과 차단되고 t2시간에 동작되어 전압 파형내에 노취를 발생하도록 제어된다. 시간 t1및 t2사이의 노취기간동안 밸러스트에너지를 방전하기 위하여 적합한 제어정류기(30 또는 31)가 도통상태로되어 밸러스트로부터 방전전류가 흐를수 있도록 한다. 예를들면 단자(10)가 단자(11)에 비해 포지티브인 경우의 반파동안 제어정류기(30)는 트랜지스터(17)가 차단상태일 때 동작상태로 된다. 그러나 만약 노취시간 이외의 어떤기간동안 제어정류기가 동작상태로되면 그후 트랜지스터(17)를 통하여 단자(10), 제어정류기 및 단자(11)로 직접 단락회로가 나타난다. 이 직접단락회로는 고속트랜지스터(17)의 중대한 손상 또는 파괴를 야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계획된 전류제한 임피던스가 션트 스위칭수단(30 또는 31)과 직렬로 갖추어져 있다. 제1도에서 이 전류제한수단은 저항(50)과 같은 가장 단순한 형태로 표시되어 있다. 만약 현재 트래지스터(17) 및 제어정류기(30 또는 31)중의 하나를 통하여 전류의 “슈트 스루(shoot through)”현상을 야기하는 스퓨리어스 제어신호가 있을 경우 전류는 임피던스(50)에 의해 제한되며 이에따라 반파동안 트랜지스터를 통하여 최대전류를 제한함에 의해 트랜지스터(17)를 보호하는데 기여한다.
제2도에 본 발명의 제2바람직한 실시예가 표시되어 있다. 제2도에서 전류제한 임피던스는 콘덴서(73)이다. 또한 콘덴서(73)는 추후설명될 밸러스트에 인가된 전압파형의 RMS값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
제2도를 참고로하면 제1도와 동일한 부품을 동일한 식별번호를 부여하였다. 따라서 직렬스위치(12)가 갖추어져 있다. 제2도에서 직렬 스위칭수단(12)은 역병렬접속 제어정류기(60 및 61)로 이루어져 있다. 다른 제어가능한 도전성소자가 사용될 수 있다. 제어정류기(60 및 61)의 게이트는 적절한 제어회로(62)로부터 추출된 펄스에 의해 동작된다. 션트 스위칭수단이 제2도에 갖추어져 있으며 정류기(30 및 31) 또는 요망되는 다른형태의 제어가능한 도전성 소자를 포함한다. 제어정류기(30 및 31)는 각 인덕터(63 및 64) 및 다이오드(65 및 66)와 각각 직렬로 접속된다. 인덕터(63 및 64)는 90μH 공기 코어 인덕터이다. 다이오드(65 및 66)는 각각 제어정류기(30 및 31)의 파이어링을 제어하기 위하여 갖추어져 있다. 저항(67 및 68) 및 각각 여기에 직렬로 접속된 콘덴서(69 및 70)로 이루어지는 완충기(Snubber)회로가 각각 제어정류기(30 및 31)와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인덕터(63 및 64)는 제어정류기(30 및 31)의 완충기 회로에 인덕턴스를 공급하면 또한 각 노취의 개시시에 제어정류기(60 및 61)를 차단상태로 하는 것이 필요한 정류회로에 인덕턴스를 공급한다.
콘덴서(73)는 에너지 전환자 및 션트스위치회로에 직렬 접속된 전류제한소자이며 직렬접속션트 스위치 회로 및 콘덴서(73)는 여러 가지 다른 밸러스트에 병렬접속된다. 콘덴서(73)는 저항, 유도성, 용량성 또는 능동소자들의 어떤 조합 또는 단일 또는 몇 개의 조합으로 대체될 수 있다. 저항성, 유도성 및 용량소자나 그들의 조합은 선형 또는 비선형일수도 있다. 능동소자는 2단자 또는 3단자 소자, 반도체소자 또는 아아크방전소자 또는 그와 유사한것등이 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브레이크오버 반도체 다이오드가 능동소자로서 사용될 수 있다. 전류제한 전환자 구조물은 직렬 스위칭수단(12)을 가로질러 접속될 수 있으며 션트 스위치 수단은 제거될 수도 있다.
제2도의 제어회로의 출력은 제1도의 밸러스트(32)와 동일한 밸러스트에 적절히 접속된다.
2개의 정류콘덴서(80 및 81)는 각각 단자(10)와 다이오드(65)와 제어정류기(30)사이의 접속점 사이 및 단자(10)와 다이오드(66)와 제어정류기(31) 사이의 접점 사이에 접속된다. 종래의 입력필터콘덴서(82)는 입력단자(10 또는 11)를 가로질러 접속된다.
제2도 회로의 배치는 콘덴서(73)의 임피던스가 제어정류기(30,31,60 및 61)에 인가된 스퓨리어스 제어신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어떤 통로와 직렬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전류를 제한한다. 마찬가지로 인덕터(63 및 64)는 부정확하게 제어정류기가 파이어링하는 경우 콘덴서(80,81 및 73)를 포함하는 회로에 의해 전류가 제한된다. 따라서 회로는 선천적으로 복잡하게 된다.
제2도 회로는 제4,5,6 및 7a 내지 7e도를 참고로하여 다음에 설명된다. 제어회로(62 및 71)로부터 제어정류기(30 및 31, 60 및 61)에 인가되는 제어신호는 제7a도에 표시된 라인전압 및 제7b도에 표시된 소망하는 노취의 폭을 비교하여 제7c,7d 및 7e도에 표시되어 있다.
제7b도에 표시된 노취신호는 t1시간에 개시되고, t2시간에 소멸되므로 노취폭은 t2-t1거리가 될 것이다.
노취발생회로는 제10도를 참고로하여 추후 설명될 것이다. 정의 반파동안 파이어링펄스는 노취기간의 개시와 동시에 제어정류기(30)에 인가된다. 제7c도에 표시된 짧은 시간 지연(t1)후 도전제어 정류기(61)는 정류를 중단할 것이다. 그후 제어정류기(61)는 다시 t2시간에 동작상태로 된다. 제7e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부의 반파동안 제어정류기(31)는 t1시간 노취의 개시시에 동작상태로 되고 제어정류기(60)는 짧은시간 지연후 정류를 중단하여 노취의 끝에서 다시 동작상태로 되돌아간다.
제4도는 비교적 반파의 앞부분에 노취가 시작되며 예를들어 전조명의 95%로 출력비트의 디밍이 비교적 작은 정도를 얻도록 노취폭이 비교적 짧은 노취 조건에 대한 밸러스트 입력 전압을 표시하고 있다. 전 조명 상태에서 노취는 삭제될수도 있다는 사실을 유의해야 한다.
이 노취기간동안 각 반파에는 전압이 제로를 통과한다는 사실을 유의해야 한다. 이것은 부하 인덕턴스에 축적된 에너지가 각각 다이오드(65 및 66) 및 제어정류기 (30 또는 31)들중에 하나를 통하여 전달될 때 콘덴서(73)는 반대극성으로 되기 때문이다. 동시에 정류콘덴서(80 또는 81)는 다음 기간동안 정류동작을 준비하도록 적당히 충전되다. 전압이 제로점을 통과하는 결과로 밸러스트에 인가된 RMS 전압은 제3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노취기간동안 전압이 제로에 클램프되는 종래의 회로보다 크게 높아지게된다.
규정 또는 디밍을 얻기 위하여는 추후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같이 노취의 위치가 제5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점진적으로 넓어지고 점진적으로 오른쪽으로 이동된다. 제5도의 상태에서 디밍은 전조명의 약 50%정도이다. 밸러스트를 통하여 흐르는 부하전류의 부하전류파형은 제5도의 변동상태에 대해 제6도에 표시되어 있다.
제2도 회로의 동작에 대해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단자(10)가 정으로 되는 시간 바로전에 콘덴서(80)는 표시된 바와같이 정으로 충전된다. 콘덴서(80)는 다이오드(65)를 통하여 바로전의 반주기에서 충전된다. 제어회로(62)는 라인전압이 정으로될 때 제어정류기(61)가 도통되도록하며 노취가 입력전압 파형에 위치될 때 에너지는 t1시간까지 부하로부터 밸러스트로 전달되기 시작한다. 이와동시에 제어정류기(30)는 제어회로(71)에 의해 여기된다. 그후 콘덴서(80)는 제어정류기(30) 및 순방향으로 도통되는 제어정류기(61)를 포함하는 개방회로를 통하여 방전된다. 방전전류는 제어정류기(61)의 순방향전류 반전시켜 조속히 제어정류기(61)를 차단시킨다.
그후 노취의 시작부분에서의 출력전압파형은 콘덴서(73)에 부하 인덕턴스 축적 에너지를 전달시키기 때문에 부의 방향으로 제로를 통과한다. 동시에 콘덴서(81)는 부의 반주기동안 그리고 제어정류기(31)가 동작을 시작할 때 제어정류기(60)를 차단시키는 상태로 충전되고 있다.
제2도 회로의 적절한 동작을 위해 신규한 용량성 전환자(73)는 콘덴서(80 및 81)와 비교하여 작은 임피던스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환자 콘덴서(73)용으로 25㎌, 440V 오일충전콘덴서 및 콘덴서(80 및 81)용으로 1㎌, 800V 오일충전콘덴서를 사용할 때 좋은 결과가 얻어진다.
제2도 회로 및 밸러스트에 공급된 증가된 RMS 전압값으로 인한 예상밖의 이점은 크게 하측 최저치로 설정되었을때에 표준 램프 뿐 아니라 에너지 절전램프인 램프(45 및 46)(제1도)의 램프 필라멘트를 동작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들면, 에너지 절전램프에 있어서 필라멘트 전압의 감소는 에너지 절전램프의 램프수명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출력조명을 크게 감소시키는것은 어려운 것이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종전의 기술로 만든 램프가 70%이하로는 불가능한데 비해 이 절전램프는 램프의 수명에 손실을 주지 않고 최저 40%까지 조명을 줄일 수 있다.
이러한 개선은 노취전압이 0을 지나며 변화하기 때문에 밸리스트에 공급된 전압의 파형이 종전 회로보다 더 높은 RMS값을 갖는 다른 점에서 얻어진다고 믿어진다.
제2도의 회로는 또한 트래킹문제를 일으키지 않고도 각반파형내에서 노취위치를 90°에 더 가깝게 유지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노취의 위치가 90°에 가까워질때 노취폭은 더 작아질 수 있어서 RMS 전위값은 또 다시 더 커진다.
나중에 다시 기수하겠지만, 램프 트래킹을 손상시키지 않고 반파형내에서 제4도와 제5도에서 보여준 노취를 좀 더 오른쪽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본 발명에서 가능하기 때문에 이런 개선은 또한 부분적으로는 더 좋은 노취위치와 노취폭의 조절에 기인한다.
그래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노취위치는 조정되지 않는 상태하에서 반파형내에서 거의 80°에 위치할 수 있으며 램프가 낮은상태로 조절될때는 더 오른쪽으로 이동될 수 있다. 반면에 제3도에 보였듯이 종전의 기술하에서는 적당한 트래킹을 하기 위해서는 노취가 초기상태에서 약 65°정도에 위치해야만 한다.
만일 노취가 종전회로하에서 80°에서 출발한다면 어떤 램프들은 조절중에 다른 것들은 매우 밝은 상태에서 꺼져버릴 것이다. 이러한 트래킹 문제가 본 발명에서는 별로 문제가 되지 않기 때문에 노취의 초기 위치는 약 80°정도에 놓을 수 있어서 전 범위를 통해서 RMS값이 증가될 수 있다. 노취폭과 노취위치를 조정하는데 있어 바람직한 조정과 트래킹 순서는 다음과 같다.
노취는 최대 광도의 95%에서는 반파형내에서 대략 45°에서 시작한다. 최대 광도도의 75%로부터 광도를 줄이기 위해서 초기 노취위치는 오른쪽으로 이동되며 광도의 전체 조절이, 최대 조명도(절전램프의 경우)의 30%정도까지 얻어졌을 때 노취는 이것이 오른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넓어진다. 이점에서는 노취는 반파형내에서 80°정도에서 시작한다.
이러한 과정을 사용함으로써 필라멘트 전압은 최저위치에서 그리고 가능한 가장 작은 전환자 콘덴서가 사용될 때 최적이 된다는 것이 밝혀졌다. 일반적으로 주어진 노취 위치와 폭에서는 더 적은 콘덴서가 더 큰 RMS 벨러스트 입력전압을 발생시킨다. 그러므로 가능한 최소의 전환자 콘덴서값이 필라멘트 전압을 극대화시키는데 바람직하다.
제2도의 회로는 훌륭한 자동부하조절을 만들도록 작동한다. 자동부하조절이란 조절회로에 연결된 램프의 숫자에 관계없이 광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상태와 연결된 램프의 숫자에 관계없이 충분히 높은 필라멘트전압을 유지하는 것을 말한다.
제2도의 회로는 밸러스트 입력전압의 파형의 RMS값이 같은 회로에 램프연결의 다소에 따라 크게 변하지 않기 때문에 자동부하조절면에 있어서 아주 잘 작동을 한다. 이러한 상태는 노취기간 동안 밸러스트 인덕턴스로부터 취해지는 양의 에너지와 에너지가 없어지는 동안의 시간 사이의 보상인자 때문에 생긴다고 믿어진다.
최고숫자의 램프 예를들면 90개의 램프가 시스템에 연결된 경우에 더 많은 에너지가 사용되겠지만 해당부하 저항과 해당 밸러스트 인덕턴스가 더 작아지기 때문에 에너지는 밸러스트로부터 가능한 가장 빠른 속도로 없어질 것이다. 최소의 램프가 연결된 경우, 예를들면 10개 정도, 더 작은 에너지가 사용 가능하지만 에너지가 없어지는 속도는 거기에 따라 줄어든다. 결과적으로 밸러스트에 가해지는 입력전압의 파형에서의 RMS전압은 제2도의 회로에 의해서 작동되는 램프의 숫자에 관계없이 본질적으로 변화가 없다.
제2도의 회로의 좋은 조절특성의 바람직한 결과는 전환자 콘덴서의 값이 치명적인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그러므로 제2도의 콘덴서(73)은 상대적으로 값비싸지 않는 것을 사용해도 좋다.
시간 회로나 조절회로(62)와 (71)이 노취가 디밍 곡선내내 램프 아크 전압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할 때 좋은 결과가 제2도의 회로에서 얻어진다.
이것은 가장 높은 필라멘트전압과 가장 낮은 램프 첨두아크전압을 만든다.
다음 제8도를 보면, 조절회로(62)와 (71)의 작동과 연계해서 그리고 특별히 제7-b 도의 노취신호의 위치와 존속기간을 조정하는데 있어서 제2도의 회로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자동 저 선단 설정회로가 있다.
이미 절전램프와 밸러스트로 언급된 빛을 더 효과적으로 발생시키게 고안된 램프와 밸러스트들이 통상 구입 가능하다. 절전 상품들의 디밍곡선은 표준램프와 밸러스트, 특히 형광램프의 디밍곡선과는 다른 것으로 나타난다.
제8도의 회로는 그 단위를 자동적으로 보정을 하기에 규정된 저 선단이나 어떤 다른 규정된 장치나 디밍이 사용된 램프나 밸러스트의 종류에 관계없이 유지된다. 특별시 회로나 형광램프와 연계해서 보면, 제8도의 회로의 동작은 어떠한 광원에도 적용가능하다는 점이 유의되야 한다.
제8도에 있어서, RMS전압 측정기회로는 밸러스트 입력전압에 연결된 일차 권선과 정류기(102)에 연결된 다일 위상, 전파형 브리지에 연결된 이차 권선을 가진 전압 변압기(100)로 이루어져 있다. 출력저항(103)은 브리지(102)의 직류출력단을 가로질러 연결되어 있으며 다이오드(104)와 저항(105)는 브리지(102)의 양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있다. 콘덴서(106), 저항(107)과 콘덴서(108)도 제공되어 있다. 여기까지 기술된 제8도의 부품들은 RMS부하전압 측정기의 목적에 기여한다. 그래서 저항(107)과 콘덴서(108)의 연결점의 전압은 제8도의 밸러스트 입력전압단자(109)와 (110)의 RMS전압에 비례할 것이다.
그러면 저항(107)과 콘덴서(108)의 교점에서의 출력부는 크기인자 보정회로(111)에 연결되거나 직접 오차증폭기(112)에 연결된다.
오차 증폭기(112)의 또다른 입력은 쉽게 조정될 수 있는 전압포준을 규정하는 지시된 적당한 조절전원에 연결된 저항(113)으로부터 취해진다.
증폭기(112)의 오차신호출력은 제7b도의 노취신호를 생성시킬 수 있고 오차증폭기(112)의 출력과 일치하게 수정한 적당한 노취폭 조절회로에 연결되어 있다. 노취폭 조절회로는 나중에 제10도와 제11도와 연계되어 기술될 것이다.
제8도의 회로는 비록 실제 부하전류는 측정되지 않고 단지 밸러스트 입력전압만이 측정된다 하더라도 가격이 저렴하고 정확성이 있다.
더 나아가 제8도의 회로는 본래부터 선전압보정을 할 수 있기에 판 독립회로가 이러한 기능을 위해서 필요하지 않는다.
만일 자동되고 있는 램프의 숫자에 따른 회동동작을 보정해주는 것이 요구된다면 크기인자보정회로(111)이 사용될 수 있는데 이것은 전체 부하전류의 기능이다.
또 이 회로는 가벼운 부하의 표준램프에 비교해서 절전 램프에 의해 요구되는 약간의 보정을 한다. 크기 인자보정회로(111)은 증폭률이 부하전류의 크기에 맞추어서 변할 수 있는 간단한 가변증폭기를 증폭기가 될 수 있다.
제9도는 구획도 형식으로 자동저선단 설정회로의 제2의 실시예를 보여준다.
제9도의 실시예에서 시스템을 조절하는 입력신호는 전류변환기(120)에 가해지는 전체 부하전류로부터 얻어진다. 전류전환기(120)의 출력은 적당한 RMS전류검출기회로(121)에 공급된다. 회로(121)의 출력은 측정순간에 전체 부하전류의 100%값에 관련되는 신호를 저장하는 적당한 저장회로(122)에 가해진다. 저장회로(122)는 예를들면 디지털 계수기 같은 것이 될 수 있다.
검출기(121)의 출력은 또한 연산증폭기(123)에 가해진다.
또 회로(124)는 저장회로(122)에 연결되어 있고 제2도의 유도밸러스트에 가해진 전압에서 노취가 없는상태(램프의 전광도)동안 작동할 수 있는 증폭률 설정 변화 가능회로로 구성되어 있다.
저장이나 기억회로(122)의 출력은 회로(122)에 저장된 100%값에 맞추어서 연산증폭기(123)의 증폭률을 조정하는 증폭률 설정회로(125)에 연결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전체 부하전류가 변함에 따라 연산증폭기(123)의 입력 RMS전류는 조정가능한 저항(127)의 표준 고정치에 상당하는 오차 증폭기(126)에의 출력신호를 만들기 위해 변화시킬 것이다. 그러면 증폭된 출력 오차신호는 나중에 기술될 것이고 제8도에서 보여진 것과 같은 회로인 노취폭 조절회로에 가해진다.
밸러스트에의 전압에 노취가 없을 때 부하개폐후의 초기 시작 상태나 재시작 동안 제9도의 회로는 기억장치에 전체 부하전류값을 저장할 것이다. 이러한 값은 전압 Vx가 100% 조명도의 출력을 가르키는 값에 도달하도록 증폭기(123)의 증폭률을 결정할 것이다. 나중에 디밍이 생길 때 증폭기(123)의 증폭률은 고정되고 전압 Vx는 전체 부하 전류의 정도에 비례할 것이다.
이러한 출력은 오차증폭기(126)에 공급되며 폐회로 시스템은 적당하게 노취폭을 조정함으로써 바람직한 설정에서의 전체 부하전류의 정도를 유지할 것이다.
제10도는 제2도의 병렬단과 션트스위치의 조절에 쓰이는 제7b도에 나타난 노취신호를 만들기 위해서 채택될 수 있는 회로를 보여준다.
제10도에 있어서 정류기(142)에 연결된 단일 위상 전파형 브리지에 연결되어 있는 필터 저항(140)과 통해서 공급된 교류입력조절전압이 있다. 정류기(142)의 출력전압은 보여진대로 콘덴서(143)과 (144) 그리고 저항(145)에 연결되어 있다.
다이오드(146)는 보여진대로 저항(145)를 가로질러 연결되어 있다. 저항(145)와 콘덴서(144)의 연결점은 IM 339형 비교기 같은 것이 가능한 비교기(150)의 양(陽)입력단자에 연결되어 있다.
비교기(150)의 음입력단자와 같은 비교기(151)의 양 입력단자는 기준전압원과 저항(153), 저항(154)와 콘덴서(155)로 이루어진 기준회로의 저항(152)에 연결되어 있다. 제8도와 제9도의 오차 증폭기(112)와 (126)같은 오차증폭기의 출력은 제10도의 저항(160)을 통해서 비교기(151)의 양 단자와 비교기(150)의 음단자에 공급될 수 있다. 비교기(150)과 (151)의 출력단은 같이 연결되어 있고 10볼트 전원에 연결되는 저항(161)에 연결되어 있다.
제10도의 회로는 비교기로 공급되는 간단한 양위상 이동회로다. 그래서 제10도의 점 A와 B에서의 전압은 제11도에 공통시간 베이스에 첨가된 위상이동전압으로 나타나 있다. 불안정한 시스템이나 조명전력 공급선과 같은 선에 있는 공기냉각압축기 또는 다른 모우터에 의해 발생한 큰 유입전류같은 인자에 기인하여 변하고 튈 수 있는 오차증폭기의 출력의 점선에 대하여 전압 A와 B는 오르내린다.
그러나 제10도의 특이한 회로는 전압 A의 기울기가 오차 증폭기출력과 만날 때 출발하여 전압 B의 기울기가 오차 증폭기의 출력과 교차할 때 끝나는 노취신호를 만든다. 그래서 바람직한 지속기간과 위치를 가진 노취신호는 단지 전압 A와 B의 위상관계와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그리고 오차증폭기 출력이나 다른 기준전압출력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만들어질 수 있다.
만일 노취의 폭을 증가시키는 것이 필요하다면 단지 기준 신호나 오차증폭기 출력의 평균정도에만 올려주면 된다. 이러한 신호의 크기에 있어서의 증가는 바람직하게도 노취신호가 점차 오른쪽으로 이동함과 같이 나타난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에너지 제어시스템, 시계, 포토센서, 점유검색기나 그 비슷한 것들로부터 유도되는 여러 가지 조절기 입력에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입력들은 전위차계(153) 대신에 또는 덧붙여서 제10도의 저항(152)와 콘덴서(155) 사이에 있는 교점이 연결되어질 것이다.
비록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예와 연계시켜 기술되어졌지만 많은 변화와 수정은 당 기술에 숙련된 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다. 그래서 본 발명은 여기서 나타난 특정한 명세에 제한된 것이 아니고 단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제한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Claims (28)

  1. 최소한 한 개의 개스방전램프에 접속가능한 유도성 밸러스트 수단 ; A.C.전원; 상기 A.C.전원 및 상기 유도성 밸러스트 수단에 직렬로 접속된 직렬스위칭수단; 상기 유도성 밸러스트 수단에 병렬로 접속되며 상기 A.C.전원 및 상기 직렬스취칭수단과 직렬로 접속된 션트 스위칭수단 및 직렬접속에너지 전환 임피던스수단; 상기 직렬 스위칭 수단 및 상기 션트스위칭수단에 접속되어 동기되어 근본적으로 동시에 상기 직렬스위칭수단을 폐쇄시키고 상기 전원으로부터 상기 유도성 밸러스트 수단으로 전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션트스위칭수단을 개방시키며 그리고 동시에 상기 직렬스위칭수단을 개방 싱기 션트스위칭수단을 폐쇄시켜서 상기 유도성 밸러스트 수단에 가해진 전압파형의 각 반주기내에 짧은 지속 노취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스위칭 제어수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직렬 에너지 전환 임피던스 수단은 상기 직렬 스위칭수단 및 상기 션트스위칭수단 모두가 동시에 폐쇄될 경우 상기 A.C.전원으로부터 흐르는 전류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개스방전램프 에너지 공급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피던스수단은 콘덴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방전램프 에너지 공급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렬스위칭수단 및 상기 션트스위칭수단은 모두 제1 및 제2역병렬 접속된 제어가능한 도전소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방전 램프 에너지 공급회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수단은 상기 노취의 지속을 제어하도록 동작하며 전압파형내에 상기 노취의 위치를 제어하여 최소한 상기 한 램프의 출력을 일정하게 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방전램프 에너지 공급회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성 밸러스트 수단에 인가된 전압파형의 극성은 상기 전압파형내의 상기 노취기간동안 역으로되어 상기 유도성밸러스트 수단에 인가된 전압의 RMS값은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방전램프 에너지 공급회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직렬 스위칭수단 및 상기 션트스위칭수단은 모두 제1 및 제2역병렬접속된 제어가능한 도전성소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방전램프 에너지 공급회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제어수단은 상기 노취의 지속전압파형내에 상기 노취의 위치를 제어하여 최소한 상기한 램프의 출력을 일정하게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방전램프 에너지 공급회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성 밸러스트 수단은 최소한 상기 한 램프에 접속된 필라멘트 권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방전램프 에너지 공급회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제어수단은 상기 노취의 지속 및 전압파형내에 상기 노취의 위치를 제어하여 최소한 상기한 램프의 출력을 일정하게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방전램프 에너지 공급회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직렬스위칭수단 및 상기 션트 스위칭 수단 모두는 제1 및 제2역병렬 접속된 제어가능한 도전성 소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방전 램프 에너지 공급회로.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션트 스위칭수단의 상기 제1 및 제2제어가능한 도전성소자와 직렬로 접속된 각 다이오드 및, 각각 상기 제1 및 제2제어가능한 도전소자와 상기 제1 및 제2다이오드 각각들 사이의 각 접속점과 상기 직렬 스위칭 수단의 A.C.입력측 사이에 접속된 제1 및 제2정류콘덴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정류콘덴서는 상기 션트 스위칭 수단의 상기 제1 또는 제2제어가능한 도전성소자의 도통에 응하여 상기 직렬스위칭수단의 상기 제1 또는 제2제어가능한 도전성소자내의 전류를 제로로 정류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방전램프 에너지 공급회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성 밸러스트 수단에 인가된 전압파형의 극성은 상기 전압파형내의 상기 노취기간동안 역으로 되어 상기 유도성 밸러스트 수단에 인가된 전압의 RMS값은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방전램프 에너지 공급회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제어수단은 상기 노취의 지속 및 전압파형내에 상기 노취의 위치를 제어하여 최소한 상기 한 램프의 출력을 일정하게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방전램프 에너지 공급회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성 밸러스트 수단은 상기 한 램프에 접속된 필라멘트 권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방전램프 에너지 공급회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션트스위칭수단에 상기 제1 및 제2제어가능한 도전성소자 각각과 직렬로 접속된 상승률에 따라 제한하는 전류제한 수단 및 제1 및 제2제어가능한 도전성소자 각각을 위한 완충기회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방전램프 에너지 공급회로.
  16. 한쌍의 전원입력단자; 한쌍의 밸러스트단자; 서로 역병렬관계로 접속되며 상기 제1한쌍의 전원입력단자와 상기 제1한쌍의 밸러스트 단자 사이에 직렬로 접속된 한쌍의 제1 및 제2제어가능한 도전성소자로 이루어진 직렬 스위칭회로; 한쌍의 제3 및 제4제어가능한 도전성소자 및, 각각 동일한 극성으로 상기 제3 및 제4제어가능한 도전성소자들중의 하나에 직렬로 접속된 한쌍의 제1 및 제2다이오드로 이루어지는 션트스위칭회로; 상기 직렬 접속 제3제어가능한 도전성소자 및 상기 제1다이오드는 상기 직렬접속된 제4제어가능한 도전성소자 및 상기 제2다이오드와 역병렬관계로 접속되며; 상기 션트스위칭회로와 직렬로 접속된 전환콘덴서; 상기 직렬접속션트회로 및 전환콘덴서는 상기 한쌍의 밸러스트단자 사이에 접속되며; 및 상기 제1한쌍의 전원 입력단자에 접속된 제1단자 및, 상기 제3제어가능한 도전성소자 및 제1다이오드와 상기 제4제어가능한 도전성 소자 및 제2다이오드 사이의 각 접속점에 접속된 제2단자를 가진 제1 및 제2정류콘덴서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성으로 안정된 개스방전램프용 여기 및 디밍회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가능한 도전성소자는 둘다 제어정류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적으로 안정된 개스방전램프용 여기 및 디밍회로.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콘덴서는 둘다 상기 전환 콘덴서보다 근본적으로 용량이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적으로 안정된 개스방전램프용 여기 및 디밍회로.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콘덴서는 둘다 상기 전환콘덴서보다 근본적으로 용량이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적으로 안정된 개스방전램프용 여기 및 디밍회로.
  20. 제16항 내지 19항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더욱이 소정 열내에 상기 제어 가능한 도전성 소자를 파이어링시키기 위한 파이어링회로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제어가능한 도전성소자들 각각의 순방향도통 반파내의 소정지점에 상기 제3 및 제4소자들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제어가능한 도전성소자를 통하여 각각 상기 제1 및 제2정류콘덴서의 방전으로 인하여 정류전류를 발생하도록 동작개시되어 각각 상기 소자들을 차단상태로하며 상기 한쌍의 밸러스트 단자에 인가된 전압파형에 노취를 개시시켜며, 그리고 신호가 발생되어 상기 노취를 종료시키도록 상기 제1 또는 제2제어가능한 도전성소자를 동작개시시키며 이에 의해 상기 노취기간동안 상기 전환콘덴서는 상기 한쌍의 밸러스트 단자에 인가된 전압의 제로를 통과한 역치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적으로 안정된 개스방전램프용 여기 및 디밍회로.
  21. 제16항에 있어서, 각각 상기 제3제어가능한 도전성소자 및 상기 제1다이오드 및 상기 제4제어가능한 도전성소자 및 상기 제2다이오드와 직렬로 제1 및 제2변화율로 전류를 제한하는 인덕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적으로 안정된 개스방전램프용 여기 및 디밍회로.
  22. 제16항 또는 2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및 제4제어가능한 도전성소자에 병렬로 접속된 저항-콘덴서완충기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적으로 안정된 개스방전램프용 여기 및 디밍회로.
  23. 가변으로 폭 및 위상위치펄스를 발생하기 위한 동기 펄스발생회로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 A.C.전원; 상기 A.C.전원전압의 반복적인 정류파형을 발생하기 위한 정류수단; 상기 정류 수단의 출력에 접속된 위상이동 회로망; 표준 레벨신호 발생수단; 각각 정 및 부의 입력을 갖는 제1 및 제2비교기회로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레벨신호 발생수단은 상기 제1비교기회로의 정의입력 및 상기 제2비교기회로의 부의 입력에 접속되며; 상기 정류기의 출력은 상기 제1비교기회로의 부의 출력에 접속되어서 이에 의해 상기 제1비교기회로의 출력은 상기 정류기의 출력이 상기 표준레벨신호발생수단을 초과할 때 스위치되어 펄스가 개시되며; 상기 위상이동회로망의 출력이 상기 제2비교기회로의 상기 정의 입력에 접속됨에 의해 상기 제2비교기회로의 출력은 상기 위상이동회로망의 출력이 상기 표준레벨신호 발생수단에 의해 발생된 신호치보다 더 작을 때는 스위치되어 상기 펄스를 종료시키며; 상기 펄스는 상기 표준레벨 신호발생수단의 출력치를 변경시킴에 의해 상기 전압원의 순간 위상과 비교하여 길이 및 위상위치가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펄스발생회로.
  24. 복수의 병렬접속개스방전램프의 임피던스 특성에 관계없이 상기 램프로부터 유효조명출력의 일정한 감소를 유지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100% 출력조명 표준신호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램프의 순간출력 매개 변수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표준신호 및 상기 순간 매개변수의 소정 부분을 비교하여 오차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및 상기 램프의 출력파형을 수정하여 상기 오차 신호를 감소시키는 방식으로 조명레벨을 변경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효조명출력의 일정한 감소를 유지하는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순간 매개변수는 상기 램프에 가해진 RMS 전압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유효조명출력의 일정한 감소를 유지하는 방법.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순간 매개변수는 RMS 부하전류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유효조명출력의 일정한 감소를 유지하는 방법.
  27.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는 표준형 또는 에너지 절전형 형광램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효조명출력의 일정한 감소를 유지하는 방법.
  28.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의 변경은 A.C. 파형의 각 반파내의 노취의 폭을 변화시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효조명출력의 일정한 감소를 유지하는 방법.
KR1019840001203A 1983-03-09 1984-03-09 개스방전 램프용 제어회로 KR9100094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73.799 1983-03-09
US06/473,799 US4527099A (en) 1983-03-09 1983-03-09 Control circuit for gas discharge lamps
US473799 1983-03-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9024A KR840009024A (ko) 1984-12-20
KR910009482B1 true KR910009482B1 (ko) 1991-11-16

Family

ID=23881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1203A KR910009482B1 (ko) 1983-03-09 1984-03-09 개스방전 램프용 제어회로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4527099A (ko)
JP (2) JPS59196598A (ko)
KR (1) KR910009482B1 (ko)
AU (1) AU574664B2 (ko)
CA (1) CA1254939A (ko)
DE (1) DE3407067C2 (ko)
ES (1) ES530407A0 (ko)
FR (1) FR2542555B1 (ko)
GB (2) GB2136645B (ko)
HK (2) HK5189A (ko)
IT (1) IT1173433B (ko)
SG (1) SG63188G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12479A (en) * 1984-07-20 1986-09-16 Honeywell Inc. Fluorescent light controller
GB8520105D0 (en) * 1985-08-09 1985-09-18 Parker Graphics Ltd Electric control circuit
US4686427A (en) * 1985-08-13 1987-08-11 Magnetek, Inc. Fluorescent lamp dimming switch
US4663569A (en) * 1985-09-26 1987-05-05 General Electric Company Energy management/dimming system and control
US4904906A (en) * 1986-08-21 1990-02-27 Honeywell Inc. Fluorescent light dimming
DE3729383A1 (de) * 1987-09-03 1989-03-16 Philips Patentverwaltung Schaltungsanordnung zum starten einer hochdruckgasentladungslampe
NL8702383A (nl) * 1987-10-07 1989-05-01 Philips Nv Elektrische inrichting voor het ontsteken en voeden van een gasontladingslamp.
US5038081A (en) * 1987-12-16 1991-08-06 Lutron Electronics Co., Inc. Reverse phase-controlled dimmer
US4937504A (en) * 1988-08-31 1990-06-26 Honeywell Inc. Time delay initialization circuit
US4947079A (en) * 1988-08-31 1990-08-07 Honeywell Inc. Notch cutting circuit with minimal power dissipation
US4899088A (en) * 1988-08-31 1990-02-06 Honeywell Inc. Power control circuit for inductive loads
DE3902785A1 (de) * 1989-01-31 1990-08-02 Hellux Leuchten Schaltungsvorrichtung zur leistungssteuerung von beleuchtungsanlagen
US5087861A (en) * 1989-09-01 1992-02-11 Deltove Limited Discharge lamp life and lamp lumen life-extender module, circuitry, and methodology
US5187411A (en) * 1989-09-01 1993-02-16 Systems And Service International, Inc. Discharge lamp life and lamp lumen life-extender module, circuitry, and methodology
US5204587A (en) * 1991-02-19 1993-04-20 Magnetek, Inc. Fluorescent lamp power control
US5111112A (en) * 1991-03-29 1992-05-05 Hsu Yang Wen Light string control apparatus
US5442261A (en) * 1992-04-02 1995-08-15 T.T.I. Corporation Energy saving lamp controller
US5504395A (en) * 1993-03-08 1996-04-02 Beacon Light Products, Inc. Lamp bulb having integrated RFI suppression and method of restricting RFI to selected level
US5504394A (en) * 1993-03-08 1996-04-02 Beacon Light Products, Inc. Lamp bulb having integrated lighting function control circuitry and method of manufacture
US5504398A (en) * 1994-06-10 1996-04-02 Beacon Light Products, Inc. Dimming controller for a fluorescent lamp
US5537010A (en) * 1994-06-10 1996-07-16 Beacon Light Products, Inc. Voltage-comparator, solid-state, current-switch starter for fluorescent lamp
US5955847A (en) * 1994-06-10 1999-09-21 Beacon Light Products, Inc. Method for dimming a fluorescent lamp
US5736817A (en) * 1995-09-19 1998-04-07 Beacon Light Products, Inc. Preheating and starting circuit and method for a fluorescent lamp
US5861720A (en) * 1996-11-25 1999-01-19 Beacon Light Products, Inc. Smooth switching power control circuit and method
US5861721A (en) * 1996-11-25 1999-01-19 Beacon Light Products, Inc. Smooth switching module
US6046549A (en) * 1997-09-29 2000-04-04 U.S. Energy, Inc. Energy saving lighting controller
US5932997A (en) * 1997-09-29 1999-08-03 U.S. Energy, Inc. Bit-weighted regulator
IL129405A0 (en) * 1999-04-13 2000-02-17 Ein Hashofet Electrical Access A dimmer and dimming lighting system
GB0003580D0 (en) * 2000-02-16 2000-04-05 Ford David W Electrical power supply unit
US6525490B1 (en) * 2000-10-02 2003-02-25 Patricia Ann Bailey Power saving circuitry
US6836080B2 (en) * 2001-11-14 2004-12-28 Astral Communications, Inc. Energy savings device and method for a resistive and/or an inductive load and/or a capacitive load
US6724157B2 (en) 2001-11-14 2004-04-20 Astral Communications Inc. Energy savings device and method for a resistive and/or an inductive load
US6906477B2 (en) 2003-10-14 2005-06-14 Astral Communications, Inc. Linear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a resistive and/or an inductive and/or a capacitive load
WO2009140525A1 (en) 2008-05-15 2009-11-19 Marko Cencur Method for dimming non-linear loads using an ac phase control scheme and a universal dimmer using the method
US8199010B2 (en) * 2009-02-13 2012-06-12 Lutron Electronics Co.,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a wireless sensor
US9307613B2 (en) 2013-03-11 2016-04-05 Lutron Electronics Co., Inc. Load control device with an adjustable control curve
CN105828481B (zh) * 2016-05-17 2018-02-02 黎辉 一种半波分流式led灯驱动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65930A (en) * 1962-05-03 1966-08-09 Gen Electric Current level switching apparatus for operating electric discharge lamps
US3414768A (en) * 1966-01-03 1968-12-03 Sylvania Electric Prod Semiconductor ballast for discharge lamp
CH452054A (de) * 1966-10-27 1968-05-31 Novelectric Ag Regelanordnung zur Stabilisierung der Leistungsaufnahme einer Metalldampf-Hochdruck-Entladungslampe
GB1179001A (en) * 1967-05-15 1970-01-28 Thorn Electrical Ind Ltd Improvements in Lighting-Control Systems
US3684919A (en) * 1970-12-10 1972-08-15 Berkey Colortran Mfg Inc Dimmer circuit
JPS5330133B2 (ko) * 1973-08-08 1978-08-25
US3913002A (en) * 1974-01-02 1975-10-14 Gen Electric Power circuits for obtaining a high power factor electronically
JPS5816320B2 (ja) * 1974-11-29 1983-03-30 松下電工株式会社 ホウデントウチヨウコウソウチ
HU173720B (hu) * 1976-04-08 1979-07-28 Egyesuelt Izzolampa Ehlektroskhema dlja ehskpluatacii gazorazrjadnoj lampi
US4051411A (en) * 1976-09-02 1977-09-27 General Electric Company Discharge lamp operating circuit
JPS5393671A (en) * 1977-01-27 1978-08-1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Control circuit for discharge lamp lighting apparatus
US4096414A (en) * 1977-05-24 1978-06-20 Cbs Inc. Dimmer control circuit
US4230970A (en) * 1978-03-07 1980-10-28 Lear Siegl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aving energy
US4237405A (en) * 1978-03-10 1980-12-02 Lear Siegl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erving energy
JPS5622097A (en) * 1979-07-31 1981-03-0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Device for firing descharge lamp
US4350935A (en) * 1980-03-28 1982-09-21 Lutron Electronics Co., Inc. Gas discharge lamp control
US4453123A (en) * 1980-10-16 1984-06-05 Erkman Ronald E System for providing a firing signal to an electrical power switch
JPS57189498A (en) * 1981-05-15 1982-11-2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Device for firing discharge lamp
JPS5843880A (ja) * 1981-09-07 1983-03-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前輪ブレ−キ装置
AU8929682A (en) * 1982-01-11 1983-07-21 Cornell-Dubilier Electronics Inc. Magnetic ballast with thyristor control
JPS58158895A (ja) * 1982-03-16 1983-09-21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一括調光用安定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407067C2 (de) 1994-03-17
IT8419894A0 (it) 1984-03-02
DE3407067A1 (de) 1984-09-13
FR2542555A1 (fr) 1984-09-14
KR840009024A (ko) 1984-12-20
JPS59196598A (ja) 1984-11-07
GB8605151D0 (en) 1986-04-09
GB2170025A (en) 1986-07-23
SG63188G (en) 1989-03-10
GB2136645A (en) 1984-09-19
FR2542555B1 (fr) 1986-12-19
GB2136645B (en) 1988-01-13
IT1173433B (it) 1987-06-24
ES8507309A1 (es) 1985-09-01
GB2170025B (en) 1987-12-31
AU574664B2 (en) 1988-07-14
US4527099A (en) 1985-07-02
AU2463684A (en) 1984-09-13
HK5189A (en) 1989-01-27
JPH05205886A (ja) 1993-08-13
GB8404621D0 (en) 1984-03-28
HK5089A (en) 1989-01-27
CA1254939A (en) 1989-05-30
ES530407A0 (es) 1985-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9482B1 (ko) 개스방전 램프용 제어회로
US5841239A (en) Circuit for dimming compact fluorescent lamps
KR960001025B1 (ko) 전력제어시스템
US5144205A (en) Compact fluorescent lamp dimming system
US4350935A (en) Gas discharge lamp control
US5030887A (en) High frequency fluorescent lamp exciter
US4005335A (en) High frequency power source for fluorescent lamps and the like
US7019468B2 (en) Electronic ballast with ignition and operation control
US5041763A (en) Circuit and method for improved dimming of gas discharge lamps
US4937501A (en) Circuit arrangement for starting a high-pressure gas discharge lamp
AU2008261189A1 (en) Power regulator employing a sinusoidal reference
US4891562A (en) Hybrid regulator-ballast circuit for high intensity discharge lamps
JPH10501651A (ja) 放電ランプ安定器
US4523130A (en) Four lamp modular lighting control
US5055742A (en) Gas discharge lamp dimming system
US6798153B2 (en) Method of regulating power in a high-intensity-discharge lamp
US7649324B2 (en) Auxiliary lighting circuit for high intensity discharge system
CA1204814A (en) Modular lighting control with circulating inductor
US4287455A (en) Power saving circuit for gaseous discharge lamps
US4523129A (en) Modular lighting control with circulating inductor
EP0063168A1 (en) High pressure discharge lamp apparatus
RU2131175C1 (ru) Пускорегул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зрядных ламп
JPS60125174A (ja) 電源回路
JPS61142696A (ja) 高圧蒸気放電灯点灯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