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7182Y1 - 초소형 스위치 - Google Patents

초소형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7182Y1
KR890007182Y1 KR2019860001554U KR860001554U KR890007182Y1 KR 890007182 Y1 KR890007182 Y1 KR 890007182Y1 KR 2019860001554 U KR2019860001554 U KR 2019860001554U KR 860001554 U KR860001554 U KR 860001554U KR 890007182 Y1 KR890007182 Y1 KR 8900071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piece
housing
switching
comm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015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5859U (ko
Inventor
고오지 가미사다
Original Assignee
니혼가이헤이끼고오교가부시끼가이샤
오오하시 시게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가이헤이끼고오교가부시끼가이샤, 오오하시 시게오 filed Critical 니혼가이헤이끼고오교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058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585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71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718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06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adapted for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boar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Landscapes

  • Tumbler Switches (AREA)
  • Contacts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초소형 스위치
제1도는 종래 기술의 일 스위치의 부분 절개 정면도.
제2도는 종래 기술의 다른 스위치의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초소형 스위치의 부분 절개 정면도.
제4도는 제3도의 초소형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
제5도는 제3도의 초소형 스위치의 요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2 : 기판부 22a : 캠면
23 : 공통 고정 단자 24 : 공통 고정 접편
25 : 절환 고정 단자 26 : 절환 고정 접편
27 : 가동 접편 28 : 덮개
29 : 토글 레버 30 : 원형 보어
32 : 구형부 33 : 전환자
34 : 절동(quick stop)코일 스프링 35 : 활동자
41 : 돌출부 42 : 제1절곡부
43 : 제2절곡부
본 고안은 초소형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자를 가진 접편의 형태를 변형하여 소형화 된 초소형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소형 스위치들은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형태의 구조들을 가지고 있다. 제1도에 부분 단면도로 도시된 종래의 소형 스위치는 외부 연장 부싱(2)을 가진 덮개(3)에 의해 덮여진 상단 개방 하우징(1)을 포함하고 있다.
토글 레버(4)는 부싱(2)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우징(1)의 내부에 뻗어 있다. 활동자(5)는 하우징(1) 내측의 토글 레버(4)의 하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가동 접편(6)은 활동자(5)에 대향하여 공통 접편(8)상에 하우징(1) 내부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공통 접편(8)은 공통 단자(7)를 가지고 있다. 또한 하우징(1) 내측에는 가동접편(6)에 대향하여 고정 단자(9)를 가진 고정 접편(10)이 배치되어 있다.
제2도의 사시도에 예시된 종래의 소형 스위치는 상부 연장 부싱(12)을 가진 일반적으로 U-자형의 하단 개방 하우징(13)에 의해 덮여진 스위치 기판(11)을 포함한다.
토글 레버(14)는 부싱(12)에 선회하게 설치되고, 하우징(13)의 내부로 뻗어 있다. 가동 접편(15)은 토글 레버(14)와 공동으로 동작하도록 공통 접편(도시 안됨)상에 하우징(13) 내부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공통 접편은 공통 단자(16)를 가지고 있다. 또한 하우징(13) 내부에는 가동 접편(15)에 대향하여 고정 단자(17)를 가진 고정접편(18)이 배치되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스위치 하우징의 기판에 식설되고 그 말단부에 단자를 가진형의 고정 접편의 구조를 개선하여 달성된 아주 소형화 된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임의의 스위치 설치 구조물에 쉽게 설치할 수 있는 초소형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스위치 하우징의 기판에 식설된 단자가 증가된 기계적 강도로 기판에 고정된 초소형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전술한 목적들은 기판부를 포함하는 스위치 하우징과, 상기 기판부의 중앙부에 식설되고 기판부외부에 뻗어 있는 공통 고정 단자를 가진 공통 고정 접편과, 공통 고정 접편과 나란히 기판부에 식설되고 기판부 외부로 뻗어 있는 절환 고정 단자를 가진 절환 고정 접편을 가지고 있고, 상기 고정 접편들이 스위치 하우징에 의해 둘러 싸여 있는 초소형 스위치를 제공함에 의해 얻어진다. 절환 고정 접편은 두개의 절곡부를 형성하도록 두 곳에서 절곡되어 있고, 하우징 외부에 있는 공통 고정 단자와 절환 고정 단자가 하우징 내부에 있는 공통 고정 접편과 절환 고정 접편 사이의 것 보다 더 큰 거리로 간격져 있게 배치되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 및 장점들은, 동일한 참고 부호들은 도면들 전체를 통하여 동일 도는 유사한 부분들을 가리키는, 첨부 도면들을 참고로 하여 취해진 다음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그리고 제3내지 5도에 예시된 초소형 스위치는 기판부(22)를 가진 상단 개방 하우징(21)을 포함한다.
기판부(22)는 그 중앙부에 하우징(21) 밑에서부터 외부로 뻗어 있는 공통 고정 단자(23)를 포함하도록 형성 되고 하우징(21)의 내부로 뻗어 있는 공통 고정 접편(24)이 설치된다.
기판부(22)는 또한 공통 고정 접편(24)의 양쪽 상에 절환 고정접편(26)이 설치된다. 절환 고정 접편(26)은 하우징(21)의 내부에 뻗어 있고, 하우징 밑에서부터 외부로 뻗어 있는 절환 고정 단자(25)를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접편(24,26)들은, 아래에 기술되는 바와 같이, 가동 접편(27)이 좌우측 상의 절환 고정 접편(26)의 어느 하나의 공통 고정 접편(24)을 접촉시키고 다른 하나의 접촉하지 않도록 일렬로 배열되어 있다. 이들 두개의 분리된 접촉 열들은, 제4도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각 열에 제공된 가동 접편(27)이 설치되어 있다. 기판부(22)는 이들 두개 접촉 열 사이에 배치된 그리고, 한 리세스가 공통 고정 접편(24)의 각 측에 위치된, 절동(quick-stop) 동작용 한쌍의 3각형 리세스를 포함하도록 형성된 캠면(22a)이 설치되어 있다. 덮개(28)는 하우징(21)의 상단 개구를 덮고 있고, 그리하여 하우징(21)과 결합하여 밀봉된 케이스를 구성한다. 덮개(28)는 토글 레버 (29)를 수납하기 위한 원형 보어(30)를 가진 상부 연장 부싱(31)이 설치되어 있다. 토글 레버(29)는 하우징(21)내측에 레버의 하단부에 형성된 그리고 토글 레버의 요동 가능한 지지부로서 작용하는 일반적인 구형부(32)와, 구형부(32)의 하단부에 연결된 전환자(33)를 포함한다. 전환자(33)는, 활동자(35)의 상단부와 보어의 폐단부 사이에 내삽되어 있는 절동 코일 스프링(34)과 함께, 활동자(35)를 하단부가 수납하는 중앙 보어(도시 안됨)를 가지고 있다.
가동 접편(27)은 그 중앙 보어의 양쪽에 전환자(33)에 부착되고, 각 열의 접편(24, 26)들을 포용하기 위한 클립형 구성을 하고 있다. 접편(27)은 탄성판으로 구성한다.
이 스위치를 동작 시키기 위하여, 토글 레버(29)는 공통 고정 접편(24)과 어느 하나의 절환 접편(26)을 협지하여 토글 레버(29)에 의해 전후로 이동되는 가동 접편(27)에 의해 좌측 또는 우측의 절환 고정 접편(26)에, 중앙에 위치된, 공통 고정 접편(24)을 접속 시키도록 전후로 요동된다. 스위치가 이런 형태로 절환될때, 활동자(35)는 캠면(22a)의 한 삼각 리세스로부터, 활동자(35)가 캠면(22a)의 리세스들 사이의 삼각돌출부에 의해 상승되어 전환자(33)의 보어 내의 코일 스프링(34)을 압축하는 과정을 경과하여, 다른 리세스로 이동된다.
활동자(35)가 캠면(22a)의 다른 리세스로 들어가기 시작할 때, 코일 스프링(34)에 축적된 위치 에너지는 활동자(35)를 통해 방출되고 그리하여 급속하게 활동자(35)를 캠면(22a)을 따라 이 리세스로 하향시킨다. 가동 접편(27)이 활동자(35)를 수용하는 전환자(33)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동작은 가동 접편(27)으로 하여금 하나의 고정접편(26)으로 부터 다른 접편으로 신속하게 이동되고 정지되는 절등(quick-stop)동작을 실행하게 한다.
제3도 및 제4도에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공통 고정단자(23)를 가진 공통 고정 접편(24)은 기판부(22)를 통과하는 그곳에 돌출부(41)를 가진 선형 막대형 도체이다. 돌출부(41)는 하우징(21)이 기판부(22)를 포함하여 성형될때 접편(24)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절환 고정 단자(25)를 가진 절환 고정 접편(26)은 하우징(21)의 내측에서의 고정 접편(26)의 상단부가 하우징(21) 외부의 하단부로부터 옵세트 되게 제1 절곡부(42) 및 제2 절곡부(43)를 포함하도록 형성된 막대형 도체로 구성한다. 마찬가지로 기판부(22)를 통과하는 고정 접편(26)의 부분은 돌출부(41)을 포함하게 형성되어, 하우징(21)이 성형될 때 접편이 떨어지지 않게 한다. 고정 접편(26)의 돌출부(4)와 제1절곡부 및 제2절곡부(43)는 하우징(21) 성형시 하우징(21)의 기판부(22)내에 고정된다. 이러한 성형시, 공통 고정 단자(23)를 가진 공통 고정 접편(24)은 기판부(22)의 거의 중앙에 위치되고, 절환 고정 단자(25)를 가진 절환 고정 접편(26)들은 공통 고정 접편(24)의 양쪽에 배열된다. 이 배치는 하우징 외부의 두개의 고정 단자(25)들 사이의 간격이 하우징 내부의 고정 접편(26)들 사이의 간격보다 더 크게, 그리고 모든 고정 단자(23, 25)들의 말단부들이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 평면상에 놓이게 된 것이다. 접편들을 형성하는 막대형 도체들의 각각은 와이어로 구성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이제 절환 고정 접편(26)을 옵세트 형으로 하는 이유를 제5도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다.
이런 형의 종래의 스위치에 사용된 모든 막대형 도체들이, 제5도에서의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직선형이기 때문에 각각의 절환 고정 접편과 공통 고정 접편 사이의 절연 간격(2)은 대응 단자들 사이의 절연 간격(z)에 의해 결정된다.
동시에, 스위치 하우징(21)의 측벽이 소정 간격 만큼 각 접편들로부터 떨어져 있는 것이 필요하다. 그 이유는(1) 가동 접편이 고정 접편과 차단될 때 발생된 아아크에 의해 발생된 열로 부터 스위치 하우징(21)의 측벽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고, (2) 또, 일정한 폭을 가진 가동 접편이 고정 접편을 완전히 접촉 시키기에 충분한 거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필요한 간격(x)이 각 접편과 하우징(21)의 측벽 사이에 제공될 때, 스위치 하우징은, 제5도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외경(Y1)을 가진 형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본 고안에 의하면, 전환 고정 접편(26)들은 옵세트 형으로 절곡된 막대형 도체들로 구성되고, 접편(26)들은 도시된 방식으로 배열된다. 따라서, 각각의 고정 접편(26)과 공통 고정 접편(25) 사이의 간격은, 대응 단자들 사이의 간격(z)이 불변할지라도, 종래의 스위치에 있어서의 간격(z)보다 더 좁다. 감소될지라도 각각의 접편(26)과 공통 접편(25) 사이의 간격은, 당연한 일로서, 접편들 사이의 필요한 절연을 할 여유가 있도록 선택된다. 따라서, 만일 접편과 하우징(21)의 내벽 사이의 간격이 본 고안의 접편 배열 구성으로 형성 가능한 바와 같이 필요한 값 X로 유시된다면, 그 결과의 하우징은, 그 외경이 Y인, 제5도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형을 가진다. 달리 말해서, 하우징은 여전히 필요한 간격 Y를 유지하면서 외경이 감소될 수 있다. 좀 더구체적으로 말해서, 만일 외경 Y의 스위치가 종래의 스위치에 적용된 직선의 막대형 도체들을 사용하여 형성 되었다면, 각각의 고정 접편(26)과 하우징(21)의 내벽 사이의 간격은, 상기(1) 및 (2)를 만족하지 못하기 때문에 허용 불가능 상태인, X1으로 좁아진다. 그러나, 본 고안에 따라 구성된 고정 접편(26)을 사용함에 의해, 하우징(21)의 외경은 접편 도체의 두개의 단부들 사이의 옵세트 량과 동일한 양 만큼 감소될 수 있다. 그리하여, 스위치의 크기는 종래의 스위치 하우징의 외경 Y1으로부터 본 고안에 따른 스위치 하우징의 외경 Y를 감산하여 얻은 값 만큼 그 외경이 감소 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스위치는, 매우 작은 외에도, 또한 다른 점에서도 중요하다. 특히, 접편 간격은 필요한 최소치로 설정 될 수 있고, 단자 간격은, 스위치를 설치하기 위한 인쇄 배선 회로판에서의 땜납 구멍들 사이의 간격과 같은, 설치에 필요한 임의의 간격에 적합하게 쉽게 형성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각각의 절환 고정 접편들의 옵세트 량을 조절함에 의해, 이들 두 접편들 사이의 간격은 최대 간격 Y까지 임의로 설정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술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여러가지 방식으로 변형될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이점을 상세히 설명한다.
(1) 상호 인접한 고정 접편(24, 26)들 사이의 그리고 각각의 접편과 절환 하우징(21)의 내벽 사이의 간격은 특징 설계상 필요한 치수들을 제공한다는 관점에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단자 간격이 접편 간격과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는 사실은 스위치 크기를 한층 소형화 하는데 촉진한다.
(2) 상호 인접 고정 접편(24, 26)들의 단자(23, 25)들 사이의 간격은 이들 접편들 사이의 간격과 분리하여 설정될 수 있고, 또한, 접편들과 스위치 하우징(21)의 내벽 사이의 간격과 분리하여 설정될 수 있다. 단자들 사이의 간격은 스위치를 설치하는데 필요한 조건에 적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것은 지금까지 종래의 기술에서 종래의 스위치의 변경 불가능한 단자 간격과 설치 구멍 간격 사이의 일치를 이루도록 하는데 필요로 했었던 바와 같은, 스위치가 설치될, 인쇄 배선 회로판과 같은 구조의 설치 구멍 간격을 재설계할 필요성을 제거 한다.
(3) 조작시 가동 접편(27)이 절환 고정 접편(26)의 접편부를 단단히 협지하여 전 후 압력을 가할지라도, 제1 및 제2 절곡부(42, 43) 사이의 절환 고정 접편의 도체 부분은 스위치의 기판부(22)에 성형되어, 접편의 고정 부분을 필수적으로 길게 하고, 그리하여 접편이 기판부(22)에 고정되는 기계적 강도를 중강시킨다. 특히, 평판형 도체에 비해 기판부에 막대형 도체를 고정시키는 것이 더 어렵기 때문에, 기판부에 고정된 도체의 부분을 길게 하는 것이 특히 이롭다.
이 특징은 스위치 기판부에 고정 접편을 고착시키는 것이 더 어렵기 때문에, 기판부에 고정된 도체의 부분을 길게 하는 것이 특히 이롭다.
이 특징은 스위치 기판부에 고정 접편을 고착시키는 것이 스위치를 소형화 함에 따라 더 어려워진다는 사실에서 볼 때 특히 중요하다.
(4) 스위치 하우징(21)은 각각의 고정 접편(24, 26)들을 둘러 싸고 있고, 전체 구조는 방수 및 방진 상태를 확실하게 하도록 밀봉되어 있다. 하지만, 고정 접편들이 하우징(21)에 둘러 싸여 있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스위치는 필요한 접편 상호간의 절연을 제공하고 필요한 규격을 만족시키도록 소형화 될 수 있다.
(5) 각각의 고정 접편의 접편부와 단자부들이 일체 성형되었기 때문에. 고정 접편들은 제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Claims (7)

  1. 기판부를 포함한 스위치 하우징을 가지고 있으며, 스위치 하우징에 의해 둘러 싸여지고, 스위치 하우징의 기판부의 중앙부에 식설되고, 기판부 외부로 뻗어 있는 공통 고정 단자를 가진 공통 고정 접편과, 스위치 하우징에 둘러 싸여 상기 공통 고정 접편과 나란히 기판부에 식설되고, 기판부 외부로 뻗어 있는 절환 고정 단자를 가진 절환 고정 접편과, 스위치 하우징에 둘러 싸여 상기 절환 고정 접편과 상기 공통 고정 접편을 접촉시키며 차단 시키도록 이동 가능한 가동 접편으로 구성하고 있는 것으로서, 상기 절환 고정 접편은 공통 고정 단자 및 절환 고정 접편 사이보다 더 큰 거리로 간격져 있도록 배열되고 두개의 절곡부들을 형성하도록 두 곳에서 절곡됨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스위치.
  2. 제1항에 있어서, 기판부가 상기 고정 접편들을 포함하도록 성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스위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고정 접편이 직선의 막대형 도체로 구성하고, 상기 절환 고정 접편이 막대형 도체로 구성하고, 두개의 상기 절환 고정 접편들이 상기 공통 고정 접편의 각 측에 하나식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스위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환 고정 접편의 두 개의 절곡부들이 기판부 고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스위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환 고정 접편은 그 대향 단부들이 서로 옵세트 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스위치.
  6.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고정 접편이 기판부 내측에 고착된 돌출부를 내포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스위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접편들의 각각이 와이어 부재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스위치.
KR2019860001554U 1985-09-26 1986-02-12 초소형 스위치 KR890007182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5145787U JPH0347218Y2 (ko) 1985-09-26 1985-09-26
JP85-145787 1985-09-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5859U KR870005859U (ko) 1987-04-25
KR890007182Y1 true KR890007182Y1 (ko) 1989-10-20

Family

ID=15393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01554U KR890007182Y1 (ko) 1985-09-26 1986-02-12 초소형 스위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778964A (ko)
JP (1) JPH0347218Y2 (ko)
KR (1) KR89000718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86199A (en) * 1989-05-15 1992-02-04 Daiichi Denso Buhin Co., Ltd. Lever switch
US5099095A (en) * 1989-05-15 1992-03-24 Daiichi Denso Buhin Co., Ltd. Lever switch device
FR2690781A1 (fr) * 1992-05-04 1993-11-05 Etude Const Mat Electronique Interrupteur subminiature pour circuit imprimé.
US5359164A (en) * 1993-05-14 1994-10-25 Eaton Corporation Illuminated switching assembly
US5685419A (en) * 1995-09-07 1997-11-11 Daichi Denso Buhin Co., Ltd. Lever switch
US6388221B1 (en) * 1996-05-11 2002-05-14 Delphi Technologies, Inc. Window winder switch
US6144122A (en) * 1999-03-02 2000-11-07 Black & Decker Inc. Power tool with switch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ies
US6091038A (en) * 1999-05-27 2000-07-18 Trw Inc. Electrical switch with sliding terminal contacts
US6743997B2 (en) 2002-08-06 2004-06-01 Lear Corporation Rocker switch
US7217896B1 (en) * 2006-01-25 2007-05-15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taked printed circuit board terminals for switch cases
US7446272B2 (en) * 2006-09-27 2008-11-04 Tien-Ming Chou Rolling-ball switch
US7256360B1 (en) * 2006-09-27 2007-08-14 Tien-Ming Chou Rolling-ball switch
US7560652B2 (en) * 2007-03-02 2009-07-14 Zf Friedrichshafen Ag Electrical contact with redundant paths
US7518078B1 (en) * 2007-03-21 2009-04-14 Cooper Technologies Company Flipper mechanism
US7638723B1 (en) 2007-03-21 2009-12-29 Cooper Technologies Company Toggle flange
US7737377B1 (en) 2007-03-21 2010-06-15 Cooper Technologies Company Slip connection
US7595460B1 (en) 2007-03-21 2009-09-29 Cooper Technologies Company Actuator assembly
US7709761B1 (en) 2007-03-21 2010-05-04 Cooper Technologies Company Electrical device cradle with multiple integral support regions
US7728240B2 (en) * 2007-11-08 2010-06-01 Cooper Technologies Company Electrical control device
JP5358391B2 (ja) * 2009-10-16 2013-12-04 ミック電子工業株式会社 レバースイッチ
CN107578941A (zh) * 2017-09-28 2018-01-12 苏州华之杰电讯股份有限公司 一种按钮开关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699906A (ko) * 1962-06-16 1900-01-01
US3146330A (en) * 1962-09-17 1964-08-25 Cutler Hammer Inc Toggle switch lever mounting
US3437772A (en) * 1966-06-06 1969-04-08 Cutler Hammer Inc Contact structure for electrical switching device and method of assembly
US3403237A (en) * 1967-04-05 1968-09-24 Robertshaw Controls Co Electrical switch having a one-piece actuator and spring arm structure
JPS4421391Y1 (ko) * 1968-03-19 1969-09-10
US3735077A (en) * 1971-02-05 1973-05-22 Nihon Kaiheiki Ind Co Ltd Illuminated miniature switch
US3683144A (en) * 1971-03-04 1972-08-08 Columbus Electric Mfg Co Non-snap-acting switch devices with s-shaped contact spring blade
US3641291A (en) * 1971-04-07 1972-02-08 Carling Electric Inc Toggle actuator assembly for electric switch
JPS50100074U (ko) * 1974-01-19 1975-08-19
JPS50149373A (ko) * 1974-05-21 1975-11-29
JPS50155572U (ko) * 1974-06-12 1975-12-23
US3996431A (en) * 1974-06-19 1976-12-07 Cutler-Hammer, Inc. Multiple circuit slide selector switch having fixed contact retaining band
US3988558A (en) * 1975-05-28 1976-10-26 Cutler-Hammer, Inc. Toggle switch having an easily assembled, anti-rotation mounting means for its pivotal toggle lever
US4123634A (en) * 1977-04-20 1978-10-31 Cutler-Hammer, Inc. Snap-action switch with contact wiping action
US4162386A (en) * 1977-11-07 1979-07-24 Cutler-Hammer, Inc. Method of and means for securing an electric switch operating lever in a one-hole mounting bushing
US4149049A (en) * 1977-12-14 1979-04-10 Cutler-Hammer, Inc. Switch using resilient annular contactor
JPS608355Y2 (ja) * 1979-12-31 1985-03-25 日本開閉器工業株式会社 ピン端子形スイッチ
JPS6323858Y2 (ko) * 1981-01-31 1988-06-30
US4389549A (en) * 1981-11-23 1983-06-21 Cts Corporation Side actuated miniature dip switch
JPS58120525U (ja) * 1982-02-10 1983-08-17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プツシユスイツチ
SU1076971A1 (ru) * 1983-01-10 1984-02-29 Предприятие П/Я А-3870 Переключатель
JPS6135341U (ja) * 1984-08-01 1986-03-04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デイツプスイツ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778964A (en) 1988-10-18
JPH0347218Y2 (ko) 1991-10-08
KR870005859U (ko) 1987-04-25
JPS6254422U (ko) 1987-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7182Y1 (ko) 초소형 스위치
US5138121A (en) Auxiliary contact mounting block
US5635886A (en) Cutoff structure for circuit breaker
CA1054197A (en) Slide switch assembly
US3437773A (en) Convertible electric switch module
US3415962A (en) Miniature precision snap action switch with one-piece stressed blade construction
US4751485A (en) Waterproof switch assembly for electrical appliances
US2582034A (en) Snap action switch
US3383486A (en) Electric circuit breaker with combined plug-in terminal and contact support
KR920002563B1 (ko) 다극회로차단기의 아크소호실(arc extinction chamber)장치
US4149216A (en) Fused unitized combination starter
US2941047A (en) Electric switch
US3242297A (en) Electric switch superstructures
US4209677A (en) Precision snap switch with improved one piece contact support and terminal member
US3525837A (en) Movable contact structure for a molded-case electric circuit breaker
US4144419A (en) Push-button actuated slide switch
JPH0782786B2 (ja) スライドスイッチ
US3293392A (en) Fuse protected electrical switch
US3482064A (en) Electrical switch having pressure contacts
US3144529A (en) Snap switch
US2881279A (en) Wiring device
US4121062A (en) Change-over slide switch with grounding spring member
GB2265255A (en) Electrical switch.
GB2225166A (en) Push-button switch
EP0206249A2 (en) Circuit brea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102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